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878B1 - 증발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증발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878B1
KR101697878B1 KR1020150165542A KR20150165542A KR101697878B1 KR 101697878 B1 KR101697878 B1 KR 101697878B1 KR 1020150165542 A KR1020150165542 A KR 1020150165542A KR 20150165542 A KR20150165542 A KR 20150165542A KR 101697878 B1 KR101697878 B1 KR 101697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vaporation
measurement
fan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큐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큐테크
Priority to KR1020150165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4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bands or wire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4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bands or wire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6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팬과 관로를 통해 연통된 측정수조를 통해 증발량 및 수위 측정이 이루어지고 증발량 측정 후에 증발팬에 담겨진 측정용수가 설정된 수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증발팬에 담겨진 측정용수의 온도 및 팽창 등과 거의 동일한 조건의 보충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증발량 측정의 정확도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증발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증발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용수가 담겨지는 증발팬과, 상기 증발팬의 하부 일측에 연결된 제1관로를 통해 증발팬에 담겨진 측정용수가 각각 연통되어 동일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제1,2수조와, 상기 제1수조에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이 설치되어 있는 증발량측정부와, 상기 제2수조에 설치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측정부와, 상기 증발량측정부 및 수위측정부에서 측정된 정보는 제어부로 각각 인가되고 제어부에서 이를 산출하여 증발량 및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증발팬의 하부와 제2관로와 연결되어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1펌프 및 증발팬의 상부에 제3관로가 설치되어 측정용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펌프로 이루어진 수위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증발량 측정장치 {APPARATUS FOR MEASURING EVAPORATION AMOUNT}
본 발명은 증발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증발팬과 관로를 통해 연통된 측정수조를 통해 증발량 및 수위 측정이 이루어지고 증발량 측정 후에 증발팬에 담겨진 측정용수가 설정된 수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증발팬에 담겨진 측정용수의 온도 및 팽창 등과 거의 동일한 조건의 보충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증발량 측정의 정확도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증발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유체, 예를들어 연료탱크 또는 각종 플랜트 설비의 연료탱크에는 탱크 내부의 유체의 잔량, 증발량, 누수 및 누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재고관리 또는 생산라인에 대한 재료의 투입에 차질이 없게 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유체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한 종래의 측정방법은 부기(float)를 이용한 것이 대부분으로서 이를 보다 세분하여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A. 유체의 표면에 부기를 띄워 놓고 액체면의 높이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부기에서 지렛대를 이용하여 가변저항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방법.
B. 부기에 연결된 줄의 장력을 분석하여 일정한 장력이 되게끔 회전체를 운동시켜 회전량을 측정하는 방법.
C. 유체 내부에 압력계를 투입하여 압력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방법.
D. 유체면에 음파 또는 광속을 발사하여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
