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836B1 -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 - Google Patents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836B1
KR101696836B1 KR1020160087253A KR20160087253A KR101696836B1 KR 101696836 B1 KR101696836 B1 KR 101696836B1 KR 1020160087253 A KR1020160087253 A KR 1020160087253A KR 20160087253 A KR20160087253 A KR 20160087253A KR 101696836 B1 KR101696836 B1 KR 101696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hole
shelf
bracket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협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협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협신산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은, 4개의 수직포스트로 이루어진 수직프레임과, 이 수직프레임의 전,후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수직포스트의 상·하측을 수평연결하는 마감브라케트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한 쌍의 수직포스트의 상·하측을 수평 연결하는 선반 브라케트 및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선반 브라케트의 상부에 올려져 위치 고정되는 판재형의 마감패널로 이루어진 수평프레임을 구비하는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에 있어서, 상기 각 수직포스트는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금속 각재로 구비되되 중앙 날개면의 상·하측에는 마감클립홀이 형성되고, 양 날개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반클립홀이 복수 형성되고, 이들 클립홀들은 각각 직사각형상의 진입창부 및 이 진입창부의 하측으로 지름이 감소되게 연결 형성되는 경사창부 및 이 경사창부의 하측으로 연결 형성되되 감소된 폭지름을 갖는 결속창부로 이루어지고, 이들 클립홀을 차폐하는 요소로 외력에 의해 상기 클립홀의 테두리를 따라 절취되게 구비되는 홀커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브라케트는 양 끝단에 상기 마감클립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억지 끼움 조립되도록 상기 결속창부의 폭지름에 비례하는 폭을 갖도록 돌출 형성하여 된 마감클립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반 브라케트는 양 끝단에 상기 선반클립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억지끼움으로 조립되도록 상기 결속창부의 폭지름에 비례하는 폭을 갖도록 돌출 형성하여 된 선반클립을 형성하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선반 브라케트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일단을 수평 돌출시켜 상측으로 굽힘 성형한 안착걸이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측을 이루는 좌,우 한 쌍의 수직포스트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복수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포스트의 선반클립홀에 끼움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의 힌지클립이 돌출 형성된 클립판 및 이 클립판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축홀을 형성하여 된 지지관부로 이루어진 힌지 브라케트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측을 차폐하는 크기로 구비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판재형의 요소로, 상기 측부지지관부에 끼움되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축을 일체로 형성하고, 일측에는 상기 마감브라케트에 부착 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자성체로 된 자석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되는 도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홀을 구성하는 상기 경사창부와 결속창부 중 어느 한 곳에는 상기 클립의 폭지름에 보다 좁은 간격을 형성하여 클립의 진입시 소성변형되어 억지끼움력을 생성하는 삼각편상의 소성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은 , 볼트나 너트와 같은 나사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소한 끼움구조에 의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함에 따라 작업성이 양호하여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수직 포스트의 클립홀에 대하여 마감 브라케트 및 선반 브라케트에 구비되는 클립은 상호 억지 끼움구조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마감 브라케트나 선반 브라케트가 상측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물품 진열이나 보관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높은 구조적인 안전성을 보장하고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포스트의 클립홀을 대응하는 크기의 홀커버로 차폐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클립홀 부분의 홀커버를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클립홀의 노출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외관 디자인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립홀은 경사창부 또는 결속창부 중 어느 한곳에는 상기 클립의 진입시 외력에 의해 소성변형되는 삼각편상의 소성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있어 견고한 결합력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포스트의 외면으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이 인쇄된 합성수지재로 된 커버몰딩 또는 목재로 된 커버몰딩을 자성체를 통해 간편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따른 제품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포스트와 마감 브라케트 및 선반 브라케트의 서로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 상호 위치 고정을 위한 안전핀의 일단이 끼움 삽입으로 통과되는 관통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완성된 구조물에 충격이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구조물을 이루는 견고한 결합 상태를 보강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Prefabricated door type lightweight rack}
