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475B1 - 크리닝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 - Google Patents

크리닝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475B1
KR101698475B1 KR1020150098445A KR20150098445A KR101698475B1 KR 101698475 B1 KR101698475 B1 KR 101698475B1 KR 1020150098445 A KR1020150098445 A KR 1020150098445A KR 20150098445 A KR20150098445 A KR 20150098445A KR 101698475 B1 KR101698475 B1 KR 101698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plate
plate portion
unit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956A (ko
Inventor
유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98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475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C23C2/20Strips; Pl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 플레이트; 절개에 의해 형성된 절개부에 의하여 상기 몸체 플레이트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각각 연장형성된 제1 플레이트부와 제2 플레이트부; 상기 에어토출구에 삽입되게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제1 크리닝부와 제2 크리닝부를 포함하여 에어나이프의 에어토출구에 설치되는 크리닝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크리닝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Cleaning Tip and Lip clea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나이프의 에어토출구 표면에 고착되는 아연칩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크리닝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용융아연도금공정에서는 제품의 아연도금부착량을 제어하기 위해 에어 나이프(Air Knife)가 이용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퍼니스에서 환원된 스트립(S, Strip)은 아연도금욕조(Zinc Pot)에 담긴 용융아연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스트립(S)은 아연이 부착된 400℃ 이상의 고온 상태로 아연도금욕조 상부측에 배치되는 쿨링 타워(Cooling Tower)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요구되는 아연 도금부착량을 맞추기 위해 에어나이프(2, Air Knife)를 사용하여 제어한다. 즉, 스트립(S)에 부착된 아연 도금량은 에어 나이프에서 나오는 고압의 에어(A, Air)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에어 나이프(2)에 있어서 고압의 에어(Air가) 출력되는 에어나이프(2)의 립(Lip) 부위는 난류발생과 아연날림 및 스트립(S) 주변온도의 고저반복에 따른 영향으로 이물이 고착되어 부분적 막힘이 발생한다.
이러한 부분적 막힘은 압축공기의 토출 압력이 저하시켜 제품(Strip) 과도금, 립 마크(Lip Mark) 등의 치명적 결함을 유발하기에 비정기적으로 립(Lip)에 고착된 이물을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다만, 고온의 작업개소에 작업자가 직접 근접하여 에어 나이프(2)의 립 막힘을 점검하고 청소하는 작업은 고위험 수작업으로 사고의 유발이 잠재되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아연 칩을 에어토출구에서 제거해야 하는데, 이와 관련된 발명으로는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56307호(2008.08.27)인 '립 크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가 있다.
상기 립 크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의 아연 칩 제거수단은 립에 고착된 아연 칩을 제거하나, 판재로 형성되기에 강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판재로 형성된 아연 칩 제거수단은 에어 나이프의 내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상 교환 및 유지보수가 어려워 교환 작업에 장시간이 소요되며, 이에 따라 작업효율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물질의 제거 효율성 향상 및 강성을 갖도록 비대칭적인 이중 구조로 형성된 크리닝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에어나이프의 에어토출구에 설치되는 크리닝 팁에 있어서, 몸체 플레이트; 상기 몸체 플레이트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각각 연장형성된 제1 플레이트부와 제2 플레이트부; 상기 에어토출구에 삽입되게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서로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제1 크리닝부와 제2 크리닝부를 포함하는 크리닝 팁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제2 플레이트부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매개로 상기 몸체 플레이트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각각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 플레이트와 상기 제1,2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2 크리닝부는 하나의 소재가 원터치 성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크리닝부와 상기 제2 크리닝부 각각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단면은 반구형, 삼각형 및 사다리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크리닝부와 상기 제2 크리닝부 각각은, 밀착면; 및 상기 밀착면의 모서리에 맞닿게 배치되는 적어도 둘의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은 상기 밀착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호 