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353B1 -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353B1
KR101697353B1 KR1020150097299A KR20150097299A KR101697353B1 KR 101697353 B1 KR101697353 B1 KR 101697353B1 KR 1020150097299 A KR1020150097299 A KR 1020150097299A KR 20150097299 A KR20150097299 A KR 20150097299A KR 101697353 B1 KR101697353 B1 KR 101697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unit
waterproof connector
negative pressur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봉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50097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는, 기밀상태로 방수형 커넥터와 체결되는 검사치구; 부압을 발생시켜 검사치구에 공급하는 부압발생부; 부압발생부에서 발생되는 부압을 선택적으로 검사치구에 공급하는 검사밸브; 검사치구와 방수형 커넥터의 체결상태를 감지하는 체결상태 감지부; 검사치구에 생성된 진공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기밀검사를 위한 검사모드를 선택하고 검사를 진행시키기 위한 키입력부; 키입력부의 상태에 따라 부압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체결상태 감지부를 통해 방수형 커넥터가 체결된 경우 검사밸브를 작동시키며 압력센서로부터 검사치구에 생성된 진공압력을 입력받아 기밀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서의 검사 진행과정 및 검사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INSPECTING APPARATUS FOR WATERPROOF CONNEC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형 커넥터의 기밀상태를 검사하면서 검사상태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검사결과에 대해 합부판정을 수행하는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고압회로 및 시동회로 뿐만 아니라 각종 편의장치 및 안정장치를 위한 다양한 전기회로가 구비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기회로를 자동차의 조립라인에서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 형태로 만들어 조립하고 있다.
와이어 하네스는 전선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단자(terminal)를 부착하여 정해진 형태로 배열하고 그 위를 비닐 테이프 등으로 집속한 것이다. 와이어 하네스에 적용되는 전선으로서는 자동차용 저압전선, 자동차용 박육저압전선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엔진룸내의 고온화에 대처하여 자동차용 내열저압전선도 사용되고 있다. 게다가 최근 자동차용 전자화에 대응하여 전자노이즈 방지를 위한 꼬인전선, 절연전선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전선다발의 집속에는 비닐 테이프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이외에 와이어 하네스의 기계적 보호용으로서 비닐 테이프 튜브, 코르게이트 튜브, 유리섬유조직튜브, 수지성형 프로텍터 등이 사용된다.
아울러, 자동차에 필요한 여러 가지의 와이어 하네스 중에서 자동차의 실내에 조립하지 않고 엔진룸 등과 같은 실외에 조립하는 와이어 하네스에는 방수능력을 부여한다.
이처럼 방수능력이 부여된 방수형 와이어 하네스의 조립 구조를 살펴보면, 적어도 두 가닥 이상의 전선을 마치 한 가닥의 전선처럼 모듈화하여 그 입출력선단에 단자를 부가접속하며, 방수를 위해 단자의 전선을 씰(seal)로 둘러싸고, 씰을 포함한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housing)에 삽입시키는 구조와, 전기회로가 적용되지 않는 하우징 커넥터 홀에 방수만을 목적으로 막음씰을 삽입시키는 구조가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와이어 하네스는 복수의 와이어가 하나로 모듈화된 상태에서 복수의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때문에 단선이나 합선 등을 찾아낼 수 있는 통전시험은 매우 까다롭게 이루어지며, 방수형 와이어 하네스의 경우에는 방수 씰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특히, 자동차에 조립되는 다수의 와이어 하네스 중에서 어떤 와이어 하네스가 불량인 경우에 불량된 와이어 하네스를 정확하게 찾아내기가 매우 어렵고, 와이어 하네스의 출하 후에는 고장의 복구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불량한 와이어 하네스를 찾아내기 위한 출하 전 검사가 까다롭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3-0063824호(2013.06.17.)인 "타이어 카카스의 조인트 상태 감지장치"가 있다.