본 발명은 물품의 진열 및 보관을 할 수 있는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끼워맞춤 구조를 통해 별도의 공구 없이도 간소하게 조립 및 해체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면서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간소한 구조에 의해 도어를 부가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선반을 가정, 사무실, 매장, 창고 등에서 물품을 보관하거나 또는 진열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기존의 규격화된 크기를 갖는 목재나 금속재로 된 수납장이나 캐비닛과 달리 설치공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조립 설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수납공간을 재배치하거나 또는 확장/축소가 용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은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체결구멍을 형성하는 수직 포스트 및 이들 수직 포스트 중 서로 이웃하는 수직 포스트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구멍을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 등의 나사부재를 사용하여 체결 고정되는 수평 포스트 그리고 수평 포스트의 상단에 올려져 마찬가지로 볼트와 너트 등의 나사부재로 고정되는 선반이나 받침판 역할을 하는 패널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은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복수의 나사부재를 사용하여 수직 포스트와 수평 포스트 그리고 선반을 연결고정시키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조립작업과 해체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나사부재의 체결상태가 완전하지 않은 경우 구조적인 안정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외에도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경우 볼트와 너트의 체결상태가 느슨해짐에 따라 재조립해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나사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이 개발되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34180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19671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2143호는 앵글포스트의 안쪽에 수평의 앵글 양측을 끼움 결합하는 형태이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91947호는 조립식 선반의 앵글포스트의 측방향으로 연장 조립하기 위한 조립식 선반의 구조로서 연장하기 위한 구성은 앵글포스트의 외측에서 끼움결합되지만 수평의 앵글이 다시 내측에서 끼움 결합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끼움결합되는 구조가 복잡하거나 수평의 앵글인 수평 포스트가 앵글포스트인 수직 포스트의 내측에서 끼움 결합되기 때문에 수직 포스트가 선반의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사용시 돌출 부위에 물품이나 옷 또는 신체 부위가 부딪히는 폐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1455호에는 '무볼트 조립식 선반 및 이를 이용한 무볼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측면에 복수개의 결합홈과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부재;와 수직부재의 결합홈에 외측에서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부에 받침부가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의 결합홈에 외측에서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부에 받침부가 각각 외측 및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양단에 결합홈과 체결홈을 구비하는 측면부가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연결부재의 결합홈에 수평부재의 결합돌기가 외측에서 끼움결합되며, 수직부재의 하부에 보호부재가 끼움결합되고, 수직부재의 결합홈에 외측에서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부에 받침부가 외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되며, 일단에 결합홈과 체결홈을 구비하는 측면부가 외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브라켓의 결합홈에 수평부재의 결합돌기가 외측에서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볼트조립식 선반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무볼트 조립식 선반은 체결홈을 형성한 수직부재 및 이 수직부재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체결홈에 끼움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한 것으로, 수평부재에 상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 쉽게 유동되는 것에 의해 구조물 전체가 흔들리거나 보관물품이 낙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무볼트 조립식 선반은 수평부재의 결합돌기가 수직부재의 체결홈에 단순히 끼움된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에서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물품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수평부재에 상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수평부재는 별다른 고정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쉽게 들어올려짐에 따라 자칫 구조물 전체가 붕괴되어 보관 또는 진열물품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선반은 단순히 선반을 구성하고 물품을 적층하여 보관하거나 진열하는 용도로만 사용됨에 따라 물품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고 보관해야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상자 등에 담아 보관해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미관상 좋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341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1967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214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1455호(2014.04.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소한 끼움구조에 의해 조립 및 해체를 가능하게 하여 작업성을 양호하게 함과 아울러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되게 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이고 아울러 간소한 조립공정을 통해 도어를 설치하여 내부 공간에 대한 개폐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은, 4개의 수직포스트로 이루어진 수직프레임과, 이 수직프레임의 전,후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수직포스트의 상·하측을 수평연결하는 마감브라케트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한 쌍의 수직포스트의 상·하측을 수평 연결하는 선반 브라케트 및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선반 브라케트의 상부에 올려져 위치 고정되는 판재형의 마감패널로 이루어진 수평프레임을 구비하는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에 있어서, 상기 각 수직포스트는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금속 각재로 구비되되 중앙 날개면의 상·하측에는 마감클립홀이 형성되고, 양 날개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반클립홀이 복수 형성되고, 이들 클립홀들은 각각 직사각형상의 진입창부 및 이 진입창부의 하측으로 지름이 감소되게 연결 형성되는 경사창부 및 이 경사창부의 하측으로 연결 형성되되 감소된 폭지름을 갖는 결속창부로 이루어지고, 이들 클립홀을 차폐하는 요소로 외력에 의해 상기 클립홀의 테두리를 따라 절취되게 구비되는 홀커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브라케트는 양 끝단에 상기 마감클립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억지 끼움 조립되도록 상기 결속창부의 폭지름에 비례하는 폭을 갖도록 돌출 형성하여 된 마감클립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반 브라케트는 양 끝단에 상기 선반클립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억지끼움으로 조립되도록 상기 결속창부의 폭지름에 비례하는 폭을 갖도록 돌출 형성하여 된 선반클립을 형성하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선반 브라케트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일단을 수평 돌출시켜 상측으로 굽힘 성형한 안착걸이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측을 이루는 좌,우 한 쌍의 수직포스트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복수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포스트의 