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338B1 -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 - Google Patents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338B1
KR101697338B1 KR1020150117638A KR20150117638A KR101697338B1 KR 101697338 B1 KR101697338 B1 KR 101697338B1 KR 1020150117638 A KR1020150117638 A KR 1020150117638A KR 20150117638 A KR20150117638 A KR 20150117638A KR 101697338 B1 KR101697338 B1 KR 101697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main body
extended
guide protrus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하
배성우
박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7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35/7906
    • B63B35/7933
    • B63B35/794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항행시 추진효율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협소화되되 하면부에 장착홈이 형성된 포어바디부와, 상기 포어바디부의 후방에 연결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협소화되는 에프터바디부를 포함하는 메인몸체부; 전단부가 상기 포어바디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되, 후단부가 선택적으로 하강되어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면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단차를 형성하는 확장몸체부; 및 상기 확장몸체부의 승강폭을 조절하도록, 상기 확장몸체부 및 상기 메인몸체부 중 하나에 구비된 가이드돌기와, 상기 확장몸체부 및 상기 메인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상하방향으로 확장된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는 승강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powered surfboard having stepped hull form}
본 발명은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행시 추진효율이 향상되는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핑보드는 호수나 강, 바다 등에서 파도나 바람을 이용하여 승객을 운송하는 대표적인 수상이동체 중 하나이며, 최근에는 복합소재의 발달에 따른 선체의 강성 증가 및 중량 감소, 그리고 소형엔진기술의 발달에 따라 동력추진 서핑보드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력추진 서핑보드의 경우 선미부나 선저부에 구비된 프로펠러나 워터젯 등의 추진수단을 통해 파도나 바람이 약하거나 없는 경우에도 빠른 속도로 항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력추진 서핑보드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수상이동체는 선체의 일부가 마찰 저항이 높은 물속에 잠긴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대기 중에서 운행되는 차량에 비해 낮은 속도를 가지게 되며, 수상이동체의 항행에 사용되는 에너지의 대부분은 물과 선체 간의 마찰 저항을 극복하는데 사용된다.
이에, 종래에는 선체의 하부면에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항행시 선체를 물 밖으로 밀어올려 선체의 접수면적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한 마찰 저항의 감소를 이용하여 추진 효율성을 개선하는 기술이 고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단차형 선형의 경우에는 선미로 갈수록 좌우 접수면이 감소됨에 따라 고속 주행시 파도나 조류의 영향으로 선체가 민감하게 반응하여 횡방향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저속 운항시 오히려 접수면적이 증가하였으며, 탑승자의 몸무게가 달라지는 등 선체의 중량이 변화하여 단차의 측단부가 수중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단차 내부로 공기가 소통되지 않아 단차 주변에 흡인 압력이 발생되고 선체에 부하되는 저항이 증가하여 추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56070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행시 추진효율이 향상되는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협소화되되 하면부에 장착홈이 형성된 포어바디부와, 상기 포어바디부의 후방에 연결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협소화되는 에프터바디부를 포함하는 메인몸체부; 전단부가 상기 포어바디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되, 후단부가 선택적으로 하강되어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면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단차를 형성하는 확장몸체부; 및 상기 확장몸체부의 승강폭을 조절하도록, 상기 확장몸체부 및 상기 메인몸체부 중 하나에 구비된 가이드돌기와, 상기 확장몸체부 및 상기 메인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상하방향으로 확장된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는 승강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조절수단은 상기 확장몸체부의 승강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홈부는 상기 확장몸체부의 하면부가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면부에 연속되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확장몸체부의 하면부가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면부로부터 상기 메인몸체부의 상하방향 폭의 6%에 대응하여 돌출되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위치를 따라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메인몸체부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하방향 두께가 협소화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메인몸체부의 침수된 하면과 수면이 이루는 트림각은 2°~6°로 설정되며, 상기 장착홈은 상기 확장몸체부의 후단부가 상기 메인몸체부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메인몸체부의 