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624B1 - 가스절연모선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스절연모선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624B1
KR101697624B1 KR1020140192748A KR20140192748A KR101697624B1 KR 101697624 B1 KR101697624 B1 KR 101697624B1 KR 1020140192748 A KR1020140192748 A KR 1020140192748A KR 20140192748 A KR20140192748 A KR 20140192748A KR 101697624 B1 KR101697624 B1 KR 101697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nductors
enclosure
conductor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0022A (ko
Inventor
한경민
류재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40192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624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2Gas-insulated switchgear for three phase switch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 재질로 형성되고, 각 도체들 사이의 중앙측에 위치되는 몸체단 및 상기 몸체단의 둘레면으로부터 각 도체를 향해 돌출 형성된 결합단으로 이루어진 절연포스트; 상기 절연포스트의 각 결합단에 상기 각 도체를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 상기 각 도체들의 적어도 어느 한 끝단측에 위치되며, 몸체 부위를 이루는 절연몸체와, 상기 절연몸체의 둘레로부터 돌출 형성되면서 외함과의 결합 부위를 이루는 결합돌부와, 상기 절연몸체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각 도체들과 통전되는 복수의 통전컨덕트로 이루어진 절연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통해 각 도체와 절연포스트 및 절연스페이서가 외함 외부에서 미리 결합된 후 외함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외함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작업 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며, 각 도체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가스절연모선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절연모선 및 그의 제조방법{gas insulating b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스절연모선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세 도체와 외함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한 개선을 통해 조립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며, 각 도체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가스절연모선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절연개폐기(GIS:Gas Insulated Switchgear)에 사용되는 가스절연모선은 삼상 고전압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부싱으로부터 전원을 전달받고 이를 가스절연차단기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가스절연모선은 불활성가스(SF6 가스)가 충전된 외함 내에 삼상 고전압 전원을 전달하는 세 도체가 각각 이격 배치되면서 연장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세 도체는 절연물에 의해 상기 외함에 절연된 상태로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각 도체를 따라 흐르는 전류가 상기 외함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2-105742호, 공개특허 제10-2010-77746호,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23397호,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45064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들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은 외함 내에 세 도체를 각각 인입한 후 이 외함 내부에서 절연물을 이용하여 상기 각 도체와 외함 간을 결합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 작업성이 극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외함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작업자가 해당 외함 내에서 상기 절연물을 결합하는 작업이 극히 곤란하기 때문에 각 외함 내의 끝단측에 상기 절연물을 결합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로써 상기 도체의 각 부위 중 외함 내의 중앙측 부위에 위치되는 부위에 대한 처짐이 발생됨에 따른 각 도체 간의 이격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게 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들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은 절연물을 각 도체마다 별개로 제공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품수의 증가로 인한 조립 시간의 증가가 추가로 야기될 수밖에 없었다. 물론, 미국등록특허 US4,404,423호의 경우 상기 절연물을 단일체로 형성하여 부품수의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지만, 이 역시 외함 내에서 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조립성의 어려움이 여전히 발생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 도체와 외함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한 개선을 통해 조립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며, 각 도체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가스절연모선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스절연모선에 따르면 불활성가스가 충전되면서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지는 외함; 상기 외함 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면서 상기 외함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복수의 도체; 