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825B1 - 유량계 - Google Patents

유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825B1
KR101696825B1 KR1020140122828A KR20140122828A KR101696825B1 KR 101696825 B1 KR101696825 B1 KR 101696825B1 KR 1020140122828 A KR1020140122828 A KR 1020140122828A KR 20140122828 A KR20140122828 A KR 20140122828A KR 101696825 B1 KR101696825 B1 KR 101696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locking
flow
shaf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2548A (ko
Inventor
김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22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8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32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01Means for regulating or setting the meter for a predetermined quant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량계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을 통과하여, 상기 유체의 유량을 측정 가능한 유량측정유닛; 그리고 상기 유량측정유닛의 이동경로 상에 상기 유량측정유닛이 이동 가능한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유량측정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배관을 개폐하는 차단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량계{FLOWMETER}
본 발명은 유량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의 차단 및 제거과정 없이 배관으로부터 인출하거나 배관에 삽입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배관에 설치된 유량계(Flowmeter)의 고장진단 및 교체 등 유지보수작업 필요시 유체를 차단 및 제거(Drain) 한 후에 유지보수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초래한다.
특히, 산업현장에서 대형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저압증기, 공업용수 등은 여러 가지 설비 또는 크고 작은 여러 가지 생산라인에 공급되기 때문에 조업여건상 차단 및 제거가 어려워 유지보수 활동이 매우 곤란하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2656호(2011.06.10.)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관으로부터 유체의 차단 및 제거과정 없이 유지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량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량계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을 통과하여, 상기 유체의 유량을 측정 가능한 유량측정유닛; 그리고 상기 유량측정유닛의 이동경로 상에 상기 유량측정유닛이 이동 가능한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유량측정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배관을 개폐하는 차단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측정유닛은, 상기 배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을 통해 상기 배관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차단유닛은, 일측이 상기 분기관에 연결되며, 상기 배관과 연통되는 차단공간을 가지는 차단프레임; 그리고 상기 차단공간에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서 상기 분기관을 개폐하는 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은, 상기 유량측정유닛이 상기 차단프레임의 외부로 이동시 상기 분기관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유량계는, 일측이 상기 차단프레임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공간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타측에 상기 유량측정유닛이 삽입 가능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계는, 일측이 상기 케이스의 상기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지지홀을 가지는 지지부재; 그리고 상기 지지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유량측정유닛이 삽입 가능한 중공형의 씰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계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씰링부재를 상기 지지홀에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계는, 상기 유량측정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유량측정유닛이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측정유닛은, 상기 배관에 삽입되어 상기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부; 그리고 일측이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를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의 타단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이동축; 그리고 상기 차단유닛의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나사선에 치합되며, 회전에 의해서 상기 이동축을 이동시키는 구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측정유닛은, 상기 배관에 삽입되어 상기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부; 그리고 일측이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를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차단유닛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축; 상기 이동축과 결합되며, 상기 이동축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이동축을 따라 승강하는 체결부재; 그리고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체결부재에 연결되는 연결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이동축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축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량계는, 상기 연결축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연결축을 감지한 상부감지신호 및 하부감지신호를 각각 전송하는 상부감지센서 및 하부감지센서;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 상기 상부감지센서 및 상기 하부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감지신호 또는 상기 하부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유량계의 제어방법은, 유체가 흐르는 배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을 통해 상기 배관에 삽입되어 상기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유닛을 상기 분기관의 외부로 인출시 상기 분기관에 연결된 차단유닛이 상기 분기관을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계의 제어방법은, 상기 유량측정유닛을 상기 배관에 삽입시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분기관을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계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체의 차단 및 제거과정 없이 유량검출센서를 배관으로부터 인출하거나 배관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둘째, 유체의 차단 및 제거과정 없이 유량검출센서를 배관으로부터 인출하거나 배관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시간과 비용면에서 경제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량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계가 배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계가 배관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계의 차단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계의 씰링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가 배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가 배관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계의 제어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량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량계(20)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10)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12)을 통해서 배관(10)에 삽입되어 유체의 유량을 측정한다. 분기관(12)의 양측에는 밸브(14, 16)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밸브(14,16)를 이용하여 배관(10)에 흐르는 유체를 차단 및 제거한 후에 유량계(20)를 설치 또는 제거한다. 이 경우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조업여건상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계가 배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계가 배관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1)는 배관(10)의 유체를 차단하지 않고 유량측정유닛(100)을 인출 및 삽입할 수 있는 것으로, 차단유닛(100), 유량측정유닛(200), 구동유닛(300) 및 씰링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계의 차단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단유닛(100)은 유체가 흐르는 배관(10)으로부터 분기한 분기관(12)에 연결되어 유량측정유닛(200)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차단유닛(100)은 유량측정유닛(200)의 이동(또는 위치)에 따라서 분기관(12)을 개폐할 수 있다. 차단유닛(100)은 차단프레임(110), 차단판(120), 회전축(130) 및 제2구동모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프레임(110)은 분기관(12)에 연결되며, 분기관(12)을 통해 배관(10)의 내부와 연통하는 차단공간(C)을 가진다. 차단공간(C)에는 차단판(1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단판(120)은 회전에 의해서 분기관(12)으로부터 오버플로우(Overflow)하는 유체를 차단하는 차단위치 및 상기 차단을 해제하는 해제위치로 전환 가능하다.
