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024B1 -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024B1
KR101697024B1 KR1020150158266A KR20150158266A KR101697024B1 KR 101697024 B1 KR101697024 B1 KR 101697024B1 KR 1020150158266 A KR1020150158266 A KR 1020150158266A KR 20150158266 A KR20150158266 A KR 20150158266A KR 101697024 B1 KR101697024 B1 KR 101697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urner insertion
burner
oi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선기
Original Assignee
전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선기 filed Critical 전선기
Priority to KR1020150158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4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heated with 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용기(100)와,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용기(300)와, 상기 상부 용기(100)와 하부 용기(300)의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한 연결관(200)과, 상기 상부 용기(100) 내에는 측면을 통해 버너(120)가 삽입되는 다수의 버너 삽입관(110)으로 이루어진 수유식 튀김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버너 삽입관(110)은 그 최상면이 뾰족한 첨예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첨예부(111)의 양측으로 동일하게 경사진 양측 경사면(1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버너 삽입관의 상부 외관 형상을 삼각 모양으로 하여 음식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음식물의 탄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Apparatus for frying using frying oil and water}
본 발명은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너 삽입관의 상부 외관 형상을 삼각 모양으로 하여 음식물이 버너 삽입관 위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튀김 요리는 재료를 고온의 기름에 담가 튀겨내는 요리의 한 종류이다. 똑같이 기름을 사용하는 요리라 하더라도, 튀김 요리는 볶음 요리와는 달리 튀김 재료가 기름에 푹 잠긴 채 조리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별도의 튀김 용기가 필요하게 된다.
튀김 용기는 재료를 수용하기 위해 깊이가 깊게 만들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튀김 용기에는 많은 양의 기름이 수용되며, 용기에 채워진 기름은 적당한 시점까지 반복하여 조리에 사용된 후 다시 새 기름으로 교체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기름이 교체되는 시점은 기름이 변색되기 시작하는 때이거나 또는 그보다 약간 이른 정도가 적당할 수 있다.
튀김 요리를 좋은 품질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름을 자주 교체해주어야 할 것이지만, 그에 따라 상승하는 비용은 영업장에서와 같이 대량의 튀김 요리를 생산하는 경우 큰 문젯거리가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용기에 물과 기름을 함께 채워 사용하는 용기형의 수유식 튀김기가 종전에 사용되었다. 수유식 튀김기에는 물과 기름이 함께 채워지므로 기름의 사용량이 줄어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유식 튀김기는 가스버너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튀기게 되고, 버너가 삽입되는 다수의 버너 삽입관이 원형의 관형상으로 되어 있어 기름에 의해 튀겨지는 음식물이 버너 삽입관의 표면에 접촉되어 탄화되고, 이 탄화된 탄화물이 기름을 더럽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버너 삽입관의 상부 외관 형상을 삼각 모양으로 하여 음식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한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너 삽입관의 상부에 음식물의 튀김 가루 등이 걸러내어 지도록 커버부재인 걸름망을 설치하여 버너 삽입관 위에 음식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한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는,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용기(100)와,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용기(300)와, 상기 상부 용기(100)와 하부 용기(300)의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한 연결관(200)과, 상기 상부 용기(100) 내에는 측면을 통해 버너(120)가 삽입되는 다수의 버너 삽입관(110)으로 이루어진 수유식 튀김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버너 삽입관(110)은 그 최상면이 뾰족한 첨예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첨예부(111)의 양측으로 동일하게 경사진 양측 경사면(1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는,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용기(100)와,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용기(300)와, 상기 상부 용기(100)와 하부 용기(300)의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한 연결관(200)과, 상기 상부 용기(100) 내에는 측면을 통해 버너(120)가 삽입되는 다수의 버너 삽입관(110)으로 이루어진 수유식 튀김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버너 삽입관(110)의 상부에는 이에 각각 안착되도록 절곡된 커버부재(1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115)는 상부가 뾰족하게 절곡되고, 뾰족한 최상단 양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115a)과, 상기 경사면(115a)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슬릿(115b)과, 상기 경사면(115a) 들의 하단에 형성된 수평홀(115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에 의하면, 버너 삽입관의 상부 외관 형상을 삼각 모양으로 하여 음식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음식물의 탄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버너 삽입관의 상부에 음식물의 튀김 가루 등이 걸러내어 지도록 커버부재인 걸름망을 설치하여 버너 삽입관 위에 음식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음식물의 탄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예]
이하,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유식 튀김기는,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용기(100)와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용기(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용기(100)와 하부 용기(300)는 연결관(200)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관(200)은 상부 용기(100)와 하부 용기(300)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여, 연결관(200)을 사이에 두고 상부 용기(100)는 상부에, 하부 용기(300)는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부 용기(100), 연결관(200) 및 하부 용기(300)는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서로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용기(100), 연결관(200) 및 하부 용기(300) 각각은 서로 자유롭게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용기(100)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넓게 개방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지만, 완벽한 육면체의 형상은 아니며, 용기의 하방에 경사면(101)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101)은 상부 용기(100)의 일 측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부 용기(100)의 최하방에 형성된 배출구(140)와 연결되며, 외형상으로는 상부 용기(100)의 일 측면부와 연결관(200)을 연결한다.
