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834B1 - Kcnq칼륨통로 작동제로 사용가능한 신규화합물, 그 제조방법과 용도 - Google Patents

Kcnq칼륨통로 작동제로 사용가능한 신규화합물, 그 제조방법과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834B1
KR101697834B1 KR1020147014008A KR20147014008A KR101697834B1 KR 101697834 B1 KR101697834 B1 KR 101697834B1 KR 1020147014008 A KR1020147014008 A KR 1020147014008A KR 20147014008 A KR20147014008 A KR 20147014008A KR 101697834 B1 KR101697834 B1 KR 101697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und
group
amin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0643A (ko
Inventor
파준 난
민 리
자오빙 가오
페이 첸
양밍 장
핑정 조
하이닝 후
하이옌 수
솅 리우
Original Assignee
상하이 인스티튜트 오브 마테리아 메디카 차이니즈 아카데미 오브 싸이언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인스티튜트 오브 마테리아 메디카 차이니즈 아카데미 오브 싸이언시즈 filed Critical 상하이 인스티튜트 오브 마테리아 메디카 차이니즈 아카데미 오브 싸이언시즈
Publication of KR20140090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0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26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0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26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71/2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to a carbon atom of a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7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amic or thiocarbamic acids, meprobamate, carbachol, neostig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12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halogen atoms or by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33/15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halogen atoms or by nitro or nitroso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3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3/42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amino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33/43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amino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 hydrogen atom or to a carbon atom of a 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3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3/42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amino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33/4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amino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9/0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carbamic acid,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69/04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carbamic acid,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from amines with formation of carbam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5/04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 C07D235/24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35/26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6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the ring being unsatur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과 신경계통 질환 등을 치료하는 약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용도를 제공하였고,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물조성물은 KCNQ 칼륨통로 작동제로서 신경계통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선행기술 중의 화합물 레티가빈(Retigabine)과 같거나 더욱 우수한 치료효과를 가지고, 더욱 쉽게 합성 및 저장할 수 있음과 아울러 산화변질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KCNQ칼륨통로 작동제로 사용가능한 신규화합물, 그 제조방법과 용도{NOVEL COMPOUND AS KCNQ POTASSIUM CHANNEL AGONIST,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약학분야에 속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칼륨 이온 통로 작동제로 사용가능한 신규화합물, 그 제조방법, 그리고 상기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 중 임의의 하나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이 간질, 경련, 신경성 통증, 급성 국부적 허혈성 뇌졸중, 및 신경퇴행성 질환과 같은 신경계통질환을 치료하는 약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응용에 관한 것이다.
간질(epilepsy)은 대뇌신경세포 돌발성 이상방전으로 인한 신경기능장애 증후군으로서, 운동, 감각, 의식, 정신, 식물성 신경 등 방면의 장애양상을 보여 발병율이 1%에 접근함으로써 인류의 생명과 건강을 엄중하게 위협하고 있다. 간질에 의한 신경성 전기생리학 기초는 신경세포 과도 동시방전으로서 간질모양방전이라고도 한다. 신경 흥분성 장애는 간질모양방전을 유발하는 주요원인이다. 중추신경계통에 분포된 칼륨, 나트륨, 칼륨 이온통로의 움직임의 평형은 신경세포의 흥분성을 결정하는바, 이러한 평형에 이상이 생기면, 신경 흥분성 이상을 초래하여 간질발작을 유발할 수 있다.
칼륨 이온통로는 신경세포의 흥분성을 조절하는 방면에서 중요한 작용을 발휘하는 바, 이의 이온기초는 세포 내 칼륨 이온 농도가 세포 외 칼륨 이온 농도보다 높고 막전위 탈분극에 의해 통로를 활성화시킨 후, 양전하를 띤 칼륨 이온은 밖으로 흐르고, 막전위는 이로 인해 음전하를 띠고(재분극 또는 과분극), 세포 흥분성은 하강된다. 근년래 간질유전학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칼륨 이온통로 이상은 양성 신생아 가족성 경련(BFNC, benign familial neonatal convulsion)과 같은 간질을 직접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Wulff, H. 등, Chem Rev 2008, 108(5), 1744-73.).
전압개폐 이온통로(VGICs, voltage-gated ion channels)는 단백질 키나아제(protein kinases)와 G단백질연관수용체(G Protein-Coupled Receptors)의 뒤를 이은 제3부류의 신호전달분자로서(Harmar, A.J.등, Nucleic Acids Res 2009, 37(Database issue),D680-5.), 78개 패밀리성원중에서, 절반을 차지하는 것은 칼륨 이온통로이고, 이의 기능 및 구조특징에 따라, 칼륨 이온통로는 주로 4가지 부류로 크게 나누어진다. 즉 내향정류 칼륨채널(Kir); 이중 홀 칼륨 통로(K2p); 칼륨 활성화 통로(KCa) 및 전압개폐 이온통로(Kv)이다(Wulff, H.등, Nat Rev Drug Discov 2009, 8(12), 982-1001.).
전압개폐 이온통로(Kv)는 칼륨통로 상과(superfamily)의 주요성원으로서, 도합 12개 성원(Kv1.X=KV12.X)이 있다. 여기서 KCNQ통로는 전압개폐 이온통로의 7번째 성원(Kv7)으로서, 5개의 아형을 포함하는 바, 각각 KCNQ1 내지 KCNQ5로 명명하였다. 기타 칼륨통로와 비교하면, KCNQ통로 활성 한계점이 낮고, 활동전위 한계점(-60mV)에서 바로 개방할 수 있고, 이의 활성화가 천천히 진행되고, 지속적으로 탈분극될 때에도 불활성화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특징은 KCNQ통로가 세포 흥분성을 조절하는 방면에서 기초수준에 도달하도록 하며, 상기 개방은 신경 흥분성을 낮출 수 있고, 기능억제는 신경세포막전위 탈분극을 초래하여 흥분성이 증가되어 더욱 많은 신경충동을 유발한다.
KCNQ 타겟 포인트의 현저한 이점에 기반해보면, 이의 작동제는 간질을 치료하는 유효한 약물로 인정되었다. 이러한 칼륨통로 작동제는 칼륨통로를 활성화하여 신경세포 흥분성을 낮추는 것으로서, 간질을 치료하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기타 신경 흥분성이 과도하게 높아 유발된 경련, 신경성 통증, 급성 극부적 허혈성 뇌졸중 및 신경 퇴행성 질환과 같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것이다.
보도된 바에 따르면, KCNQ작동제는 주로 하기와 같은 몇가지가 있다.
1) 특허US5384330에서 공개된 하기 구조를 갖는 일부 화합물.
Figure 112014048984664-pct00001
그 구조특징은 o-디니트로겐 치환 벤젠고리를 함유하는 것이다.
2) 특허WO2005/087754A1에서 설명한 하기 구조의 KCNQ작동제.
Figure 112014048984664-pct00002
이 구조특징은 p-디니트로겐 치환 벤젠고리를 함유하고, 그중의 하나의 질소는 하나의 포화고리(즉 헤테로고리, 이때 W=O) 중에도 있다. 또 다른 질소는 이와 인접한 위치에 R1, R2가 치환된다.
3) 특허 WO2008024398-B1에서 하기의 구조를 설명하였다.
Figure 112014048984664-pct00003
이러한 화합물의 구조는 특허 WO2005/087754 구조와 유사하나, 포화고리에 또 하나의 융합고리 구조유닛만 추가한 것뿐이다.
현재 가장 대표적인 KCNQ 작동제는 GSK(글락소스미스클라인)에서 개발하여 시중에 판매되는 항간질약 레티가빈(Retigabine)인 바, 구조는 하기와 같다.
Figure 112014048984664-pct00004
레티가빈은 체계적으로 연구된 첫 번째 KCNQ 작동제로서, KCNQ2-5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주로 부분발작형 간질 성인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것이다. 레티가빈은 흡수가 빨라, 1회 투여 후 약 1.5~2시간 동안 최대혈장농도에 도달하게 된다.
