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744B1 -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 - Google Patents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744B1
KR101696744B1 KR1020150037213A KR20150037213A KR101696744B1 KR 101696744 B1 KR101696744 B1 KR 101696744B1 KR 1020150037213 A KR1020150037213 A KR 1020150037213A KR 20150037213 A KR20150037213 A KR 20150037213A KR 101696744 B1 KR101696744 B1 KR 101696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mast
leg
climbing
squar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1193A (ko
Inventor
박병룡
박상우
Original Assignee
박병룡
박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룡, 박상우 filed Critical 박병룡
Priority to KR1020150037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744B1/ko
Publication of KR20150051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에 관한 것으로, (a) 크레인을 작업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b) 클라이밍 잭을 설치할 높이를 선정한 후 크레인 레그 각각의 일정높이에 브라켓을 용접고정하는 단계; (c) 마스트 베이스를 각 크레인 레그와 일정정도 이격된 위치에서 지면에 설치하는 단계; (d) 마스트를 이동시켜 마스트 베이스에 직립 고정 설치하고, 복수의 스퀘어 바를 각 마스트에 결합설치하는 단계; (e) 클라이밍 잭을 스퀘어 바에 고정 결합시키고 브라켓 하부에 밀착되도록 클라이밍 잭을 상승시키는 단계; (f) 보기부를 마스트에 와이어를 이용하여 지지시키는 단계; (g) 하부 일정위치에서 모든 크레인 레그를 횡으로 절단하고 모든 클라이밍 잭을 동시에 작동시켜 크레인을 일정 높이만큼 밀어 올려 보기부와 이격시키는 단계; (h) 레그 연장부를 모든 보기부 상단의 절단된 위치에 올려놓고 모든 클라이밍 잭을 동시에 하강하도록 작동시켜 크레인 레그의 하단이 상기 레그 연장부의 상단에 얹히도록 하는 단계; (i) 보기부의 상단과 레그 연장부의 하단, 절단된 크레인 레그의 하단과 레그 연장부의 상단을 각각 용접하여 크레인 레그를 레그 연장부 길이만큼 연장시키는 단계, 및 (j) 마스트를 포함한 리프팅 시스템을 해체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크레인 리프팅시 안정성이 탁월하고 크레인의 상부를 분리한 상태에서 장시간 동안 그 분리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크레인 레그의 연장시 작업의 효율성이 높아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크레인 개조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 {Extension Method of Crane Leg}
본 발명은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갠트리 크레인 또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컨테이너를 포함한 대형 중량물 탑재높이를 높임으로써 높이가 높은 중량물도 대용량의 크레인을 추가로 사용하는 것보다 기존의 크레인을 개조하여 높이를 증가시켜 비용경제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크레인 레그를 연장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은 천장 크레인 거더의 양끝에 교각(saddle)을 설치하고 지상 또는 건물의 바닥에 설치한 레일 위를 주행하도록 한 것으로 문(門) 형태로 옥외에 설치된 것이 대부분이며 캔틸레버를 붙여서 주행레일의 바깥쪽으로도 작업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이러한 갠트리 크레인은 대형의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인양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인양장치에 의해 인양된 컨테이너 등의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거나 설치하기 위해 교각에 의해 지지되는 높은 장소에 인양장치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서 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갠트리 크레인은 일반공장이나 부두 등에서 하역용으로 사용되는 것 외에 조선소의 선체조립에도 이용되어 매우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고, 특히, 트레일러에 실려오는 컨테이너를 야적하거나 야적된 컨테이너를 컨테이너선으로 싣거나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내리는 작업을 하므로 컨테이너부두 하역장비들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중요한 장비여서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크레인들은 컨테이너를 하역이나 선적을 할 때 컨테이너가 일정 개수 이상 쌓여 있거나 높이가 높은 대형 중량물을 들어 올려야 할 경우 높이가 한정된 크레인 레그로 인해 대용량의 크레인을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기존의 크레인의 높이를 증가시켜 비용경제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종래 기술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9432호(2011.07.07.)