상기 상부 용기(100) 내에는 측면을 통해 버너(120)가 삽입되는 다수의 버너 삽입관(1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버너(120)는 버너 삽입관(110)의 내측부를 따라 삽입된 채 고정된다. 각각의 버너(120)에는 가스 공급관(122)이 각각 연결되어 버너(120)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으며, 버너 삽입관(110)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가스 조절부(121)를 이용해 버너(120)에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가스 조절부(121)는 가스 공급관(122)의 일 측을 개폐하는 코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 삽입관(110)의 상부에는 음식물을 넣는 사각 박스형의 걸름망 부재(116)가 설치되어 있다.
버너 삽입관(110)은 반대편 타단부가 연통(130)과 연결된다. 따라서 버너(120)의 연소가스는 연통(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버너 삽입관(110) 내부에서 가열된 고온의 연소가스는 자연대류에 의해 연통(13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나, 연소가스의 배출을 돕도록 연통(130)의 단부에 형성된 배기구에 팬을 설치하여 배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연결관(200)은 상부 용기(100) 및 하부 용기(300)보다는 좁은 폭을 가지는 일종의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용기(300)의 일측에는 기름 공급관(600) 및 물 공급관(700)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기름 공급관(600) 및 물 공급관(700)은 수유식 안전 튀김 장치(1)의 내부에 기름과 물을 공급하기 위한 설비로 튀김 장치가 대형으로 제작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버너 삽입관(110)은 그 최상면이 뾰족한 첨예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첨예부(111)의 양측으로 동일하게 경사진 양측 경사면(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측 경사면(112)을 형성하는 것은 버너 삽입관(110) 위에서 기름에 의해 음식물이 튀겨지면서, 버너 삽입관(110)과 접촉하여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즉 양측 경사면(112)에 의해 음식물이 버너 삽입관(110)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제 2 실시예]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유식 튀김기는,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용기(100)와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용기(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용기(100)와 하부 용기(300)는 연결관(200)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관(200)은 상부 용기(100)와 하부 용기(300)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여, 연결관(200)을 사이에 두고 상부 용기(100)는 상부에, 하부 용기(300)는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부 용기(100), 연결관(200) 및 하부 용기(300)는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서로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용기(100), 연결관(200) 및 하부 용기(300) 각각은 서로 자유롭게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용기(100)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넓게 개방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지만, 완벽한 육면체의 형상은 아니며, 용기의 하방에 경사면(101)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101)은 상부 용기(100)의 일 측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부 용기(100)의 최하방에 형성된 배출구(140)와 연결되며, 외형상으로는 상부 용기(100)의 일 측면부와 연결관(200)을 연결한다.
상기 상부 용기(100) 내에는 측면을 통해 버너(120)가 삽입되는 다수의 버너 삽입관(1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버너(120)는 버너 삽입관(110)의 내측부를 따라 삽입된 채 고정된다. 각각의 버너(120)에는 가스 공급관(122)이 각각 연결되어 버너(120)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으며, 버너 삽입관(110)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가스 조절부(121)를 이용해 버너(120)에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가스 조절부(121)는 가스 공급관(122)의 일 측을 개폐하는 코크로 형성될 수 있다.