이러한 방수형 커넥터의 기밀상태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검사치구에 커넥터를 안착시킨 후 검사구 내부를 진공상태를 만든 다음 진공압력이 기준값 이상인지 이하인지 판단하여 검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단순히 진공압력을 확인하여 기준값 이상인 경우와 기준값 이하인 경우만을 판단하기 때문에 검사 데이터의 결과값 산출이 어렵고, 데이터 관리가 되지 않아 방수형 커넥터의 방수검사 상태 판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형 커넥터의 기밀상태를 검사하면서 검사상태를 그래프로 표시할 뿐만 아니라 검사결과에 대해 합부판정을 수행하는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는, 기밀상태로 방수형 커넥터와 체결되는 검사치구; 부압을 발생시켜 검사치구에 공급하는 부압발생부; 부압발생부에서 발생되는 부압을 선택적으로 검사치구에 공급하는 검사밸브; 검사치구와 방수형 커넥터의 체결상태를 감지하는 체결상태 감지부; 검사치구에 생성된 진공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기밀검사를 위한 검사모드를 선택하고 검사를 진행시키기 위한 키입력부; 키입력부의 상태에 따라 부압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체결상태 감지부를 통해 방수형 커넥터가 체결된 경우 검사밸브를 작동시키며 압력센서로부터 검사치구에 생성된 진공압력을 입력받아 기밀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서의 검사 진행과정 및 검사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검사모드는 최고압과 설정시간 이후의 잔압을 기반으로 합부를 판정하는 제 1모드와,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로 합부를 판정하는 제 2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제어부의 처리과정을 외부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에서 기밀상태의 판단결과에 따른 합부결과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의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키입력부로부터 검사시작을 입력받는 단계; 제어부가 검사시작이 입력되면 검사치구와 방수형 커넥터의 체결상태를 체결상태 감지부로부터 입력받아 검사밸브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제어부가 압력센서로부터 검사치구에 생성된 진공압력을 입력받아 검사모드에 따른 합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검사모드는 최고압과 설정시간 이후의 잔압을 기반으로 합부를 판정하는 제 1모드와,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로 합부를 판정하는 제 2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가 검사치구와 방수형 커넥터의 체결상태, 검사밸브의 작동상태, 측정된 진공압력 및 검사모드에 따른 합부 판정결과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방수형 커넥터의 기밀상태를 검사하면서 검사상태를 그래프로 표시할 뿐만 아니라 검사결과에 대해 합부판정을 수행함으로써 검사결과에 대한 데이터 관리가 용이하고 기밀검사 상태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에 의한 검사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에 의한 검사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는 검사치구(20), 부압발생부(40), 체결상태 감지부(60), 압력센서(50), 키입력부(70), 제어부(80) 및 표시부(90)를 포함한다.
검사치구(20)는 방수형 커넥터(10)의 기밀상태를 검사하기위한 포트로써, 방수형 커넥터(10)와 기밀상태로 체결되며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동시에 다수개의 방수형 커넥터(10)와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부압발생부(40)는 검사치구(20)에 진공을 발생시키기 위해 부압을 발생시켜 검사치구(20)에 공급한다.
검사밸브(30)는 부압발생부(40)에서 발생되는 부압을 선택적으로 검사치구(20)에 공급하여 검사대상인 방수형 커넥터(10)가 체결된 검사치구(20)에만 부압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검사밸브(30)는 검사치구(20)가 다수개 구비될 경우, 검사치구(20)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다수개 구비된다.
체결상태 감지부(60)는 검사치구(20)와 방수형 커넥터(10)의 체결상태를 감지하여 체결상태를 제어부(80)에 출력함으로써 제어부(80)에서 방수형 커넥터(10)가 체결된 검사치구(20)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압력센서(50)는 검사치구(50)에 생성된 진공압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제어부(80)에 출력한다.
키입력부(70)는 기밀검사를 위한 검사모드를 선택하고 검사를 진행시키기 위해 시작 및 종료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70)를 통해 검사모드에 따른 설정값을 설정하고 변경할 수도 있다.
제어부(80)는 키입력부(70)의 상태에 따라 부압발생부(40)의 동작을 제어하고, 체결상태 감지부(60)를 통해 방수형 커넥터(10)가 체결된 경우 검사밸브(30)를 작동시키며 압력센서(50)로부터 검사치구(20)에 생성된 진공압력을 입력받아 기밀상태를 판단한다.
즉, 방수형 커넥터(10)의 기밀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검사치구(20)에 방수형 커넥터(10)를 체결하고 키입력부(70)를 통해 검사모드와 검사시작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80)는 부압발생부(40)를 동작시켜 부압을 발생시킨 후 체결상태 감지부(60)로부터 확인된 검사치구(20)에 부압이 공급될 수 있도록 검사밸브(30)를 작동시켜 검사치구(20)에 진공상태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80)는 압력센서(50)를 통해 측정된 검사치구(20)의 진공압력을 입력받아 검사모드에 따른 기준값과 비교하여 방수형 커넥터(10)의 합부를 판정한다.