상기한 A와 B 방법은 측정 대상체에 부기를 설치하여 접점의 변위 또는 회전각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각 지지점 마다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한 오차 또는 회전각을 측정하는 오차로 인해 미세한 변화량, 예를 들어 0.002cm 이하에 대한 측정은 불가능하고 측정부분의 기기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C 방법은 압력의 변화량에 의한 측정방법으로 미세한 측정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온도 및 대기압에 의한 오차 때문에 항상 2중 측정이 필수불가결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D 방법 또한 대기의 상태나 온도, 습도에 따라 그리고 유체의 표면 형상에 따라 많은 오차를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들은 고가의 비용이 수반되거나 미세한 측정이 불가능한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특허 제10-0228410호의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을 이용한 유체 액위/유량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에서는 피측정 유체탱크의 액위변화에 따른 부력추의 무게변화를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에 의해 검출하여 검출된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미세한 액위 및/또는 액량의 변화를 고정도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측정센서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측정센서 부분에 물리적인 운동부가 없으므로 마찰력 변화에 따른 유지보수도 필요없고 수명이 반 영구적이며, 온도의 변화에 따른 유체의 밀도변화에도 절대 부력값은 일정하여 별도의 환산 보정없이 전기적 신호값에 의해 변화값을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 출원인의 특허권인 상기의 기술내용을 기반으로 하면서 증발팬에 일정수위로 담겨진 측정용수에 의해 증발량 측정이 이루어진 다음 최적의 측정조건으로 정확한 증발량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증발팬의 측정용수가 일정수위에서 측정될 수 있는 보충수의 공급 또는 배출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보충수의 공급시에 증발팬에 담겨진 측정용수와 거의 동일한 수온의 보충수가 공급될 수 있는 최적의 측정조건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증발팬에 담겨진 측정용수가 제1,2수조와 각각 연통되어 있고, 상기 제1수조에서는 수위변동에 따른 부력추의 무게변화를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에 의해 검출하여 정확한 증발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수조에서는 측정용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2수조의 측정된 정보는 제어부에서 이를 산출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증발량 측정 후에 증발팬에 담겨진 측정용수가 설정된 수위로 하는 수위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증발량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상기 증발팬과 동일한 규격의 보충수공급팬이 병렬 설치되어 보충수공급팬에 의해 증발팬에 담겨져서 증발량 측정이 되는 측정용수의 온도 및 팽창 등과 거의 동일한 조건의 보충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수단으로 측정용수에 공급되는 보충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항상 정확한 증발량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증발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용수가 담겨지는 증발팬과, 상기 증발팬의 하부 일측에 연결된 제1관로를 통해 증발팬에 담겨진 측정용수가 각각 연통되어 동일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제1,2수조와, 상기 제1수조에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이 설치되어 있는 증발량측정부와, 상기 제2수조에 설치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측정부와, 상기 증발량측정부 및 수위측정부에서 측정된 정보는 제어부로 각각 인가되고 제어부에서 이를 산출하여 증발량 및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증발팬의 하부와 제2관로와 연결되어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1펌프 및 증발팬의 상부에 제3관로가 설치되어 측정용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펌프로 이루어진 수위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발팬과 동일한 규격의 보충수공급팬이 병렬 설치되고 보충수공급팬은 제4관로를 통해 제1펌프와 연결되어 증발팬에 보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관로는 증발팬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되 증발팬의 하부 중앙에 제1관로의 일측단이 연장 설치되도록 하고, 제1관로의 타측단은 분기되어 제1,2수조의 하부와 연결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발량측정부, 수위측정부 및 제어부, 수위조절부는 증발팬의 외측에 설치되는 측정제어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수조 내의 측정용수에 수직으로 부력추가 잠겨지고 부력추의 무게 변화량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는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이 설치되어 있는 증발량측정부가 구비되어 증발량측정부에서 측정된 정보가 제어부로 인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수조 내의 측정용수에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가 설치되어 있는 수위측정부가 구비되어 수위측정부에서 측정된 정보가 제어부로 인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위조절부는, 