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836B1 - 매선 주입봉 및 그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매선 주입봉 및 그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836B1
KR102040836B1 KR1020190054215A KR20190054215A KR102040836B1 KR 102040836 B1 KR102040836 B1 KR 102040836B1 KR 1020190054215 A KR1020190054215 A KR 1020190054215A KR 20190054215 A KR20190054215 A KR 20190054215A KR 102040836 B1 KR102040836 B1 KR 102040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flat
tubular
horizontal
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균
Original Assignee
(주)리젠바이오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젠바이오참 filed Critical (주)리젠바이오참
Priority to KR1020190054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8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1/00Making needles used for performing operations
    • B21G1/08Making needles used for performing operations of hollow needles or needles with hollow end, e.g. hypodermic needles, larding-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2017/3454Details of tips
    • A61B2017/3456Details of tips blu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선 주입봉 및 이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매선 주입봉은 일측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일측은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선단 상측에 경사 절개부가 형성되는 관체부와, 상기 관체부의 타측 선단에 용접 설치되며, 바깥면이 구형 라운드부로 구성되는 선단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매선 주입봉의 피하 삽입시 원활하게 삽입되면서 삽입과정에서 근육이나 신경 및 혈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경사 절개부를 통해 인출된 매선이 매선 주입봉의 피하 주사시 경사 절개부의 경사부에 걸리면서 매선의 자연스러운 구부러짐으로 매선이 피하에 원활하게 삽입 및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고, 관체에 팁을 용접 설치한 상태에서 이후 가공을 통해 경사 절개부와 선단팁부가 만들어짐에 따라 매선 주입봉의 제작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매선 주입봉 및 그 제작 방법{Medical round needl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의료에 사용되는 매선 주입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의료 시술의 과정에서 매선 주입봉의 선단이 피하조직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시술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매선 주입봉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매선 주입봉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의료용 주사침은 약물을 피하에 주입하기 위해 약물이 내부를 통과하기 위해 관 형태로 형성되고, 원활한 주입을 위해 단부가 날카로운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최근 들어 피부과 및 성형외과를 중심으로 주름 방지, 근육 재생, 피부 조직의 재생을 위해 주삿바늘(매선 주입봉)에 실(매선)을 설치한 상태에서 실과 주사바늘을 피하에 삽입한 뒤, 실은 피하에 남겨두고, 삽입한 주삿바늘만 빼내는 매선요법과 같은 시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사용하는 주사침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주름방지 성형용 실 삽입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1175호,특허문헌 1)가 개시된 바 있으며, 개시된 내용을 보면 주사침이 내부에 봉합사가 관통되기 위하여 빈 관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그 선단이 피부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날카롭게 구성됨에 따라 주사침이 인체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근육, 조직, 혈관에 상처를 내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주사침과 관련된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주사 바늘형 봉합장치'(한국등록특허공보 특0166449호, 특허문헌 2)가 개시되 바 있으며, 이는 주삿바늘의 외주면 일측에 홀을 타공하거나 절삭을 통한 턱을 형성하여 실의 중간 일측이 걸려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직경 2 ~3mm에 두께는 1mm도 안되는 관상의 바늘 표면에 펀칭 등의 방법으로 홀을 타공하는 경우, 타공에 의해 눌리면서 내주면이 중심 측으로 부분 돌출됨에 따라 이러한 돌출된 부위로 인해 관내부로 이동되는 실이 영향을 받아 실이 손상되거나 끊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사침 단부에 턱을 형성하는 것 역시 그 가공이 매우 어려우며, 더욱이 주사침을 피하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인체 조직의 혈관, 신경, 근육 등이 턱진 부분에 걸리는 경우, 혈관이나 신경, 근육을 크게 손상, 절단시키게 되므로 시술에 많은 주의를 요하게 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KR 10-1261175 (20130429) KR 10-0166449 (199809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매선 주입봉의 선단이 구형 라운드의 형상을 이루면서 피하 삽입시 근육, 신경, 혈관 등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매선 주입봉 내부의 매선이 외주면에 구비된 경사 절개부를 통해 인출되어 걸리면서 매선이 밀림 없이 매선 주입봉과 함께 원활하게 피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매선 주입봉을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매선 주입봉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피하 내부에 삽입되는 매선을 V 자형으로 주입하여 주름이 강한 집중부위를 시술할 수 있으며, 주름이 상대적으로 약한 피하에는 매선을 일자형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선이 균일한 양으로 삽입되면서 균일한 매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매선 주입봉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하나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일측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일측은 상기 손잡이부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선단에 경사 절개부가 형성되는 관체부와,