절연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각 도체들 사이의 중앙측에 위치되는 몸체단 및 상기 몸체단의 둘레면으로부터 각 도체를 향해 돌출 형성된 결합단으로 이루어진 절연포스트; 상기 절연포스트의 각 결합단에 상기 각 도체를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 상기 각 도체들의 적어도 어느 한 끝단측에 위치되며, 몸체 부위를 이루는 절연몸체와, 상기 절연몸체의 둘레로부터 돌출 형성되면서 외함과의 결합 부위를 이루는 결합돌부와, 상기 절연몸체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각 도체들과 통전되는 복수의 통전컨덕트로 이루어진 절연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어느 한 면이 상기 절연포스트를 이루는 결합단의 끝단면에 얹히는 평면 구조로 형성됨과 더불어 다른 한 면은 상기 도체의 표면이 얹히도록 라운드 구조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외측플레이트와, 상기 도체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도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외면이 라운드 구조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내측플레이트와, 상기 내측플레이트 및 외측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절연포스트를 이루는 결합단의 끝단면에 체결 결합되면서 상기 외측플레이트와 내측플레이트 및 도체가 상기 결합단에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스절연모선 제조방법에 따르면 단일체로 이루어진 절연포스트의 각 결합단에 도체를 각각 결합 고정하는 제1단계; 상기 각 도체의 어느 한 끝단측에 절연스페이서를 결합하여 도체 조립체를 완성하는 제2단계; 상기 완성된 도체 조립체를 외함 내에 삽입하는 제3단계; 상기 절연스페이서를 상기 외함의 결합브라켓에 결합 고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절연모선 및 그 제조방법은 각 도체와 외함 간의 결합이 절연포스트 및 절연스페이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함 내의 중앙측 부위에 위치되는 각 도체 간의 이격 거리에 대한 유지 및 각 도체의 처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즉, 각 도체들의 중앙측 부위는 단일의 절연포스트로 일괄 결합함으로써 이 절연포스트에 의한 각 도체들 간의 이격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됨과 더불어 각 도체의 처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각 도체들의 끝단은 절연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외함에 결합 고정함으로써 안정적인 설치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가스절연모선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각 도체와 절연포스트 간의 결합 및 각 도체와 절연스페이서 간의 결합은 외함의 외부에서 별도의 작업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절연스페이서와 외함 간의 결합 부위도 외함의 끝단측임을 고려할 때 외함 외부에서 그 결합을 위한 작업을 수행하게 됨에 따라 작업의 편리함 및 작업 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절연스페이서와 외함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결합부에 의한 절연포스트와 도체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결합부에 의한 절연포스트와 도체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7은 도 2의 “B”부 확대도
도 8은 도 1의 “C”부 확대도
도 9는 도 2의 “D”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각 외함 간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가스절연모선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은 크게 외함(100)과, 복수의 도체(200)와, 절연포스트(300)와, 결합부(400) 및 절연스페이서(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각 도체(200)와 절연포스트(300) 및 절연스페이서(500)는 외함 외부에서 미리 결합한 후 외함(100)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외함(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외함(100)은 가스절연모선의 외부 관체를 이루는 부위로써, 불활성가스가 충전되면서 내부가 빈 관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함(100)은 단일의 관체로 이루어지면서 그의 끝단에는 플랜지(110)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 복수의 외함(100)은 상기 각 플랜지(110)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되면서 연장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도체(200)는 삼상의 고전압 전원을 전달하는 부위이다.
이를 위해, 상기 도체(200)는 세 개로 제공됨과 더불어 서로는 동일한 거리를 이루면서 이격 배치되도록 설치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도체(200)는 상기 외함(100) 내부의 축 방향을 따라 긴 파이프 구조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도체(200)는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가 아닌 환봉이나 각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절연포스트(300)는 상기 외함(100) 내부의 각 도체(200)들 사이에 위치되면서 각 도체(200)들 간을 결합함과 더불어 각 도체(200)들 간의 이격 거리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부위이다.
즉, 가스절연모선에 사용되는 각 도체(200)의 경우 그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도체(200)의 각 부위 중 외함(100) 내의 중앙측에 위치되는 부위가 처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절연포스트(300)를 이용하여 상기 각 도체(200)들 간이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절연포스트(300)는 각 도체(200)들 사이의 중앙측에 위치되는 몸체단(310) 및 상기 몸체단(310)의 둘레면으로부터 각 도체(200)를 향해 돌출된 결합단(320)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일부는 절연 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각 도체(200)와의 결합에도 불구하고 상기 각 도체(200)가 서로 통전되지는 않도록 한다.