선반클립홀에 끼움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의 힌지클립이 돌출 형성된 클립판 및 이 클립판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축홀을 형성하여 된 지지관부로 이루어진 힌지 브라케트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측을 차폐하는 크기로 구비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판재형의 요소로, 상기 측부지지관부에 끼움되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축을 일체로 형성하고, 일측에는 상기 마감브라케트에 부착 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자성체로 된 자석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되는 도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홀을 구성하는 상기 경사창부와 결속창부 중 어느 한 곳에는 상기 클립의 폭지름에 보다 좁은 간격을 형성하여 클립의 진입시 소성변형되어 억지끼움력을 생성하는 삼각편상의 소성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클립홀을 구성하는 상기 경사창부와 결속창부 중 어느 한곳에는 상기 클립의 폭지름에 보다 좁은 간격을 형성하여 클립의 진입시 소성변형되어 억지끼움력을 생성하는 삼각편상의 소성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마감브라케트는 각각 양 끝단부를 상기 수직포스트의 폭지름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하여 하측으로 연장하여 된 보강연장부를 형성하되, 이 보강연장부는 상기 수직포스트에 형성된 2~3개의 클립홈에 끼움 결합되게 대응되는 위치에 마감클립을 형성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수직포스트의 외면으로는 대응하는 폭과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로 된 커버몰딩이 부착구비되며, 상기 커버몰딩은 상기 수직포스트와 접하는 내측면에 자성을 갖는 자성체가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마감 브라켓트와 상기 수직포스트는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 상호 위치 고정을 위한 안전핀의 일단이 끼움 삽입으로 통과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안전핀은 자석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관통구멍을 삽입 통과하는 삽입로드부를 형성하고 이 삽입로드의 일측 끝은 관통구멍을 통과하지 않도록 확장된 크기를 갖는 헤드부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은, 볼트나 너트와 같은 나사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소한 끼움구조에 의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함에 따라 작업성이 양호하여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수직 포스트의 클립홀에 대하여 마감 브라케트 및 선반 브라케트에 구비되는 클립은 상호 억지 끼움구조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마감 브라케트나 선반 브라케트가 상측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물품 진열이나 보관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높은 구조적인 안전성을 보장하고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포스트의 클립홀을 대응하는 크기의 홀커버로 차폐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클립홀 부분의 홀커버를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클립홀의 노출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외관 디자인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립홀은 경사창부 또는 결속창부 중 어느 한곳에는 상기 클립의 진입시 외력에 의해 소성변형되는 삼각편상의 소성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있어 견고한 결합력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포스트의 외면으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이 인쇄된 합성수지재로 된 커버몰딩 또는 목재로 된 커버몰딩을 자성체를 통해 간편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따른 제품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포스트와 마감 브라케트 및 선반 브라케트의 서로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 상호 위치 고정을 위한 안전핀의 일단이 끼움 삽입으로 통과되는 관통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완성된 구조물에 충격이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구조물을 이루는 견고한 결합 상태를 보강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에서 도어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포스트를 나타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에서 수직포스트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에서 마감브라케트를 나타낸 도면.
도 15 내지 1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에서 선반 브라케트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면에는, 골조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을 이루는 것으로 기둥 형태로 수직포스트(10)를 배치하고, 이 수직프레임의 전,후면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서로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배치한 한 쌍의 수직포스트의 상·하측을 수평연결하는 마감브라케트(20) 그리고 수직프레임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마감패널(25)을 포함하는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1)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면에는, 골조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을 이루는 것으로 기둥 형태로 수직포스트(10)를 배치하고, 이 수직프레임의 좌,우측면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배치한 한 쌍의 수직포스트의 상·하측을 수평 연결하는 것으로 마감패널(25)이 올려지는 안착걸이부(33)를 형성한 선반 브라케트(30)로 이루어진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1)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면에는 수직프레임을 구성하는 4개의 수직포스트(10)와, 이 수직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마감브라케트(20)와, 수직프레임의 좌,우측면에 배치되는 선반 브라케트(30)와, 수직프레임의 전면측에 위치하는 좌,우 수직포스트의 외측부에 결속되는 힌지 브라케트(70) 및 이 힌지 브라케트(70)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것으로 수직프레임의 전면을 개폐시키는 도어패널(60)로 이루어진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1)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본 발명에 따른 도어패널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도어패널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도어패널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어패널(60)은 대략 판재형상의 부재로 여닫이 방식에 의해 4개의 수직포스트(10)로 이루어진 수직프레임의 전면측을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어패널(60)의 측부에 힌지축(61)을 구성하고, 상기 힌지축(61)을 축지지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측을 이루는 한 쌍의 수직포스트(10)에 제공되는 선반클립홀(11h)에 끼움 조립되는 힌지 브라케트(70)가 부가 구성된다.