는 컨테이너를 파지하는 스프레더와, 상기 스프레더가 지지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롤리와, 상기 트롤리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며 고정된 거더에 연결되어 상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붐과, 상기 붐 및 거더를 지지하되 수직방향에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레그와, 상기 복수의 레그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포탈빔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붐을 지지하는 레그의 구조를 개선하여 안정성이 확보되는 컨테이너 크레인에 관한 것인데, 여전히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9432호(공개일: 2011.07.07.), 발명의 명칭: "개선된 레그 구조를 가지는 안정화된 컨테이너 크레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항만이나 공장, 조선소 등에서 갠트리 크레인 또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컨테이너를 포함한 대형 중량물 탑재높이를 높임으로써 높이가 높은 중량물도 대용량의 크레인을 추가로 사용하는 것보다 기존의 크레인을 개조하여 높이를 증가시켜 비용경제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크레인 레그를 연장하는 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인 리프팅시 안정성이 탁월하고 크레인의 상부를 분리한 상태에서 장시간 동안 그 분리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크레인 레그의 연장시 작업의 효율성이 높아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크레인 개조작업이 가능한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크레인을 크레인 레그의 연장이 이루어질 작업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b) 클라이밍 잭을 설치할 높이를 선정한 후 클라이밍 잭의 플레이트에 얹혀져 크레인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크레인 레그 각각의 일정높이에 브라켓을 용접고정하는 단계와; (c) 마스트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마스트 및 스퀘어 바가 받고 있는 하중을 지반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마스트 베이스를 각 크레인 레그와 일정정도 이격된 위치에서 지면에 설치하는 단계와; (d) 각 크레인 레그와 일정정도 이격된 위치에 일정 높이를 갖는 마스트를 이동시켜 마스트 베이스에 직립 고정 설치하고, 복수의 스퀘어 바를 각 마스트에 결합설치하는 단계와; (e) 클라이밍 잭을 스퀘어 바 1열에 하나씩 고정 결합시키고 브라켓 하부에 밀착되도록 클라이밍 잭을 상승시키는 단계와; (f) 크레인의 주행장치인 보기의 전도 방지를 위해 모든 보기부를 마스트에 와이어나 스틸바를 이용하여 지지시키는 단계와; (g) 크레인 레그 하부 일정위치에서 모든 크레인 레그를 횡으로 절단하고 스퀘어 바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클라이밍 잭을 동시에 작동시켜 모든 브라켓을 동일한 속도로 상승시킴으로써 크레인을 일정 높이만큼 밀어 올려 보기부와 이격시키는 단계와; (h) 레그 연장부를 모든 보기부 상단의 절단된 위치에 올려놓고 스퀘어 바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클라이밍 잭을 동시에 하강하도록 작동시켜 절단된 모든 크레인 레그의 하단이 상기 레그 연장부의 상단에 얹히도록 하는 단계와; (i) 절단된 위치인 보기부의 상단과 레그 연장부의 하단, 절단된 크레인 레그의 하단과 레그 연장부의 상단을 각각 용접하여 크레인 레그를 레그 연장부 길이만큼 연장시키는 단계, 및 (j) 마스트를 포함한 리프팅 시스템을 해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리프팅 시스템은 마스트, 마스트 베이스, 스퀘어 바 및 클라이밍 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계(d)에서 스퀘어 바를 마스트에 결합설치하는 방법은 스퀘어 바에 T형강을 용접하고 마스트에 베이스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2개의 L형 플레이트를 순서대로 밀착시켜 상기 플레이트들을 마스트에 볼팅한 후 T형강을 마주보는 2개의 L형 플레이트에 삽입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클라이밍 잭은 상부블록, 하부블록, 유압잭 실린더, 스위치 실린더, 이퀄라이저 실린더,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의 내측면에 결합된 웨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계(c)에서 사전작업으로 각 크레인 레그와 일정정도 이격되어 설치될 마스트의 위치를 지면에 마킹하고 마스트가 수직으로 곧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지면의 평탄작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계(d)에서 마스트 수직도를 체크하고, 마스트를 와이어 래싱을 통해 지면의 버킷에 고정하는 단계가 추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라켓과 클라이밍 잭의 플레이트 사이에 로딩 빔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계(h)에서 레그 연장부로 연장된 크레인 레그의 레벨과 수직도를 측량기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인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은 