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195B1 -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195B1
KR101697195B1 KR1020100005063A KR20100005063A KR101697195B1 KR 101697195 B1 KR101697195 B1 KR 101697195B1 KR 1020100005063 A KR1020100005063 A KR 1020100005063A KR 20100005063 A KR20100005063 A KR 20100005063A KR 101697195 B1 KR101697195 B1 KR 101697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s
item
display
configuration information
screen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334A (ko
Inventor
장현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5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19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에 표시될 아이템을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Multi-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ulti-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에 표시될 아이템을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및 배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0인치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정방형으로 여러 개 조합하여 구성된 대형 디스플레이 모듈이, 가정, 병원, 관공서, 공항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효율적인 제어와,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콘텐츠에 대한 효율적인 접근을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에 표시될 아이템을 쉽고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는,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표시 가능한 아이템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표시 가능한 아이템들 중에서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는,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표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에서 각각 표시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화면 구성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복수의 화면 구성정보들 중 특정 화면 구성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화면 구성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상기 선택된 화면 구성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도록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 양상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표시 가능한 아이템들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표시 가능한 아이템들 중에서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4 양상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표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에서 각각 표시될 위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화면 구성정보들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화면 구성정보들 중 어느 하나의 화면 구성정보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화면 구성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상기 선택된 화면 구성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기기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으로 표시될 아이템들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될 아이템에 대해 기 설정된 화면 구성을 효율적으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고, 표시될 아이템이 설정되지 않은 디스플레이에 대해서도 쉽고 편리하게 아이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단말(2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상기 전자 기기(3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상기 전자 기기(30)의 외관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환경은,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 단말(20), 전자 기기(30) 및 네트워크(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는,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도 2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10l)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12 개의 디스플레이들은 예시일 뿐이고,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10l)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과 같은 경계로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단말(20)은,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하고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10l) 중 적어도 하나에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상기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말(20)은, 서버(serve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단말(20)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단말(20)은, 제1 통신부(210), 제2 통신부(220), 메모리(230), 인터페이스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210)는, 상기 전자 기기(3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통신부(210)는, 상기 전자 기기(30)와 다양한 통신방식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부(210)는 상기 전자 기기(30)와 근거리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무선통신 방식으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부(220)는, 상기 네트워크(4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통신부(220)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P(Internet Protocol) 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4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40)는 인터넷(internet)에 해당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2 통신부(220)는, 방송망으로부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양방향 방송망인 경우, 상기 제2 통신부(220)는 상기 양방향 방송망으로부터 방송을 수신하고, 상기 양방향 방송망을 통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30)는, 상기 제어부(25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230)는,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10)로 제공되어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10)에 표시될 다양한 콘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들은, 상기 제1 통신부(210) 또는 상기 제2 통신부(2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40)는, 상기 단말(2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4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단말(2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상기 단말(2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해 상기 단말(2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단말(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251)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기 단말(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30)는,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 또는 상기 단말(20)과 통신하여,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거나,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상기 전자 기기(3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전자 기기(30)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전자 기기(30)는, 통신부(310), 메모리(320), 터치 디바이스(330), 디스플레이부(340), 사용자 입력부(36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10)는,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 및/또는 상기 단말(20)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가 상기 단말(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310)는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와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와 상기 단말(20)이 각각 별개의 장치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310)는 상기 단말(20)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320)는, 상기 제어부(37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터치 디바이스(330)는,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치 디바이스(330)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디바이스(330)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후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70)로 전송한다.
상기 터치 디바이스(330)는,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40)는, 상기 전자 기기(3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40)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330)과 하나의 장치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35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350)은 상기 터치 디바이스(33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룸으로써 상기 터치 스크린(35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스크린(350)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360)는, 사용자가 상기 전자 기기(3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전자 기기(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7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25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상기 전자 기기(30)의 외관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5는, 상기 전자 기기(30)가 방향키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인 경우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기기(30)의 상기 사용자 입력부(360)는, 전원 키(360a)와, 상/하/좌/우 방향키(360b, 360c, 360d, 360e)와, 확인 키(360f)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는, 상기 전자 기기(30)가 상기 디스플레이부(340)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터치 디바이스(330)만을 구비하는 경우이다. 이때 상기 터치 디바이스(330)는 터치 패드 형태일 수 있다.
도 7은, 상기 전자 기기(30)가 상기 터치 디바이스(33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340)를 각각 별개로 구비하는 경우이다.