전후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50%~7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확장몸체부의 전단부에는 전방부가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함몰되되 후방부가 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함몰되어 중앙부가 상기 장착홈의 내부와 연통되는 유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후단부에는 상기 유입홈부를 통해 흡입된 유체가 배출되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면부를 관통하는 배출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확장몸체부가 힌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하강하여 메인몸체부의 하면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단차를 형성하므로 단차의 전후방으로 접수면이 형성되되 각 접수면이 길이 대비 넓은 폭을 가지게 되어 높은 양력 효과를 형성할 수 있으며, 양력 증가에 따른 접수면의 감소로 항행시 저항력이 감소되어 제품의 추진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승강조절수단을 통해 확장몸체부의 승강폭이 조절됨에 따라 탑승자의 몸무게에 적합한 양력을 제공하도록 단차가 순차적으로 조절되되 고속 주행과 스릴감 있는 운동성을 제공하는 높은 단차, 안정감 있는 조종성을 제공하는 낮은 단차 등 다양한 탑승자의 몸무게, 주행 숙련도, 주행 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전성과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확장몸체부의 단부에 돌설된 가이드돌기가 장착홈의 가이드홈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단부에 조절나사가 체결됨에 따라 조절나사를 조이고 푸는 단순한 동작으로 확장몸체부의 이동 및 고정 상태가 전환될 수 있으므로 용이한 단차 폭의 조절을 통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확장몸체부의 전단부에 구비된 유입홈부를 통해 유체가 장착홈으로 유입되되, 유입된 유체가 장착홈의 후단부에 구비된 배출홀을 통해 후방 하측으로 배출되며 항행시 추가적인 양력과 추진력을 제공하므로 제품의 추진 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를 나타낸 배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를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동력추진 서핑보드(100)는 윈드서핑 내지는 파도 타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서핑보드를 포함하되, 워터젯 엔진 내지는 프로펠러/모터 등의 추진 장치가 구비된 서핑보드, 모터보트, 제트스키 등의 중소형의 수상이동체를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100)는 메인몸체부(10), 확장몸체부(20), 그리고 승강조절수단(22,13,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몸체부(10)는 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협소화되는 포어바디부(10b)와, 상기 포어바디부(10b)의 후방에 연결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협소화되는 에프터바디부(10a)를 포함한다.
이때, 전방은 상기 서핑보드(100)의 진행방향측을 의미하며 우측으로 도시된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후방은 좌측으로 도시된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어바디부(10b) 및 상기 에프터바디부(10a)는 상기 메인몸체부(10)에서 좌우 폭이 최대인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메인몸체부(10)의 전방 및 후방을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포어바디부(10b) 및 상기 에프터바디부(10a)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이 별도로 제조되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메인몸체부(1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폼이나 폴리스트렌(Polystyrene, EPS) 폼 등의 다공성 수지로 기본적인 형상을 제조한 후, 외부에 레진이나 에폭시 등의 합성수지가 합침된 유리섬유나 탄소섬유를 감아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어바디부(10b)의 하면부(10c)에는 상기 확장몸체부(20)가 삽입되는 장착홈(11)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11)은 상기 포어바디부(10b)와 유사하게 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에프터바디부(10a)에는 워터젯 엔진이나 프로펠러/모터 등의 추진장치(미도시)가 구비되어 파도나 바람이 없는 상태에서도 추진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몸체부(10)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상하방향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구비되며, 항행시 하면부가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며 선수측이 수면 위로 부상하고, 선미측이 수중에 잠길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확장몸체부(20)는 상기 장착홈(11)에 삽입되되, 전단부가 상기 포어바디부(10b)의 전방부에 힌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확장몸체부(20)는 상기 포어바디부(10b)와 유사하게 전방측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확장몸체부(20)의 전단부에는 횡방향의 회전축삽입홈(21)이 형성되고, 상기 포어바디부(10b)의 전방부에는 상기 장착홈(11)의 전방측 측면부를 관통하도록 회전축지지홈(1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삽입홈(21)과 상기 회전축지지홈(12)이 정렬된 상태에서 회전축(t)을 삽입하여 상기 확장몸체부(20)가 상기 포어바디부(10b)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장몸체부(20)의 전단부, 그리고 상기 확장몸체부(20)의 전단부와 대면되는 장착홈(11)의 전단부는 상기 확장몸체부(20)의 원활한 회동을 위해 힌지 연결된 회전축(t)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의 형태로 라운드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확장몸체부(20)는 힌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어 후단부(20a)가 선택적으로 하강되며, 하강시 상기 확장몸체부(20)의 후단부(20a)는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하면부(10c)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단차를 형성한다.