즉, 도 4를 기준으로 우측편 상·하부에 힌지 브라케트(70)가 조립 구성되며, 이때의 힌지 브라케트(70)는 도 6의 아래측 확대요부도를 참조하면 수직포스트(10)의 선반클립홀(11h)에 끼움 조립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의 힌지클립(71a)이 돌출 형성된 클립판(71)과, 이 클립판(71)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축홀(73a)을 형성하여 된 지지관부(73)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포스트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에서 수직포스트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는 금속판재를 수회 굽힘 성형하거나 또는 압출성형을 통해 'ㄷ'자 형상을 갖는 금속각재로 구비되는 것으로, 마감브라케트(20)를 결속시키기 위한 부분인 중앙날개면(13)과, 이 중앙날개면(13)을 중심으로 양단을 직각으로 굽힘 성형하여 후술할 선반 브라케트(30)가 결속되는 부분인 양날개면(11)으로 이루어진 수직포스트(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에서 수직포스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는, 수직포스트(10)의 중앙날개면(13)을 정면에 위치되게 바라본 것으로, 상·하측으로는 후술할 마감브라케트(20)가 결속 부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마감클립홀(13h)이 형성되며, 이 마감클립홀(13h)은 외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된 홀커버(15)에 의해 차폐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수직포스트(10)는 좌,우측으로 각각의 마감브라케트(2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마감브라케트(20)와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하 2개의 마감클립홀(13h)이 형성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포스트(10)는 중앙날개면(13)의 마감클립홀(13h)과 위치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관통구멍(h)을 형성하며, 이때의 상기 관통구멍(h)은 후술할 마감브라케트(20)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후술할 안전핀(50)에 의해 일체로 끼움삽입으로 결속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에서 수직포스트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는, 길이재의 수직포스트(10)의 양날개면(11)에는 수직하는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의 선반클립홀(11h)이 형성되며, 이들 선반클립홀(11h)은 외력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상태의 홀커버(15)에 의해 차폐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의 상기 홀커버(15)는 상기 설치홀(20b)에 대응하는 크기로 구비되어 절취선(15a)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작업자는 소정의 공구를 이용하여 타격하거나 또는 가압하는 작업만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에서 수직포스트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는 'ㄷ'자 형상으로 굽힘 성형되거나 압출 성형되는 금속각재로 된 수직포스트(10)의 중앙날개면(13)과 양날개면(11)에는 각각 마감브라케트(20)를 취부시키기 위한 마감클립홀(13h) 및 선반 브라케트(30)를 취부시키기 위한 선반클립홀(11h)이 형성되며, 이들 마감클립홀(13h)과 선반클립홀(11h)은 각각 직사각형상의 진입창부(a) 및 이 진입창부(a)의 하측으로 지름이 감소되게 연결 형성되는 경사창부(b) 및 이 경사창부(b)의 연결 형성되되 감소된 폭지름을 갖는 결속창부(c)로 이루어지고, 이들 선반클립홀(11h)과 마감클립홀(13h)은 테두리를 따라 절취되어 분리되는 홀커버(15)에 의해 차폐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에서 마감브라케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3은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는, 4개의 수직포스트(10)를 수직하게 배치시킨 수직프레임의 전,후면에 배치되는 마감브라케트(20)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의 상기 마감브라케트(20)는 양 끝단에 상기 수직포스트(10)의 중앙날개면(13)에 형성된 마감클립홀(13h)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감클립(21)을 형성하여 상호 끼움구조에 의해 결속되도록 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에서 마감브라케트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는 상기 수직포스트(10)의 마감클립홀(13h)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일단을 상기 수직포스트(10)측으로 돌출 성형하여 하방향으로 굽힘 성형한 돌출편(미부호)을 형성하여 된 것으로, 이 돌출편 부분은 상기 마감클립홀(13h)을 형성하는 결속창부(c)의 폭지름에 비례하는 폭을 갖도록 구비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에서 선반 브라케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6은 선반 브라케트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는, 양 끝단에 상기 수직포스트(10)의 양날개면(11)에 형성된 선반클립홀(11h)에 억지 끼움으로 조립되도록 상기 결속창부(c)의 폭지름에 비례하는 폭을 갖도록 돌출 형성하여 선반클립(31)을 구비하는 선반 브라케트(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에서 선반 