증발팬의 하부에 제2관로의 일측단이 연결되고 제2관로의 타측단은 제1펌프와 연결되어 제1펌프의 입수구를 통해 증발팬에 측정용수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하고, 증발팬의 측정용수 설정수위에 표면에 제3관로 일측단의 출수부가 근접되게 수직으로 설치되고 제3관로의 타측단은 제2펌프와 연결되어 제2펌프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증발팬에 담겨진 측정용수의 증발량을 최적의 측정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게 되어 정확한 증발량 측정이 이루어지고, 증발팬에 담겨지는 측정용수의 수위조절 등이 완전 자동화되어 유지 관리가 용이하면서 측정 신뢰도를 높여 증발량 측정장치의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증발량 측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증발량 측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증발량 측정장치에서 측정제어실에 구비된 증발량측정부 및 수위측정부의 측정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증발량 측정장치에서 수위조절부의 제1펌프에 의해 증발팬에 보충수를 공급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4의 구성에서 제1펌프의 입수구에 의해 보충수가 유입되어 증발팬에 공급되는 경로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증발량 측정장치에서 수위조절부의 제2펌프에 의해 증발 팬에 담겨진 측정용수를 배출하여 측정용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상기 도6의 구성에서 제2펌프의 배수구로 측정용수가 배출되는 경로를 나타낸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증발량 측정장치에 적용되는 증발량 측정수단은, 증발팬의 담겨진 수위변동에 따른 부력추의 무게변화를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에 의해 검출하여 검출된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미세한 증발량의 변화를 고정도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 특허 제10-0228410호로 개시된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에 의한 측정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측정수단은 이미 선행기술로서 개시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증발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용수가 담겨지는 증발팬(100)과, 상기 증발팬(10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된 제1관로(110)를 통해 증발팬(100)에 담겨진 측정용수가 각각 연통되어 동일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제1,2수조(210)(220)와, 상기 제1수조(210)에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214)이 설치되어 있는 증발량측정부(212)와, 상기 제2수조(220)에 설치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측정부(222)와, 상기 증발량측정부(212) 및 수위측정부(222)에서 측정된 정보는 제어부(240)로 각각 인가되고 제어부(240)에서 이를 산출하여 증발량 및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40)는 증발팬(100)의 하부와 제2관로(120)와 연결되어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1펌프(231) 및 증발팬(100)의 상부에 제3관로(130)가 설치되어 측정용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펌프(235)로 이루어진 수위조절부(2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증발팬(100)과 동일한 규격의 보충수공급팬(300)이 병렬 설치되고 보충수공급팬(300)은 제4관로(140)를 통해 제1펌프(231) 및 제2관로(120)와 연결되어 증발팬(100)에 보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증발팬(100)은 통상적으로 증발량을 측정하기 위한 세계기상기구(WMO)의 기준을 충족하는 규격에 해당되는 대형증발팬(Class A pen)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증발팬(100)에는 증발량 측정수단 등의 구성부재들이 설치되지 않도록 한 구성으로 증발팬(100)에 설치되는 각종 구성부재들에 의해 차단되는 햇빛이 차단되어 증발팬(100)에 그림자 등이 발생됨으로써 측정용수의 증발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을 최소화하고, 증발팬(100)의 청소나 유지관리등도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제1관로(110)는 증발팬(10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되 증발팬(100)의 하부 중앙에 제1관로(110)의 일측단이 연장 설치되도록 하여 증발팬(100)의 중앙부분에 담겨진 측정용수와 수온차이가 발생되지 않고 제1관로(110)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증발팬(100)의 측벽 부분에 있는 측정용수가 곧바로 제1관로(110)로 연통되는 경우에 증발팬(100)의 측벽에 의해 발생되는 그림자 등에 의해 발생되는 수온 등의 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함에 있으며, 상기 제1관로(110)의 타측단은 분기되어 제1,2수조(210)(220)의 하부와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증발량측정부(212), 수위측정부(222) 및 제어부(240), 수위조절부(230) 등은 증발팬(100)의 외측에 별도로 설치되는 측정제어실(200)에 집적되게 