물론, 종래에도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포스트(300)와 같이 각 도체(200)들 간의 이격 거리가 항상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하는 절연물의 구조가 존재하였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의 절연물은 각각 별개로 이루어지면서 외함(100)에 결합 고정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각 도체(200)와의 결합을 위한 작업은 외함(100) 내부와 외함(100) 외부에서 동시에 진행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이를 고려한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포스트(300)는 단일체로 형성되면서 외함(100)의 외부에서 각 도체(200)에 미리 결합 한 상태로 상기 각 도체(200)를 외함(100) 내에 삽입하는 작업에 의해 상기 외함(100)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외함(100) 내의 가장자리측에만 위치되는 것이 아닌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함(100) 내의 중앙측 부위(각 도체의 중앙측 부위)에 위치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각 도체(200)의 처짐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부(400)는 상기 절연포스트(300)의 각 결합단(320)에 상기 각 도체(200)를 결합 고정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와 같은 결합부(400)는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플레이트(410)와, 내측플레이트(420) 및 고정볼트(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플레이트(410)는 상기 도체(200)의 외표면과 상기 절연포스트(300)를 이루는 결합단(320) 간의 접촉면 사이에 개재되면서 상기 도체(200)가 상기 결합단(320)에 정확히 안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구성으로, 첨부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면이 상기 절연포스트(300)를 이루는 결합단(320)의 끝단면에 얹히는 평면 구조로 형성됨과 더불어 다른 한 면은 상기 도체(200)의 표면이 얹히도록 라운드 구조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측플레이트(420)는 상기 도체(200)의 내표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외측플레이트(410)와 후술될 고정볼트(430)로 체결되어 상기 도체(200)가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도체(200)의 내부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한 내측플레이트(420)의 외면(도면상 저면)은 첨부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체(2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도체(200)의 내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라운드 구조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전술된 외측플레이트(410) 및 내측플레이트(420)는 도체(20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430)는 상기 외측플레이트(410)와 내측플레이트(420) 및 절연포스트(300)의 결합단(320)을 서로 체결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고정볼트(430)는 상기 내측플레이트(420) 및 외측플레이트(41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절연포스트(300)를 이루는 결합단(320)의 끝단면에 체결 결합되면서 상기 외측플레이트(410)와 내측플레이트(420) 및 도체(200)가 상기 결합단(320)에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430)는 상기 도체(2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도체(20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게 그 높이가 결정된다. 즉, 상기 고정볼트(430)의 경우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고정볼트(430)가 상기 도체(2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위치된다면 상기 도체(200)를 흐르는 전류가 상기 고정볼트(430)로도 흐르게 되면서 외함(100)과의 절연 파괴를 야기할 우려가 있음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430)를 상기 도체(200)의 내부에만 위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도체(200)의 외주면에는 관통홀(210)이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홀(210)을 통해 상기 고정볼트(430)의 관통 체결 및 상기 내측플레이트(420)를 도체(200) 내부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절연스페이서(500)는 상기 각 도체(200)들의 끝단측 부위를 외함(100) 내의 끝단측 부위에 결합 고정하는 부위이다.
즉, 각 도체(200)의 중앙측 부위는 전술된 절연포스트(300)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처짐이 방지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각 도체(200)의 끝단측 부위는 절연스페이서(500)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처짐이 방지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각 도체(200)의 전 부위에 대한 처짐 방지 및 항상 일정한 이격 거리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절연포스트(300)의 경우는 외함(100)과 어떠한 결합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절연스페이서(400)에 의해 각 도체(200)가 상기 외함(100)과의 결합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절연스페이서(500)는 첨부된 도 2와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도체(200)들의 적어도 어느 한 끝단측에 위치되면서 절연몸체(510)와 결합돌부(520) 및 통전컨덕트(531,5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몸체(510)는 절연스페이서(500)의 몸체 부위를 이루는 구성이고, 상기 결합돌부(520)는 상기 절연몸체(510)의 둘레로부터 돌출 형성되면서 외함(100)과의 결합 부위를 이루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절연몸체(510)와 결합돌부(520)는 단일체를 이루면서 절연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각 도체(200)들끼리의 통전이 방지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각 도체(200)와 외함(100)의 통전 역시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돌부(520)는 상기 외함(100)의 끝단측 내주면에 결합 고정되는 부위이다. 이때, 상기 외함(100)의 끝단측 내주면에는 상기 절연스페이서(500)를 이루는 결합돌부(520)를 가로막도록 위치되는 결합브라켓(120)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돌부(520)는 상기 결합브라켓(120)과 볼트(도시는 생략됨)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돌부(520)의 외측에 커버체(540)가 더 구비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와 같은 커버체(540)는 상기 결합돌부(520)와 결합브라켓(120) 간을 체결하는 볼트의 전계 완화를 위한 역할을 함과 더불어 상기 결합브라켓(120)과 함께 결합돌부(520)에 볼트 체결되면서 상기 결합돌부(520)가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외함(100)의 내에 구비되는 결합브라켓(120)은 상기 외함(100)과는 별도로 제공되면서 상기 외함(100)에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외함(1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절연스페이서(500)를 이루는 통전컨덕트(531,532)는 각 도체(200)들과의 결합을 위한 부위로의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도체(200)들이 또 다른 외함(100) 내에 위치되는 각 도체(200)들과 통전되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추가로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때 상기 또 다른 외함(100)이라 함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시되는 가스절연모선을 이루는 외함(100)과 동일한 형태 및 구조의 외함으로써, 이러한 외함이 복수가 결합되어 단일의 가스절연모선을 이루게 된다.
