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020B1 - 매선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매선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020B1
KR101699020B1 KR1020160123945A KR20160123945A KR101699020B1 KR 101699020 B1 KR101699020 B1 KR 101699020B1 KR 1020160123945 A KR1020160123945 A KR 1020160123945A KR 20160123945 A KR20160123945 A KR 20160123945A KR 101699020 B1 KR101699020 B1 KR 101699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base material
manufacturing
inner hole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혜
이서희
Original Assignee
김지혜
이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혜, 이서희 filed Critical 김지혜
Priority to KR1020160123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 제조방법은, 매선실이 관통 가능한 내부홀을 구비하는 직선관 형상의 가공모재를 마련하는 제1 단계; 상기 가공모재의 선단측을 측방으로 만곡시키는 제2 단계; 상기 가공모재 중 만곡부위를 절단하되, 상기 가공모재의 선단측이 끝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만곡부위를 절단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은 상기와 같은 매선침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되어, 상기 내부홀의 출구단이 측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매선실의 인출방향을 측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고, 매선실이 삽입되는 내부홀의 출구측을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하여 매선실이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매선침 및 그 제조방법 {Needle for inserting thre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매선실이 삽입 가능한 관통홀이 내부에 형성되는 매선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매선실이 인출되는 관통홀의 출구측이 측방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매선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선침 시술은 인체 내 피부 속에서 일정 기간이 지나면 녹아 없어지는 수술용 봉합사나 약액에 침지하였다가 말린 바이오 실 등을 일반 주사기를 이용하여 인체 내 피하조직의 필요한 부위에 매입(埋入)하여 매선실이 녹아 없어지는 동안 인체 의 생리조직의 반응에 의해 혈액 순환 개선이나 한방 성형을 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매선실을 삽입하면 그 자체로도 탄력을 개선시켜주는 역할이 있지만 그 이후에 한방 약실이 녹으면서 꺼진 조직을 재생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분해되는 과정을 무결성 염증반응이라고 하는데 분해되는 매선실 주위에 콜라겐 재생 반응이 왕성하게 일어나서, 시술받은 사람은 매선침 시술을 받고나서 탄력이 생기고 얼굴이 맑아지기도 한다. 또한 한방성형은 피부를 지속적으로 자극해서, 피부 스스로의 재생력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매선요법이 발전하면서 매선침의 종류도 다양해졌다. 매선실 요법에 사용되는 약실은 짧게는 3개월, 길게는 1년 넘게 유지되면서 체내에 서서히 녹아 흡수된다.
이와 같은 매선요법을 위해서는 매선침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매선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매선침 사시도이고, 도 2는 출구단이 측면에 형성된 종래의 매선침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매선침(20)은 직선형 주사바늘 형상으로 제작되어, 종방향으로 형성된 내부홀(22)에 매선실(10)이 단순히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매선침(20)의 선단부를 사선으로 절개하면 매선침(20)의 끝단이 칼날과 같은 날카로운 형상으로 제작되는데, 이와 같이 끝단이 칼날 형상으로 형성된 바늘로 매선 시술을 하면 매선침(20)이 인체 내에 삽입될 때 매선침(20)의 끝단이 모세혈관이나 신경 조직을 절개하면서 삽입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기존의 주사바늘 형상의 매선침(20)을 이용하여 매선실(10)을 시술하는 경우, 상기 매선침(20)의 내부홀(22)이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매선실(10)의 인출 방향을 측방으로 가이드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홀(22)의 출구단이 측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매선침(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126182호)이 제안된바 있다.
도 2에 도시된 매선침(20)은 매선실(10)이 인출되는 내부홀(22)의 출구단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바, 매선실(10)의 인출방향을 측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홀(22)의 출구를 매선침(20)의 측면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조상의 많은 어려움이 있다.
KR 10-2015-0126182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매선실의 인출방향을 측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고, 매선실이 삽입되는 내부홀의 출구측을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하여 매선실이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매선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 제조방법은, 매선실이 관통 가능한 내부홀을 구비하는 직선관 형상의 가공모재를 마련하는 제1 단계; 상기 가공모재의 선단측을 측방으로 만곡시키는 제2 단계; 상기 가공모재 중 만곡부위를 절단하되, 상기 가공모재의 선단측이 끝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만곡부위를 절단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가공모재의 선단측을 일측으로 만곡시키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가공모재의 일측면 중 상기 만곡부위가 시작되는 지점부터 절단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만곡부위를 절단한다.