레티가빈의 구조에는 음전자가 3개의 질소에 의해 치환되는 벤젠고리가 함유되는 바, 여기서 2개의 질소 원자는 이웃자리에 위치하고, 하나의 질소 원자는 아미노 형식으로 존재하며, 상기 구조특징은 레티가빈이 합성 및 저장시에 쉽게 산화되어 변질 되게 한다. 이 밖에,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레티가빈 조직분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레티가빈이 마우스의 뇌조직에서 농도가 높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는 바, 이는 약효 최대수준을 발휘하는데 크게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활성이 더욱 높고, 성질이 더욱 안정적이며, 특히는 뇌조직 농도분포에 더욱 도움이 되는 칼륨통로 작동제를 개발하여 간질, 경련, 신경성 통증, 급성 국부적 허혈성 뇌졸중 및 신경 퇴행성 질환 등과 같은 신경계통 질환을 치료하는 신규약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연구에 따르면,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레티가빈 분자 중에서 이차 아민-NH-상의 N원자가 진일보로 치환될 때 얻어진 화합물이 레티가빈의 칼륨통로의 작동 활성을 유지하거나 증가할 뿐만 아니라 레티가빈에 비해 더욱 높은 뇌조직분포농도를 가지므로 더욱 우수한 치료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KCNQ칼륨통로 작동제로 사용가능한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물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신경계통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용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I의 구조를 가진다:
Figure 112014048984664-pct00005
상기 식에서,
L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L은
Figure 112014048984664-pct00006
,
Figure 112014048984664-pct00007
, 및
Figure 112014048984664-pct00008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들은 C1-C4 알킬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R1은 H,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C1-C6알킬 카르보닐, C1-C6알콕시 카르보닐, C1-C6알킬아미노 카르보닐, C2-C8알케닐, C5-C7시클로알케닐, C2-C8알키닐 및 C6-C10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기이며; 여기서 상기 C1-C6알킬은 히드록시, 아미노, C1-C4알콕시, C1-C4알킬 카르보닐, 할로겐원자, C1-C6아릴 또는 할로겐화 C1-C6아릴로 비치환되거나 또는 임의로 치환되며; 상기 C2-C8알케닐은 히드록시, 아미노, C1-C4알킬 카르보닐, C1-C4알콕시, 할로겐원자, C6-C10아릴 또는 할로겐화 C6-C10아릴로 비치환되거나 또는 임의로 치환되며; 상기 C2-C8알키닐은 히드록시, 아미노, C1-C4알킬 카르보닐, C1-C4알콕시, 할로겐원자, C6-C10아릴 또는 할로겐화 C6-C10아릴로 비치환되거나 또는 임의로 치환되고;
R2는 할로겐원자 및 C1-C4알콕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R3은 H, 할로겐원자, 트리플루오로메틸, 시아노, 니트로, C1-C4알킬 카르보닐 및 C1-C4알콕시 카르보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X는 O, S 또는 NH이며;
Y는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Y는 O 또는 NR7이고, 여기서 R7은 H,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및 C3-C8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R4는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및 C6-C10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R5는 H, 할로겐원자, 아미노, C1-C6알킬아미노 및
Figure 112014048984664-pct00009
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거나, 또는 R5는 인접한
Figure 112014048984664-pct00010
와 함께
Figure 112014048984664-pct00011
또는
Figure 112014048984664-pct00012
의 융합환구조를 형성하며;
R6은 H, C1-C6알킬
또는 C3-C6시클로알킬이고;
상기 치환기 정의에서 상기 할로겐원자 또는 할로겐화기 중의 할로겐원자는 F, Cl 또는 Br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일반식II의 구조를 가진다:
Figure 112014048984664-pct00013
상기식에서,
R1은 H, C1-C6알킬, C3-C6시클로알킬, C1-C6알킬 카르보닐, C1-C6알콕시 카르보닐, C1-C6알킬아미노 카르보닐, C2-C8알케닐, C5-C7시클로알케닐 및 C2-C8알키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여기서 상기 C1-C6알킬은 히드록시, 아미노, C1-C4알킬 카르보닐, 할로겐원자, C6-C10아릴 또는 할로겐화 C6-C10아릴로 비치환되거나 또는 임의로 치환되고; 상기 C2-C8알키닐은 히드록시, 아미노, C1-C4알킬 카르보닐, C1-C4알콕시, 할로겐원자, C6-C10아릴 또는 할로겐화 C6-C10아릴로 비치환되거나 또는 임의로 치환되고 상기 C2-C8알키닐은 히드록시, 아미노, C1-C4알킬 카르보닐, C1-C4알콕시, 할로겐원자, C6-C10아릴 또는 할로겐화 C6-C10아릴로 비치환되거나 또는 임의로 치환되고;
R2는 할로겐원자, C1-C4알콕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R3은 H, 할로겐원자, 트리플루오로메틸, 니트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X는 O이며;
Y는 존재하지 않거나 Y는 O이고;
R4는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및 C6-C10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부터 선택된 기이고;
R5는 H, 할로겐원자, 아미노,
Figure 112014048984664-pct00014
으로 이루어진 그룹트로부터 선택된 기이거나, 또는 R5는 인접한
Figure 112014048984664-pct00015
와 함께
Figure 112014048984664-pct00016
의 융합환구조를 형성하며;
R6은 H, C1-C6알킬 또는 C3-C6시클로알킬이고;
상기 치환기 정의에서 상기 할로겐원자 또는 할로겐화기 중의 할로겐원자는 F, Cl 또는 Br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일반식III의 구조를 가진다:
Figure 112014048984664-pct00017
상기 식에서,
R1은 H, C1-C6알킬, C2-C8알케닐, C5-C7시클로알케닐 및 C2-C8알키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여기서 상기 C1-C6알킬은 히드록시, 아미노, C1-C4알킬 카르보닐, 할로겐원자, 페닐 또는 할로겐화 페닐로 비치환되거나 또는 임의로 치환되고;
상기 C2-C8알케닐은 히드록시, 아미노, 할로겐원자, 페닐 또는 할로겐화 페닐로 비치환되거나 또는 임의로 치환되고; 상기 C2-C8알케닐은 히드록시, 아미노, 할로겐원자, 페닐 또는 할로겐화 페닐로 비치환되거나 또는 임의로 치환되고;
R2는 F, Cl 및 메톡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R3은 H, 할로겐원자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Y는 존재하지 않거나 Y는 O이며;
R4는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및 C6-C10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R5는 H, 할로겐원자, 아미노 및
Figure 112014048984664-pct00018
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거나, 또는 R5는 인접한
Figure 112014048984664-pct00019
와 함께
Figure 112014048984664-pct00020
의 융합환구조를 형성하며;
R6은 H 또는 C1-C6알킬이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기술적 해결방법에 따르면, 부분적 대표적인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와 같다.
Figure 112014048984664-pct00021
Figure 112014048984664-pct00022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상기 화합물과 산으로 형성된 염이고, 상기 산은 말레인산, 호박산, 구연산, 주석산, 푸마르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프로판디이산(propanedioic acid), 옥살산, 벤조산, 프탈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톨루엔설폰산, 나프탈렌설폰산, 1,5-나프탈렌디설폰산, 캄포르산(camphoric acid), 캄포설폰산(camphor sulfonic acid), 살리실산, 아세토살리실산(acetosalic acid),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젖산, 글루콘산, 아스코르빈산, 아미그달린산(amygdalic acid), 갈산(gallic acid), 사과산(malic acid), 소르빈산(sorbic acid),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타우린(taurine), 호모타우린(homotaurine), 이세티온산, 계피산(cinnamic acid), 염산, 브롬화수소산(hydrobromic acid), 요오드화수소산(hydriodic acid), 황산, 질산, 인산 및 과염소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였는바, 주로 하기의 몇 가지 제조방법이 있다. 여기서 P는 임의로 선택된 아미노 보호기이고, 구체적으로 <유기합성중의 보호기>(화동이공대학 유기화학교연조, 화동이공대학출판사, 2004)를 참조할 수 있다.
방법 1:
카르보닐 화합물 a를 페닐아민 화합물 b와 p-톨루엔설폰산의 약산성 촉매화하에 축합 반응시켜 이민 화합물 c를 얻고, 수소화 붕소나트륨(sodium borohydride)의 환원제 하에서 이민 화합물 c를 환원시켜 이차아민 d을 얻고; 이차이민 d는 할로겐화 탄화수소와의 치환반응, α,β-불포화 카르보닐 화합물의 부가반응 또는 아실화반응을 통해 치환기 R1를 이차아민에 도입시켜 중간체 화합물 f를 얻고; 중간체 화합물 d 또는 f 중의 아민보호기 p를 제거하여 중간체 아민 화합물 f 또는 g를 얻은 뒤, 아민 화합물 f 또는 g를 아실화제
Figure 112014048984664-pct00023
와 반응시켜 일반식I의 화합물을 얻는다.
Figure 112014048984664-pct00024
방법 2:
카르보닐 화합물 a와 니트로로 치환된 벤젠디아민 화합물 h를 p-톨루엔설폰산의 약산성 촉매 하에 축합 반응시켜 이민 화합물 i를 얻고, 수소화 붕소나트륨의 환원제 하에 이민을 환원시켜 아민 중간체 j를 얻고; 아민 중간체 j 상의 니트로를 환원시켜 디아미노 중간체 k를 얻고; 2개의 아미노 보호기 p를 디아미노 중간체 k 내에 도입하여 중간체 l를 얻고; 방법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치환기 R1를 도입하여 중간체 m를 얻고; 보호기 p를 제거한 후, 2개의 아미노기를 노출시켜 중간체 n를 얻고; 최종적으로 중간체 n을 아실화제
Figure 112014048984664-pct00025
와 반응시켜 일반식I의 화합물을 얻고; 여기서 니트로 환원반응에서 Pd-C 촉매수소화 또는 SnCl2를 사용하여 진행한다.
Figure 112014048984664-pct00026
방법 3:
아실화제(acylating agent)
Figure 112014048984664-pct00027
와 니트로-치환된 페닐렌디아민(Phenylenediamine)계 화합물 o를 반응시켜 중간체 화합물 p를 얻고, 중간체 화합물 p 상의 니토로를 환원시켜 얻어진 아미노 화합물 q 내에 치환기 R1를 도입하여 중간체 r를 얻고; 최종적으로 중간체 화합물 r을 진일보로 할로겐화 탄화수소
Figure 112014048984664-pct00028
또는
Figure 112014048984664-pct00029
와 치환반응시켜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얻는다.
Figure 112014048984664-pct00030

