KR101699124B1 - 통합 지그 - Google Patents

통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124B1
KR101699124B1 KR1020140096502A KR20140096502A KR101699124B1 KR 101699124 B1 KR101699124 B1 KR 101699124B1 KR 1020140096502 A KR1020140096502 A KR 1020140096502A KR 20140096502 A KR20140096502 A KR 20140096502A KR 101699124 B1 KR101699124 B1 KR 101699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size
seated
jig
electrode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4369A (ko
Inventor
김지우
추성춘
이향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096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124B1/ko
Publication of KR20160014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전지 셀의 치수 검사와 전극 탭에 수행하는 용접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통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지그는 전지 셀에 형성되는 전극 탭과 전자 소자의 용접 시에 전지 셀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전지 셀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안착부 상에 형성되며, 전지 셀의 크기의 정상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크기 검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합 지그{INTEGRATED JIG}
본 발명은 통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전지 셀의 치수 검사와 전극 탭에 수행하는 용접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통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일차 전지와는 달리 재충전이 가능하고, 또 소형 및 대용량화 가능성으로 인해 근래에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차 전지의 전지 셀은 정해진 크기의 표준 규격을 가지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크기 검사가 수행되어야 한다. 전지 셀의 크기를 검사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전지 셀 크기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게 되는데, 정상 규격인 전지 셀은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만 불량 크기를 가지는 전지 셀은 걸러지게 된다.
크기 검사를 수행하고 난 이후에 전지 셀은 용접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전지 셀에는 전극 탭이 부착되어 있고, 이 전극 탭에 투명 전도성 산화물(TCO)등의 전자 소자가 용접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용접은 스팟(Spot) 용접일 수 있다. 전극 탭과 전자 소자를 용접하기 위해서는 용접을 위한 고정 지그 장치 등을 이용하여 용접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처럼 각각의 장치를 사용하여 전지 셀의 크기 검사와 전지 셀 용접 잡업을 수행하였는데, 이 경우, 전지 생산 공정의 단계가 증가하며, 그에 따라 생산 비용, 시간, 및 노동력 낭비 등이 초래될 수 있어 문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전지 셀의 크기가 표준 규격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치수 검사와 전극 탭에 수행하는 용접 작업을 하나의 지그를 통하여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통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지그는 전지 셀에 형성되는 전극 탭과 전자 소자의 용접 시에 전지 셀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전지 셀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안착부 상에 형성되며, 전지 셀의 크기의 정상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크기 검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지그는 전지 셀이 기준위치 상에 안착되도록 전지 셀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지그는 전극 탭과 전자 소자의 용접을 위하여 전지 셀이 안착되는 안착부에 전지 셀의 크기를 검사하는 크기 검사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지 셀의 크기가 표준 규격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치수 검사와 전극 탭에 수행하는 용접 작업을 하나의 지그를 통하여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지그는, 전지 셀이 기준위치 상에 안착되도록 전지 셀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전지 셀(B)의 치수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추가적인 외부 에너지의 공급 없이 지속적으로 전지 셀(B)을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합 지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합 지그에 전지 셀이 안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통합 지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통합 지그에 전지 셀이 안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합 지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합 지그에 전지 셀이 안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합 지그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합 지그(100)는 안착부(110) 및 크기 검사부(130)를 포함한다.
안착부(110)는 전지 셀(B)에 대하여 용접 작업을 수행 할 때 전지 셀(B)이 안착될 수 있는 부분일 수 있다. 특히 전지 셀(B)에 형성되는 전극 탭(T)과 전자 소자의 용접 시, 전지 셀(B)을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부분일 수 있다.
안착부(110)는 바닥부분(111) 및 측벽부분(113)을 포함한다. 바닥부분(111)은 전지 셀(B)이 놓여지는 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측벽부분(113)은 바닥부분(111)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일 수 있다. 측벽부분(113)은 전지 셀(B)의 적어도 한 면이 접할 수 있다. 바닥부분(111) 및 측벽부분(113)은 치수 검사 및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전지 셀(B)이 움직이지 않도록 전지 셀(B)을 지지할 수 있다.
크기 검사부(130)는 안착부(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크기 검사부(130)는 전지 셀(B)의 크기가 정상인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크기 검사부(130)는 전지 셀(B)이 표준 크기를 가진 정상 규격의 셀인지를 검사하기 위하여 안착부(110) 상에 표시된 ㄱ자 형상의 검사 라인일 수 있다.