상기 관체부의 타측 선단에 용접 설치되며, 바깥면이 구형 라운드부로 구성되는 선단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 절개부는 상기 관체부의 축중심과 동일하거나 낮은 지점에서 수평하게 절개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서 상기 관체부의 외면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경사부가 포함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 절개부는 상기 관체부의 축중심과 동일하거나 낮은 지점에서 수평하게 절개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서 상기 관체부의 외면을 만곡지게 연결하는 경사부가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선단팁부는 상측에 상기 수평부와 동일 선상을 이루는 수평한 반원형의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의 내측 끝단에 단턱을 이루며 걸림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평면부의 내측 끝단에서 직각으로 단턱을 이루거나, 경사지게 단턱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선단팁부의 평면부에는 상기 평면부를 기준으로 상기 선단팁부와 대칭을 이루는 보조팁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선단팁부는 상측에 상기 수평부와 동일 선상을 이루는 수평한 반원띠형의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의 내측 끝단은 단턱을 이루며 구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구면부의 중심부위에는 경사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매선 주입봉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원통형의 중공부가 구비된 관체를 준비하는 관체준비단계와,
상기 관체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원판형태의 팁이 상기 관체의 선단에 용접되어 상기 관체의 중공부를 폐쇄하는 팁고정단계와,
상기 관체 바깥쪽에서 내측을 향해 상기 팁과 함께 상기 관체를 수평하게 절단하되, 상기 관체의 축중심과 동일하거나 낮은 지점에서 수평하게 절개하여 수평부로 가공하고, 상기 수평부와 상기 관체의 외면이 연결되도록 경사부로 가공하는 관체절삭단계와,
상기 팁의 바깥면은 구형 라운드부로 가공하여 팁의 상면이 반원형의 평면을 이루는 평면부로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평면부의 내측은 단턱을 이루는 걸림턱부)로 구성되는 팁가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관체절삭단계에서 상기 경사부는 만곡진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팁가공단계에서 상기 걸림턱부는 경사지게 가공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팁가공단계에서 상기 평면부는 반원띠형의 평면부로 가공되고, 상기 걸림턱부는 오목한 구면부로 가공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오목한 구면부의 중심부는 경사면부로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선 주입봉 및 그 제작 방법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가진다.
즉, 매선 주입봉의 선단팁부의 외면이 구형의 라운드진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피하 삽입시 원활하게 삽입되면서 삽입과정에서 근육이나 신경 및 혈관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관체부 선단의 경사 절개부를 통해 인출되어 후방으로 구부러지는 매선이 매선 주입봉의 피하 삽입시 경사 절개부의 경사부에 걸리게 되면서 매선의 자연스러운 구부러짐으로 매선의 손상을 방지하고, 관체부와 함께 피하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시술부위에 따라 매선이 V자형 또는 일자형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름의 많은 부위는 집중시술을 위해 V자형을 사용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주름이 적은 부위는 일자형으로 사용하면서 균일한 매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관체에 팁을 용접 설치하고, 이후 가공을 통해 경사 절개부와 선단팁부가 만들어짐에 따라 매선 주입봉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여기서,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매선 주입봉의 구성을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매선 주입봉의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매선 주입봉의 제작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선 주입봉을 이용하여 V자 형태의 매선이 시술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매선 주입봉의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매선 주입봉의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매선 주입봉의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매선 주입봉을 이용하여 일자 형태의 매선이 시술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기재된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기재된 내용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기재된 내용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매선 주입봉은 크게 손잡이부와, 그러한 손잡이부와 연결되며 관로를 가지는 관체부 및 관체부의 선단에 설치되는 선단팁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된 도면을 통해 각 구성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손잡이부(100)는,
도 1 에서와 같이 시술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원통형을 이루면서 일측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후술되는 관체부(200)의 한쪽이 관통 설치되어 관체부(200)의 내부와 공간부가 서로 연통된다.
관체부(200)는,
내부에 관로를 가지는 주삿바늘의 형태로 선단이 피하조직 내에 삽입되며, 관로에는 매선이 위치하여 매선 주입봉을 피하조직 내부로 안내한다.
관체부(200)는 도 1 및 도 2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전술한 손잡이부(100)의 타측을 관통하여 손잡이부(100)에 구비된 공간부와 연결됨에 따라 공간부로 투입되는 매선이 관로로 이동될 수 있다.