항만이나 공장, 조선소 등에서 갠트리 크레인 또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컨테이너를 포함한 대형 중량물 탑재높이를 높임으로써 높이가 높은 중량물도 대용량의 크레인을 추가로 사용하는 것보다 기존의 크레인을 개조하여 높이를 증가시켜 비용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크레인 리프팅시 안정성이 탁월하고 크레인의 상부를 분리한 상태에서 장시간 동안 그 분리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크레인 레그의 연장시 작업의 효율성이 높아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크레인 개조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갠트리 크레인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에서 리프팅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에서 클라이밍 잭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을 단계별로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정면도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의 흐름도.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를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에 관하여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제시된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첨부된 도면은 갠트리 크레인에 대한 것이되 갠트리 크레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은 일반적인 갠트리 크레인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에서 리프팅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에서 클라이밍 잭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을 단계별로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정면도와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항만이나 공장, 조선소에서 갠트리 크레인(도 1 참조) 또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컨테이너를 포함한 대형 중량물 탑재높이를 높이기 위하여 크레인 레그(leg)를 연장(약 3~5m)하는 공법이다.
이 때 크레인 레그(통상 4개)(10) 각각의 적정높이(약 5~20m)위치에 스틸 브라켓(steel bracket)(20)을 용접한 후, 마스트(mast)(30)에 결합설치된 스퀘어 바(square bar)(32)를 물고 스퀘어 바(32)를 따라 상승하는 클라이밍 잭(climbing jack)(40)으로 크레인 레그(10)에 용접된 브라켓(20)을 밀어 올림으로써 크레인 전체를 안정적으로 밀어 올리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시스템(lifting system)이 필요한데, 상기 리프팅 시스템에는 크레인 레그(10) 각각에 마스트(1단 높이 약12m)(30), 마스트 베이스(mast base)(31), 스퀘어 바(길이 약 12~24m)(32), 클라이밍 잭(40), 이퀄라이저(equalizer) 실린더(44), 브라켓 지지용 로딩 빔(loading beam)(21), 유압공급장치인 파워 팩(power pack)(미도시), 파워 팩 제어용 리모트 컨트롤(remote control)(미도시)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를 이용해 크레인을 리프팅함으로써 안정성이 탁월하고 크레인의 상부를 분리한 상태에서 장시간 동안 그 분리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크레인 레그(10)의 연장시 작업의 효율성이 높아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크레인 개조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리프팅 시스템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마스트(30)는 타워(tower) 구조로 된 기둥형태이고 복수의 스퀘어 바(32)가 결합되어 스퀘어 바(3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마스트 베이스(31)는 마스트(30)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마스트(30) 및 스퀘어 바(32)가 받고 있는 하중을 지반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스퀘어 바(32)는 클라이밍 잭(40)이 받는 메인 하중을 지지하면서 클라이밍 잭(40)을 가이드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마스트(30)에 길이방향으로 결합설치되는데, 그 재질은 단조강이 바람직하고 리프팅되는 크레인의 무게에 따라 마스트(30)에 1열 내지 3열로 수직 설치되며, 스퀘어 바(32) 1열당 수직 지지하중은 600톤 정도로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퀘어 바(32)의 연장을 위해 스퀘어 바(32) 끼리의 길이방향 결합은 인접하는 스퀘어 바(32)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홈(321)과 결합편(322)을 두어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스퀘어 바(32)를 마스트(30)에 결합설치하기 위해 스퀘어 바(32)에는 T형강(323)을 용접하고 마스트(3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324)와 마주보는 2개의 L형 플레이트(325)를 