버너 삽입관(110)은 반대편 타단부가 연통(130)과 연결된다. 따라서 버너(120)의 연소가스는 연통(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버너 삽입관(110) 내부에서 가열된 고온의 연소가스는 자연대류에 의해 연통(13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나, 연소가스의 배출을 돕도록 연통(130)의 단부에 형성된 배기구에 팬을 설치하여 배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연결관(200)은 상부 용기(100) 및 하부 용기(300)보다는 좁은 폭을 가지는 일종의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용기(300)의 일측에는 기름 공급관(600) 및 물 공급관(700)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기름 공급관(600) 및 물 공급관(700)은 수유식 안전 튀김 장치(1)의 내부에 기름과 물을 공급하기 위한 설비로 튀김 장치가 대형으로 제작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버너 삽입관(110)의 상부에는 이에 각각 안착되도록 절곡된 커버부재(1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부재(115)는 상부가 뾰족하게 절곡되고, 뾰족한 최상단 양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115a)과, 상기 경사면(115a)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슬릿(115b)과, 상기 경사면(115a) 들의 하단에 형성된 수평홀(115c)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면(115a)의 슬릿(115b)을 통해서 기름이 상부로 올라와 튀겨지는 음식물이 경사면(115a) 위에 쌓이지 않고 수평홀(115c)을 통해 하부로 내려가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115)의 양측에는 걸이부(115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115)의 상부에는 음식물을 넣는 사각 박스형의 걸름망 부재(116)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버부재(115)를 설치하는 것을 버너 삽입관(110) 위에서 기름에 의해 음식물이 튀겨지면서, 버너 삽입관(110)과 접촉하여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즉 음식물이 버너 삽입관(110)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음식물이 튀겨지면서 그 찌꺼기가 하부로 빠져나가 버너 삽입관(110) 위에서 탄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100 : 상부 용기 110 : 버너 삽입관
111 : 첨예부 112 : 양측 경사면
115 : 커버부재 115a : 경사면
115b : 슬릿 115c : 수평홀
115d : 걸이부 116 : 걸름망부재
120 : 버너 130 : 연통
200 : 연결관 300 : 하부 용기

Claims (3)

  1. 삭제
  2.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용기(100)와,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용기(300)와, 상기 상부 용기(100)와 하부 용기(300)의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한 연결관(200)과, 상기 상부 용기(100) 내에는 측면을 통해 버너(120)가 삽입되는 다수의 버너 삽입관(110)으로 이루어진 수유식 튀김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버너 삽입관(110)의 상부에는 이에 각각 안착되도록 절곡된 커버부재(1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115)는, 상부가 뾰족하게 절곡되고, 뾰족한 최상단 양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115a)과;
    상기 경사면(115a)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슬릿(115b)과;
    상기 경사면(115a) 들의 하단에 형성된 수평홀(115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
  3. 삭제
KR1020150158266A 2015-11-11 2015-11-11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 KR101697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266A KR101697024B1 (ko) 2015-11-11 2015-11-11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266A KR101697024B1 (ko) 2015-11-11 2015-11-11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024B1 true KR101697024B1 (ko) 2017-01-17

Family

ID=5799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266A KR101697024B1 (ko) 2015-11-11 2015-11-11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0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59539U (ko) * 1987-08-24 1989-04-14
JPH0714376B2 (ja) * 1986-03-27 1995-02-22 理研機器開発株式会社 焼物調理装置
KR101161828B1 (ko) * 2011-07-26 2012-07-13 정무성 수유식 안전 튀김 장치
KR20130113627A (ko) * 2012-04-06 2013-10-16 정무성 튀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376B2 (ja) * 1986-03-27 1995-02-22 理研機器開発株式会社 焼物調理装置
JPH0159539U (ko) * 1987-08-24 1989-04-14
KR101161828B1 (ko) * 2011-07-26 2012-07-13 정무성 수유식 안전 튀김 장치
KR20130113627A (ko) * 2012-04-06 2013-10-16 정무성 튀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7660B2 (en) Electric griller
US10264919B2 (en) Food support grate
EP3217849B1 (en) Barbecue grill accessory and method for preparing food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CN102469887A (zh) 蒸汽烹饪装置
KR20110114152A (ko) 수유 튀김기
US20150053096A1 (en) Broiling rack for a barbecue grill
KR101163871B1 (ko) 숯불 구이 장치
KR101697024B1 (ko) 수유식 튀김기의 탄화방지장치
KR200477707Y1 (ko) 구이용 불판
CN205018888U (zh) 烤肉支架
KR20180016806A (ko) 육류 불판 구이기
US20030126994A1 (en) Apparatus for deep fat frying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JP2016000075A (ja) 調理器用のグリル装置
KR101482503B1 (ko)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CN209346741U (zh) 一种烹饪用具
US1093245A (en) Broiler.
KR101281088B1 (ko) 이중 구이판
KR200447619Y1 (ko) 조리기구
US20150342399A1 (en) Grills for Cooking
WO2015019038A1 (en) Apparatus for cooking a chicken
KR101613633B1 (ko) 기름가이드를 구비한 숯불구이용 화로장치
US2088074A (en) Cooking utensil
KR101741311B1 (ko) 수유식 튀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