브라케트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는 수직포스트(10)의 양날개면(11)에 형성된 선반클립홀(11h)에 결속하기 위하여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는 선반클립(31)이 돌출 형성되고, 이에 반대되는 좌측면으로는 마감패널(25)을 거치하기 위하여 안착걸이부(33)가 돌출 형성된 선반 브라케트(30)가 도시되어 있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1)은 적재물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복수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연결하여 된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프레임을 형성하는 4개의 수직포스트(10)와, 수평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후면에 배치되되 한 쌍의 수직포스트의 상·하측을 수평 연결하는 마감브라케트(20)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한 쌍의 수직포스트(10)의 상·하측을 수평 연결하는 선반 브라케트(30) 그리고 수직프레임의 전면측에 여닫이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개폐되는 도어패널(60)과, 이 도어패널(60)을 회동 가능하게 수직포스트(10)에 지지하는 힌지 브라케트(70)로 구성된다.
수직포스트(10)는 물품을 올려놓기 위한 구조물의 기둥역할을 하는 요소로, 'ㄷ'자 형상을 갖는 금속각재로 구비되며, 길이재의 금속판을 수획 굽힘하여 성형하거나 또는 압출 성형을 통해 제공된다.
이러한 수직포스트(10)는 중앙날개면(13)의 상·하측으로 마감클립홀(13h)이 형성되고, 양날개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선반클립홀(11h)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마감클립홀(13h)과 선반클립홀(11h)은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들 클립홀들은 각각 직사각형상의 진입창부(a)와, 이 진입창부(a)의 하측으로 감소되는 지름을 갖는 것에 의해 경사를 이루는 경사창부(b) 그리고 이 경사창부(b)의 하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진입창부(a)에 대해 감소된 폭지름을 갖는 결속창부(c)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마감클립홀(13h)과 선반클립홀(11h)은 구멍이 뚫려 있는 형태로 제공되어도 무방하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홀커버(15)로 차폐시키는 구성을 제안한다.
상기 홀커버(15)는 상기 마감클립홀(13h)과 선반클립홀(11h)의 테두리를 따라 절취선(15h)을 형성한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도구를 사용하여 타격하거나 또는 가압력을 작용하는 것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테두리 전체의 일부만 절취선을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은 미리 전단시킨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홀커버(15)는 별도의 수직포스트(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시 별도의 부재를 끼워 넣어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마감클립홀(13h)과 선반클립홀(11h)은 후술할 마감클립(21)과 선반클립(31)이 끼움 고정될 때 외력에 의해 소성변형되는 것에 의해 견고한 결합력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삼각편상의 소성걸림돌기(d)가 돌출 형성되며, 이때의 상기 소성걸림돌기(d)는 경사창부(b) 또는 결속창부(c)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사창부(b)와 결속창부(c)의 연결되는 부분측에 형성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소성걸림돌기(d)는 후술할 마감클립(21)이나 선반클립(31)의 폭 지름에 비하여 좁은 입구를 형성하도록 하여 조립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소성변형되면서 상기 마감클립(21)이나 선반클립(31)의 폭방향을 견고하게 결합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직포스트(10)는 그 외면으로 대응하는 폭과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로 된 커버몰딩(40)이 부착 구비되며, 이때의 상기 커버몰딩(40)은 상기 수직포스트(10)에 나사체결로 결합되거나 또는 접착물을 통해 부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자성체(41)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구성을 제안한다. 상기 자성체(41)는 상기 커버몰딩(40)의 내측에 등간격을 두고 자석을 부착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길이재의 띠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마감브라케트(20)는 양 끝단에 상기 수직포스트(10)의 중앙날개면(13)에 형성된 마감클립홀(13h)과 대응하여 억지 끼움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결속창부(c)의 폭지름에 비례하는 폭을 갖도록 돌출 형성하여 된 마감클립(21)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마감브라케트(20)는 수직하는 방향으로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하여 각각 양 끝단부를 상기 수직포스트(10)의 폭지름에 대응하는 폭을 가자도록 하면서 하측으로 연장하여 된 보강연장부(미부호)를 형성하는 것을 제안하며, 이때의 보강연장부는 상기 수직포스트(10)에 상·하측에 각각 형성된 상·하 2개의 마감클립홀(13h)에 끼움 결합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마감클립(21)이 형성된다.