접근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면에는 복수 개의 제거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거홈은 상기 밀착면의 일측 모서리에서 타측 모서리까지 형성되되, 상기 제1 크리닝부와 상기 제2 크리닝부 각각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거홈의 폭은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부와 가까워질수록 좁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거홈의 저면에는 브러쉬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의 돌출 높이는 상기 밀착면을 기준으로 0.1~1.0mm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 중 어느 하나의 연장 길이는 다른 하나보다 길 수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바디부; 일측이 에어나이프의 에어토출구에 설치되는 상술 된 크리닝 팁; 상기 바디부와 상기 크리닝 팁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 상기 크리닝 팁이 상기 에어토출구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바디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를 상기 바디부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은 상기 연결부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크리닝 팁을 구비하는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는 비대칭적인 이중 구조로 형성된 크리닝 팁을 이용하여 이물질의 제거 효율성 및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연속용융아연도금공정에 이용되는 에어 나이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에 설치되는 크리닝 팁을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종래의 크리닝 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에 설치되는 크리닝 팁에 의하여 이물질이 제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의 크리닝 팁에 배치되는 브러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B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1)는 바디부(100), 크리닝 팁(200), 연결부(300), 고정부(400) 및 구동부(500) 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에어나이프(2)의 외주면에 배치되되, 일측에 연결된 구동부(500)에 의하여 에어나이프(2)에 형성된 에어토출구(3)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크리닝 팁(200)은 에어나이프(2)의 에어토출구(3)에 일 영역이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즉, 크리닝 팁(200)의 일 영역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나이프(2)의 외측에서 에어토출구(3)에 삽입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크리닝 팁(200)의 유지 보수시 크리닝 팁(200)의 교체가 용이하다.
그리고, 크리닝 팁(200)은 연결부(300)에 의하여 바디부(100)에 연결되는바, 바디부(10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여 에어토출구(3)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에어토출구(3)를 형성하는 립 상부면(3a)과 립 하부면(3b)에 각각 고착된 이물질을 크리닝 팁(200)은 에어토출구(3)를 따라 이동하며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은 아연 칩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크리닝 팁(200)은 몸체 플레이트(210), 제1 플레이트부(220), 제2 플레이트부(230), 제1 플레이트부(220)로부터 연장형성된 제1 크리닝부(240) 및 제2 플레이트부(230)로부터 연장형성된 제2 크리닝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몸체 플레이트(210), 제1 플레이트부(220), 제2 플레이트부(230), 제1 크리닝부(240) 및 제2 크리닝부(250)는 하나의 판재를 타발 가공 등을 통하여 원터치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몸체 플레이트(2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 플레이트(210)는 연결부(300)에 형성된 돌기(310) 또는 결합부재(미도시)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공(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220)와 제2 플레이트부(230)는 몸체 플레이트(210)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부(220), 제2 플레이트부(230) 각각에 연장형성된 제1 크리닝부(240)와 제2 크리닝부(250)가 에어토출구(3)에 밀착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플레이트부(220)와 제2 플레이트부(230)는 몸체 플레이트(210)에서 절곡되게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부(220)와 제2 플레이트부(230)는 몸체 플레이트(2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제1 플레이트부(220)와 제2 플레이트부(230) 사이에 절개에 의하여 형성된 절개부(260)에 의하여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부(220)와 제2 플레이트부(230) 중 어느 하나의 연장 길이는 다른 하나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부(220)의 연장 길이(d1)는 제2 플레이트부(230)의 연장 길이(d2)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크리닝 팁(200)의 에어토출공(3) 삽입설치시, 제1 플레이트부(220)로부터 연장형성된 제1 크리닝부(240)는 립 하부면(3b)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제2 플레이트부(230)로부터 연장형성된 제2 크리닝부(250)는 립 상부면(3a)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부(220)의 연장 길이(d1)는 제2 플레이트부(230)의 연장 길이(d2) 