검사 라인은 안착부(110) 상의 정해진 기준 위치에 표준 크기를 가지는 전지 셀(이하 표준 셀)이 안착되었을 때 그 표준 셀의 윤곽선(L)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도록 안착부(110) 상에 표시되는 라인일 수 있다.
그래서 검사 대상 전지 셀(B)이 상기 기준 위치에 안착되었을 때, 검사 대상인 전지 셀(B)에서 윤곽선(L)의 모서리 부분이 상기 검사 라인과 일치하면 정상 크기를 가진 전지 셀로 판별될 수 있다. 만일 전지 셀(B)의 윤곽선(L)이 검사 라인에서 벗어난 상태이면 크기가 불량인 전지 셀(B)로 판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검사 대상 전지 셀(B)이 안착부(110) 상의 정해진 기준 위치에 안착된다는 것은, 전지 셀(B)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인 전지 셀의 제1 모서리(B1)가 안착부의 제1 모서리(115)와 밀착된 상태로 전지 셀(B)이 위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이러한 기준 위치에 안착된 전지 셀(B)이 도시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전지 셀의 제1 모서리(B1)의 대각선 반대편에 위치하는 전지 셀의 제2 모서리(B2)를 살펴보면, 이 전지 셀의 제2 모서리(B2)의 윤곽선이 크기 검사부(130)인 ㄱ자형 검사 라인과 일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 도 2에서 도시되는 전지 셀(B)은 정상 크기(또는 정상 치수)를 가진 것으로 판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전지 셀(B)이 사각형 모양이므로 크기 검사부(130)인 검사 라인이 전지 셀(B) 전체의 윤곽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필요는 없다. 전지 셀의 제1 모서리(B1)가 안착부의 제1 모서리(115)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지 셀의 제2 모서리(B2) 부분이 ㄱ자 형상의 검사라인과 서로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 만으로도 전지 셀(B) 전체의 정상 크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전지 셀(B)의 크기 검사(치수 검사)를 수행하고 난 이후에 전지 셀(B)의 전극 탭(T)에 전자 소자를 스팟 용접하는 용접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합 지그(100)는 탭안착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탭안착부(150)는 전자 소자와 전극 탭(T) 간의 용접 시에 전극 탭(T)이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탭안착부(150)가 구비됨으로 인하여 전자 소자가 전극 탭(T)에 안정적으로 용접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합 지그(100)는 전지 셀(B)이 안착되는 안착부(110) 및 크기 검사부(130)를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전지 셀(B)의 크기가 표준 규격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치수 검사와 전자 소자를 전극 탭(T)에 스팟 용접시키는 용접 작업을 하나의 지그를 이용하여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지 셀 생산 공정의 단계가 감소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생산 비용, 시간, 및 노동력의 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통합 지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통합 지그에 전지 셀이 안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 2에 따른 통합 지그는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통합 지그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실시예 2는 가압부가 더 구비된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차이가 있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상당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통합 지그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통합 지그(200)는 전지 셀(B)이 기준위치 상에 안착되도록 전지 셀(B)을 가압하는 가압부(170)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가압부(170)는 탄성부재(171) 및 가압부재(17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탄성 부재는 측벽부분(113)에 설치되어, 측벽부분(113)으로부터 전지 셀(B)을 향하여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가압부재(173)는 탄성부재(171)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전지 셀(B)과 접촉하면서 전지 셀(B)을 가압할 수 있다.
탄성부재(171)는 스프링의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압부재(173)에 탄성력을 전달하여 전지 셀(B)을 가압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탄성부재(171)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은 가압부재(173)는 전지 셀(B)과 면 접촉하면서 전지 셀(B)을 가압할 수 있다. 면 접촉을 하며 가압할 경우 압력을 분산하여 동일한 힘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전지 셀(B)의 변형이나 흠집을 방지하면서 전지 셀(B)을 가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통합 지그(200)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압부재(173)를 측벽부분(113) 쪽으로 밀면서 탄성부재(171)를 압축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전지 셀(B)을 안착부(110)에 안착시킨다. 이후 가압부재(173) 및 탄성부재(171)에 가했던 외부 힘을 제거하면 가압부재(173)는 탄성부재(171)의 탄성력을 전달 받아 전지 셀(B)을 가압한다. 그에 따라 전지 셀의 제1 모서리(B1)가 안착부(110)의 일측 모서리에 밀착 되고, 전지 셀(B)은 기준 위치에 정확히 위치할 수 있다.
전지 셀(B)이 기준 위치에 위치한 이후, 크기 검사부(130)를 이용하여 전지 셀(B)의 치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검사 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치수 검사에 이어서 전자 소자를 전극 탭(T)에 용접하는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통합 지그(200)는 전지 셀(B)의 치수 검사와 용접 작업을 하나의 지그를 이용하여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가압부(170)가 있는 경우에는 가압부(170)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더욱 정확한 전지 셀(B)의 치수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추가적인 외부 에너지의 공급 없이 지속적으로 전지 셀(B)을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통합 지그
110: 안착부
111: 바닥부분
113: 측벽부분
115: 안착부의 제1 모서리
130: 크기 검사부
150: 탭안착부
170: 가압부
171: 탄성부재
173: 가압부재
200: 통합 지그
B: 전지 셀
B1: 전지 셀의 제1 모서리
B2: 전지 셀의 제2 모서리
L: 윤곽선
T: 전극 탭