선반 브라케트(30)는 양 끝단에 상기 수직포스트(10)의 양날개면(11)에 형성된 선반클립홀(11h)과 대응하여 억지 끼움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결속창부(c)의 폭지름에 비례하거나 미세하게 큰 폭지름을 갖도록 돌출 형성하여 된 선반클립(3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선반 브라케트(30)는 그 상부로 마감패널(25)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요소로 안착걸이부(33)가 형성된다. 즉,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선반 브라케트(30)는 상호 대향하는 면측으로 상기 마감패널(25)을 받치기 위한 안착걸이부(33)가 돌출 형성되며, 이때의 상기 안착걸이부(33)는 일단을 수평방향으로 돌출시킨 뒤 그 끝단부를 상측으로 굽힘 성형한 형태로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상기 마감브라케트(20)와 수직포스트(10)는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 관통구멍(h)을 형성하며, 이 관통구멍(h)으로는 안전핀(50)의 일단이 끼움 삽입되어 결속된다.
즉, 상기 안전핀(50)은 바람직하게는 자석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단은 상기 관통구멍(h)을 삽입 통과하도록 삽입로드부(51)를 형성하고, 이 삽입로드부(51)의 일측 끝은 관통구멍(h)을 통과하지 않도록 확장된 크기를 갖는 헤드부(52)로 구성된다.
마감패널(25)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선반 브라케트(30)의 상부에 올려져 위치 고정되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제공되는 판재형의 부재로, 테두리 부분을 하향 굽힘 성형하는 것에 의해 이 굽힘 성형된 테두리 부분이 상기 선반 브라케트(30)의 안착걸이부(33)에 끼움되어 고정된다.
도어패널(60)은 상기 4개의 수직포스트(10)로 이루어진 수직프레임의 전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판재형의 차폐요소로,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을 차폐하는 크기로 구비되거나 또는 일부 차폐하는 형태 또는 좌,우 양쪽으로 구비되어 차폐하는 형태 등 공지의 다양한 수납장의 도어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패널(60)은 일측면으로 후술할 힌지 브라케트(70)의 지지관부(73)에 끼움되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축(61)을 일체로 돌출 형성되되, 이때의 상기 힌지축(61)은 바람직하게는 상·하 두곳에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패널(60)은 닫힌 상태에서 쉽게 열리지 않도록 그 상부측에는 상기 마감브라케트(20)에 자력에 의해 부착 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자성체로 된 자석 스토퍼(63) 구비되는 구성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도어패널(60)의 표면은 목재, 합성수지재, 직물지 등 다양한 커버재로 감싸지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힌지 브라케트(70)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측을 이루는 좌,우 한 쌍의 수직포스트(1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하 구비되는 지지요소로, 상기 수직포스트(10)의 양날개면(11)에 형성된 선반클립홀(11h)에 끼움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의 힌지클립(71a)이 돌출 형성된 클립판(71)과, 이 클립판(71)의 일측에서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축홀(73a)을 형성한 지지관부(7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립판(71)에 형성된 힌지클립(71a)은 앞서 설명한 마감클립(21)이나 선반클립(31)과 대동소이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축홀(73a)은 상기 도어패널(60)의 힌지축(61)과 슬라이드 끼움 조립될 수 있을 정도의 지름을 갖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1)은 전체적인 구조물의 기둥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금속재를 수회 굽힘 가공하거나 또는 압출 성형하여 'ㄷ'자 형상을 갖도록 제공되는 적어도 4개의 수직포스트(10)를 수직하게 배치시킨다.