상기 절단면은, 상기 가공모재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가공모재의 종방향 중심축을 향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절단면의 끝단을 둥글게 마무리 가공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은 상기와 같은 매선침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되어, 상기 내부홀의 출구단이 측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매선실의 인출방향을 측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고, 매선실이 삽입되는 내부홀의 출구측을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하여 매선실이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매선침 사시도이고, 도 2는 출구단이 측면에 형성된 종래의 매선침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매선침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의 종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 제조를 위한 절단선 방향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만곡부위가 예각으로 형성되었을 때의 절단선 방향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 및 그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매선침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 제조방법은, 매선실(10)(도 1 및 도 2 참조)이 관통가능한 내부홀(200)을 구비하되 내부홀(200)의 출구단이 측방에 위치하는 매선침을 제작하기 위한 제조방법으로서, 한 번의 굽힘공정과 절단공정만으로 출구단이 측방을 향하도록 내부홀(200)이 완만하게 만곡된 매선침을 제작할 수 있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 제조방법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선실(10)이 관통 가능한 내부홀(200)을 구비하는 직선관 형상의 가공모재(100)를 마련하는 제1 단계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공모재(100)의 선단측(본 실시예에서는 우측)을 측방(본 실시예에서는 상향)으로 만곡시키는 제2 단계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공모재(100) 중 만곡부위(110)를 절단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공모재(100)는 최종적으로 매선침이 되는 구성요소로서 인체에 무해하면서 내화학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제작되는데, 이와 같은 가공모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매선침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 가공모재(100)의 재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가공모재(100)의 선단측을 절단할 때에는 절단면(210)이 매끈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이와 같이 금속재질의 모재를 매끈하게 절단하는 절단장치는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구조 및 다양한 방식으로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가공모재(100)의 선단측을 절단할 때에는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절단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가공모재(100)의 선단측을 만곡시킨 후 만곡부위(110)를 절단하게 되면 내부홀(200)의 출구단이 매선침의 측방(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바, 상기 내부홀(200)로 삽입된 매선실(10)은 매선침의 측방(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으로 휘어져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상의 주사바늘의 선단측을 사선으로 커팅하여 매선침(20)을 제작하면, 상기 매선침(20)으로 삽입된 매선실(10)이 전방을 향해 직선 배출되지만,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은 선단측이 만곡된 후 절단된 형상을 가지므로 외부로부터 제공된 매선실(10)이 측방으로 휘어져 인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을 이용하면 내부홀(200)로 삽입된 매선실(10)을 측방으로 인출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하고 효과적인 매선 시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매선침(20)의 측벽에 내부홀(22)의 출구단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출구단 형성을 위한 천공과정과, 내부홀(22)의 선단을 막는 가공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매선침(20)의 측벽에 내부홀(22)의 출구단을 형성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가공모재(100) 선단측을 벤딩 및 절단시키는 공정만으로 내부홀(200)의 출구단이 측면에 형성된 매선침을 제작할 수 있는바, 매선침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매선침의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단계를 통해 제작되는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은, 매선침이 삽입되는 내부홀(200)의 어디에도 절곡된 부위가 없으므로 즉, 상기 내부홀(200)은 입구단부터 출구단까지 매끄럽게 연결되는 직선과 곡선으로 구성되는바, 매선실(10)이 매우 원활하게 매선침에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절단된 부위의 절단면(210)이 가공모재(100)의 직선부위 외주면보다 측방(도 4에서는 상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면,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을 이용하여 시술을 할 때 매선침의 선단이 원활하게 신체 내부로 삽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단면(210)은, 가공모재(100)의 직선부위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지 아니하도록 즉, 상기 절단면(210)이 가공모재(100) 중 직선부위의 외측면보다 매선침의 종방향 중심축과 가깝게 배치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의 선단 즉, 상기 절단면(210)의 끝단이 너무 날카롭게 형성되면, 매선침을 신체 내부로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모세혈관이나 신경조직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 제조방법은, 상기 가공모재(100)의 선단측을 절단한 이후, 절단면(210)의 끝단을 둥글게 연삭하여 마무리 가공하는 제4 단계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선침의 선단이 둥글게 형성되면, 매선침을 신체 내부로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모세혈관이나 신경조직의 파손 발생 우려가 현저히 감소되는바, 매선요법의 안정성이 더욱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절단면(210)의 끝단을 둥글게 연삭하면서 절단면(210)까지 연마함으로써 절단면(210)의 형상 및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가공모재(100)를 절단하였을 때 내부홀(200)의 출구단 모서리가 날카롭게 형성되는바, 상기 내부홀(200)의 출구단 모서리에 신체조직이 손상되거나 매선실(10)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4 단계에서는 내부홀(200)의 출구단 모서리를 둥글게 가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선침의 선단 즉, 절단면(210)을 연삭하는 공정은, 전동 연삭휠을 사용하는 자동식이나 줄을 이용한 수동식 등 다양한 가공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 제조를 위한 절단선 방향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매선침은 끝단이 환자의 신체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선단측 끝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2 단계에서 가공모재(100)의 선단측을 상측으로 만곡시키는 경우, 가공모재(100)의 선단측을 절단하는 제3 단계에서는, 상기 가공모재(100)의 상측면 중 만곡부위(110)가 시작되는 지점 즉, 가공모재(100)의 상측 직선부위가 끝나는 지점부터 절단을 수행하되 절단선이 가공모재(100) 중 직선부위 상면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절단한다.