방법 4:
일반식I의 화합물 중의 치환기 R1가 알케닐 또는 알키닐인 경우, 올레핀 복분해반응(Olefin metathesis)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I의 다른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통상적인 올레핀 복분해 반응은 금속카르벤 착물(Grubbs촉매) 촉매화에 의해 이루어지는 올레핀과 올레핀 또는 올레핀과 올리핀 사이의 재조합 반응으로서, 반응 일반식은 하기와 같다.
Figure 112014048984664-pct00031
방법5: 화합물염의 합성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전환될 수도 있는바,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상응한 산의 용액을 상기 화합물의 용액에 첨가하여 염을 형성한 뒤 감압 처리하여 용매를 제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상응한 염을 얻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서, 상기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약물조성물이 KCNQ 칼륨통로 작동제로서의 용도, 특히는 신경계통 질환 등을 치료하는 약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용도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서, 치료학적 유효량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약을 포함하는 약물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서, 상기 치료를 수요로 하는 환자에게 치료학적 유효량의 상기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약물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계통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하였다.
상기 신경계통 질환은 간질, 경련, 신경성통증, 급성 국부적 허혈성 뇌졸중 및 신경 퇴행성 질환을 포함한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에서 설명한 신규화합물은 기존의 약물인 레티가빈에 비해, 성질이 더욱 안정적이고, 산화변질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제공된 화합물은 레티가빈의 칼륨통로 작동활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체내 항간질 효능 또한 현저하여 더욱 높은 뇌조직분포농도를 가지므로 더욱 좋은 치료효과가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부하여 본 발명에 대해 진일보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 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하기 제조 실시예에서, NMR는 베리안(Varian)에서 생산한 Mercury-Vx 300M기기로 측정되고, NMR 캘리브레이션: 5 H 7.26 ppm(CDCl3), 2.50 ppm(DMSO-d6), 3.15 ppm(CD3OD); 시약은 주로 상해화학시약공사에서 제공하며; TLC박층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 플레이트는 산동연태회유실리카겔 개발유한회사에서 생산하고, 모델HSGF254; 화합물 정제에 사용된 정상컬럼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은 산동청도해양화공공장 지사에서 생산되고, 모델zcx-11, 200~300메쉬이다.
제조 실시예1 : 4-(N-p- 플루오로벤질 -아민)-페닐아민메틸포르메이트(4-(N-p-fluorobenzyl-amine)-aniline methyl formate )( K1 )의 합성
1.1 4-(N-p-플루오로벤질-아민)-페닐아민 테트라부틸 포르메이트(4-(N-p-fluorobenzyl-amine)- aniline tetrabutyl formate)의 합성
Figure 112014048984664-pct00032
모노Boc-p-페닐렌디아민(mono Boc-p-Phenylenediamine)(2.57g, 0.0123mol)과 p-톨루엔설폰산(p-toluenesulfonic acid)(62mg, 0.32mmol)을 톨루엔(50mL)에 첨가한 후, p-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p-Fluorobenzaldehyde)(1.68g, 0.0135mol)를 첨가하여 12시간 동안 가열 및 끓여 물을 없애고, 뜨거울 때를 이용하여 여과하며, 여과액이 냉각된 후 고체가 석출되고, 여과 건조후에 조산물(crude product)을 얻으면 직접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조산물(3.5g, 11.1mmol)을 디옥산(dioxane)/MeOH(30mL, 디옥산/메탄올의 체적비는 4:1)에 용해시키고, 회분식으로 NaBH4(697mg, 0.018mo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교반한다. 물을 넣어 급냉시키고, EtOAc추출(15mL×3회)하고, 유기상은 포화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Na2SO4로 건조하고, 농축시킨 후 산물 4-(N-p-플루오로벤질-아민)-페닐아민테트라부틸포르메이트(3.5g)를 얻는다. 1H NMR (300 MHz, CDC13): δ 7.31(t, J=8.4Hz, 2H), 7.14(d, J=8.4Hz, 2H), 7.0 l(t, J=8.7Hz, 2H), 6.56(d, J=9.0Hz, 2H), 6.22(s, 1H), 4.27(s, 2H), 1.50(s, 9H).
1.2 4-(N-p-플루오로벤질-아민)-페닐아민메틸포르메이트(K1)의 합성
Figure 112014048984664-pct00033
상기 단계에서 얻은 4-(N-p-플루오로벤질-아민)-페닐아민테트라부틸포르메이트(100mg, 0.32mmol)를 CH2Cl2(2mL)에 용해시키고,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TFA, 1.5m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h 교반시간 후, 농축하여 얻은 화합물을 디옥산(10mL)에 용해시키고, 디이소프로필렌에틸아민(diisopropylethylamine)(120mg, 1.18mmol)을 첨가하여 0℃에서 메틸클로로포르메이트(methyl chloroformate)(45mg, 0.49mmol)를 천천히 적가하여 실온에서 1h 교반하고, 물을 넣어 희석하여 EtOAc추출(10mL×3회)하고, 유기상은 포화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Na2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켜 컬럼크로마토그래피(PE/EtOAc=4:1)를 통해 산물 4-(N-p-플루오로벤질-아민)-페닐아민메틸포르메이트(K1)를 얻는다. 1H NMR (300 MHz, CDC13): δ 7.13-7.26(m, 4Η), 6.87-6.96(m, 4Η), 6.61(s, 1Η), 4.26(s, 2Η), 3.77(s, 3H).
제조 실시예1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을 얻는다.
[표 1]
Figure 112014048984664-pct00034
제조 실시예2 : 4-(N-p- 플루오로벤질 -N-프로파길-아민)-페닐아민메틸포르메이트(4-(N-p- fluorobenzyl -N- propargyl - amine )- aniline methyl formate )( K9 )의 합성
2.1 4-(N-p-플루오로벤질-N-프로파길-아민)-페닐아민 테트라부틸포르메이트의 합성
Figure 112014048984664-pct00035
화합물 4-(N-p-플루오로벤질-아민)-페닐아민 테트라부틸포르메이트(316mg, 1mmol)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N,N-dimethyl-Formamide)(5mL)에 용해시키고, 프로파길 브롬화물(Propargyl bromide)(178mg, 1.5mmol) 및 디이소프로필렌에틸아민(i-Pr2NEt)(258mg, 2mmol)을 적가하여 80℃에서 2h 교반, 냉각하고, 물을 넣어 희석하여 EtOAc추출(10mL×3회)하고, 유기상은 포화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Na2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켜 컬럼크로마토그래피(PE/EtOAc=8:1)를 통해 산물 4-(N-p-플루오로벤질-N-프로파길-아민)-페닐아민 테트라부틸포르메이트(330mg, 93.2%)를 얻는다. 1H NMR (300 MHz, CDC13): δ 7.21-7.30(m, 4H), 7.00(t, J=8.4Hz, 2H), 6.86(d, J=9.0Hz, 2H), 6.32(s, 1H), 4.42(s, 2H), 3.92(d, J=2.4Hz, 2H), 2.20(t, J=2.4Hz, 1H), 1.50(s, 9H).
2.2 4-(N-p-플루오로벤질-N-프로파길-아민)-페닐아민메틸포르메이트의 합성
Figure 112014048984664-pct00036
상기 단계에서 얻은 4-(N-p-플루오로벤질-N-프로파길-아민)-페닐아민테트라부틸포르메이트(100mg, 0.282mmol)를 CH2Cl2(2mL)에 용해시키고,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TFA, 1.5m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h 교반시간 후, 농축하여 얻은 화합물을 디옥산(10mL)에 용해시키고, 디이소프로필렌에틸아민(109mg, 0.846mmol)을 첨가하여 0℃에서 메틸클로로포르메이트(40mg, 0.423mmol)를 천천히 적가하여 실온에서 1h 교반하고, 물을 넣어 희석하여 EtOAc추출(10mL×3회)하고, 유기상은 포화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Na2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켜 컬럼크로마토그래피(PE/EtOAc=4:1)를 통해 산물 4-(N-p-플루오로벤질-N-프로파길-아민)-페닐아민메틸포르메이트(K9)(78mg, 88.6%)를 얻는다. 1H NMR (300 MHz, CDC13): δ 7.23-7.28(m, 4H), 6.99(t, J=8.4Hz, 2H), 6.83(d, J=8.7Hz, 2H), 4.41(s, 2H),3.91(s, 2H), 3.72(s, 3H), 2.22(s, 1H).
제조 실시예2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을 얻는다.
[표 2]
Figure 112014048984664-pct00037
[표 3]
Figure 112014048984664-pct00038
제조 실시예3 : 2- 플루오로 -5-(N-p- 플루오로벤질 -N-프로파길-아민)-페닐아민메틸포르메이트(2- fluoro -5-(N-p- fluorobenzyl -N- propargyl - amine )- aniline methyl formate)(K10)의 합성
3.1 2-플루오로-5-니트로 페닐아민메틸포르메이트(2-fluoro-5-nitro aniline methyl formate)의 합성
Figure 112014048984664-pct00039
질소기체 보호하에서, 2-플루오로-5-니트로 페닐아민(156mg, 1mmol)을 건조된 테트라히드로피란(THF, tetrahydropyran)(5mL)에 용해시키고, 얼음욕조에서 0℃까지 냉각하여, 수소화나트륨(40mg, 60%, 1mmol)을 첨가하고, 실온까지 승연하여 60분 교반시키고, 0℃까지 냉각하여, 메틸클로로포름(methyl chloroformate)(85.2μL. 1.1mmol)을 첨가하고 10분 교반시킨 후, 물(10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EtOAc추출(10mL×3회)하여 유기상을 병합하고, 유기상은 포화식염수로 세척(15mL×3회)하며,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농축시켜 컬럼크로마토그래피(PE/EtOAc=10:1~5:1)를 통해 산물 2-플루오로-5-니트로 페닐아민메틸포르메이트(245mg, 84.5%)를 얻는다.
3.2 2-플루오로-5-(N-p-플루오로벤질-N-프로파길-아민)-페닐아민메틸포르메이트(2-fluoro-5-(N-p-fluorobenzyl-N-propargyl-amine)-aniline methyl formate)(K10)의 합성
Figure 112014048984664-pct00040
상기 단계에서 얻은 2-플루오로-5-니트로 페닐아민메틸포르메이트(95mg, 0.443mmol)를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15mL)에 용해시켜, N2로 치환하고, Pd-C(10%, 5mg)를 빨리 첨가하여, H2로 치환하고, 실온에서 6h 반응하고 여과, 농축시킨후, 무색의 기름모양 물질인 화합물 2-플루오로-5-아미노 페닐아민메틸포르메이트(72.5mg, 89.%)를 얻으면 직접 다음 단계에 사용한다.
질소기체 보호하에서, 화합물 2-플루오로-5-아미노 페닐아민메틸포르메이트(72.5mg, 0.39mmol)를 건조된 N,N-디메틸포름아미드(5mL)에 용해시키고, 프로파길 브롬화물(44μL, 0.59mmol), 디이소프로필렌에틸아민(140μL, 0.78mmol)을 첨가한다. 60℃에서 6h 교반하고, 물(10mL)을 넣어 희석하여 EtOAc추출(10mL×3회)하고, 유기상을 병합하며, 유기상은 포화식염수로 세척(10mL×3회)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농축시켜 컬럼크로마토그래피(PE/EtOAc=6:1~4:1)를 통해 산물 2-플루오로-5-(N-프로파길-아민)-페닐아민메틸포르메이트(70.1mg, 81%)를 얻는다.
질소기체 보호하에서, 2-플루오로-5-(N-프로파길-아민)-페닐아민메틸포르메이트(70mg, 0.32mmol)를 건조된 N,N-디메틸포름아미드(5mL)에 용해시키고, p-플루오로벤질 브롬화물(p-fluorobenzyl bromide)(81μL, 0.64mmo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diisopropylethylamine)(115μL, 0.64mmol)을 첨가한다. 60℃에서 6h 교반하고, 물(10mL)을 넣어 희석하여 EtOAc추출(10mL×3회)하고, 유기상을 병합하며, 유기상은 포화식염수로 세척(15mL×3)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농축시켜 컬럼크로마토그래피(PE/EtOAc=6:1~4:1)를 통해 산물 2-플루오로-5-(N-p-플루오로벤질-N-프로파길-아민)-페닐아민메틸포르메이트(K10)(88.7mg, 84%)를 얻는다. 1H NMR(300 MHz, CDC13): δ 7.79(s, 1H), 7.30(m, 2H), 7.0 l(m, 2H), 6.93(dd, J=9.9 Hz, J=9.0 Hz, 2H), 6.83(s, 1H), 6.5 l(m, 1H), 7.0 l(m, 2H), 4.44(s, 2H), 3.94(d =2.4Hz,2H),3.79(s, 3H), 2.24(t, J=2.4 Hz,lH).
제조 실시예3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을 얻는다.
[표 4]
Figure 112014048984664-pct00041