도 8은, 상기 터치 디바이스(33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340)가 상기 터치 스크린(350)을 형성하는 경우이다.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360) 및/또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330)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 또는 상기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단,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기 단말(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시스템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 및 상기 단말(20)을 포함하는 상기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10l)에 표시 가능한 아이템들을 상기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S100].
상기 표시 가능한 아이템들의 종류 및 소스(source)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이템들은, 메뉴, 콘텐츠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아이콘(icon), 정지영상, 동영상, 텍스트(text), 위젯(widget), 방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아이템들은, 상기 네트워크(40) 및/또는 상기 전자 기기(3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10l)에 표시될 아이템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110].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표시 가능한 아이템들 중 특정 아이템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10l) 중 특정 디스플레이에 대응되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표시 가능한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특정 아이템 그룹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10l)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그룹에 대응되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10l) 중 특정 디스플레이에 상기 표시 가능한 아이템들 중 특정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와 상기 특정 아이템을 대응시키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다양한 제공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시스템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 및 상기 단말(20)을 포함하는 상기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표시 가능한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10l)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S200].
도 11은, 복수의 아이템들이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에 표시된 예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50)는, 제1 아이템(51)을 제1 디스플레이(10a)에 표시하고, 제2 아이템(52)을 제2 디스플레이(10b)에 표시하고, 제3 아이템(53)을 제7 디스플레이(10g)에 표시하고, 제4 아이템(54)을 제4 디스플레이(10d)에 표시하고, 제5 아이템(55)을 제10 디스플레이(10j)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아이템과 디스플레이 간의 대응 관계는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아이템과 상기 디스플레이 간의 대응 관계를 무작위로 설정하고, 상기 무작위로 설정된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로 상기 아이템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2는,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로 출력되지 않고 상기 메모리(230)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아이템들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아이템들 또한, 상기 제어부(250)에 의해 호출되어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어느 아이템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10].
상기 제어부(2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pointer, 70)를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70)는, 상기 전자 기기(3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전자 기기(30)의 상기 사용자 입력부(360) 및/또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330)를 통해 상기 포인터(70)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10l)에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전자 기기(30)를 조작하여, 상기 포인터(70)가 현재 지시하고 있는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서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상기 확인키(360f)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전자 기기(30)로부터 상기 확인키(360f)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인터(70)가 현재 지시하고 있는 상기 제3 아이템(53)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현재 선택된 아이템을 시각적으로 강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현재 선택된 아이템(53) 또는 상기 현재 선택된 아이템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0g)를 하이라이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전자 기기(3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S210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이동시킬 수 있다[S220].
도 14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53)이 상기 전자 기기(3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4방향 또는 8방향으로 이동 가능함을 나타낸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전자 기기(30)로부터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지를 판단한다[S230].
예를 들어, 도 14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53)이 상기 제3 디스플레이(10c)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확인키(360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S23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이동하라는 명령을 포함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마지막으로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S240].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S24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였거나, 상기 S23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확인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10l) 중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현재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에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S250].
도 15는, 도 14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53)이 상기 제3 디스플레이(10c)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50)가 상기 확인키(360f)를 수신하거나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템(53)이 상기 제3 디스플레이(10c)에 표시되도록 설정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시스템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 및 상기 단말(20)을 포함하는 상기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10l) 중 어느 디스플레이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00].
상기 S300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10l) 중 특정 디스플레이가 선택되는 방식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아이템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S310].
도 17은, 상기 아이템 목록이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S300 단계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10a)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10a)에, 복수의 아이템들(51, 52, 53, 54, 55, 56, 57, 58)을 포함하는 상기 아이템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 목록은, 상기 선택된 제1 디스플레이(10a)가 아닌 다른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공된 아이템 목록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어느 아이템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S320],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도 17에서, 상기 제어부(250)가 상기 확인키(360f)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1 아이템(51)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10a)에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각 아이템이 표시되는 위치는, 상기 전자 기기(3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예를 들어, 좌/우 방향키(360d, 360e))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시스템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 및 상기 단말(20)을 포함하는 상기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복수의 화면 구성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S400].
상기 화면 구성정보는, 상기 표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10l) 중에서 각각 표시될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도 19는 화면 구성정보의 예들(60, 61, 62, 63)을 도시한다. 도 19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상기 화면 구성정보는, 어느 아이템이 어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지에 관한 정보를 가진다.