순서대로 밀착시켜 상기 플레이트들(324,325)을 마스트(30)에 볼팅한 후 T형강(323)을 마주보는 2개의 L형 플레이트(325)에 삽입하는 형태로 스퀘어 바(32)를 마스트(30)에 결합하거나 스퀘어 바(32)를 마스트(30)에 직접 용접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밍 잭(40)은 크레인 또는 대형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장치로 스퀘어 바(32)를 따라 상하로 왕복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스퀘어 바(32)에는 상부블록(41)과 하부블록(42)이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상부블록(41)과 하부블록(42) 사이에는 압축과 팽창이 반복적으로 행해지면서 상부블록(41)과 하부블록(42)을 번갈아가면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유압잭 실린더(43)가 스퀘어 바(32)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압잭 실린더(43) 내에는 피스톤(431) 및 피스톤로드(432)가 설치되어 있는데, 피스톤로드(432)는 피스톤(431)과 하부블록(42)을 서로 연결하게 되어 있고, 상부블록(41)과 하부블록(42)에 결합되는 스위치 실린더(433)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유압잭 실린더(43)는 상부블록(41)이 왕복이동할 경우에는 하부블록(42)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하부블록(42)이 왕복이동할 경우에는 상부블록(41)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상기 클라이밍 잭(40)이 서서히 왕복이동하면서 크레인 또는 대형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클라이밍 잭(40)의 유압잭 실린더(43)가 압축되면 상부블록(41)은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블록(42)은 상승하고 하부블록(42)의 상승이 완료되면 유압잭 실린더(43)가 팽창하면서 상기 하부블록(42)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블록(41)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역으로 상부블록(41)과 하부블록(42)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클라이밍 잭(40)의 유압잭 실린더(43)가 팽창되면서 상부블록(41)은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블록(42)은 하강하고 하부블록(42)의 하강이 완료되면 유압잭 실린더(43)가 압축되면서 상기 하부블록(42)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블록(41)이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블록(41) 상부에는 압축과 팽창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상부블록(41)이 스퀘어 바(32)를 따라 유동됨 없이 평행한 상태로 하중의 편중을 방지하면서 상기 상부블록(41)과 함께 왕복이동하도록 하는 이퀄라이저 실린더(44)가 스퀘어 바(32)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퀄라이저 실린더(44) 상부에는 브라켓(20)이나 로딩 빔(21)이 얹혀짐은 물론 브라켓(20)이나 로딩 빔(21)을 왕복이동시키도록 상기 유압잭 실린더(43)와 이퀄라이저 실린더(44)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플레이트(45)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블록(41)과 하부블록(42)의 고정은 상기 상부블록(41)과 하부블록(42)의 내측면에 상기 상부블록(41)과 하부블록(42)의 왕복이동에 따라 스위치 실린더(433)의 길이 조정에 의해 스퀘어 바(32)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 또는 스퀘어 바(32)의 외면과 이격되어 분리되도록 웨지(wedge)(46)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웨지(46)는 그 단면이 직각 삼각형으로 웨지의 일면은 상부블록(41)과 하부블록(42)이 왕복이동하면서 웨지(46)를 고정하거나 해제하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스퀘어 바측인 웨지의 타면은 스퀘어 바(32)의 외면에 밀착되거나 분리되도록 스퀘어 바(32)의 외면과 평행한 상태로 형성되며 스퀘어 바(32)의 외면에 밀착결합되도록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압잭 실린더(43)가 300톤의 인양능력이 있다면 클라이밍 잭(40)은 1기당 인양능력이 600톤이 되고, 스퀘어 바(32)가 3열이고 마스트(30)가 4개로 작업시 7,200톤까지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통상 갠트리 크레인 또는 컨테이너 크레인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하역이나 선적을 할 때 컨테이너를 5단 정도로 쌓게 되는데 근래에는 교역량이 늘어나고 선박 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컨테이너를 그 이상으로 쌓을 필요가 있음에 따라 대용량의 크레인을 추가로 사용하는 것보다 기존의 크레인을 개조하여 높이를 증가시켜 비용경제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리프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의 절차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크레인(갠트리 크레인 또는 컨테이너 크레인)을 크레인 레그(10)의 연장이 이루어질 작업위치에 위치시킨다(도 4a)(S10).