참고로 매선은 봉합사가 될 수 있으며, 재질은 폴리디옥사논(PDO), 글리콜리드-카프로락톤 공중합체(PGCL), 폴리글리콜산(PGA), 글리콜리드-락티드 공중합체(PGLA) 단독 또는 상기 물질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주로 사용되고, 모노필라멘트와 멀티필라멘트 형상으로 사용되며, 가시매선은 모노필라멘트를 후가공하여 제조하고 있다.
관체부(200)에는 관로로 이동된 매선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경사 절개부(2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사 절개부(210)는 관체부(200)의 타측 선단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 절개부(210)는 관체부(200)의 선단에서 안쪽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관체부(200)의 축중심과 동일하거나 낮은 지점에서 수평하게 절개되는 수평부(211)와, 그러한 수평부(211)에서 연이어 상향 경사지게 관체부(200)의 외면과 연결되는 경사부(212)로 구성된다.
여기서, 경사 절개부(210)가 관체부(200)의 축중심보다 동일 또는 낮게 형성되는 이유는 매선이 경사 절개부(210)에서 외부로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경사부(212)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이유는 경사 절개부(21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 매선이 손잡이부(100)를 향하는 후방으로 구부러질 때 경사부(212)로 인해 매선이 급격하게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매선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후방으로 구부러지는 매선이 관체부(200)의 표면에 최대한 근접되도록 하여 관체부(200)의 선단과 매선이 피하 내부로 삽입될 때 매선으로 인한 간섭이나 저항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경사 절개부(210)의 경사부(212)는 직선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완만한 곡선의 형태로 만곡지게 구성될 수도 있다.
경사부(212)는 필요에 따라 어느 한 부위, 바람직하게는 상측 중심에 가이드홈이 형성됨으로써, 후방으로 구부러지는 매선이 가이드홈에 끼워지도록 하여 시술용 매선의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하고 매선이 관체부(200)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선단팁부(300)는,
관체부(200)의 선단을 부분 폐쇄하여 매선 주입봉의 피하 삽입을 돕고, 관체부(200)의 관로를 통해 인출되는 매선이 경사 절개부(210)를 통해 관체부(200)의 외부로 이동되도록 도와준다.
도 1 및 도 2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선단팁부(300)는 전술한 관체부(200)의 선단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면은 전술한 경사 절개부(210)의 수평부(211)와 동일한 선상을 이루고, 대략 반원형상의 평평한 평면부(310)로 형성되며, 전면과 양측면과 저면으로 이루어지는 바깥면은 구형 라운드부(320)로 구성되고, 평면부(310)의 내측 끝단은 아래쪽으로 단턱을 이루면서 걸림턱부(330)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턱부(330)에 의해 관체부(200)의 관로를 통해 빠져나온 매선이 위쪽 경사 절개부(210)를 통해 관체부(200)의 외부로 인출되어 손잡이부(100)를 향하는 후방으로 구부러진 후 관체부(200)에 미리 설치되는 실리콘 고정대에 고정된다.
여기서, 걸림턱부(330)는 바람직하게 평면부(310)의 내측 끝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면서 단턱을 이룰 수 있으며, 다른 예로 걸림턱부(330)는 평면부(310)의 내측 끝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면서 단턱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관체부(200)의 관로를 통해 빠져나온 시술용 실이 걸림턱부(330)의 경사면의 안내를 받아 자연스럽고 걸림 없이 경사 절개부(210)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후방으로 쉽게 구부려 실리콘 고정대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선단팁부(300)의 평면부(310)에는 보조팁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보조팁부는 선단팁부(30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평면부(310)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됨에 따라 선단팁부(300)와 보조팁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체적인 바깥면의 형상은 대략 반구형상이 될 수 있으며, 이는 피하 삽입 과정에서 근육, 조직, 혈관에 상처를 내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단팁부(300)는 전술한 관체부(200)의 선단에 일체형은 물론 조립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접되어 구성될 수 있다.