구비되도록 하여 증발량의 측정이나 증발팬(100)에 주기적으로 설정된 수위를 조절하는 것과 같은 전체적인 측정 및 제어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2수조(210)(220)는 측정제어실(200) 내에 구획 설치되는 것으로 증발팬(100)에 비해 적은 용적량으로 되어 있지만 증발팬(100)의 부력 및 수위를 각각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제1,2수조(210)(220)의 바닥면은 증발팬(100)의 바닥면과 동일한 수평선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1,2수조(210)(220)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수조(210)(220)는 증발팬(10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된 제1관로(110)를 통해 증발팬(100)에 담겨진 측정용수와 연통되어 제1,2수조(210)(220)내의 측정용수와 증발팬(100)의 측정용수는 동일한 수위를 갖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수조(210) 내의 측정용수에는 긴 바형상으로 측정용수 밀도와 거의 동일한 평균밀도를 갖고 수직으로 부력추가 잠겨지고 부력추의 무게 변화량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는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214)이 설치되어 있는 증발량측정부(212)가 구비되어 증발량측정부(212)에서 측정된 정보가 제어부(240)로 인가되고 제어부(240)에서 이를 산출하는 수단으로 증발팬(100)에서 측정용수의 증발된 증발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수조(220) 내의 측정용수 내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224)가 설치되어 있는 수위측정부(222)가 구비되어 수위측정부(222)에서 측정된 정보가 제어부(240)로 인가되고 제어부(240)에서 이를 산출한 증발팬(100)의 측정용수 수위를 측정한 정보를 이용하여 증발팬(100)에 담겨진 측정용수의 설정된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증발량측정부(212)에서 인가된 측정정보를 산출하여 증발량정보를 모니터 및 유, 무선 통신 등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수위측정부(222)에서 인가된 측정정보를 산출하여 증발팬(100)에 담겨진 측정용수를 설정된 수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수위조절부(230)를 제어하여 항상 설정된 동일한 시간대에 수위조절을 하게 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하루의 증발량을 측정한 후에 다음날 오전 7시 내지 9시 사이의 설정된 동일한 시간대에 증발량 측정준비단계로서 증발팬(100)에 담겨진 측정용수는 수위조절부(230)에 의해 설정된 수위조절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수위조절부(230)는, 증발팬(100)의 하부에 제2관로(120)의 일측단이 연결되고 제2관로(120)의 타측단은 제1펌프(231)와 연결되어 제1펌프(231)의 입수구(232)를 통해 보충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증발팬(100)에 담겨진 측정용수를 보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증발팬(100)의 측정용수 설정수위에 표면에 제3관로(130) 일측단의 출수부(132)가 근접되게 수직으로 설치되고 제3관로(130)의 타측단은 제2펌프(235)와 연결되어 제2펌프(235)의 배수구(236)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증발팬(100)에 연결되어 보충수가 공급되도록 한 제2관로(120)는 증발팬(100)의 하부에 설치된 구성으로 보충수의 공급시에 증발팬(100)에 담겨진 측정용수에 출렁거림 등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증발팬(10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3관로(130)는 증발팬(100)에 과다하게 담겨진 측정용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3관로(130)의 수직으로 설치된 하단의 출수부(132)에 의해 증발팬(100)에 담겨진 측정요수가 설정수위 한도보다 높은 측정용수를 배출함으로서 수위가 조절되도록 함에 있다.
즉, 이는 수위측정부(222)에 의해 측정된 정보에 의해 증발팬(100)에 담겨진 측정용수 부족이 감지되면 제1펌프(231)의 보충수를 공급하는 것만으로는 설정수위를 정확하게 맞출 수 없게 되므로 제1펌프(231)에 의해서는 설정수위 한도보다 많은 보충수를 공급한 다음 제2펌프(235)를 동작시키게 되면 제2펌프(235)에 의해 설정수위보다 높은 한도의 측정용수는 제3관로(130)의 출수부(132)를 통해 제2펌프(235)의 배수구(236)로 배출이 되어 측정용수가 설정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제3관로(130)의 출수부(132)는 증발팬(100)의 설정수위 표면에서 이격이 되므로 제2펌프(235)가 계속적으로 동작이 되더라도 제3관로(130)의 출수부(132)로 측정용수가 더 이상 배출되지 않고 설정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펌프(231) 및 제2펌프(235)는 제어부(240)에 의해 명령이 이루어지는 연계동작으로 증발팬(100)에 담겨지는 측정용수를 정학한 설정수위로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제1,2펌프(231)(235)의 연계 동작의 경우에는 제1펌프(231)는 1분 동안 동작하고 제2펌프(235)는 2분 동안 동작하도록 하는 명령을 제어부(240)에 설정하여 증발팬(100)에 부족한 측정용수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제1펌프(231)의 또 다른 동작수단으로 증발팬(100)에 보충수를 공급하게 될 때 증발팬(100)의 설정수위 한도보다 높게 보충수 공급이 되면 수위측정부(222)에 의해 감지된 수위정보에 의해 제어부(240)에서 제1펌프(231)의 동작을 정지시켜 보충수 공급을 중단할 수도 있다.