회전축(130)은 차단프레임(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차단판(120)에 연결되어 차단판(12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130)에는 제2구동모터(140)가 연결되며, 제2구동모터(140)의 회전으로 차단판(120)은 회전축(1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유량측정유닛(200)은 배관(10)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분기관(12)을 통해서 배관(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유량측정유닛(200)은 차단판(120)이 상기 해제위치에 있을 때 차단공간(C)을 통과할 수 있다. 유량측정유닛(200)이 차단프레임(110)의 외부로 이동하게 되면 차단판(120)은 상기 차단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분기관(12)으로부터 오버플로우하는 유체는 차단판(120)에 의해서 차단된다. 따라서, 배관(10)의 분기관(12)으로부터 유체가 오버플로우하지 않는 상태에서 유량측정유닛(200)을 교체 및 수리할 수 있게 된다. 량측정유닛(200)은 센서부(210), 연결부(220) 및 표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10)는 연결부(220)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해제위치에서 배관(10)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연결부(220)의 타단에는 표시부(230)가 설치되며, 연결부(220)는 센서부(210)가 유량을 측정한 신호가 표시부(23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전원회로 및 신호처리회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센서부(210)가 측정한 유량 값이 표시되며, 작업자는 표시부(230)를 이용해서 배관(10)의 현재 유량을 파악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측정한 상기 유량 값을 외부서버(도시 안함)로 전송할 수도 있다.
구동유닛(300)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유량측정유닛(200)에 연결되며, 유량측정유닛(200)이 배관(10)의 내부 및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유닛(300)은 이동축(310), 구동기어(320), 구동축(330), 제1구동모터(340) 및 하우징(35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50)은 메인프레임(도시 안함)에 고정설치되며, 이동축(310)은 연결축(305)을 통해서 하우징(350)과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이동축(310)의 외주면에는 이동축(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며, 이러한 나사선에 구동기어(320)가 치합된다. 따라서, 구동기어(320)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축(310)은 상하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유량측정유닛(200)은 이동축(310)과 함께 승강한다.
구동기어(320)에는 회전축(330)이 연결되며, 회전축(330)에는 제1구동모터(340)가 연결된다. 제1구동모터(340)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축(330)이 회전되며, 회전축(330)이 회전함에 따라서 구동기어(32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씰링유닛(400)은 차단유닛(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차단유닛(100)의 차단공간(C)으로부터 오버플로잉하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팀 또는 유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의 유출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씰링유닛(400)은 케이스(410), 지지부재(420), 씰링부재(430) 및 커버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410)의 하단은 플랜지(102, 402)에 의해 차단프레임(1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케이스(410)는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S)을 가지며, 내부공간(S)은 차단공간(C)과 연통된다. 케이스(410)의 상부면은 관통홀(410a)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관통홀(410a)을 통해서 유량측정유닛(200)이 배관(10)의 내부를 출입할 수 있다.