상기 통전컨덕트(531,532)는 통전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면서 외함(100) 내에 위치된 각 도체(200)의 끝단이 수용되거나 혹은, 상기 각 도체(200)의 끝단 내로 삽입되는 내측통전컨덕트(531)와, 통전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면서 일단은 상기 내측통전컨덕트(531)와 통전되게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은 외함(100) 외부를 향해 돌출되게 이루어진 외측통전컨덕트(532)로 이루어지며, 이로써 서로 연장되는 두 외함(100) 내의 각 도체(200) 간 통전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통전컨덕트(531,532)의 외주면에는 링형의 컨택스프링(contact spring)(533,534)이 구비되면서 도체(200)와의 통전 결합이 더욱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의 제조 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단일체로 이루어진 절연포스트(300)의 각 결합단(320)에 도체(200)를 각각 안착시킨 상태에서 결합부(400)를 이용하여 서로 간을 결합 고정한다.
즉, 상기 절연포스트(300)의 각 결합단(320) 상면에 결합부(400)를 이루는 외측플레이트(410)를 얹은 상태에서 이 외측플레이트(410)에 상기 도체(200)를 접촉시킴과 더불어 상기 도체(200)에 형성된 관통홀(210)을 통해 내측플레이트(420)를 삽입하여 상기 도체(200) 내주면에 접촉시킨 후 고정볼트(430)를 내측플레이트(420)와 도체(200)와 외측플레이트(410) 및 결합단(320)에 순차적으로 관통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절연포스트(300)와 도체(2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절연포스트(300)의 모든 결합단(320)에 각각의 도체(200)에 대한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각 도체(200)의 어느 한 끝단측에 절연스페이서(500)를 결합하여 도체 조립체(도체와 절연포스트 및 절연스페이서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조립체)를 완성한다.
이때, 상기 절연스페이서(500)와 도체(200) 간의 결합은 상기 절연스페이서(500)를 이루는 각 내측통전컨덕트(531)에 상기 각 도체(200)를 통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완성된 도체 조립체를 외함(100) 내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도체 조립체는 각 도체(200)의 양측 중 상기 절연스페이서(500)가 결합된 측과는 반대측 부위로부터 상기 외함(100)의 내부로 삽입하며, 이러한 도체 조립체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절연스페이서(500)를 이루는 결합돌부(520)는 상기 외함(100)의 끝단측 내주면에 구비된 결합브라켓(120)에 가로막혀 더 이상의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결합돌부(520)의 외측에 커버체(540)를 추가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체(540)와 결합돌부(520) 및 결합브라켓(120)을 일괄적으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는 첨부된 도 3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로써, 상기 도체 조립체와 외함(100)과의 결합이 완료된다.
그리고, 전술된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도체 조립체가 결합된 복수의 외함(100)이 준비되면, 상기 각 외함(100)을 서로 연장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각 외함(100)들의 플랜지(110) 간을 서로 결합함과 더불어 상기 각 외함(100) 내의 일측 끝단에 위치된 절연스페이서(500)의 외측통전컨덕트(532)를 여타 외함(100) 내의 타측 끝단에 위치된 각 도체(200)와 결합한다. 이는 첨부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따라서, 전술된 각 과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모선이 완성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가스절연모선은 각 도체(200)와 외함(100) 간의 결합이 절연포스트(300) 및 절연스페이서(5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함(100) 내의 중앙측 부위에 위치되는 각 도체(200) 간의 이격 거리에 대한 유지 및 각 도체(200)의 처짐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각 도체(200)들의 중앙측 부위는 단일의 절연포스트(300)로 일괄 결합함으로써 이 절연포스트(300)에 의한 각 도체(200)들 간의 이격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됨과 더불어 각 도체(200)의 처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각 도체(200)들의 끝단은 절연스페이서(500)를 이용하여 외함(100)에 결합 고정함으로써 안정적이 설치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특히, 상기 각 도체(200)와 절연포스트(300) 간의 결합 및 각 도체(200)와 절연스페이서(500) 간의 결합은 외함(100)의 외부에서 별도의 작업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절연스페이서(500)와 외함(100) 간의 결합 부위도 외함(100)의 끝단측임을 고려할 때 외함(100) 외부에서 그 결합을 위한 작업을 수행하면 됨에 따라 작업의 편리함 및 작업 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100. 외함 110. 플랜지
120. 결합브라켓 200. 도체
210. 관통홀 300. 절연포스트
310. 몸체단 320. 결합단
400. 결합부 410. 외측플레이트
420. 내측플레이트 430. 고정볼트
500. 절연스페이서 510. 절연몸체
520. 결합돌부 531. 내측통전컨덕트
532. 외측통전컨덕트 533,534. 컨택스프링
540. 커버체

Claims (3)

  1. 불활성가스가 충전되면서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지는 외함;
    상기 외함 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면서 상기 외함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복수의 도체;
    절연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각 도체들 사이의 중앙측에 위치되는 몸체단 및 상기 몸체단의 둘레면으로부터 각 도체를 향해 돌출 형성된 결합단으로 이루어진 절연포스트;
    상기 절연포스트의 각 결합단에 상기 각 도체를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
    상기 각 도체들의 적어도 어느 한 끝단측에 위치되며, 몸체 부위를 이루는 절연몸체와, 상기 절연몸체의 둘레로부터 돌출 형성되면서 외함과의 결합 부위를 이루는 결합돌부와, 상기 절연몸체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각 도체들과 통전되는 복수의 통전컨덕트로 이루어진 절연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어느 한 면이 상기 절연포스트를 이루는 결합단의 끝단면에 얹히는 평면 구조로 형성됨과 더불어 다른 한 면은 상기 도체의 표면이 얹히도록 라운드 구조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외측플레이트와, 상기 도체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도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외면이 라운드 구조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내측플레이트와, 상기 내측플레이트 및 외측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절연포스트를 이루는 결합단의 끝단면에 체결 결합되면서 상기 외측플레이트와 내측플레이트 및 도체가 상기 결합단에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모선.