[표 5]
Figure 112014048984664-pct00042
제조 실시예4 : 2-아미노-4-(N-p- 플루오로벤질 -N-프로파길-아민)-페닐아민 에틸포르메이트 )(2- amino -4-(N-p- fluorobenzyl -N- propargyl - amine )- aniline ethyl formate) ( K20 )의 합성
4.1 2-(t-부톡시카르보닐아민)-4-(N-p-플루오로벤질-아민)-페닐아민 t-부틸 포르메이트(2-(tert-butoxy carbonyl amine)-4-(N-p-fluorobenzyl-amine)-aniline t-butyl formate)의 합성
Figure 112014048984664-pct00043
제조 실시예1과 유사한 조작에 따라, o-니트로-p-페닐렌디아민(o-Nitro-p-phenylenediamine)과 p-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p-Fluorobenzaldehyde)를 원료로 하여 중간체 2-니트로-4-(N-p-플루오로벤질-아민)페닐아민을 제조한다. 2-니트로-4-(N-p-플루오로벤질-아민)페닐아민(2.61g, 0.01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THF, Tetrahydrofuran)(30mL)에 용해시켜, N2로 치환하고, Pd-C(10%, 261mg)를 빨리 첨가하여, H2로 치환하고, 수소첨가반응을 밤새도록 진행하고, 여과, 농축하여 산물 2-아미노-4-(N-p-플루오로벤질-아민)-페닐아민(2.3g, 99.6%, 무색의 기름모양 물질, 산물은 불안정적이여서 극히 쉽게 산화되어 악화됨)을 얻으면, 신속히 다음 반응에 사용한다. 1H NMR (300 MHz, CDC13): δ 7.32(t, J=8.7Hz, 2H), 7.02(t, J=8.7Hz, 2H), 6.58(d, J=8.7Hz, 1H), 6.01-6.08(m, 2H), 4.22(s, 2H).
상기 단계의 산물 2-아미노-4-(N-p-플루오로벤질-아민)-페닐아민(1g, 4.32mmol)을 THF/H2O(40mL, 1:1)에 용해시키고, 디-t-부톡시 무수탄산(ditert-butoxy carbonic anhydride)(Boc2O)(2.83g, 12.96mmol) 및 탄산수소나트륨(1.16g, 12.96mmo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밤새도록 교반시킨다. 물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EtOAc추출(30mL×3회)하고, 유기상을 병합하며, 유기상은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감압회전하여 용매를제거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정제(PE/EtOAc=5:1)를 통해 중간체 2-(t-부톡시카르보닐아민)-4-(N-p-플루오로벤질-아민)-페닐아민 t-부틸 포르메이트(1.67g, 89.5%, 무색 기름모양 물질)를 얻는다. 1H NMR (300 MHz, CDC13): δ 7.28(t, J=8.7Hz, 2H), 7.00(t, J=8.7Hz, 3H), 6.89(s, 1H), 6.26(d, J=8.7Hz, 1H), 4.25(s, 2H), 1.48(s, 18H).
4.2 2-(t-부톡시카르보닐아민)-4-(N-p-플루오로벤질-N-알릴-아민)-페닐아민 t-부틸 포르메이트(2-(tert-butoxy carbonyl amine)-4-(N-p-fluorobenzyl-N-allyl-amine)-aniline t-butyl formate)의 합성
Figure 112014048984664-pct00044
중간체 2-(t-부톡시카르보닐아민)-4-(N-p-플루오로벤질-아민)-페닐아민 t-부틸 포르메이트(150mg, 0.348mmol)를 디메틸포름아미드(DMF, Dimethyl Formamide)(5mL)에 용해시키고, 알릴 브로마이드(55mg, 0.452mmol) 및 i-Pr2Net(99mg, 0.766mmol)를 적가하여 50℃에서 2h 교반, 냉각하고, 물(10mL)을 첨가하여 희석하여, EtOAc 추출(10mL×3회)하고, 유기상은 포화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으로 건조하고, 농축시켜 컬럼크로마토그래피(PE/EtOAc=4:1)를 통해 화합물 2-(t-부톡시카르보닐아민)-4-(N-p-플루오로벤질-N-알릴-아민)-페닐아민 t-부틸 포르메이트(143mg, 87.2%, 무수 기름모양 물질)를 얻는다. 1H NMR(300 MHz, CDC13): δ 7.18(t, J=6.9Hz, 2H), 6.90-7.06(m, 4H), 6.49(s, 1H), 6.48(d, J=8.7Hz, 1H), 5.79-5.88(m, 1H), 5.18(s, 1H), 5.13(s, 1H), 4.44(s, 2H), 3.92(d, J=3.6Hz, 2H), 1.49(s, 18H)。 13C NMR (75 MHz, CDC13): δ 163.5, 160.3, 154.9, 153.5, 147.5, 134.4, 134.3, 133.4, 128.4, 128.3, 127.0, 116.7, 115.5, 115.2, 80.4, 53.4, 53.1, 28.3.
4.3 2-아미노-4-(N-p-플루오로벤질-N-알릴-아민)-페닐아민에틸포르메이트(2-amino-4-(N-p-fluorobenzyl-N-allyl-amine)-aniline ethyl formate)(K20)의 합성
Figure 112014048984664-pct00045
화합물2-(t-부톡시카르보닐아민)-4-(N-p-플루오로벤질- N-알릴-아민)-페닐아민 t-부틸 포르메이트(80mg, 0.17mmol)를 CH2Cl2(0.2mL)에 용해시키고, TFA(1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h 교반시킨 후, 농축하여 얻은 잔여물을 디옥산(10mL)에 용해시키고, DIPEA(66mg, 0.51mmol)를 첨가하고 0℃에서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18mg, 0.17mmol)의 디옥산(2mL)용액을 천천히 적가하여 실온에서 1h 교반하고, 물을 첨가하여 희석하여, EtOAc추출(10mL×3회)하고, 유기상은 포화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Na2SO4으로 건조하고, 농축시켜 컬럼크로마토그래피(PE/EtOAc=4:1~2:1)를 통해 산물 2-아미노-4-(N-p-플루오로벤질-N-알릴-아민)-페닐아민에틸포르메이트(K20)(28mg, 무색 기름모양 물질)를 얻는다. 1HNMR(300 MHz, CDC13): δ 7.18(t, J=8.1Hz, 2H), 6.99(t, J=8.4Hz, 1H), 6.91(d, J=8.7Hz, 1H), 6.12(d, J=8.7Hz, 2H), 6.06(d, J=2.1Hz, 1H), 5.80-5.86(m, 1H), 5.19(s, 1H), 5.14(d, J=3.0Hz, 1H), 4.44(s, 2H), 4.20(q, J=6.9Hz, 2H), 3.91(d, J=4.5Hz, 2H), 3.59(brs, 2H), 1.28(t, J=6.9Hz, 3H).
제조 실시예4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을 얻는다.
[표 6]
Figure 112014048984664-pct00046
제조 실시예5 : 2-( 메톡시카르보닐 -아민)-4-(N-p- 플루오로벤질 -N-알릴-아민)페닐아민메틸포르메이트(2-( methoxy carbonyl - amine )-4-(N-p- fluorobenzyl -N- allyl -amine)aniline methyl formate )( K22 )의 합성
Figure 112014048984664-pct00047
제조 실시예4와 유사한 조작에 따라, 화합물 2-아미노-4-(N-p-플루오로벤질-N-알릴-아민)-페닐아민메틸포르메이트를 제조한다. 얻어진 화합물(80mg, 0.24mmol)을 디옥산(10mL)에 용해시키고, DIPEA(100mg, 0.98mmol)를 첨가하여, 0℃에서 메틸클로로포르메이트(50mg, 0.53mmol)의 디옥산(2mL)용액을 천천히 적가하여 원료가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한다. 물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EtOAc 추출(10mL×3회)하고, 유기상은 포화식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으로 건조하고, 농축시켜 컬럼크로마토그래피(PE/EtOAc=4:1~2:1)를 통해 산물 2-(메톡시카르보닐-아민)-4-(N-p-플루오로벤질-N-알릴-아민)페닐아민메틸포르메이트(K22)(68mg, 72%)를 얻는다. 1H NMR (300 MHz, CDC13): δ 7.25(t, J=8.4Hz, 2H), 7.12(d, J=8.7Hz, 2H), 6.99(t, J=8.7Hz, 2H), 6.57(d, J=8.7Hz, 1H), 4.45(s, 2H), 3.94(s, 2H), 3.71(s, 6H), 2.22(s, 1H).
제조 실시예5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을 얻는다.
[표 7]
Figure 112014048984664-pct00048