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플레이트부(230)의 연장 길이(d2)가 제1 플레이트부(220)의 연장 길이(d1) 보다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연장 길이의 차이(d1-d2)는 에어토출공(3)의 립 상부면(3a)과 립 하부면(3b) 사이의 폭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1 플레이트부(220)와 제2 플레이트부(230)의 연장 길이가 달라야 에어토출구(3)에 삽입되면서도 두께를 통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크리닝부(240)와 제2 크리닝부(250)는 에어토출구(3)에 삽입되게 제1 플레이트부(220)와 제2 플레이트부(230)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제1 크리닝부(240)와 제2 크리닝부(250) 각각은 제1 플레이트부(220)와 제2 플레이트부(230) 각각으로부터 에어토출구(3)를 향하여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크리닝부(240)와 제2 크리닝부(250)의 에어토출구(3) 삽입시, 제1 크리닝부(240)와 제2 크리닝부(250)는 제1 플레이트부(220)와 제2 플레이트부(230) 각각으로부터 절곡되게 형성됨으로써, 탄성력을 갖게 되어 립 상부면(3a)과 립 하부면(3b)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크리닝부(240)와 제2 크리닝부(250)는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크리닝부(240)와 제2 크리닝부(250) 각각은 일부분만이 제1 플레이트부(220)와 제2 플레이트부(230) 각각에 연결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크리닝부(240)와 제2 크리닝부(250)가 이동됨에 따라 립 상부면(3a) 또는 립 하부면(3b)에 부착된 이물질(M)에 맞닿게 되는 경우 제1 크리닝부(240)와 제2 크리닝부(250)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제1 크리닝부(240)와 제2 크리닝부(250)의 손상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크리닝부(240)와 제2 크리닝부(250) 각각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단면은 반구형,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으로 형성된 종래의 크리닝 팁(10)과는 달리 제1 크리닝부(240)와 제2 크리닝부(250)는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크리닝부(240)와 제2 크리닝부(250) 각각은 밀착면(241, 251), 적어도 둘의 측면(242, 252) 및 밀착면(241, 25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거홈(243, 2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크리닝부(240)와 제2 크리닝부(250)는 밀착면(241, 251)의 배치위치만 다를 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기에,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2 크리닝부(250)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크리닝부(250)는 밀착면(251), 측면(252) 및 밀착면(25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거홈(253)을 포함할 수 있다.
밀착면(251)은 립 상부면(3a)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크리닝 팁(200)이 이동됨에 따라 제2 크리닝부(250)는 이동하면서 립 상부면(3a)에 고착된 이물질(M)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적어도 둘의 측면(252)의 일측은 밀착면(241)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모서리에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252)의 타측은 밀착면(251)으로부터 멀어질수로 상호 접근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크리닝부(25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단면은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밀착면(251)에 맞닿는 측면(252)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의 높이(H)는 에어토출공(3)의 립 상부면(3a)과 립 하부면(3b) 사이의 폭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제2 크리닝부(250)는 넓은 밀착면(251) 대비 상호 접근되게 형성된 적어도 둘의 측면(252)을 구비함으로써, 밀착면(251)을 통한 높은 이물질 제거 효율을 확보함과 동시에 판형으로 형성된 종래의 크리닝 팁과는 달리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의 수직 단면인 경우 제2 크리닝부(250)는 밀착면(251)과 반구면(2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반구면(254)은 밀착면(251)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게 된다. 그에 따라, 제2 크리닝부(250)의 강성은 확보될 수 있다.
제거홈(253)은 밀착면(251)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거홈(25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면(251)의 일측 모서리에서 타측 모서리까지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되, 제2 크리닝부(25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거홈(253)의 폭(W1, W2, W3)은 제2 플레이트부(230)와 가까워질수록(W3→W1)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부(230)측의 제거홈(253)의 폭(W1)은 제2 플레이트부(230)에 반대방향측의 폭(W3) 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 상부면(3a)에 부착된 이물질(M)은 제2 크리닝부(250)의 단부에 의하여 충격이 발생하고, 제2 크리닝부(250)가 이동함에 따라, 도 8의 (b)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면(25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거홈(253)의 모서리에 의하여 계속적인 충격을 받게되어 고착된 이물질(M)이 더라도 립 상부면(3a)으로부터 제거되게 된다.