지지부재(420)는 케이스(410)의 상부면에 연결되며, 관통홀(410a)의 둘레에 배치된다. 지지부재(420)는 상하방향으로 지지홀(420a)이 관통 형성되며, 지지홀(420a)은 관통홀(410a)과 연통된다. 지지홀(420a)의 내주면에는 중공형의 씰링부재(430)가 설치되어 유량측정유닛(200)의 연결부(220)와 지지홀(420a)의 내주면 사이의 틈을 밀폐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410)의 내부공간(S)의 유체는 케이스(41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커버부재(430)는 지지부재(4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씰링부재(430)를 지지홀(420a)에 고정한다. 커버부재(430)는 지지부재(420)와 나사결합 할 수 있으며, 씰링부재(430)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가 배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가 배관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1)는 다른 형태의 구동유닛(300')이 사용될 수 있다. 구동유닛(300')은 연결축(361), 체결부재(363), 이동축(365), 제1구동모터(367) 및 하우징(37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축(361)은 일측이 유량측정유닛(200)의 연결부(220)에 연결되며, 타측이 체결부재(363)를 통해서 이동축(365)에 연결된다. 이동축(365)은 체결부재(363)에 나사결합되며, 이동축(365)의 회전에 의해서 체결부재(363)는 승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연결축(361)이 유량측정유닛(200)과 함께 승강하게 된다. 체결부재(363)는 볼스크류(Ball Screw)가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370)은 메인프레임(도시 안함)에 고정 설치되며, 하우징(370)의 내부에는 이동축(365) 및 체결부재(363)가 설치된다. 하우징(370)의 외부에는 제1구동모터(367)가 설치되며, 제1구동모터(367)는 이동축(365)에 연결되어 이동축(365)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계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는 상부감지센서(380), 하부감지센서(390) 및 제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감지센서(380)는 연결축(305, 361)의 상부에 설치되며, 연결축(305)을 감지한 상부감지신호를 제어부(500)에 전송할 수 있다. 하부감지센서(390)는 연결축(305, 361)의 하부에 설치되며, 연결축(305)을 감지한 하부감지신호를 제어부(5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부감지센서(380) 및 하부감지센서(390)는 리미트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상부감지센서(380), 하부감지센서(390), 제1구동모터(340, 367) 및 제2구동모터(140)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500)는 제1구동모터(140)를 구동하여 차단판(140)을 상기 차단위치 또는 상기 해제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차단판(140)을 상기 해제위치로 전환한 후에 제1구동모터(340, 367)를 구동하여 유량측정유닛(200)을 승강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상부감지센서(380)로부터 상부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1구동모터(340, 367)를 구동정지시킴으로써 유량측정유닛(200)의 센서부(210)를 케이스(410)의 내부공간(S)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플랜지(102) 및 플랜지(402)를 분리함으로써 내부공간(S)에 위치한 센서부(210)를 유지보수할 수도 있다.
제어부(500)는 하부감지센서(390)로부터 하부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1구동모터(340, 367)를 구동정지시킴으로써 센서부(210)를 배관(10)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센서부(210)를 케이스(410)의 내부공간(S) 또는 배관(10)의 내부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구동모터(340, 367) 및 제2구동모터(140)를 이용하여 유량측정유닛(200)을 승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한 핸들(손잡이)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계(1)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500)가 제2구동모터(140)를 구동하여 차단유닛(100)의 차단판(120)을 해제위치(예를 들면, 유량측정유닛(200)의 연결부(220)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부(220)와 나란하게 위치)로 전환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500)가 제1구동모터(340, 367)를 구동하여 연결축(305, 361)을 상승시킨다. 이때, 연결축(304, 361)이 일정 높이에 다다르면 상부감지센서(380)가 연결축(305, 361)을 감지한 상부감지신호를 제어부(50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제1구동모터(340, 367)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때, 센서부(210)는 케이스(410)의 내부공간(S)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플랜지(102) 및 플랜지(402)를 분리함으로써 내부공간(S)에 위치한 센서부(210)를 교체 또는 유지보수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센서부(210)를 교체 또는 유지보수한 후에 플랜지(102) 및 플랜지02)를 체결하여 케이스(410)와 차단프레임(110)을 결합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제1구동모터(340)를 구동하여 연결축(305, 361)을 하강시킨다. 이때, 연결축(304, 361)이 일정 높이에 다다르면 하부감지센서(390)가 연결축(305, 361)을 감지한 하부감지신호를 제어부(50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제1구동모터(340, 367)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때, 센서부(210)는 배관(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는 유체의 차단 및 제거과정 없이 유량측정센서를 배관으로부터 인출하거나 배관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된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밸브 12: 분기관
14, 16: 차단밸브 100: 차단유닛
110: 차단프레임 120: 차단판
130: 회전축 140: 제2구동모터
200: 유량측정유닛 210: 센서부
220: 연결부 230: 표시부
300, 300': 구동유닛 310: 이동축
320: 구동기어 330: 구동축
340, 367: 제2구동모터 400: 씰링유닛
410: 케이스 420: 지지부재
430: 씰링부재 440: 커버부재
500: 제어부

Claims (10)

  1. 유체가 흐르는 배관을 통과하여, 상기 유체의 유량을 측정 가능한 유량측정유닛;
    상기 유량측정유닛의 이동경로 상에 상기 유량측정유닛이 이동 가능한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유량측정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배관을 개폐하는 차단유닛; 및
    상기 유량측정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유량측정유닛이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유량계에 있어서,
    상기 유량측정유닛은,
    상기 배관에 삽입되어 상기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일측이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를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의 타단에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축을 승강시키는 이동축; 및
    상기 이동축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축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포함하되,
    상기 유량계는,
    상기 연결축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연결축을 감지한 상부감지신호 및 하부감지신호를 각각 전송하는 상부감지센서 및 하부감지센서; 및
    상기 구동모터, 상기 상부감지센서 및 상기 하부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감지신호 또는 상기 하부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유량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량측정유닛은,
    상기 배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을 통해 상기 배관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차단유닛은,
    일측이 상기 분기관에 연결되며, 상기 배관과 연통되는 차단공간을 가지는 차단프레임; 및
    상기 차단공간에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서 상기 분기관을 개폐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유량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상기 유량측정유닛이 상기 차단프레임의 외부로 이동시 상기 분기관을 폐쇄하는, 유량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량계는,
    일측이 상기 차단프레임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공간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타측에 상기 유량측정유닛이 삽입 가능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유량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량계는,
    일측이 상기 케이스의 상기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지지홀을 가지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유량측정유닛이 삽입 가능한 중공형의 씰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량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량계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씰링부재를 상기 지지홀에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량계.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은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차단유닛의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나사선에 치합되며, 회전에 의해서 상기 이동축을 이동시키는 구동기어;를 더 포함하는, 유량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은 상기 차단유닛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이동축과 결합되며, 상기 이동축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이동축을 따라 승강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축은 타단이 상기 체결부재에 연결되는, 유량계.