Claims (7)

  1. 전지 셀에 형성되는 전극 탭과 전자 소자의 용접 시에 상기 전지 셀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에 있어서,
    상기 전지 셀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전지 셀의 크기의 정상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크기 검사부; 및
    상기 전지 셀이 기준위치 상에 안착되도록 상기 전지 셀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기 검사부는 상기 안착부 상의 정해진 기준위치에 안착된 표준 크기 전지 셀의 윤곽선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안착부 상에 표시되는 ㄱ자 형상의 검사 라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준위치는 상기 전지 셀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안착부의 모서리와 밀착된 상태에서의 상기 전지 셀의 위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부는 바닥부분 및 상기 바닥부분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하는 측벽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측벽부분으로부터 상기 전지 셀을 향하여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전지 셀과 접촉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통합 지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 소자와 상기 전극 탭 간의 용접 시에 상기 전극 탭이 안착되는 탭안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지그.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전지 셀과 면 접촉 하며 상기 전지 셀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지그.
KR1020140096502A 2014-07-29 2014-07-29 통합 지그 KR101699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502A KR101699124B1 (ko) 2014-07-29 2014-07-29 통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502A KR101699124B1 (ko) 2014-07-29 2014-07-29 통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369A KR20160014369A (ko) 2016-02-11
KR101699124B1 true KR101699124B1 (ko) 2017-02-01

Family

ID=5535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502A KR101699124B1 (ko) 2014-07-29 2014-07-29 통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1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0478A (ja) * 1999-03-11 2000-09-22 Osaka Gas Co Ltd 非水系二次電池
JP2011210529A (ja) * 2010-03-30 2011-10-20 Toray Eng Co Ltd 電池組立治具および電池組立治具を用いた電池組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252B1 (ko) * 2008-08-06 2011-0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이동장치를 이용한 전지팩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0478A (ja) * 1999-03-11 2000-09-22 Osaka Gas Co Ltd 非水系二次電池
JP2011210529A (ja) * 2010-03-30 2011-10-20 Toray Eng Co Ltd 電池組立治具および電池組立治具を用いた電池組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369A (ko)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536B1 (ko) 배터리 팩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287763B1 (ko) 전지셀 제조시스템
CN102403046B (zh) 用于测量核燃料组件定位格架的固定夹具及测量装置
US8305105B2 (en) Simulated mounting structure for testing electrical devices
KR20150027500A (ko)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KR20210085975A (ko) 이차전지용 파우치의 실링부 두께 측정장치 및 파우치의 실링부 두께 측정방법
CN105738756A (zh) 一种显示装置检查治具及检查方法
KR101699124B1 (ko) 통합 지그
CN109702335B (zh) 焊接系统
KR101551534B1 (ko) 테스트 지그
KR102521076B1 (ko) 반도체 소자를 검사하기 위한 인서트 조립체와 테스트 소켓의 불량 검사 방법
KR101800051B1 (ko) 단위셀의 쇼트측정장치
TWI360854B (en) Carrier wafer position device and examination meth
KR101544499B1 (ko) 검사장치
JP2005141035A (ja) 液晶パネルの点灯検査用治具および点灯検査方法
CN115127746A (zh) 泄漏检查方法和泄漏检查装置
CN214956809U (zh) 一种晶背减薄机台薄片产品重工的装置
KR20220148006A (ko) 배터리 모듈 정렬도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33858A (ko) 핸들러 및 그의 관리 방법
JP7056529B2 (ja) 固定状態検査装置、固定状態検査方法及び組電池の製造方法
KR20150019262A (ko) 반도체 패키지의 검사 방법
KR20210050394A (ko) 이차전지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JP2019008940A (ja) 燃料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コネクタ
KR20210090491A (ko) 파우치형 전지셀의 불량 검사 장치
JP2017116369A (ja) 電子部品搬送装置および電子部品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