이때, 제거홈(253)의 폭을 제2 플레이트부(230)측으로 갈수록 좁게 하여 밀착면(251)에 더 많은 수의 제거홈(253)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M) 또한 복수 개의 제거홈(253)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에 의하여 립 상부면(3a)에 부착된 면적이 적어질 것인바, 제2 플레이트부(230)측으로 갈수록 제거홈(253)의 폭을 좁게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크리닝부(250)는 브러쉬(2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밀착면(251)에 형성된 제거홈(253)의 저면(255)에는 브러쉬(256)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브러쉬(256)는 이물질(M)에 제거홈(253)과 별개로 충격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미세하게 부착된 이물질(M)은 브러쉬(256)에 의해 좀 더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브러쉬(256)는 밀착면(251) 보다 높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브러쉬(256)의 돌출 높이(h)는 밀착면(251)을 기준으로 0.1~1.0mm 정도 높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브러쉬(256)는 철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바디부(100)와 크리닝 팁(200) 사이에 배치되어 바디부(100)의 이동에 따라 크리닝 팁(200)을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연결부(300)에 형성된 돌기(310)는 크리닝 팁(200)의 결합공(211)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0)와 연결부(300)는 고정부(40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400)는 바디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결부(300)를 바디부(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410)와 탄성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420)로는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고정부재(410)의 일측은 탄성부재(420)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돌기(411)와 같이 일단이 절곡되어 형성된 고정부재(410)의 타측은 연결부(300)에 형성된 고정홈(320)과 형합하여 연결부(300)를 바디부(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탄성부재(420)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부재(410)의 타측(411)은 연결부(300)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탄성부재(420)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고정부재(410)는 회동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고정부(400)를 이용하여 연결부재(300)와 결합된 크리닝 팁(200)을 교체할 수 있다.
구동부(500)는 에어나이프(2)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생성하는 액추에이터(510) 및 구동샤프트(5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샤프트(520)의 일측은 바디부(100)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액추에이터(510)와 연결되어 액추에이터(510)의 구동력을 바디부(100)에 전달하여 바디부(100)에 연결된 크리닝 팁(200)이 에어토출구(3)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구동샤프트(520)는, 바디부(100)의 장착홈(110)에 삽입 고정되는데, 평상시에는 작업자가 구동샤프트(520)를 장착홈(110)에서 탈착시켜 바디부(100)가 직선 왕복 운동을 하지 않도록 하며, 필요시에만 구동샤프트(520)를 장착홈(110)에 장착시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 2 : 에어나이프
3 : 에어토출구 3a : 립 상부면
3b : 립 하부면
100 : 바디부 200 : 크리닝 팁
210 : 몸체 플레이트 220 : 제1 플레이트부
230 : 제2 플레이트부 240 : 제1 크리닝부
250 : 제2 크리닝부 260 : 절개부
300 : 연결부 400 : 고정부
410 : 고정부재 420 : 탄성부재
500 : 구동부

Claims (12)

  1. 에어나이프의 에어토출구에 설치되는 크리닝 팁에 있어서,
    몸체 플레이트;
    상기 몸체 플레이트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각각 연장형성된 제1 플레이트부와 제2 플레이트부;
    상기 에어토출구에 삽입되게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서로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제1 크리닝부와 제2 크리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부 중 어느 하나의 연장 길이는 다른 하나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닝 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제2 플레이트부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매개로 상기 몸체 플레이트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각각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 플레이트와 상기 제1,2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2 크리닝부는 하나의 소재가 원터치 성형되어 제공되는 크리닝 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리닝부와 상기 제2 크리닝부 각각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단면은 반구형, 삼각형 및 사다리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크리닝 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리닝부와 상기 제2 크리닝부 각각은,
    밀착면; 및
    상기 밀착면의 모서리에 맞닿게 배치되는 적어도 둘의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은 상기 밀착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호 접근되게 형성되는 크리닝 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에는 복수 개의 제거홈이 형성된 크리닝 팁.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홈은 상기 밀착면의 일측 모서리에서 타측 모서리까지 형성되되, 상기 제1 크리닝부와 상기 제2 크리닝부 각각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크리닝 팁.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홈의 폭은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부와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크리닝 팁.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홈의 저면에는 브러쉬가 배치되는 크리닝 팁.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의 돌출 높이는 상기 밀착면을 기준으로 0.1~1.0mm인 크리닝 팁.