또, 우천 등으로 인하여 수위측정부(222)에 의해 증발팬(100)에 측정용수가 과다하게 담겨져 있는 것이 측정된 경우에는 수위측정부(222)의 측정정보를 산출하여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240)에 의해 제1펌프(231)는 동작시키지 않고 제2펌프(235)만을 동작시키는 수단으로 설정수위를 조절하게 된다.
또, 보충수공급팬(300)은 증발팬(100)에 담겨지는 측정용수를 보충하기 위한 보충수의 공급원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증발팬(100)에 담겨져서 증발량을 측정하는 측정용수의 온도 및 팽창 등과 같은 거의 동일한 조건의 보충수가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증발팬(100)과 거의 동일한 규격의 보충수공급팬(300)이 증발팬(100)의 일측에 병렬설치되어 증발팬(100)의 측정용수와 보충수공급팬(300)의 보충수가 계절적인 요인이나 햇빛 및 풍향 등과 같은 기상조건의 영향을 거의 동일하게 받도록 한 수단으로 측정용수에 보충되는 보충수와 측정용수와의 온도 및 팽창 등의 차이로 인한 증발량 측정에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에 있다.
그리고 증발팬(100)에 담겨진 측정용수가 설정된 수위에서 증발량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보충수공급팬(300)에 담겨진 보충수가 증발팬(100)에 담겨진 측정용수에 비해 과다하거나 부족한 경우에 보충수공급팬(300)에 담겨져 있는 보충수의 수위는 수작업이나 자동으로 수위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증발량 측정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증발팬(100)과 보충수공급팬(300)이 병렬 설치되어 증발팬(100)에 보충수를 공급하게 될 때 증발팬(100)에 담겨져서 증발량을 측정하는 측정용수의 온도 및 팽창 등과 같은 거의 동일한 조건의 보충수가 공급이 이루어져서 증발량 측정의 정확도를 크게 높여주고, 증발팬(100)의 외측에 위치한 측정제어실(200)에서 증발량 및 수위의 측정과 함게 수위조절 등과 같은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측정시스템의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증발팬(100)에 담겨진 측정용수의 증발량이나 수위를 측정제어실(200)에 구비된 증발량측정부(212) 및 수위측정부(222)에서 측정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증발팬(10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된 제1관로(110)를 통해 증발팬(100)에 담겨진 측정용수는 제1,2수조(210)(220)와 각각 연통되어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1수조(210)에서는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214)이 설치되어 있는 증발량측정부(212)에 의해 증발팬(100)의 증발량을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240)로 인가하여 제어부(240)를 통해 증발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게 되며, 제2수조(220)에서는 수위감지기(224)에 증발팬(100)의 수위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240)로 인가하여 제어부(240)에 입력시킨 정보에 의해 증발팬(100)에 담겨진 측정용수의 수위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수위조절부(230)의 제1펌프(231)에 의해 증발팬(100)에 보충수를 공급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증발팬(100)에 담겨진 측정용수가 증발되어 수위측정부(222)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의해 설정된 수위보다 부족하여 측정용수를 보충하고자 하는 시점에서는 제어부(240)에 의해 제1펌프(231)를 동작시켜 제1펌프(231)의 입수구(232)를 통해 보충수가 유입되어 제2관로(120)를 통해 증발팬(100)에 측정용수의 설정수위 한도보다 많은 보충수를 여유있게 공급하여 제2펌프(235)에 의한 수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수위조절부(230)의 제2펌프(235)에 의해 증발팬(100)에 담겨진 측정용수가 설정수위 한도보다 많은 보충수가 공급되거나 우천 등으로 측정용수가 설정수위 한도보다 높은 경우에 증발팬(100)에 담겨진 측정용수를 배출하여 측정용수의 수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증발팬(100)의 측정용수 설정수위에 표면에 제3관로(130) 일측단의 출수부(132)가 근접되게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2펌프(235)를 동작시키게 되면 제2펌프(235)에 의해 설정수위보다 높은 한도의 측정용수는 제3관로(130)의 출수부(132)를 통해 제2펌프(235)의 배수구(236)로 배출이 되어 측정용수가 설정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제3관로(130)의 출수부(132)는 증발팬(100)의 설정수위 표면에서 이격이 된다.