즉, 상기 확장몸체부(20)의 하강시 상기 확장몸체부(20) 및 상기 메인몸체부(10)가 이루는 전체적인 하면부 프로파일은 한쌍의 톱니와 유사한 형태로, 상기 단차를 기준으로 한 하면부의 전방부가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상기 단차를 기준으로 하면부의 후방부가 다시 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핑보드(100)의 접수면이 단차의 전방과 후방에 분할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분할된 각 접수면이 전후방향 길이에 비해 넓은 좌우방향 폭을 가지게 되므로 높은 양력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고, 보드의 전체적인 양력 증가로 접수면이 감소되어 항행시 저항력이 감소되므로 추진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복수개의 양력 지점이 형성됨에 따라 고속 주행시에도 양력 지지점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종방향의 주행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조절수단(22,13,30)은 상기 확장몸체부(20)의 승강폭을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확장몸체부(20)의 승강폭이 조절되면, 메인몸체부(10)의 하면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확장몸체부(20)에 의해 형성된 단차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의 폭은 추진시 서핑보드의 속도, 조종성 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단차의 폭이 증가될수록 높은 양력과 좁은 접수면적을 갖게되어 저항의 감소를 통해 높은 추진 효율을 가질 수 있으나 파도나 조류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하여 조종의 난이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조절수단을 통해 상기 단차의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숙련자의 경우에는 큰 폭의 단차로 고속 주행과 스릴감 있는 운동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초심자의 경우나 파도/조류의 변화가 심한 경우에는 낮은 폭의 단차로 안정감 있는 주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의 몸무게가 증가될수록 항력 감소를 위해 더 큰 폭의 단차가 요구된다. 즉, 단차의 측단부가 수중에 잠기게 되면 단차 내부로 공기 소통이 불가능하게 되고 단차의 주변부로 흡인 압력이 발생되어 선체의 저항이 증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조절수단을 통해 확장몸체부(20)의 승강폭을 조절함으로써 하나의 제품으로 탑승자의 주행숙련도에 맞는 속도와 조정성을 제공하되, 다양한 탑승자의 몸무게에 적합한 양력을 제공하도록 단차의 폭이 순차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즉, 단차의 폭이 다양한 탑승자의 몸무게, 주행 숙련도, 주행 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전성과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메인몸체부(10)의 측면부에 단차가 공기와 소통되도록 함몰된 홈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단차의 폭을 조절하여 원활한 공기 소통이 가능하므로 메인몸체부(10)의 측면부가 플랫한 표면을 갖는 유선형으로 구비될 수 있어 항행시 함몰된 홈으로 인한 저항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조절수단은 상기 확장몸체부(20) 및 상기 메인몸체부(10) 중 하나에 구비된 가이드돌기와, 상기 확장몸체부(20) 및 상기 메인몸체부(1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상하방향으로 확장된 가이드홈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조절수단은 상기 확장몸체부(20)의 승강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돌기가 확장몸체부(20)에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홈부는 상기 메인몸체부(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메인몸체부(10)에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홈부는 상기 확장몸체부(2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메인몸체부(10)에 구비된 경우에,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장착홈(11)의 측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체결홀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부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향되는 상기 확장몸체부(20)의 측면부에 상하 방향의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다각단면의 헤드부가 체결홀의 외곽에 배치되도록 결합되며, 헤드부의 회전을 통해 가이드돌기의 단부가 상기 확장몸체부(20)를 가압하도록 조여지면 상기 확장몸체부(20)의 승강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가이드돌기의 단부가 상기 확장몸체부(20)로부터 이격되도록 풀리면 상기 확장몸체부(20)가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이때, 볼트부재로 구비된 가이드돌기는 고정수단을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가 확장몸체부(20)에 구비된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22)는 상기 확장몸체부(20)의 후방부 측면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홈부(13)는 상기 가이드돌기(22)가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돌기(22)와 대향되는 상기 장착홈(11)의 측면부 양측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부(13)는 상기 가이드돌기(22)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상하방향으로 확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확장몸체부(20)의 상하 회동시 상기 가이드돌기(22)의 이동 궤적을 따라 형성된 원호형의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가이드홈부(13)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가이드돌기(22)의 단부에 체결되는 조절나사(30)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돌기(22)의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22)는 상기 가이드홈부(1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로 구비되어 상기 조절나사(30)가 