  2. 삭제
  3. 단일체로 이루어진 절연포스트의 각 결합단에 도체를 각각 결합 고정하는 제1단계;
    상기 각 도체의 어느 한 끝단측에 절연스페이서를 결합하여 도체 조립체를 완성하는 제2단계;
    상기 완성된 도체 조립체를 외함 내에 삽입하는 제3단계;
    상기 절연스페이서를 상기 외함의 결합브라켓에 결합 고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모선 제조방법.
KR1020140192748A 2014-12-29 2014-12-29 가스절연모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97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748A KR101697624B1 (ko) 2014-12-29 2014-12-29 가스절연모선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748A KR101697624B1 (ko) 2014-12-29 2014-12-29 가스절연모선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022A KR20160080022A (ko) 2016-07-07
KR101697624B1 true KR101697624B1 (ko) 2017-01-18

Family

ID=5649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748A KR101697624B1 (ko) 2014-12-29 2014-12-29 가스절연모선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6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603B1 (ko) 2016-12-21 2018-08-23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전계완화용 모선도체 연결구조
CN110544898A (zh) * 2019-10-22 2019-12-0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安装导电杆的工装辅助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207B1 (ko) 2007-12-28 2012-04-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모선
JP5496624B2 (ja) * 2009-11-26 2014-05-21 中国電力株式会社 引き込み線用相間スペー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21U (ja) * 1992-07-24 1994-02-25 株式会社リケン 内燃機関用組合せオイルコントロールリング
JPH09130932A (ja) * 1995-11-02 1997-05-16 Meidensha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207B1 (ko) 2007-12-28 2012-04-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모선
JP5496624B2 (ja) * 2009-11-26 2014-05-21 中国電力株式会社 引き込み線用相間スペー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022A (ko)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020B1 (ko) 스위치기어의 모선연결장치 및 그의 모선연결방법
US7614895B2 (en) Electrical busway and coupling assembly therefor
US20200194977A1 (en) Conductor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US20100012375A1 (en) Electrical busway and offset coupling assembly therefor
JP4231001B2 (ja) 絶縁母線システムおよびその母線ユニットの連結方法
WO2019010890A1 (zh) 一种gis设备及其三相共箱母线筒体
KR101697624B1 (ko) 가스절연모선 및 그의 제조방법
RU2304831C2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шинного канала, изолированного по фазам
JP2014030282A (ja) 三相一括型ガス絶縁母線
US4053338A (en) Method of fabricating compressed gas insulated cable
US10424850B2 (en) Self-locking wire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09155177B (zh) 用于将高压导体与电气设备的绕组连接的设备
US20210126408A1 (en) Conductor assembly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KR0130538B1 (ko) 케이블말단을 가진 가스절연보호 스위칭장치
KR20150000845A (ko) 변압기 조립 방법
KR101890603B1 (ko) 전계완화용 모선도체 연결구조
JP5156849B2 (ja) 信号中継器
US8608496B2 (en) Connector for multi-phase conductors
JP2000134774A (ja) 絶縁母線システム及びその絶縁母線の組立て方法
CN220122467U (zh) 空气绝缘计量柜及开关柜并柜结构
US20210127521A1 (en) Conductor assembly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JP2006164999A (ja) 高圧回路用の抵抗器ユニット
JP4542868B2 (ja) 密閉形電気機器設備
KR20170003715U (ko) 가스 절연 모선
JPH1014063A (ja) 盤間接続母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