[표 8]
Figure 112014048984664-pct00049
제조 실시예6 : 5-(N-p- 플루오로벤질 -N-알릴-아민)- 벤즈이미다졸 -2-온(5-(N-p-fluorobenzyl-N-allyl-amine)-benzimidazole-2-one(K25)의 합성
Figure 112014048984664-pct00050
제조 실시예4의 방법에 따라 2-아미노-4-(N-p-플루오로벤질-N-알릴-아민)-페닐아민을 제조하여, 상기 화합물(27mg, 0.1mmol)을 THF(5mL)에 용해시키고, 고체 트리포스핀(30mg, 0.1mmol)의 THF(2mL)용액 및 Et3N(30mg, 0.3mmol)을 적가하여 실온에서 2h 교반하고, 농축시켜 컬럼크로마토그래피(PE/EtOAc/MeOH=10:10:1~5:5:1)를 통해 산물 5-(N-p-플루오로벤질-N-알릴-아민)-벤즈이미다졸-2-온(K25)(25mg, 84.5%)을 얻는다. 1H NMR (300 MHz CD3OD): δ 7.34(t, J=8.7Hz, 2H), 7.03 (t, J=8.7Hz, 2H), 6.89(d, J=8.7Hz, 1H), 6.72(d, J=8.7Hz, 2H), 4.42(s, 2H), 3.95(s, 2H), 2.60(s, 1H).
제조 실시예6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화합물 5-(N-p-플루오로벤질-N-알릴-아민)-벤즈이미다졸-2-온(K34)을 제조한다. 1H NMR (300 MHz, DMSO- d6): δ 10.22 ( s, 1H), 10.14 ( s, 1H), 7.26 (t, J=7.8 Hz, 2H), 7.13 (d, J=8.1 Hz, 1H), 6.69 (d, J=8.4 Hz, 1H), 6.32 (d, J= 8.4Hz, 1H), 6.28( s, 1H).
Figure 112014048984664-pct00051
제조 실시예7 : 2-( 에톡시카르보닐 -아민)-4-[N-p- 플루오로벤질 -N-1-(6-히드록시-2-메틸렌-3- 헥세닐 )-아민]-페닐아민에틸포르메이트(2-( ethoxy carbonyl - amine )-4-[N-p-fluorobenzyl-N-1-(6-hydroxy-2-methylene-3-hexenyl)-amine]-aniline ethyl formate)(K32)의 합성
Figure 112014048984664-pct00052
제조 실시예5와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화합물 2-(에톡시카르보닐-아민)-4-(N-p-플루오로벤질-N-알릴-아민)페닐아민에틸포르메이트를 제조하고, 아르곤기체의 보호하에서, 상기 화합물(15mg, 0.036mmol)과 알릴 알코올(allyl alcohol)(21mg, 0.36mmol)을 무수디클로로메탄(3ml)에 용해시키고, 아르곤기체를 기입하여 15분 동안 산소를 제거한다. Grubbs II촉매를 빨리 첨가하고 3회 통풍시키고, 밤새도록 환류한다. 갑압회전하여 용매를 제거한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정제(PE/EtOAc=4:1~2:1)를 통해 산물 2-(에톡시카르보닐-아민)-4-[N-p-플루오로벤질-N-1-(6-히드록시-2-메틸렌-3-헥세닐)-아민]-페닐아민에틸포르메이트K32(15mg, 85%)를 얻는 바, 이는 흑색 기름모양 물질이다. 1H NMR (300 MHz, CDC13): δ 7.18 (dd, J=8.7 Hz, J=8.4 Hz, 2H) ,7.07 -6.96 (m, 5H) ,6.40 (dd, J=8.7 Hz, J=2.7 Hz, 1H), 6.36 ( s, 1H), 5.88-5.79 (dt, J=16.2 Hz, J=5.15 Hz, 1H), 5.03 ( s, 1H), 4.52 ( s, 1H), 4.18 (m, 4H), 4.10 ( s, 2H), 1.28 (m, 6H).
제조 실시예7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화합물 2-(에톡시카르보닐-아민)-4-[N-p-플루오로벤질-N-1-(6-아미노-2-메틸렌-3-헥세닐)-아민]-페닐아민에틸포르메이트(K39)를 얻는다. 1H NM R(CDC13, 300 MHz): 5 7.17 (dd, J=8.4 Hz, J=5.4 Hz, 2H), 7.07 (d, J=9.0 Hz, 2H), 6.98 (t, J=8.7 Hz, 2H), 6.59 ( s, 1H), 6.35 (dd, J=9.0 Hz, J=2.7 Hz, 1H), 6.29 (d, J=15.9 Hz, 1H), 5.76 (d, j=15.9 Hz,lH), 5.11( s, 1H), 4.99 ( s, 1H), 4.49 ( s, 2H), 4.17 (m, 4H), 4.08 ( s, 2H), 1.25 (m, 6H).
Figure 112014048984664-pct00053
제조 실시예8 : 2-아미노-4-(N-p- 플루오로벤질 -N-알릴-아민)-페닐아민 에틸포르 메이트 디염산염(2- amino -4-(N-p- fluorobenzyl -N- allyl - amine ) aniline ethyl formate dihydrochloride)의 제조( K21 ·2 HCl )
Figure 112014048984664-pct00054
화합물 2-아미노-4-(N-p-플루오로벤질-N-알릴-아민)-페닐아민에틸포르메이트(K21)511mg(1.5mmol)를 취하여 디클로로메탄(5mL)에 용해시키고, 5N염산의 에틸아세테이트용액(1mL)을 첨가하여 10분 동안 교반시키고 회전방식으로 용매를 제거하면 2-아미노-4-(N-p-플루오로벤질-N-알릴-아민)-페닐아민에틸포르메이트 디염산염(K21·2HCl)(624mg)를 얻는다.
제조 실시예8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화합물 K3의 염산염 K3·HCl, K17의 염산염 K17·HCl, K18의 염산염 K18·HCl 및 화합물 K20의 디염산염 K20·HCl을 얻는다.
나. 전기생리학적 실험 실시예 : 본 발명의 화합물이 중국햄스터난소세포( CHO )에서의 전기생리학적 실험
1. 세포배양과 형질감염
중국햄스터난소세포(CHO)(중국과학원세포뱅크) 배양액 배합: 50/50 DMEM/F-12(Cellgro, Mamassas, VA), 10%우태아혈청(FBS)(Gibco, 호주), 2mM L-글루탐산(Invitrogen)을 첨가한다. 발현KCNQ통로 및 그 돌연변이: 형질감염 24시간 이전에, 트립신(Sigma, 중국)으로 소화한 후 직경이 60mm인 접시에 펴놓는다. 형질감염은 Lipofectamine2000TM시약(Invitrogen)을 사용하여 그의 프로토콜(protocol)에 의해 진행된다. 형질감염 24시간 이후에, 세포는 소화된 후 폴리-L-라이신(poly-L-lysine)(Sigma)에 침지된 유리판에 다시 펴놓는다. GFP(녹색형광단백질)를 동시형질감염하여 형광현미경을 통해 형질감염세포를 확인할 수 있다.
2. CHO세포에서의 전기생리학적 기록:
실온에서, Axopatch-200B 확대기(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를 사용하여 전세포전압고정기록을 진행한다. 붕규산염유리모세관(World Precision Instrunents, Sarasota, FL)을 신장하여 전극으로 제조하고, 전극내에 새포내액을 충진한 뒤의 저항은 3~5MΩ 세포 내약 배합: 145mM KCl, 1mM MgCl2, 5mM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GTA), 10mM N-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N'-2-에탄술폰산(HEPES), 5mM MgATP(KOH pH=7.3으로 조절). 기록기간에 배스관류시스템(BPS)(ALA Scientific Instruments, Westburg, NY)을 통해 지속적으로 세포 내액을 관류시킨다. 세포 외액: 140mM NaCl, 5mM KCl, 2mM CaCl2, 1.5mM MgCl2, 10mM HEPES, 10mM포도당(NaOH pH=7.4로 조절). 전기적 신호 1kHz를 여과한 후 DigiData 1322A를 사용하여 pClamp 9.2 소프트웨어(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에서 디지털신호로 전환한다. 직렬저항보상 60~80%는 현재의 연구 중에서 다전압 방안을 사용하고 있다. 방안 중 클램프 전압을 -100mV로 설정한다. 세포는 일련의 2000ms자극전압(-90mV 내지 +50mV, 간격 10mV)으로부터 전류를 유도한다.
3. 실험결과:
여기서 V1/2는 반활성화 전압이고, △V1/2는 반활성화 전압 왼쪽 이동 값이며, 마이너스 부호(-)는 전류활성화 곡선 왼쪽이동을 표시하고, 플러스 부호(+)는 오른쪽 이등을 표시한다. I/I0은 활성화배수이고, 여기서 I0은 -10mV측정전압자극하에서 발생된 전류 피크 값의 최대치이고 I는 투여(화합물 농도는 10μM)후 마찬가지로 -10mV측정전압자극하에서 발생된 전류피크 값의 최대치이며, I/I0>1은 작동활성을 나타내고, I/I0<1은 억제활성을 나타낸다. N는 측정된 세포 수이고, NT는 미측정을 나타낸다.
[표 9]
Figure 112014048984664-pct00055