선단팁부(300)는 다른 실시 예로 도 5 및 도 6 과 같이 평면부(310a)를 라운드형태의 띠 형상을 가지는 반원띠형으로 구성하고, 반원띠형의 평면부(310a) 내측 끝단은 아래쪽으로 단턱을 이루면서 오목한 구면부(330a)로 구성함으로써, 관체부(200)의 관로를 통해 빠져나온 매선은 구면부(330a)의 안내를 받아 자연스럽고 걸림 없이 경사 절개부(210)로 빠져나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매선을 경사 절개부(210)로 인출시켜 손잡이부(100)를 향하는 뒤쪽으로 구부려 실리콘 고정대에 고정시키지 않고, 절개 경사부(210) 내에 그대로 위치되도록 하면 매선은 대략 일자 형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100)의 공간부에 매선 고정구를 끼워넣어 관체부(200)의 관로에 위치한 매선의 움직임을 고정시킨 후, 매선 주입봉을 피하에 삽입한 다음 매선 고정구를 제거한 상태에서 손으로 매선을 대략 5~10mm 정도 밀어 넣으면 매선의 끝단이 절개 경사부(210)에서 어느 정도 빠져나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술자는 매선의 끝단 위치를 감안하여 피부 표면에서 매선의 끝단의 위치와 상응하는 부위를 손으로 눌러준 후, 매선 주입봉을 피하로부터 분리시켜주면 피하에는 매선이 일자 형태를 유지하면서 남아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자형 매선 시술 방법은 도 8a 내지 도8e과 같은 단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앞서 설명한 구면부(330a)의 중심부위에는 매선이 구부러지 않고 일직선을 유지하면서 경사 절개부(210)를 빠져나갈 수 있도록 도 7 과 같이 경사면부(330b)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매선을 일자형으로 피하에 삽입하게 되면 균일한 매선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주름이 상대적으로 적은 부위에 정확하고 균일한 효과를 기대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피하에 매선 주입봉을 삽입할 때 매선의 저항 및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매선 주입봉의 제작에 있어서 매선 주입봉에 매선을 설치할 때, 절개 경사부(210)에서 매선을 인출시켜 후방으로 구부린 후, 실리콘 고정대에 고정시키는 과정이 필요 없게 됨에 따라 조립 제작성이 간단하고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경사 절개부(210)에서 빠져나온 매선을 손잡이부(100)쪽으로 구부려 실리콘 고정대에 고정시킨 상태로 매선 주입봉을 피하에 삽입하면 피하에는 매선이 V형태로 남아있게 되는 것이며, 이는 집중적인 효과가 필요한 주름이 많은 부위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V자형 매선 시술 방법은 도 4a 내지 도4d 같은 단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매선 주입봉은 다음과 같은 제작 방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즉, 매선 주입봉은 도 3 에서와 같이 관체준비단계와, 팁고정단계와, 관체절삭단계 및 팁가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관체준비단계는 원통형의 중공부를 가진 관체(P)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팁고정단계는 관체준비단계를 통해 준비된 관체(P)의 한쪽 끝단에 관체(P)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대략 원판형태의 팁(T)을 용접으로 고정시켜 관체(P)의 중공부를 폐쇄하는 단계로, 관체(P)와 팁(T)은 동일한 종류의 금속 또는 서로 다른 금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관체(P)와 팁(T)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조립을 통한 결합이나,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관체절삭단계는 서로 연결된 팁(T)과 관체(P)를 샌딩이나 절삭 등의 가공방법을 이용하여 경사 절개부(210)를 형성하는 단계로, 팁(T)과 관체(P)를 함께 절삭하되, 관체(P)의 축중심과 평행하도록 팁(T)에서 관체(P)의 안쪽을 향해 수평하게 절단을 하여 수평부(211)를 형성하되, 수평부(211)는 관체(P)의 축중심과 동일하거나, 축중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수평부(211)에 연이어 관체(P)의 외면을 향해 직선 또는 만곡진 곡선의 형태로 경사부(212)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또한, 팁가공단계는 관체(P)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관체(P)를 피하 삽입에 용이하도록 가공하는 단계로, 절삭이나 샌딩 등의 방법을 통해 팁(T)의 바깥면이 구형을 이루도록 구형 라운드부(320)로 가공함으로써, 팁(T)의 상면이 반원형의 평면을 이루는 평면부(310)로 구성되고, 평면부(310)의 내측 끝단에서 단턱을 이루는 