도 20은, 도 19에 예시된 상기 화면 구성정보들이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로 출력된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제1 내지 제4 화면 구성정보(60, 61, 621, 63)를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10a, 10b, 10c, 10d)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도 21은, 도 19에 예시된 상기 화면 구성정보들이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로 출력된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21은, 상기 제1 내지 제4 화면 구성정보(60, 61, 621, 63)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10a)에 제공되는 경우이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공된 복수의 화면 구성정보들(60, 61, 62, 63) 중 어느 화면 구성정보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S410], 상기 선택된 화면 구성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S420].
상기 S420 단계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선택된 화면 구성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상기 선택된 화면 구성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10l)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22는, 제1 내지 제4 화면 구성정보(60, 61, 621, 63)가, 상기 전자 기기(3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예를 들어, 좌/우 방향키(360d, 360e), 또는 상/하 방향키(360b, 360c))에 의해,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S500, S510, S520, S530].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50)가 상기 제1 화면 구성정보(60)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멀티디스플레이 장치(10)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10l) 전체에 대해, 상기 제1 화면 구성정보(60)가 정의하는 아이템 및 위치에 따라, 화면을 구성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20: 단말(서버)
30: 전자 기기(리모트 콘트롤러)
40: 네트워크

Claims (15)

  1.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표시 가능한 아이템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선택된 경우 상기 표시 가능한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아이템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아이템 목록 중 선택된 아이템이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각각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어느 아이템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이동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간에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특정 디스플레이로 이동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거나 미리 정해진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5. 삭제
  6.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표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에서 각각 표시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화면 구성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복수의 화면 구성정보들 중 특정 화면 구성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화면 구성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상기 선택된 화면 구성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도록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화면 구성정보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상기 특정 화면 구성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이미지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특정 화면 구성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화면 구성정보들 중 어느 화면 구성정보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이 구성하는 전체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 구성정보에 대한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체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 구성정보를 상기 복수의 화면 구성정보들 중 다른 화면 구성정보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00005063A 2010-01-20 2010-01-20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697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063A KR101697195B1 (ko) 2010-01-20 2010-01-20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063A KR101697195B1 (ko) 2010-01-20 2010-01-20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334A KR20110085334A (ko) 2011-07-27
KR101697195B1 true KR101697195B1 (ko) 2017-01-17

Family

ID=4492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063A KR101697195B1 (ko) 2010-01-20 2010-01-20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1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745B1 (ko) 2013-05-23 2020-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멀티태스킹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08071A (ko) * 2015-07-13 2017-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63605B1 (ko) 2015-10-20 2022-02-17 오리온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영상시스템의 개별영상기기 식별부호 설정방법
CN207216857U (zh) * 2017-09-08 2018-04-10 深圳市光峰光电技术有限公司 遥控装置、拼接显示墙及遥控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8869A (ja) * 2001-03-09 2002-09-20 Ricoh Co Ltd 座標入力装置
JP2004086586A (ja) * 2002-08-27 2004-03-18 Project I:Kk マルチディスプレイ環境におけるアプリケーション表示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8869A (ja) * 2001-03-09 2002-09-20 Ricoh Co Ltd 座標入力装置
JP2004086586A (ja) * 2002-08-27 2004-03-18 Project I:Kk マルチディスプレイ環境におけるアプリケーション表示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334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8704B2 (e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US9621434B2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CN107003818B (zh) 在设备之间共享屏幕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设备
US1010189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EP25234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ta Between Different Network Devices
KR102162828B1 (ko) 베젤에 프로그램 가능한 버튼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JP6448900B2 (ja) 状況情報基盤の情報提供方法、そのシステム及びその記録媒体
US9990103B2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CN103282870A (zh) 用于使外部显示器的使用与移动设备适配的方法和系统
KR20140120243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616439B1 (ko)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기기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697195B1 (ko)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70003991A (ko) 협력적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288251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US20120154314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file transmission function, and a related file transmission method
KR20130104125A (ko) 싱크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이를 위한 소스 장치 및 무선랜 시스템
US10073611B2 (en) Display apparatus to display a mirroring scre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044417A (ko)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JP7115118B2 (ja) 表示装置、表示の設定方法
US1013336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KR20160102835A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06314149A (ja) 遠隔操作制御システム、遠隔操作器、遠隔操作制御方法及び被制御機器
KR20150057127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