[표 9]
Figure 112014048984664-pct00056
다. 화합물의 체내약효평가 실시예
체내약효 실시예1 : 화합물 K9 K1 이 펜틸렌테트라졸( PTZ , pentylenetetrazole)에 의한 경련을 치료하는 작용
1. 치료목적:
본 발명의 화합물 K9, K1과 레티가빈(실험실에서 US5384330에서 공개된 방법으로 자아적으로 제조함)의 항경련작용을 비교한다.
2. 샘플처리:
레티가빈: 담회색 분말, 쉽게 물에 용해된다. 무색, 투명액체.
화합물 K9: 황색과립, 물에 쉽게 용해되지 않는다. 0.2%CMC용액을 첨가한 후, 30분 초음파처리를 거친 후, 균일한 현탁액으로 된다.
화합물K1: 담황색 과립, 물에 쉽게 용해되지 않는다. 0.2%CMC용액을 첨가한 후, 30분 초음파처리를 거친 후, 균일한 현탁액으로 된다.
3. 실험동물:
C57BL/6J마우스(중국과학원 실험동물센터): 16~18그램.
4. 실험단계:
위관장방식으로 실험약물(30mg/kg)을 투여하고; 1시간 뒤, 펜틸렌테트라졸(PTZ 80mg/kg)을 피하주사하고; 60 분이내의 동물의 반응을 즉각 관찰한다.
5. 실험결과:
[표 10]
Figure 112014048984664-pct00057

동물은 레티가빈처리를 거친 후, 조용하고 운동이 감소되며, 20분 뒤, 점차적으로 회복되고, 1h뒤, 뚜렷한 이상소견이 없다. 동물은 각각 K9와 K1처리를 거친 후, 경련발생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바, 이는 PTZ급성경련 마우스 발작성 간헐성 발작 잠복기를 연장하고, 전신 강직성 발작 잠복기를 연장하며 사망률을 낮추게 된다. 결과에 따르면, 삼자는 효과가 상당히 우월한 항경련작용을 갖고 있다.
체내약효 실시예2 : 복강주사 화합물 K21 PTZ ( 펜틸렌테트라졸 )과 MES (최대전류자극)에 의해 유도된 동물모델에 대한 치료작용의 측정실험
1. 실험목적:
K21과 양성 화합물 레티가빈의 항경련작용을 비교한다.
2. 샘플처리:
레티가빈: 담회색 분말, 물에 쉽게 용해된다. 무색, 투명액체.
K21: 황록색 정제모양의 과립, 물에 쉽게 용해되지 않는다. 먼저 50ul의 DMSO로 용해한 뒤, 0.5%HEC용액을 첨가하면 균일한 현탁액을 이룬다.
3. 실험동물:
웅성 KM마우스(중국과학원 실험동물센터에서 구매): (22±2)그램.
4. 실험단계:
(1) PTZ측정: 각종 실험약물을 복강주사하고(10mg/kg, 5mg/kg, 2.5mg/kg, 0.1ml/10g); 30분 뒤, 펜틸렌테트라졸(PTZ, 100mg/kg)을 피하주사하고; 1h내에 동물의 반응정황을 즉각 관찰 및 기록한다.
(2) MES측정: YLS-9A형 생리약리학적 전자 자극기는 배치방식 8을 이용하고, 자극전압 160V, 파수 90개(즉 자극시간 5.4sec)로 설정한다. 이어 클램프 전압으로 전기자극을 1회 인가하고, 후지 강직성 신직을 경련지표로 하고, 실험 하루전에 선별을 진행한다. 실험시, 우선 각종 시험약물을 복강주사(10mg/kg, 0.1ml/10g)하고, 30분 뒤에 실험 하루 전에 설정한 파라미터에 따라 MES측정을 진행하고, 동물의 반응정황을 즉각 관찰 및 기록한다.
5. 실험결과:
[표 11]
Figure 112014048984664-pct00058