이어서 상기 4개의 수직포스트(10)에 의해 형성될 골조의 전면과 후면측 상·하단으로 마감브라케트(20)를 조립하고, 상기 골조의 양측면으로 선반 브라케트(30)를 조립하여 육면체의 골조를 완성한다. 그리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선반 브라케트(30)의 상부에 마감패널(25)을 올려 놓아 조립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마감클립홀(13h)과 선반클립홀(11h)은 상기 마감브라케트(20)와 선반 브라케트(30)에 제공되는 마감클립(21)과 선반클립(31)이 용이하게 진입하여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구멍을 형성하는 진입창부(a)를 제공하며, 상기 진입창부(a)에 삽입된 마감클립(21)과 선반클립(31)은 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결과적으로 결속창부(c)에 억지 끼움으로 조립되어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도어패널(60)의 부착을 위한 조립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4개의 수직포스트로 이루어진 수직프레임에서 전면측에 위치한 좌,우 수직포스트(10)의 외측부에 힌지 브라케트(70)를 설치하되, 이때의 상기 힌지 브라케트(70)는 클립판(71)에 돌출 형성된 힌지클립(71a)을 상기 수직포스트(10)의 양날개면(11)에 형성된 임의의 선반클립홀(11h)에 끼움조립하여 고정시킨다.
이어서, 도어패널(60)을 들어올려 하방향으로 돌출된 힌지축(61)을 상기 힌지 브라케트(70)의 축홀(73a)의 상부측으로 위치시킨뒤 하향 이동하여 끼움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도어패널(6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렇게 조립된 도어패널(60)은 힌지축(61)이 힌지 브라케트(70)의 축홀(73a)을 중심으로 여닫이 형태로 개폐 가능하게 되며, 상기 도어패널(60)은 닫힌 상태에서 자석 스토퍼(63)가 마감브라케트(2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자연적으로 개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1)은 기존의 기존의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나사부재 체결방식이 아닌 무볼트 즉, 무나사부재 체결방식이어서 별도의 공구나 도구 없이도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며 디자인의 미려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 10 : 수직포스트
11 : 양플랜지 11h : 선반클립홀
13 : 중앙플랜지 13h : 마감클립홀
15 : 홀커버 20 : 마감브라케트
21 : 마감클립 25 : 마감패널
30 : 선반 브라케트 31 : 선반클립
33 : 안착걸이부 40 : 커버몰딩
41 : 자성체 50 : 안전핀
51 : 삽입로드부 52 : 헤드부
60 : 도어패널 61 : 힌지축
63 : 자석 스토퍼 70 : 힌지 브라케트
71 : 클립판 71a : 힌지클립
73 : 지지관부 73a : 축홀
a : 진입창부 b : 경사창부
c : 결속창부 d : 소성걸림돌기
h : 관통구멍

Claims (5)

  1. 4개의 수직포스트로 이루어진 수직프레임과, 이 수직프레임의 전,후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수직포스트의 상·하측을 수평연결하는 마감브라케트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한 쌍의 수직포스트의 상·하측을 수평 연결하는 선반 브라케트 및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선반 브라케트의 상부에 올려져 위치 고정되는 판재형의 마감패널로 이루어진 수평프레임을 구비하는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에 있어서,
    상기 각 수직포스트는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금속 각재로 구비되되 중앙 날개면의 상·하측에는 마감클립홀이 형성되고, 양 날개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반클립홀이 복수 형성되고, 이들 클립홀들은 각각 직사각형상의 진입창부 및 이 진입창부의 하측으로 지름이 감소되게 연결 형성되는 경사창부 및 이 경사창부의 하측으로 연결 형성되되 감소된 폭지름을 갖는 결속창부로 이루어지고, 이들 클립홀을 차폐하는 요소로 외력에 의해 상기 클립홀의 테두리를 따라 절취되게 구비되는 홀커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브라케트는 양 끝단에 상기 마감클립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억지 끼움 조립되도록 상기 결속창부의 폭지름에 비례하는 폭을 갖도록 돌출 형성하여 된 마감클립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반 브라케트는 양 끝단에 상기 선반클립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억지끼움으로 조립되도록 상기 결속창부의 폭지름에 비례하는 폭을 갖도록 돌출 형성하여 된 선반클립을 형성하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선반 브라케트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일단을 수평 돌출시켜 상측으로 굽힘 성형한 안착걸이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측을 이루는 좌,우 한 쌍의 수직포스트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복수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포스트의 선반클립홀에 끼움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의 힌지클립이 돌출 형성된 클립판 및 이 클립판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축홀을 형성하여 된 지지관부로 이루어진 힌지 브라케트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측을 차폐하는 크기로 구비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판재형의 요소로, 상기 측부지지관부에 끼움되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축을 일체로 형성하고, 일측에는 상기 마감브라케트에 부착 