예를 들어 가공모재(100)의 만곡부위(110)를 절단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모재(100)의 직선부위 상면과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절단선(C1)을 따라 절단하거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모재(100)의 직선부위 상면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영역 내에서 곡선으로 배열되는 절단선(C2, C3)을 따라 절단할 수 있다.
직선 형태의 절단선(C1)을 따라 만곡부위(110)를 절단하면 절단면(210)이 하나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곡선 형태의 절단선(C2, C3)을 따라 만곡부위(110)를 절단하면 절단면(210)이 하나의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의 절단선(C1)을 따라 만곡부위(110)를 절단하는 경우 만곡부위(110) 절단이 매우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형상의 절단선(C2, C3)을 따라 만곡부위(110)를 절단하는 경우 내부홀(200)의 출구가 넓게 확보되므로 매선실(10) 인출이 보다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절단선(C2)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도가 큰 절단선(C3)을 따라 만곡부위(110)를 절단하면 내부홀(200)의 출구방향이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매선실(10)의 인출방향이 변경된다.
이때, 만곡부위(110)를 절단하는 절단선 형상은, 시행하고자 하는 매선시술의 종류에 따라 시술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매선실(10)이 인출될 수 있도록, 다양한 각도 및 다양한 패턴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만곡부위(110)가 예각으로 형성되었을 때의 절단선 방향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직선 형상의 가공모재(100)의 선단측을 일측으로 만곡시키는 제2 단계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공모재(100)의 선단측을 90도 만곡시킬 수도 있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각(본 실시예에서는 약 45도)으로 만곡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만곡부위(110)가 예각으로 만곡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만곡부위(1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상의 절단선(C1)을 따라 절단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상의 절단선(C2)을 따라 절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절단선(C1, C2) 패턴에 따른 효과는 상기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내부홀(200)로 삽입된 매선실(10)은 내부홀(200)의 선단측의 곡률을 따라 매선침 외부로 인출되는데, 상기 내부홀(200)의 선단측 곡률은 제2 단계에서 가공모재(100)의 선단측을 얼마나 만곡시켰는지에 따라 즉, 만곡부위(110)의 만곡률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공모재(100)의 선단측을 90도 만곡시킨 경우, 상기 내부홀(200)로 삽입된 매선실(10)은 내부홀(200)의 선단측 곡률을 따라 90도 휘어진 후 내부홀(200)의 출구단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공모재(100)의 선단측을 45도 만곡시킨 경우에는, 상기 내부홀(200)로 삽입된 매선실(10)은 45도 휘어진 후 내부홀(200)의 출구단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매선침은 선단측을 얼마나 만곡시켰는지에 따라 매선실(10)의 인출각도가 결정되므로, 가공모재(100)의 선단측을 만곡시킬 때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매선실(10)이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매선실(10)의 인출각도에 맞추어 가공모재(100)의 선단측을 만곡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공모재(100)의 선단측을 90도와 45도로 만곡시킨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가공모재(100)의 선단측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각도 이외에 다양한 각도로 만곡될 수 있다. 한편, 가공모재(100)의 선단측을 만곡시키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만곡부위(110)의 전체 길이 역시 만곡부위(110)를 어떠한 형상으로 절단하고자 하는지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가공모재 110 : 만곡부위
200 : 내부홀 210 : 절단면

Claims (5)

  1. 매선실(10)이 관통 가능한 내부홀(200)을 구비하는 직선관 형상의 가공모재(100)를 마련하는 제1 단계;
    상기 가공모재(100)의 한쪽 선단을 만곡시켜 만곡부위(110)를 형성시키는 제2 단계;
    상기 가공모재(100) 중 만곡부위(110)를 절단하되, 상기 가공모재(100)의 선단측이 끝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만곡부위(110)를 절단하여 절단면(210)을 형성시키는 제3 단계; 및
    상기 가공모재(100)의 절단면(210)의 끝단을 둥글게 마무리 가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절단면(210)은 상기 만곡부위(110)가 시작되는 지점부터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침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공모재(100)의 절단면(210)은, 상기 가공모재(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가공모재(100)의 종방향 중심축을 향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침 제조방법.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의한 매선침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되어,
    상기 내부홀(200)의 출구단이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침.