  10. 삭제
  11. 바디부;
    일측이 에어나이프의 에어토출구에 설치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크리닝 팁;
    상기 바디부와 상기 크리닝 팁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
    상기 크리닝 팁이 상기 에어토출구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바디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를 상기 바디부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은 상기 연결부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
KR1020150098445A 2015-07-10 2015-07-10 크리닝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 KR101698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445A KR101698475B1 (ko) 2015-07-10 2015-07-10 크리닝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445A KR101698475B1 (ko) 2015-07-10 2015-07-10 크리닝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956A KR20170006956A (ko) 2017-01-18
KR101698475B1 true KR101698475B1 (ko) 2017-01-20

Family

ID=5798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445A KR101698475B1 (ko) 2015-07-10 2015-07-10 크리닝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4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244B1 (ko) 2022-06-14 2022-07-22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
KR102474919B1 (ko) 2022-10-07 2022-12-06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용 외장형 립 클리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707B1 (ko) 2010-05-18 2010-12-15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
KR101075916B1 (ko) * 2008-11-07 2011-10-26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 나이프의 립 크리너
KR101197907B1 (ko) * 2010-07-19 2012-11-05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나이프용 립 클리너
KR101242999B1 (ko) 2010-12-28 2013-03-18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와이핑 설비용 클리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916B1 (ko) * 2008-11-07 2011-10-26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 나이프의 립 크리너
KR101001707B1 (ko) 2010-05-18 2010-12-15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
KR101197907B1 (ko) * 2010-07-19 2012-11-05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나이프용 립 클리너
KR101242999B1 (ko) 2010-12-28 2013-03-18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와이핑 설비용 클리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956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7337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698475B1 (ko) 크리닝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
JP6117458B1 (ja) 切断装置及び切断刃
KR20110118117A (ko) 슬릿 노즐 세정장치
JP2012035563A (ja) ラインヘッドのワイピング方法
CN104066694B (zh) 玻璃板、玻璃板的制造方法及玻璃板的制造装置
CN219076156U (zh) 进给总成及线切割机
KR100653614B1 (ko) 칼금형
KR20130041106A (ko) 청소 수단을 구비한 공작물 절단 장치
KR101260257B1 (ko) 에어나이프용 크리너 팁
JP2008194777A (ja) 端面切削装置および端面切削方法
JP6877118B2 (ja) 粘性材の塗布装置
CN105700294B (zh) 一种涂胶机的喷嘴清洗治具及其清洗块
KR101484985B1 (ko) 공작기계용 칩 커버
CN116442400A (zh) 一种划片机清洁防水雾装置
CN105620428A (zh) 雨刮器的雨刮胶条
KR101299968B1 (ko) 칼날형 절단 장치
JP2011083833A (ja) ワイヤーソー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
CN204414217U (zh) 一种成型机上的切割装置
KR100832169B1 (ko) 노즐 클리너의 와이핑 구조물
KR101301044B1 (ko) 이물질 제거효율이 우수한 에어나이프용 립 크리너
KR101880822B1 (ko) 기포발생 방지 장치
JP5663453B2 (ja) 蛇腹
JP5304343B2 (ja)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ー装置及び空気調和機
CN212020357U (zh) 一种磨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