이때 검사모드는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고압과 설정시간 약 3초 이후의 잔압을 기반으로 합부를 판정하는 제 1모드와,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로 합부를 판정하는 제 2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90)는 제어부(80)에서의 검사 진행과정 및 검사결과를 그래프로 표시하여 압력센서(50)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변화를 식별할 수도 있으며, 합부 판정을 위한 모드별 기준값도 표시되어 방수형 커넥터(10)의 품질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 검사결과에 대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어부(80)에서 기밀상태의 판단결과에 따른 합부결과를 출력하는 알람부(100)를 포함하여 합부결과를 검사자가 표시부(90)를 통해 모니터링을 하지 않더라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판정결과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어부(80)의 처리과정을 외부장치(120)로 출력하기 위한 통신부(110)를 포함하여 외부장치(120)에서 검사결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도 있고, 검사 진행상황 및 검사결과를 저장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에 따르면, 방수형 커넥터의 기밀상태를 검사하면서 검사상태를 그래프로 표시할 뿐만 아니라 검사결과에 대해 합부판정을 수행함으로써 검사결과에 대한 데이터 관리가 용이하고 기밀검사 상태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의 제어방법에서는, 먼저 제어부(80)가 키입력부(70)로부터 검사시작을 입력받는다(S10).
즉, 방수형 커넥터(10)의 기밀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검사치구(20)에 방수형 커넥터(10)를 체결한 상태에서 키입력부(70)를 통해 검사모드를 선택하고 검사시작을 선택함에 따라 제어부(80)는 키입력부(70)로부터 검사시작을 입력받는다.
이후 제어부(80)는 키입력부(70)로부터 검사시작이 입력되면, 검사치구(20)와 방수형 커넥터(10)의 체결상태를 체결상태 감지부(60)로부터 입력받는다(S20). 그리고, 제어부(80)는 방수형 커넥터(10)가 체결된 검사치구(20)의 검사밸브(30)를 작동시킨다(S30).
이때 제어부(80)는 다수의 검사치구(20) 중 방수형 커넥터(10)가 체결된 검사치구(20)에 대해서만 부압이 공급될 수 있도록 방수형 커넥터(10)가 체결된 검사치구(20)의 검사밸브(30)만을 작동시킨다.
그런 다음 제어부(80)는 압력센서(50)로부터 검사치구(20)에 생성된 진공압력을 입력받는다(S40).
제어부(80)는 키입력부(70)를 통해 설정된 검사모드에 따라 압력센서(50)로 입력된 압력값을 기반으로 검사치구(20)에 체결된 방수형 커넥터(10)의 기밀상태에 대한 합부를 판정한다(S50).
즉,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모드가 선택된 경우 최고압과 설정시간 약 3초 이후의 잔압을 기반으로 합부를 판정할 수 있고,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모드가 선택된 경우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로 합부를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80)는 합부 판정 결과에 따라 알람부(100)를 작동시켜 검사자가 합부 결과를 시각적이나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80)는 검사치구(20)와 방수형 커넥터(10)의 체결상태, 검사밸브(30)의 작동상태, 측정된 진공압력 및 검사모드에 따른 합부 판정결과를 표시부(90)를 통해 그래프로 출력함으로써, 검사 진행과정 및 검사결과에 대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 방수형 커넥터(10)의 품질 상태 및 검사결과에 대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방수형 커넥터의 기밀상태를 검사하면서 검사상태를 그래프로 표시할 뿐만 아니라 검사결과에 대해 합부판정을 수행함으로써 검사결과에 대한 데이터 관리가 용이하고 기밀검사 상태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방수형 커넥터 20 : 검사치구
30 : 검사밸브 40 : 부압발생부
50 : 압력센서 60 : 체결상태 감지부
70 : 키입력부 80 : 제어부
90 : 표시부 100 : 알람부
110 : 통신부 120 : 외부장치

Claims (7)

  1. 기밀상태로 방수형 커넥터와 체결되는 검사치구;
    부압을 발생시켜 상기 검사치구에 공급하는 부압발생부;
    상기 부압발생부에서 발생되는 부압을 선택적으로 상기 검사치구에 공급하는 검사밸브;
    상기 검사치구와 상기 방수형 커넥터의 체결상태를 감지하는 체결상태 감지부;
    상기 검사치구에 생성된 진공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기밀검사를 위한 검사모드를 선택하고 검사를 진행시키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의 상태에 따라 상기 부압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체결상태 감지부를 통해 상기 방수형 커넥터가 체결된 경우 상기 검사밸브를 작동시키며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상기 검사치구에 생성된 진공압력을 입력받아 기밀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의 검사 진행과정 및 검사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검사모드는 최고압과 설정시간 이후의 잔압을 기반으로 합부를 판정하는 제 1모드와,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로 합부를 판정하는 제 2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처리과정을 외부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기밀상태의 판단결과에 따른 합부결과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