(2) MES측정결과
[표 12]
Figure 112014048984664-pct00059
*p<0.05, **p<0.01, *** p<0.001
6. 실험결론:
화합물 K21은 MES측정과정에서 대발작의 발생을 완전히 억제하였고, PTZ 측정에서 동물경련발생률과 사망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며, PTZ에 의해 유도된 급성경련 마우스 간헐성 경련발작 잠복기를 연장하고 일정한 투여량 효능관계가 존재한다. 화합물K21의 항경련효과는 동일한 투여량에서 양성화합물 레티가빈보다 약간 강하다. 양자는 모두 일정한 진정작용을 나타낸다.
체내약효실시예3 : K21 경구투여가 PTZ MES 에 의해 유도된 동물모델에 대한 치료작용
1. 실험목적:
K21과 양성 화합물 레티가빈을 경구투여한 항경련작용을 비교한다.
2. 샘플처리:
레티가빈: 담회색 분말, 물에 쉽게 용해된다. 무색, 투명액체.
K21: 황록색 정제모양의 과립, 물에 쉽에 용해되지 않는다. 우선 50μL의 DMSO로 용해한 뒤, 0.2% CMC용액을 첨가하여 20분 초음파처리를 거친 후, 균일한 현탁액을 이룬다.
3. 실험동물:
웅성 KM 마우스(중국과학원 실험동물센터), PTZ 실험에서 동물 체중(22±2)그램; MES 실험에서 동물체중 18g.
4. 실험단계:
(1) PTZ측정
동물을 12h 금식시키고, 위관장 방식으로 시험화합물 CF341과 레티가빈(30mg/kg, 0.2ml/10g)을 투여하고, 1h뒤에 펜틸렌테트라졸(PTZ, 100mg/kg)을 피하주사하고, 1h내에 동물의 반응정황을 즉각 관찰 및 기록한다.
(2) MES측정
YLS-9A형 생리약리학적 전자 자극기는 배치방식 8을 이용하고, 자극전압160V, 파수 90개(즉 자극시간 5.4sec)로 설정한다. 이어 클램프 전압으로 전기자극을 1회 인가하고, 후지 강직성 신직을 경련지표로 하고, 실험 하루 전에 선별을 진행한다.
동물을 12h 금식시키고, 위관장 방식으로 각종 시험약물을 투여(30mg/kg, 0.2ml/10g)하고, 1h뒤에 실험 하루 전에 설정한 파라미터에 따라 MES측정을 진행하여 동물의 반응정황을 즉각 관찰 및 기록한다.
5. 실험결과:
(1) PTZ측정결과
[표 13]
Figure 112014048984664-pct00060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면, *p<0.05, **p<0.01.
(2) MES측정결과
[표 14]
Figure 112014048984664-pct00061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면, ***p<0.001.
7. 실험결론:
화합물 K21과 레티가빈은 MES 측정에서 모두 대발작의 발생을 현저하게 억제하였고, 효과가 상당히 우월하며; PTZ 측정에서, 레티가빈은 동물경련발생률과 사망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고, 화합물 K21는 동물의 강직성 발작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고, 사망률은 대조군에 비해 얼마간 낮아졌지만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라. 화합물의 약물동태학적 연구 실시예
약물동태학적 연구 실시예1 : K9 와 레티가빈이 마우스 뇌조직분포에서의 시험 연구
1. 투여방안
건강한 KM마우스 108마리, 웅성, 체중18~20g, 시험전 12h 금식하게 하고, 자유자재로 물을 마시게 한다. 투여 후 2시간 만에 통일적으로 급식한다. 구체적인 안배는 하기 표와 같다.
[표 15]
Figure 112014048984664-pct00062

시험 전 12h 금식하게 하고, 자유자재로 물을 마시게 한다. 투여 후 2시간 만에 통일적으로 급식한다.
마우스는 위관장 및 정맥투여된 후, 상기 설정시점에 복부 대동맥을 방혈하여 죽게 하되, 마우스를 시점당 3마리씩 죽게 한다. 매 한 마리의 동물에서 0.5ml 전혈을 수집하고, 헤파린 시험관에 넣고, 3000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고, -20℃의 냉장고에 냉동보존한다. 동물을 죽게 한 뒤, 해부하여 전뇌(whole brain)를 적출하여 냉각된 생리식염수로 잔류혈액을 씻어내고, 흡수건조 후, 라벨을 부착하여 -20℃의 냉장고에 냉동보존한다.
2. 시험결과
액상크로마토그래피-이중질량분석법에 의해 혈장과 뇌조직 중의 K9와 레티가빈의 농도를 측정한다.
2.1 K9
마우스에게 20mg/kg의 화합물 K9를 위관장 투여한 뒤, 혈장과 뇌조직 중의 피크농도 Cmax는 각각 2197 ng/ml과 4421 ng/g이고, 곡선하면적 AUC0 -t는 각각 1865 ng·h/ml와 3565 ng·h/g이다. 뇌조직 중의 노출량은 혈장의 약 1.9배에 해당된다. 소실반감기(elimination half life)는 약 1.2h이다.
마우스에게 20mg/kg의 화합물 K9를 정맥 주사한 뒤, 혈장과 뇌조직 중의 곡선하면적 AUC0 -t는 각각 7185 ng·h/ml와 10694 ng·h/g이고, 혈장 제거율은 2.78 L/h/kg이다. 화합물K9가 뇌에서의 노출량은 혈장의 1.5배에 해당된다.
투여량은 교정된 후, 혈장 AUC0 -t에 따라 계산되고, 마우스에게 20mg/kg의 화합물K9를 위관장 투여한 뒤의 절대 생체이용률은 26%이다.
2.2 레티가빈
마우스에게 20mg/kg의 레티가빈을 위관장 투여한 뒤, 혈장과 뇌조직 중의 피크농도Cmax는 각각 2788 ng/ml과 849 ng/g이고, 곡선하면적 AUC0 -t는 각각 21088 ng·h/ml와 3460 ng·h/g이다. 뇌조직 중의 노출량은 혈장의 약 16%에 해당된다. 소실반감기(elimination half life)는 약 7h이다.
마우스에게 20mg/kg의 레티가빈을 정맥 주사한 뒤, 혈장과 뇌조직 중의 곡선하면적 AUC0 -t는 각각 59987 ng·h/ml와 8661 ng·h/g이고, 혈장제거율은 0.322 L/h/kg이다. 레티가빈이 뇌에서의 노출량은 혈장의 14%에 해당된다.
투여량은 교정된 후, 혈장 AUC0 -t에 따라 계산되고, 마우스에게 20mg/kg의 레티가빈을 위관장 투여한 뒤의 절대 생체이용률은 35.2%이다.
약물동태학적 연구 실시예2 : K20 ㆍ2 HCl K21 ㆍ2 HCl 이 마우스 뇌조직분포에서의 시험 연구
1. 투여방안
KM 마우스 54마리, 웅성, 체중 18~20g, 시험 전 12h 금식하게 하고, 자유자재로 물을 마시게 한다. 투여 후 2시간 만에 통일적으로 급식한다. 구체적인 안배는 하기 표와 같다.
[표 16]
Figure 112014048984664-pct00063

Figure 112014048984664-pct00064
는 마우스에게 20mg/kg의 화합물 K20ㆍ2HCl를 위관장 투여한 뒤, 현저한 불안증상이 나타나고, 1마리는 사망하게 된다. 하여 투여량을 5mg/kg으로 줄인다.
시험 전 12h 급식하게 하고 자유자재로 물을 마시게 한다. 투여 후 2시간 만에 통일적으로 급식한다.
마우스는 위관장 투여된 후, 상기 설정시험에 복부 대동맥을 방혈하여 죽게 하되, 마우스를 시점당 3마리씩 죽게 한다. 매 한 마리의 동물에서 0.5ml 전혈을 수집하고, 헤파린 시험관에 넣고, 11000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고, -20℃의 냉장고에 냉동보존한다. 동물을 죽게 한 뒤, 해부하여 전뇌(whole brain)를 적출하여 냉각된 생리식염수로 잔류혈액을 씻어내고, 흡수건조 후, 라벨을 부착하여 -20℃의 냉장고에 냉동보존한다.
2. 시험결과
2.1 K20ㆍ2HCl
마우스에게 20mg/kg의 화합물 K20ㆍ2HCl를 위관장 투여한 뒤, 혈장과 뇌조직 중의 원시약물 K20ㆍ2HCl와 대사물레티가빈의 농도피크시간 Tmax는 모두 0.25h이고, 대사물레티가빈이 혈장과 뇌조직 중의 노출량은 각각 원시약물 K20ㆍ2HCl의 2.9%와 1.8%이고; 원시약물 K20ㆍ2HCl이 뇌조직 중의 농도는 혈장농도의 2.3배이고, 대사물레티가빈은 1.4배이다.
2.2 K20ㆍ2HCl
마우스에게 20mg/kg의 화합물K20ㆍ2HCl를 위관장 투여한 뒤, 혈장과 뇌조직 중의 원시약물 K20ㆍ2HCl와 대사물레티가빈의 농도피크시간Tmax는 모두 0.25h이고, 대사물레티가빈이 혈장과 뇌조직 중의 노출량은 각각 원시약물 K20ㆍ2HCl의 5.4%와 4.6%이고; 원시약물K20ㆍ2HCl이 뇌조직 중의 농도는 혈장농도의 2.4배이고, 대사물레티가빈은 2.0배이다.
상기 시험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에 제공된 화합물은 레티가빈의 칼륨통로 작동활성을 유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체내 항경련효능도 현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웅성KM마우스 모델에 복강주사방식으로 투여하면, 화합물K20ㆍ2HCl의 항경련효과는 양성화합물레티가빈보다 우수하다.
2. 마찬가지로 웅성 KM마우스 모델에 10mg/kg 투여량에 따라 위관장 투여하면, 화합물 K20ㆍ2HCl과 레티가빈은 MES 측정에서 효과가 상당히 우수하고, 대발작의 발생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PTZ 측정에서, 레티가빈은 동물 경련발생률과 사망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고, 화합물 K20ㆍ2HCl은 동물의 강직 발작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약물동태학적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화합물은 레티가빈에 비해 더욱 우수한 뇌조직 농도분포를 갖는다.
1. 마우스에게 20mg/kg의 화합물 K9를 위관장 투여한 뒤, 화합물이 뇌조직 중의 노출량은 혈장의 약 1.9배에 해당되고; 마우스에게 20mg/kg의 화합물 K9를 정맥주사한 뒤, 화합물이 뇌조직 중의 노출량은 혈장의 1.5배에 해당된다. 같은 조건하에서, 레티가빈을 위관장 및 정맥주사 투여하면, 이가 마우스 뇌조직 중의 노출량은 각각 혈장의 16%와 14%이다.
2. 마우스에게 20mg/kg의 화합물 K20를 위관장 투여한 뒤, 화합물이 뇌조직 중의 농도는 혈장농도의 2.3배이다.
3. 마우스에게 5mg/kg의 화합물 K20ㆍ2HCl를 위관장 투여한 뒤, 화합물이 뇌조직 중의 농도는 혈장농도의 2.4배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하기 일반식 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Figure 112016003732534-pct00094