이어서 제2펌프(235)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3관로(130)의 출수부(132)가 증발팬(100)에 담겨진 측정용수는 설정수위 표면과 이격이 되면 제3관로(130)의 출수부(132)를 통해 더 이상 측정용수 배출이 되지 않게 되어 측정용수는 설정된 수위를 유지하게 되며, 본 발명은 제3관로(130)의 출수부(132)를 통해 증발팬(100)의 측정용수 수위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증발팬(100)의 수위조절시에 물이 배출되는 과정으로 수위조절이 되므로 물의 출렁거림 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증발량 측정준비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증발팬(100)에 담겨진 측정용수의 증발량을 최적의 측정조건에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증발량 측정의 정확도를 높여주고 증발팬(100)에 담겨지는 측정용수의 수위조절 등이 완전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져서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증발팬 110 : 제1관로
120 : 제2관로 130 : 제3관로
132 : 출수부 140 : 제4관로
200 : 측정제어실 210 : 제1수조
212 : 증발량측정부 214 : 로드셀
220 : 제2수조 222 : 수위측정부
224 : 수위감지기 230 : 수위조절부
231 : 제1펌프 232 : 입수구
235 : 제2펌프 236 : 배수구
240 : 제어부 300 : 보충수공급팬

Claims (7)

  1. 증발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용수가 담겨지는 증발팬(100)과, 상기 증발팬(10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된 제1관로(110)를 통해 증발팬(100)에 담겨진 측정용수가 각각 연통되어 동일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제1,2수조(210)(220)와, 상기 제1수조(210)에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214)이 설치되어 있는 증발량측정부(212)와, 상기 제2수조(220)에 설치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측정부(222)와, 상기 증발량측정부(212) 및 수위측정부(222)에서 측정된 정보는 제어부(240)로 각각 인가되고 제어부(240)에서 이를 산출하여 증발량 및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40)는 증발팬(100)의 하부와 제2관로(120)와 연결되어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1펌프(231) 및 증발팬(100)의 상부에 제3관로(130)가 설치되어 측정용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펌프(235)로 이루어진 수위조절부(2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량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팬(100)과 동일한 규격의 보충수공급팬(300)이 병렬 설치되고 보충수공급팬(300)은 제4관로(140)를 통해 제1펌프(231)와 연결되어 증발팬(100)에 보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량 측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로(110)는 증발팬(10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되 증발팬(100)의 하부 중앙에 제1관로(110)의 일측단이 연장 설치되도록 하고, 제1관로(110)의 타측단은 분기되어 제1,2수조(210)(220)의 하부와 연결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량 측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량측정부(212), 수위측정부(222) 및 제어부(240), 수위조절부(230)는 증발팬(100)의 외측에 설치되는 측정제어실(20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량 측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조(210) 내의 측정용수에 수직으로 부력추가 잠겨지고 부력추의 무게 변화량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는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214)이 설치되어 있는 증발량측정부(212)가 구비되어 증발량측정부(212)에서 측정된 정보가 제어부(240)로 인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량 측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조(220) 내의 측정용수에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224)가 설치되어 있는 수위측정부(222)가 구비되어 수위측정부(222)에서 측정된 정보가 제어부(240)로 인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량 측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부(230)는, 증발팬(100)의 하부에 제2관로(120)의 일측단이 연결되고 제2관로(120)의 타측단은 제1펌프(231)와 연결되어 제1펌프(231)의 입수구(232)를 통해 증발팬(100)에 측정용수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하고, 증발팬(100)의 측정용수 설정수위에 표면에 제3관로(130) 일측단의 출수부(132)가 근접되게 수직으로 설치되고 제3관로(130)의 타측단은 제2펌프(235)와 연결되어 제2펌프(235)의 배수구(236)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량 측정장치.