  5. 제어부가 키입력부로부터 검사시작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검사시작이 입력되면 검사치구와 방수형 커넥터의 체결상태를 체결상태 감지부로부터 입력받아 검사밸브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압력센서로부터 상기 검사치구에 생성된 진공압력을 입력받아 검사모드에 따른 합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검사모드는 최고압과 설정시간 이후의 잔압을 기반으로 합부를 판정하는 제 1모드와,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로 합부를 판정하는 제 2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의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사치구와 상기 방수형 커넥터의 체결상태, 상기 검사밸브의 작동상태, 측정된 진공압력 및 검사모드에 따른 합부 판정결과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의 제어방법.
  7. 삭제
KR1020150097299A 2015-07-08 2015-07-08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97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299A KR101697353B1 (ko) 2015-07-08 2015-07-08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299A KR101697353B1 (ko) 2015-07-08 2015-07-08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353B1 true KR101697353B1 (ko) 2017-01-17

Family

ID=5799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299A KR101697353B1 (ko) 2015-07-08 2015-07-08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3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958B1 (ko) * 2019-07-29 2020-03-05 (주)대한전기엔지니어링 방수형 커넥터 검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5664A (ja) * 1995-03-16 1996-10-01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型コネクタの検査装置
KR100450877B1 (ko) * 2004-01-09 2004-10-01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와이어 하네스 커넥터의 시험방법 및 시험시스템
KR101513543B1 (ko) * 2013-11-04 2015-04-21 주식회사 하닉스 기밀 커넥터 누설 검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5664A (ja) * 1995-03-16 1996-10-01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型コネクタの検査装置
KR100450877B1 (ko) * 2004-01-09 2004-10-01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와이어 하네스 커넥터의 시험방법 및 시험시스템
KR101513543B1 (ko) * 2013-11-04 2015-04-21 주식회사 하닉스 기밀 커넥터 누설 검사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958B1 (ko) * 2019-07-29 2020-03-05 (주)대한전기엔지니어링 방수형 커넥터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618B1 (ko) 에어 리크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513543B1 (ko) 기밀 커넥터 누설 검사 방법 및 장치
KR101735508B1 (ko)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 및 방법
EP3423803B1 (en) Test methodology to reduce false rejections and increase number of containers tested for tightness
CN110596483A (zh) 一种仪表响应时间的自动化测试系统及方法
KR101697353B1 (ko) 방수형 커넥터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3519A (ko) 기밀 커넥터 누설 검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82289B1 (ko) 와이어 하네스 복합 검사시스템
JP6786842B2 (ja) 耐油性試験方法および耐油性試験装置
KR101330445B1 (ko) 하이브리드, 전기차 모터 제어기의 작동 성능 검증 방법
KR101079651B1 (ko) 방수 씰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332842B1 (ko) 차량의 쇼트 판단장치
KR100587794B1 (ko) 자동차용 안테나의 고장 진단 장치
WO2013145587A1 (ja) 温度検出装置
US200701074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calibration of sensors used for detecting leaks in compartments
JP2010081420A (ja) 車載用通信線の故障モード特定装置
KR20130119035A (ko) 하네스 결합불량 검출장치
KR101091950B1 (ko) 차량용 전선의 색상 검사 장치
KR101448267B1 (ko) 하네스 제조 과정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1965984B1 (ko) 멀티 테스터기
EP3354392A1 (en) Battery jump and charge system and method for a welder
KR101637654B1 (ko) 차량 avn시스템 검사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101578917B1 (ko) 순간단락 검사 장치 및 그의 검사 방법
KR200318683Y1 (ko) 램프 점등 검사 장치
KR101550196B1 (ko) 철도차량의 차체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