상기 가이드홈부(13)의 외측에서 상기 가이드돌기(22)의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돌기(22)는 상기 확장몸체부(20)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확장몸체부(20) 및 상기 메인몸체부(10) 간의 조립 편의성을 위해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확장몸체부(2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확장몸체부(20)에 상기 가이드돌기(22)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홈을 형성한 후, 상기 확장몸체부(20)를 상기 메인몸체부(10)에 힌지 결합하고, 상기 체결홈이 상기 가이드홈부(13)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확장몸체부(20)의 위치를 조절한 후 가이드돌기(22)를 상기 체결홈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나사(30)를 조이면 상기 가이드홈부(13)의 테두리 외면에 상기 조절나사(30)가 밀착되며 상기 가이드돌기(22)가 고정되어 상기 확장몸체부(20)의 승강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나사(30)를 풀면 상기 가이드돌기(22)가 유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상기 확장몸체부(20)의 승강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조절나사(30)를 풀고 조이는 단순한 조작을 통해 상기 확장몸체부(20)의 이동 및 고정 상태가 전환될 수 있으므로 단차의 폭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단차의 폭 조절을 통해 탑승자 내지는 운행 환경에 적합한 주행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유동되며 상기 확장몸체부(20)가 승강됨에 따라 상기 확장몸체부(20)의 승강 폭이 가이드홈부에 의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상기 확장몸체부(20)의 과도한 하강으로 인해 단차가 급증하여 발생될 수 있는 항행 중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승강조절수단은 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포어바디부(10b)의 내부에는 상기 확장몸체부(20)에 연결되어 신축되는 유압실린더가 장착되도록 장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가 신장되면 상기 확장몸체부(20)가 하강하여 단차의 폭이 증가될 수 있으며, 상기 유압실린더가 축소되면 상기 확장몸체부(20)가 상승하여 단차의 폭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속항행시에는 상기 보드(100)의 하면부를 단차가 없는 플랫한 형태로 조절하여 저속항행시 단차로 인한 추진효율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항행속도에 따라 유압실린더를 신축시켜 단차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한층 다이나믹한 주행감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홈부(13)는 상기 확장몸체부(20)의 하면부가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하면부(10c)에 연속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돌기(22)의 위치로부터 상기 확장몸체부(20)의 하면부가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하면부(10c)로부터 상기 메인몸체부(10)의 상하방향 폭의 6%에 대응하여 돌출되는 상기 가이드돌기(22)의 위치를 따라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홈부(13)는 상기 확장몸체부(20)의 하면부가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하면부(10c)와 플랫한 연속면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확장몸체부(20)의 하면부가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하면부(10c)로부터 상기 메인몸체부(10)의 상하방향 폭의 6%에 대응하여 돌출되는 상태까지의 가이드돌기(22) 이동궤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장몸체부(20)의 하면부가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하면부(10c)로부터 상기 메인몸체부(10)의 상하방향 폭의 6%를 초과하는 단차를 이루도록 돌출되는 경우에는 횡방향의 주행안정성이 과다하게 감소할 우려가 있으며, 메인몸체부(10) 및 확장몸체부(20) 간의 선수측 하면부 연결부분이 절곡되어 주행시 저항력이 증가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상기 가이드홈부(13)는 상기 보드(100)의 상하방향 폭에 대응하여 안전한 운항이 가능한 단차가 형성되도록 상기 확장몸체부(20)의 돌출 정도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몸체부(10)의 침수된 하면과 수면(w)이 이루는 트림각(a)은 2°~6°로 설정되며, 상기 장착홈(11)은 상기 확장몸체부(20)의 후단부가 상기 메인몸체부(10)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메인몸체부(10)의 전후방향 길이(L)를 기준으로 50%~7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트림각(a)이 2°미만인 경우에는 방향 전환에 대한 반응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상기 트림각(a)이 6°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진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4°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확장몸체부(20)의 후단부에 의해 형성된 단차가 상기 메인몸체부(10)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메인몸체부(10) 길이(L)의 50% 미만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차에 의해 형성된 침수면적이 부족하여 실질적인 양력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상기 단차가 상기 메인몸체부(10) 길이(L)의 70%를 초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차의 측단부에 수면 위치로 노출되기 힘들어 추진 효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며, 상기 단차의 위치는 상기 메인몸체부(10) 길이(L)의 6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확장몸체부(20)에 의해 형성된 접수면적과, 상기 에프터바디(10a)에 의해 형성된 접수면적이 1:9의 비율을 이루며 물과 마찰저항이 최소화된 효율적인 운항과 횡방향의 안정성을 갖는 안전한 운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몸체부(10)는 횡방향 단면이 타원형을 이루도록 중앙부에서 좌우측으로 갈수록 상하방향 폭이 