아래쪽에는 걸림턱부(330)가 구성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걸림턱부(330)는 직각은 물론 경사지게 구성함으로써, 관체(P)에서 이동되는 시술용 실을 경사 절개부(210)를 향하여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매선 주입봉이 제작될 수 있는 것이며, 마무리 작업으로 샌딩 등을 통해 관체(P) 및 팁(T)의 테두리나 외면의 거친 부분, 용접부 등을 마감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되는 매선 주입봉침은 선단팁부(300)가 날카롭지 않은 구형 라운드부(320)로 구성됨에 따라 피하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근육, 혈관, 신경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관체부(200)의 관로에서 빠져나온 매선실이 선단팁부(300)의 걸림턱부(330)를 통해 경사 절개부(210)로 용이하게 빠져나온 후, 후방으로 구부러져 관체부(200)에 밀착된 상태로 경사부(212)에 걸리게 되어 피하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매선의 밀림을 방지하고, 피하 삽입시 매선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선단팁부(300)의 평면부(310)가 관체부(200)의 축중심과 동일 또는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면서 걸림턱부(33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어 매선이 걸림턱부(330)에 걸려 경사 절개부(210)로 이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선단팁부(300)의 평면부(310)가 축중심과 동일할 때의 표면적보다 축중심보다 아래쪽에 위치할 때 표면적이 작아지게 되므로 피하에 삽입될 때 저항 없이 부드럽고 안전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걸림턱부(330a)를 평면형태가 아닌 라운드 처리되는 구면부(330a)가 되도록 가공을 하게 되면 매선을 경사 절개부(210)로 인출한 후, 후방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킬 필요 없이 매선 끝단이 경사 절개부(210) 내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로 시술하여 매선이 피하에 일자형태로 남아있게 할 수도 있다.
아울러, 구면부(330a)가 형성된 상태에서 구면부(330a)의 중심부쪽에는 평면형태로 경사면부(330b)를 가공함으로써, 매선이 구면부(330a)를 거쳐 경사 절개부(210)를 빠져나올 때 경사면부(330b)를 타고 최대한 직선형태를 유지하면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손잡이부 200 : 관체부
210 : 경사 절개부 211 : 수평부
212 : 경사부 300,300a,300b : 선단팁부
310,310a : 평면부 320 : 구형 라운드부
330 : 걸림턱부 330a : 구면부
330b : 경사면부 P : 관체
T : 팁 W : 용접부
WL : 용접라인

Claims (13)

  1. 일측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손잡이부(100);
    일측은 상기 손잡이부(100)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선단에 경사 절개부(210)가 형성되는 관체부(200);및
    상기 관체부(200)의 타측 선단에 용접 설치되며, 바깥면이 구형 라운드부(320)로 구성되는 선단팁부(300);가 포함되고,
    상기 경사 절개부(210)는 상기 관체부(200)의 축중심과 동일하거나 낮은 지점에서 수평하게 절개되는 수평부(211) 및 상기 수평부(211)에서 상기 관체부(200)의 외면을 직선의 형태 또는 만곡진 형태로 연결해주는 경사부(212)가 더 포함되고,
    상기 선단팁부(300)는 상측에 상기 수평부(211)와 동일 선상을 이루는 수평한 반원띠형의 평면부(310a)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310a)의 내측 끝단은 단턱을 이루며 구면부(330a)로 형성된 것인 매선 주입봉.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팁부(300)는,
    상측에 상기 수평부(211)와 동일 선상을 이루는 수평한 반원형의 평면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310)의 내측 끝단에 단턱을 이루며 걸림턱부(330)가 형성된 것인 매선 주입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부(330)는 상기 평면부(310)의 내측 끝단에서 직각으로 단턱을 이루거나, 경사지게 단턱을 이루는 것인 매선 주입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팁부(300)의 평면부(310)에는 상기 평면부(310)를 기준으로 상기 선단팁부(300)와 대칭을 이루는 보조팁부가 더 구비되는 것인 매선 주입봉.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부(330a)의 중심부위에는 경사면부(330b)가 더 구비된 것인 매선 주입봉.