    상기 식에서,
    R1은 C2-C8알케닐 및 C2-C8알키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여기서 상기 C2-C8알케닐은 히드록시, 아미노, 할로겐원자, 페닐 또는 할로겐화 페닐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되고; 상기 C2-C8알키닐은 히드록시, 아미노, 할로겐원자, 페닐 또는 할로겐화 페닐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되고;
    R2는 F, Cl 및 메톡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이며;
    R3은 H, 할로겐원자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Y는 O이며;
    R4는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및 C6-C10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고;
    R5는 H, 할로겐원자, 아미노 및
    Figure 112016003732534-pct00095
    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이거나, 또는 R5는 인접한
    Figure 112016003732534-pct00096
    와 함께
    Figure 112016003732534-pct00097
    의 융합환구조를 형성하며;
    R6은 H 또는 C1-C6알킬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Figure 112016003732534-pct00098

    Figure 112016003732534-pct00099

    Figure 112016003732534-pct00100

    Figure 112016003732534-pct00101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상기 화합물과 산으로 형성된 염이고, 상기 산이 말레인산, 호박산, 구연산, 주석산, 푸마르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프로판디이산(propanedioic acid), 옥살산, 벤조산, 프탈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톨루엔설폰산, 나프탈렌설폰산, 1,5-나프탈렌디설폰산, 캄포르산(camphoric acid), 캄포설폰산(camphor sulfonic acid), 살리실산, 아세토살리실산(acetosalic acid),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젖산, 글루콘산, 아스코르빈산, 아미그달린산(amygdalic acid), 갈산(gallic acid), 사과산(malic acid), 소르빈산(sorbic acid),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타우린(taurine), 호모타우린(homotaurine), 이세티온산, 계피산(cinnamic acid), 염산, 브롬화수소산(hydrobromic acid), 요오드화수소산(hydriodic acid), 황산, 질산, 인산 및 과염소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6. 삭제
  7. 유효 성분으로서 제3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성분(adjuvant)을 포함하는 신경계통 질환의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신경계통 질환이 간질, 경련, 신경성 통증, 급성 국부적 허혈성 뇌졸중 및 신경 퇴행성 질환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8. 삭제
  9. 삭제
KR1020147014008A 2011-10-25 2012-10-23 Kcnq칼륨통로 작동제로 사용가능한 신규화합물, 그 제조방법과 용도 KR101697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328036.9A CN103073455B (zh) 2011-10-25 2011-10-25 一类新型的kcnq钾通道激动剂、其制备方法和用途
CN201110328036.9 2011-10-25
PCT/CN2012/001423 WO2013060097A1 (zh) 2011-10-25 2012-10-23 一类可用作kcnq钾通道激动剂的新型化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643A KR20140090643A (ko) 2014-07-17
KR101697834B1 true KR101697834B1 (ko) 2017-01-19

Family

ID=4815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008A KR101697834B1 (ko) 2011-10-25 2012-10-23 Kcnq칼륨통로 작동제로 사용가능한 신규화합물, 그 제조방법과 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353048B2 (ko)
EP (1) EP2772481B1 (ko)
JP (1) JP5947907B2 (ko)
KR (1) KR101697834B1 (ko)
CN (1) CN103073455B (ko)
HK (1) HK1200437A1 (ko)
IN (1) IN2014KN01113A (ko)
SG (1) SG11201401759QA (ko)
WO (1) WO20130600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7085B (zh) * 2014-04-28 2018-06-29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一类kcnq钾通道激动剂、其制备方法和用途
KR20190008411A (ko) * 2016-06-10 2019-01-23 사이플루어 라이프 사이언시즈, 인크 플로오르화 2-아미노-4-(치환된 아미노)페닐 카르밤산염 유도체
EP3917907A1 (en) 2019-01-29 2021-12-08 Universitá Degli Studi Di Salerno Modulators of potassium ion channels and uses thereof
IL306005A (en) * 2021-03-19 2023-11-01 Xyzagen Inc A prodrug of KV7 channel openers
CN116478068A (zh) * 2022-01-14 2023-07-25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一种高选择性kcnq4钾通道激动剂、其制备方法和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2659A2 (en) 2009-07-28 2011-02-03 Medichem S.A. Diethyl 4-(4-fluorobenzylamino)-1,2-phenylenedicarbamate, and salt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0259A1 (de) * 1992-01-08 1993-07-15 Asta Medica Ag Neue 1,2,4-triaminobenzol-deriva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9539861A1 (de) * 1995-10-26 1997-04-30 Asta Medica Ag Verwendung von 4-Amino-4-(4-fluorbenzylamino)-1-ethoxy-carbonylaminobenzen zur Prophylaxe und Behandlung der Folgen der akuten und chronischen zerebralen Minderdurchblutung sowie neurodegenerativer Erkrankungen
US7906537B2 (en) * 2003-03-21 2011-03-15 H. Lundbeck A/S Substituted p-diaminobenzene derivatives
AR043652A1 (es) * 2003-03-21 2005-08-03 Lundbeck & Co As H Derivados de p-diaminobenceno substituidos como abridores de los canales del ion de potasio de la familia de kcnq
WO2005007601A2 (en) * 2003-07-10 2005-01-27 Achillion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arylthiourea derivatives useful as inhibitors of viral replication
TWI357901B (en) 2004-03-12 2012-02-11 Lundbeck & Co As H Substituted morpholine and thiomorpholine derivati
UA89503C2 (uk) * 2004-09-13 2010-02-10 Х. Луннбек А/С Заміщені похідні аніліну
CA2661462C (en) 2006-08-23 2015-09-29 Valeant Pharmaceuticals International Derivatives of 4-(n-azacycloalkyl) anilides as potassium channel modulators
GB0800035D0 (en) * 2008-01-02 2008-02-13 Glaxo Group Ltd Compoun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2659A2 (en) 2009-07-28 2011-02-03 Medichem S.A. Diethyl 4-(4-fluorobenzylamino)-1,2-phenylenedicarbamate, and salt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643A (ko) 2014-07-17
EP2772481A4 (en) 2015-05-27
JP5947907B2 (ja) 2016-07-06
EP2772481A8 (en) 2014-11-26
JP2014532629A (ja) 2014-12-08
IN2014KN01113A (ko) 2015-10-16
CN103073455B (zh) 2015-08-19
WO2013060097A1 (zh) 2013-05-02
EP2772481B1 (en) 2017-01-18
SG11201401759QA (en) 2014-09-26
CN103073455A (zh) 2013-05-01
HK1200437A1 (en) 2015-08-07
US9353048B2 (en) 2016-05-31
US20140336252A1 (en) 2014-11-13
EP2772481A1 (en)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834B1 (ko) Kcnq칼륨통로 작동제로 사용가능한 신규화합물, 그 제조방법과 용도
CA2898680A1 (en) Substituted benzoxazol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08094909A2 (en) Quinazolinone and fused pyrimidinone compounds and their use in treating sodium channel-mediated diseases or conditions
KR20120136422A (ko) 치환된 모르폴린 및 티오모르폴린 유도체
KR20090083479A (ko) 칼륨 채널 조절제로서의 1,4 디아미노 이환 레티가빈 유사체
AU2015252640B2 (en) A novel KCNQ potassium channel agonist, th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EP2987793B1 (en) Heterocyclic acetic acid amide compound
DK2546255T3 (en) benzazepine
JP2010517926A (ja) グルタミン酸受容体を増強する、統合失調症の治療に有用な4−フェニル−3−(2−プロピルスルホニルアミノ)テトラヒドロフラン誘導体
JP2010517927A (ja) グルタミン酸受容体を増強する化合物および医学におけるその使用
CN115108986A (zh) 阿朴菲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891447A (zh) 一类trpv1拮抗剂、制备方法及其在制备治疗疼痛药物中的应用
WO2001089453A2 (en) Derivatives of 2-aminotetralins and pharmaceutical analogs thereof exhibiting differential cns receptor activity and behavi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