감소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하측으로 돌출된 중앙부가 라운드지게 구비되거나 절곡되어 'v'자형 단면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메인몸체부(10)의 중앙부로부터 측단까지의 경사각도는 6°내지 10°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사각도가 6°미만인 경우에는 추진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경사각도가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파랑시 상하방향 충격에 대한 저항력이 부족할 우려가 있으며, 8°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장몸체부에 형성된 유입홈부 및 메인몸체부에 형성된 배출홀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확장몸체부(120)의 전단부에는 전방부(123a)가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함몰되되, 후방부(123b)가 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함몰되어 중앙부(123c)가 상기 장착홈(111)의 내부와 연통되는 유입홈부(12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유입홈부(123)는 상기 확장몸체부(12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확장몸체부(120)의 중심선 상에 하나로 형성되거나, 상기 확장몸체부(120)의 중심선 양측에 쌍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입홈부(123)는 항행시 수면 위에 배치되는 확장몸체부(120)의 전단부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홈부(123)의 전방부(123a)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항행시 대기나 물 등 유체가 유입홈부(123)의 중앙부(123c)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홈부(123)의 후방부(123b)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항행시 유체에 대한 저항력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홈부(123)는 좌우 및 전후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함몰되되 확장몸체부(120) 하면과의 연결부분 역시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중앙부(123c)측으로 갈수록 함몰 깊이가 증가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홈(111)의 후단부에는 상기 유입홈부(123)를 통해 흡입된 유체가 배출되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몸체부(110)의 하면부를 관통하는 배출홀(11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출홀(114)은 상기 장착홈(111)과 메인몸체부(110)의 침수된 하면부를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홈부(123)를 통해 유입된 공기나 물이 상기 장착홈(111)을 경유하여 상기 배출홀(114)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홀(114)의 경사진 형태로 인해 공기나 물이 하측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드의 항행시 추가적인 양력이 제공되어 침수면적의 감소를 통한 추진 효율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사되는 유체를 통해 추가적인 추진력이 제공되어 신속하고 스릴감 있는 항행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200: 서핑보드 10,110: 메인몸체부
10a,110a: 에프터바디부 10b,110b: 포어바디부
11,111: 장착홈 13: 가이드홈부
20,120: 확장몸체부 22: 가이드돌기
30: 조절나사 123: 유입홈부
114: 배출홀

Claims (5)

  1. 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협소화되되 하면부에 장착홈이 형성된 포어바디부와, 상기 포어바디부의 후방에 연결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협소화되는 에프터바디부를 포함하는 메인몸체부;
    전단부가 상기 포어바디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되, 후단부가 선택적으로 하강되어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면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단차를 형성하는 확장몸체부; 및
    상기 확장몸체부의 승강폭을 조절하도록, 상기 확장몸체부 및 상기 메인몸체부 중 하나에 구비된 가이드돌기와, 상기 확장몸체부 및 상기 메인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상하방향으로 확장된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는 승강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조절수단은 상기 확장몸체부의 승강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홈부는 상기 확장몸체부의 하면부가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면부에 연속되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확장몸체부의 하면부가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면부로부터 상기 메인몸체부의 상하방향 폭의 6%에 대응하여 돌출되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위치를 따라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부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하방향 두께가 협소화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메인몸체부의 침수된 하면과 수면이 이루는 트림각은 2°~6°로 설정되며,
    상기 장착홈은 상기 확장몸체부의 후단부가 상기 메인몸체부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메인몸체부의 전후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50%~7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몸체부의 전단부에는 전방부가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함몰되되 후방부가 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함몰되어 중앙부가 상기 장착홈의 내부와 연통되는 유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후단부에는 상기 유입홈부를 통해 흡입된 유체가 배출되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면부를 관통하는 배출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추진 서핑보드.