  10. 삭제
KR1020140122828A 2014-09-16 2014-09-16 유량계 KR101696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828A KR101696825B1 (ko) 2014-09-16 2014-09-16 유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828A KR101696825B1 (ko) 2014-09-16 2014-09-16 유량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548A KR20160032548A (ko) 2016-03-24
KR101696825B1 true KR101696825B1 (ko) 2017-01-16

Family

ID=5565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828A KR101696825B1 (ko) 2014-09-16 2014-09-16 유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8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769B1 (ko) 2016-06-14 2017-04-03 송진걸 충격 흡수 및 높, 낮이 조절 기능을 갖는 골프 티
CN109199068B (zh) * 2017-06-30 2021-07-0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及控制方法
KR102079975B1 (ko) * 2017-10-23 2020-02-21 주식회사 대흥계량기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이 있는 유량계가 내장된 내식성 배관
CN112254781A (zh) * 2020-10-16 2021-01-22 潘国强 一种适用于市政排水管道流量计安装辅助装置
KR102340306B1 (ko) * 2021-06-15 2021-12-16 (주)서용엔지니어링 비금속관로 탐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4199A (ja) * 2000-01-14 2001-07-19 Ricoh Co Ltd センサ移動機構、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6754A (en) * 1977-08-26 1978-06-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emovable probe
JP2651299B2 (ja) * 1991-10-09 1997-09-10 株式会社オーバル 挿入形センサ着脱装置
KR101132006B1 (ko) 2009-12-03 2012-03-3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유량센서 및 이를 구비한 연소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4199A (ja) * 2000-01-14 2001-07-19 Ricoh Co Ltd センサ移動機構、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548A (ko)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825B1 (ko) 유량계
KR101478008B1 (ko) 버터플라이 밸브의 수명시험 방법
CN204826095U (zh) 一种自动排水装置
KR102530861B1 (ko) 탁수유입 급속차단 자동 드레인 시스템 밸브
CN102777615A (zh) 一种流量控制阀
CN205023826U (zh) 灌装装置
CN110491532B (zh) 核电站主泵泄漏异常处理系统和方法
JP6019122B2 (ja) 故障監視を有する凝縮液排出装置
CN210265979U (zh) 一种非对称密封结构的偏心全通径球阀
CN202066653U (zh) 车用部件试验台油路泄漏自动检测控制系统
KR101535984B1 (ko) 보수세척 일체형 밸브
KR101585557B1 (ko) 배관용 센서 세정 장치
CN205247226U (zh) 液位监控装置
KR20130076224A (ko) 제수변 원격제어장치
KR20040104093A (ko)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KR200469867Y1 (ko)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설비용 매뉴얼 밸브의 제어 및 모니터링 장치
JP4254961B2 (ja) 過流量阻止弁の作動検査方法
CN203661766U (zh) 一种控制阀过滤器
CN105822823A (zh) 一种流量调节阀门手轮及具有该手轮的温控阀和分水器
KR100991897B1 (ko) 지하수 오염방지 밀폐장치
KR200475084Y1 (ko) 상태 알림 장치
CN210106736U (zh) 一种窜水检测仪及卫浴设备
CN203322294U (zh) 带信号装置的卡箍蝶阀
CN104280259B (zh) 高压清洗机检测装置
CN205373979U (zh) 一种水气切换检测的测漏工装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