KR1020160123945A 2016-09-27 2016-09-27 매선침 및 그 제조방법 KR101699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945A KR101699020B1 (ko) 2016-09-27 2016-09-27 매선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945A KR101699020B1 (ko) 2016-09-27 2016-09-27 매선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020B1 true KR101699020B1 (ko) 2017-02-13

Family

ID=58156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945A KR101699020B1 (ko) 2016-09-27 2016-09-27 매선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0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3449A (zh) * 2019-05-21 2020-11-24 无锡佳健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埋线针穿线装置
CN111973449B (zh) * 2019-05-21 2024-06-11 无锡佳健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埋线针穿线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951B1 (ko) * 1999-09-14 2006-04-05 도쿠타 쟈판 가부시키가이샤 경막외용 마취침의 외침
KR101318309B1 (ko) * 2011-08-19 2013-10-15 윤인모 피부조직거상술용 수술도구
KR101472943B1 (ko) * 2014-03-11 2014-12-16 에이스의료기산업주식회사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KR101515075B1 (ko) * 2014-11-26 2015-04-24 주식회사 씨앤지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의 봉합사 세팅방법
KR20150126182A (ko) 2014-05-02 2015-11-11 이홍대 매선 삽입 침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951B1 (ko) * 1999-09-14 2006-04-05 도쿠타 쟈판 가부시키가이샤 경막외용 마취침의 외침
KR101318309B1 (ko) * 2011-08-19 2013-10-15 윤인모 피부조직거상술용 수술도구
KR101472943B1 (ko) * 2014-03-11 2014-12-16 에이스의료기산업주식회사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26182A (ko) 2014-05-02 2015-11-11 이홍대 매선 삽입 침 및 제조방법
KR101515075B1 (ko) * 2014-11-26 2015-04-24 주식회사 씨앤지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의 봉합사 세팅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3449A (zh) * 2019-05-21 2020-11-24 无锡佳健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埋线针穿线装置
CN111973449B (zh) * 2019-05-21 2024-06-11 无锡佳健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埋线针穿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6023B2 (en) Intrathecal catheter having a stylet with a curved tip
KR101472943B1 (ko)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EP0755690A2 (en) Hypodermic cannula
JP6222495B2 (ja) バイオ穿刺針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12322B2 (ja) 外科用縫合針及びこの外科用縫合針とともに用いられる縫合糸
US9301774B2 (en) Lumen reentry mechanism and method
KR101434976B1 (ko)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JPH0214855B2 (ko)
US20190151618A1 (en) Self-Anchoring Catheters and Methods of Use
US10639070B2 (en) Implant needle and method for production
EP3595551B1 (en) An implant needle
KR101699020B1 (ko) 매선침 및 그 제조방법
KR101682955B1 (ko) 성형 수술용 바늘
KR200495562Y1 (ko) 의료용 금사
JP2008229371A (ja) 透析用留置針
KR102040836B1 (ko) 매선 주입봉 및 그 제작 방법
KR102247333B1 (ko) 양방향 유체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도관
CN106456211B (zh) 医用注射针头及其制造方法
JP2005080761A (ja) 針付縫合糸
US20240189506A1 (en) Infiltration cannula with dual angle configuration
JP2570276Y2 (ja) 逆行性経肝胆道ドレナージ用具
CN203539397U (zh) 无瘢痕双通道疝气针
KR20160016225A (ko) 생체 삽입 또는 봉합용 자입 도구
SU1306570A1 (ru) Катетер-троакар
KR101888929B1 (ko) 시술용 조각 바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