KR1020150117638A 2015-08-21 2015-08-21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 KR101697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638A KR101697338B1 (ko) 2015-08-21 2015-08-21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638A KR101697338B1 (ko) 2015-08-21 2015-08-21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338B1 true KR101697338B1 (ko) 2017-01-18

Family

ID=57992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638A KR101697338B1 (ko) 2015-08-21 2015-08-21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3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2954A (zh) * 2019-02-14 2019-04-05 广州拓浪智能应急科技有限公司 一种三体电动冲浪板
US10940917B2 (en) 2016-09-12 2021-03-09 Kai Concepts, LLC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eller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6489A (ja) * 1988-10-17 1990-04-18 Bridgestone Corp ウィンドサーフィンボード
JPH03192206A (ja) * 1989-12-21 1991-08-22 Hitachi Cable Ltd 希土類元素添加導波路の製造方法
JP2004009750A (ja) * 2002-06-03 2004-01-15 Hotsukan Kogyo Kk サーフボード
KR100560702B1 (ko) 2004-08-05 2006-03-17 서대수 수상서핑보드
KR20090128770A (ko) * 2008-06-11 2009-12-16 주식회사 스타마린 공기 주입식 서핑용 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6489A (ja) * 1988-10-17 1990-04-18 Bridgestone Corp ウィンドサーフィンボード
JPH03192206A (ja) * 1989-12-21 1991-08-22 Hitachi Cable Ltd 希土類元素添加導波路の製造方法
JP2004009750A (ja) * 2002-06-03 2004-01-15 Hotsukan Kogyo Kk サーフボード
KR100560702B1 (ko) 2004-08-05 2006-03-17 서대수 수상서핑보드
KR20090128770A (ko) * 2008-06-11 2009-12-16 주식회사 스타마린 공기 주입식 서핑용 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0917B2 (en) 2016-09-12 2021-03-09 Kai Concepts, LLC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eller system
US11479324B2 (en) 2016-09-12 2022-10-25 Kai Concepts, LLP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eller system
US11919608B2 (en) 2016-09-12 2024-03-05 Kai Concepts, LLC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eller system
CN109572954A (zh) * 2019-02-14 2019-04-05 广州拓浪智能应急科技有限公司 一种三体电动冲浪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7297A (en) Foam stabilized watercraft
KR100293301B1 (ko) 고성능동력수상스키
KR100415770B1 (ko) 수면 항행기
DK2027010T3 (en) Foam Stabilized vessel comprising tubes with fins
US20140000504A1 (en) Variable hull lengths for watercraft
US10202171B1 (en) Boat with reconfigurable running surface for wake adjustment
US5458078A (en) High speed catamaran hull and boat
CN102803060B (zh) 具有分级船体和舷外翼部的水运工具
US20170001695A1 (en) Fin Patent
US7316193B1 (en) Vessel for water travel
US11130549B2 (en) Self-propelling hydrofoil device
CA2071527A1 (en) Hydroplaning hydrofoil/airfoil structures and amphibious and aquatic craft
KR101697338B1 (ko) 단차형 선형을 갖는 동력추진 서핑보드
CA2978107C (en) Three stage watercraft
US6807920B1 (en) Personal watercraft having adjustable angle sponsons
EP3186143B1 (en) High speed triangular shaped hydroplaning monohull craft with aircraft-like control surfaces having surface adhesion hull characteristics
US6382121B2 (en) Boat ballast system
JP3176632B2 (ja) 高性能モータ水上スキー
US6651579B1 (en) Personal watercraft having tuneable sponsons
US8813672B2 (en) Swimming platform for a boat
RU2818372C1 (ru) Быстроходное судно с импеллером для подвода сжатого воздуха под днище
EP4043330B1 (en) Marine vessel comprising a planing hull
RU2262462C2 (ru) Способ стабилизации движения и снижения потребляемой мощности судна на подводных крыльях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 виде кормового механизма коррекции характеристик управляемости суд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