KR1020150165542A 2015-11-25 2015-11-25 증발량 측정장치 KR101697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542A KR101697878B1 (ko) 2015-11-25 2015-11-25 증발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542A KR101697878B1 (ko) 2015-11-25 2015-11-25 증발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878B1 true KR101697878B1 (ko) 2017-02-01

Family

ID=58109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542A KR101697878B1 (ko) 2015-11-25 2015-11-25 증발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8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973B1 (ko) * 2017-04-14 2018-08-02 (주)젠트로닉스 저전력 운용 및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전자식 강수량 계측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0689A (ja) * 1993-03-09 1994-09-16 Toshiba Toransupooto Eng Kk 低温容器の液面計測器
KR20000060779A (ko) * 1999-03-19 2000-10-16 김영환 감시시스템
KR20120083101A (ko) * 2011-01-17 2012-07-25 전영재 펌프와 타이머를 이용한 급배수 조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급배수 조절 방법
KR20150001276U (ko) * 2013-09-23 2015-04-01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수위측정계기용 도압관 충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0689A (ja) * 1993-03-09 1994-09-16 Toshiba Toransupooto Eng Kk 低温容器の液面計測器
KR20000060779A (ko) * 1999-03-19 2000-10-16 김영환 감시시스템
KR20120083101A (ko) * 2011-01-17 2012-07-25 전영재 펌프와 타이머를 이용한 급배수 조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급배수 조절 방법
KR20150001276U (ko) * 2013-09-23 2015-04-01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수위측정계기용 도압관 충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973B1 (ko) * 2017-04-14 2018-08-02 (주)젠트로닉스 저전력 운용 및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전자식 강수량 계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8238B2 (en) Flow controller and its regulation method
US20170189858A1 (en) Method and device for carrying out an integrity test on a filter element
KR20100139118A (ko) 유량 조정기용 자동 압력 조정기
JP2009002901A (ja) 圧力センサ、差圧式流量計及び流量コントローラ
KR101697878B1 (ko) 증발량 측정장치
CN110595581A (zh) 一种液位开关自动检测装置及方法
WO2013162453A1 (en) A liquid level measurement apparatus, arrangement and method using bubble measurement
CN114754735A (zh) 一种主动恒温式静力水准系统
CA27704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liquid levels
JP2019141958A (ja) クーラント補給システム
KR102243337B1 (ko) 공기 게이트홀 개방 면적 조절식 레벨 게이지
US11796437B2 (en) Measuring density via pressure sensor in a conduit
US72581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the volume of barrier fluid in a liquid ring vacuum pump
KR102295810B1 (ko) 폐수 방류유량 측정장치
US6416582B2 (en) Liquid usage detector for a coating apparatus
CN207602476U (zh) 基于动态液位的液位报警开关检测装置及其报警线的标定装置
CN216770746U (zh) 一种污水流量计检测台
CN108168764B (zh) 一种液压测量装置及热水器
CN106017620B (zh) 一种智能活塞体积管检定装置
GB258834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uid level measurement and control
US20220373423A1 (en) Gas leakage meter
CN220542734U (zh) 一种测试设备
JP7396002B2 (ja) タンク内液位の計測装置及び計測方法
CN115031803A (zh) 一种储液容器内混合液体界面液位的测量方法
CN116495862A (zh) 一种火电厂凝结水配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