  9. 매선 주입봉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원통형의 중공부가 구비된 관체(P)를 준비하는 관체준비단계;
    상기 관체(P)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원판형태의 팁(T)이 상기 관체(P)의 선단에 용접되어 상기 관체(P)의 중공부를 폐쇄하는 팁고정단계;
    상기 관체(P) 바깥쪽에서 내측을 향해 상기 팁(T)과 함께 상기 관체(P)를 수평하게 절단하되, 상기 관체(P)의 축중심과 동일하거나 낮은 지점에서 수평하게 절개하여 수평부(211)로 가공하고, 상기 수평부(211)와 상기 관체(P)의 외면이 연결되도록 경사부(212)로 가공하는 관체절삭단계; 및
    상기 팁(T)의 바깥면은 구형 라운드부(320)로 가공하여 팁(T)의 상면이 반원형의 평면을 이루는 평면부(310)로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평면부(310)의 내측은 단턱을 이루는 걸림턱부(330)로 구성되는 팁가공단계;가 포함되며,
    상기 팁가공단계에서 상기 평면부(310)는 반원띠형의 평면부(310a)로 가공되고, 상기 걸림턱부(330)는 오목한 구면부(330a)로 가공되는 것인 매선 주입봉의 제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절삭단계에서,
    상기 경사부(212)는 만곡진 형태로 가공되는 것인 매선 주입봉의 제작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팁가공단계에서,
    상기 걸림턱부(330)는 경사지게 가공되는 것인 매선 주입봉의 제작 방법.
  12. 삭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구면부(330a)의 중심부는 경사면부(330b)로 가공되는 것인 매선 주입봉의 제작 방법.
KR1020190054215A 2019-05-09 2019-05-09 매선 주입봉 및 그 제작 방법 KR102040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215A KR102040836B1 (ko) 2019-05-09 2019-05-09 매선 주입봉 및 그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215A KR102040836B1 (ko) 2019-05-09 2019-05-09 매선 주입봉 및 그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836B1 true KR102040836B1 (ko) 2019-11-05

Family

ID=68576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215A KR102040836B1 (ko) 2019-05-09 2019-05-09 매선 주입봉 및 그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8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449B1 (ko) 1995-03-10 1999-01-15 츠요시 우에타케 주사바늘형 봉합장치
KR101261175B1 (ko) 2011-12-19 2013-05-09 조희민 주름방지 성형용 실 삽입장치
KR101472943B1 (ko) * 2014-03-11 2014-12-16 에이스의료기산업주식회사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2074B1 (ko) * 2013-12-09 2015-03-11 주식회사 씨앤지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KR101537185B1 (ko) * 2014-02-17 2015-07-15 김경균 의료용 주사침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114648A (ko) * 2017-04-11 2018-10-19 유원석 피부 리프팅 봉합사 삽입 캐뉼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449B1 (ko) 1995-03-10 1999-01-15 츠요시 우에타케 주사바늘형 봉합장치
KR101261175B1 (ko) 2011-12-19 2013-05-09 조희민 주름방지 성형용 실 삽입장치
KR101502074B1 (ko) * 2013-12-09 2015-03-11 주식회사 씨앤지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KR101537185B1 (ko) * 2014-02-17 2015-07-15 김경균 의료용 주사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72943B1 (ko) * 2014-03-11 2014-12-16 에이스의료기산업주식회사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14648A (ko) * 2017-04-11 2018-10-19 유원석 피부 리프팅 봉합사 삽입 캐뉼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943B1 (ko)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US20170303959A1 (en) Pericardiocentesis needle component
KR101537185B1 (ko) 의료용 주사침 및 이의 제조 방법
US8512363B2 (en) Channeled wire guide for a scalpel
US8257392B2 (en) Intimacy medical needle designed for nerve stimulation through soft tissue and microadhesiolysis of adhered soft tissue and medical instrument using the same
KR101454659B1 (ko)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US20080108957A1 (en) Surgical Needle And Suture Used Therewith
CN109009355B (zh) 一种心包穿刺针组件
US8512373B2 (en) Suture device
JP5178821B2 (ja) 抗圧迫・繊維強化癒着縫合法の道具
KR101391812B1 (ko) 봉합사용 돌기 형성장치, 봉합사용 돌기 형성방법 및 봉합사
WO2016128961A2 (en) Device for communicably coupling a first and a second organ body
KR102038477B1 (ko) 실 삽입기
JP2020509857A (ja) 埋込針
WO2012149534A1 (en) Puncture device
KR102040836B1 (ko) 매선 주입봉 및 그 제작 방법
KR101637518B1 (ko) 의료용실이 장착된 의료용실 삽입기구
CN110856661B (zh) 线插入器
KR102040842B1 (ko) 매선 주입봉 및 그 제작 방법
TW201811280A (zh) 用於插入青光眼分流器之工具
JP4467960B2 (ja) コイルストランドを切断するためのトリマーおよび方法
KR102071786B1 (ko) 리프팅용 주사침
KR20190117192A (ko) 리프팅용 주사침
KR102044624B1 (ko) 출혈 받이 리프팅용 주사침
WO2016195132A1 (ko) 의료용 주사침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