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자성체로 된 자석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되는 도어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클립홀을 구성하는 상기 경사창부와 결속창부 중 어느 한 곳에는 상기 클립의 폭지름에 보다 좁은 간격을 형성하여 클립의 진입시 소성변형되어 억지끼움력을 생성하는 삼각편상의 소성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브라케트는 각각 양 끝단부를 상기 수직포스트의 폭지름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하여 하측으로 연장하여 된 보강연장부를 형성하되, 이 보강연장부는 상기 수직포스트에 형성된 2~3개의 클립홈에 끼움 결합되게 대응되는 위치에 마감클립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포스트의 외면으로는 대응하는 폭과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로 된 커버몰딩이 부착구비되며, 상기 커버몰딩은 상기 수직포스트와 접하는 내측면에 자성을 갖는 자성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브라켓트와 상기 수직포스트는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 상호 위치 고정을 위한 안전핀의 일단이 끼움 삽입으로 통과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안전핀은 자석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관통구멍을 삽입 통과하는 삽입로드부를 형성하고 이 삽입로드의 일측 끝은 관통구멍을 통과하지 않도록 확장된 크기를 갖는 헤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
KR1020160087253A 2015-11-27 2016-07-11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 KR101696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930 2015-11-27
KR20150166930 2015-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836B1 true KR101696836B1 (ko) 2017-01-17

Family

ID=5799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253A KR101696836B1 (ko) 2015-11-27 2016-07-11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8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7131A (ja) * 1995-01-10 1996-07-23 Tanimoto Steel Kogyo Kk 組立式棚
KR100334180B1 (ko) 1999-12-27 2002-04-25 이계안 자동차용 와이퍼 암의 체결구조
KR200288113Y1 (ko) * 2002-05-31 2002-09-05 김겸섭 조립식 가구
KR100919671B1 (ko) 2007-09-10 2009-10-06 최천순 무볼팅 조립식 선반장치
JP4708000B2 (ja) * 2004-11-16 2011-06-22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フック部材
KR101391455B1 (ko) 2013-12-31 2014-05-07 유인구 무볼트 조립식 선반 및 이를 이용한 무볼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7131A (ja) * 1995-01-10 1996-07-23 Tanimoto Steel Kogyo Kk 組立式棚
KR100334180B1 (ko) 1999-12-27 2002-04-25 이계안 자동차용 와이퍼 암의 체결구조
KR200288113Y1 (ko) * 2002-05-31 2002-09-05 김겸섭 조립식 가구
JP4708000B2 (ja) * 2004-11-16 2011-06-22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フック部材
KR100919671B1 (ko) 2007-09-10 2009-10-06 최천순 무볼팅 조립식 선반장치
KR101391455B1 (ko) 2013-12-31 2014-05-07 유인구 무볼트 조립식 선반 및 이를 이용한 무볼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861Y1 (ko) 후크 분리형 투명 방음판
KR101344636B1 (ko) 조립성이 향상된 미닫이식 도어의 롤러장치
CA3031707C (en) Foldable box and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method thereof
US20190152644A1 (en) New foldable box and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method thereof
KR20190002256U (ko) 욕실장 미닫이식 개폐문의 구조
KR200473409Y1 (ko) 조립식 진열대
KR101696836B1 (ko) 조립식 도어형 경량랙
US9125488B2 (en) Replaceable front panel system for use with storage modules
KR101696834B1 (ko) 조립식 걸이 및 수납형 경량랙
KR101714620B1 (ko) 조립식 경량랙
KR200486995Y1 (ko) 가림막 휀스 조립 구조
KR101229801B1 (ko) 선반 설치형 조립식 부스
US20140175236A1 (en) Frame assembly structure
KR101421678B1 (ko) 조립식 파티션
KR20140007700A (ko) 포장박스를 가진 화물적재용 팔레트
JP2010189872A (ja) 扉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758110B1 (ko) 조립식 수납장
KR20090061167A (ko) 마감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레일지지대가 구비된 붙박이장
KR20210154783A (ko) 시스템 선반
CN103644698B (zh) 门体和冰箱
CN208988128U (zh) 一种铝合金罗马柱型材拼接结构
KR102429974B1 (ko) 망형벽체가 구비된 조립식 전시용 부스
WO2006097046A1 (fr) Classeur de type combine
CN219123732U (zh) 一种带有封闭型加强翻边的柜门及配电柜
JP4671155B1 (ja) 横引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