다음으로, 클라이밍 잭(40)을 설치할 높이를 선정한 후 클라이밍 잭(40)의 플레이트(45)에 얹혀져 크레인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크레인 레그(10) 각각의 일정높이에 브라켓(20)을 용접고정한다(도 4b)(S20). 여기서 크레인 레그(10)가 4개이면 크레인 레그(10) 4개 모두에 브라켓(20)을 설치하여야 하고, 크레인의 상승 또는 하강시 간섭될 수 있는 크레인 레그(10)에의 부착물을 모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마스트(30)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마스트(30) 및 스퀘어 바(32)가 받고 있는 하중을 지반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마스트 베이스(31)를 각 크레인 레그(10)와 일정정도 이격된 위치에서 일반 크레인으로 지면에 설치(도 4c)(S30)하되, 그 사전작업으로 각 크레인 레그(10)와 일정정도 이격되어 설치될 마스트(30)의 위치를 지면에 마킹(marking)하고 마스트(30)가 수직으로 곧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지면의 평탄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각 크레인 레그(10)와 일정정도 이격된 위치에 일정 높이를 갖는 마스트(30)를 일반 크레인으로 이동시켜 마스트 베이스(31)에 직립 고정 설치한다(도 4d)(S40). 여기서 마스트(30) 수직도를 다시 한번 체크하고 레벨(level)작업 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마스트(30)를 와이어(50) 래싱(wire lashing)을 통해 지면의 버킷(bucket)(51)에 추가 고정할 수 있고, 복수의 스퀘어 바(32)를 각 마스트(30)에 결합설치한다.
한편, 크레인 레그(10)가 4개인 경우 가장 근접한 한 쌍의 크레인 레그(10)의 브라켓(20) 하부 각각에 브라켓(20) 간의 수평거리 이상으로 길이가 긴 로딩 빔(21)을 고정시켜 설치할 수 있는데, 이는 로딩 빔(21)으로 연결된 한 쌍의 브라켓(20)을 동시에 밀어 올림으로써 크레인의 상승 또는 하강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로딩 빔(21)에 의해 크레인 레그(10)를 보강하는 잇점도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로딩 빔(21)은 리프팅 시스템에 의해 크레인의 상승 또는 하강시 브라켓(20)과 클라이밍 잭(40)의 플레이트(45) 사이에 위치하고 본 발명에서 로딩 빔(21)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클라이밍 잭(40)을 스퀘어 바(32) 1열에 하나씩 고정 결합시키고 브라켓(20) 하부 또는 로딩 빔(21)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로딩 빔(21) 하부에 밀착되도록 클라이밍 잭(40)을 상승시킨다(도 4e)(S50). 여기서 브라켓(20) 하부 또는 로딩 빔(21) 하부에 밀착되는 클라이밍 잭(40)의 구성은 플레이트(45)가 될 것이다.
그 다음으로, 후술할 크레인 레그(10)의 절단 후 크레인의 주행장치인 보기(bogie)(52)의 전도 방지를 위해 모든 보기부(52)를 마스트(30)에 와이어(54)나 스틸바를 이용하여 지지시킨다(도 4f)(S60).
그 다음으로, 크레인 레그(10) 하부 일정위치에서 모든 크레인 레그(10)를 횡으로 절단하고 스퀘어 바(32)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클라이밍 잭(40)을 동시에 작동시켜 모든 브라켓(20) 또는 로딩 빔(21)을 동일한 속도로 상승시킴으로써 크레인을 일정 높이(약 3.0~3.6m)만큼 밀어 올려 보기부(52)와 이격시킨다(도 4g)(S70). 여기서 크레인 레그(10)의 절단방법은 마그네틱 커팅(magnetic cutting) 방식으로 절단지정 위치에 절단라인을 횡으로 마킹하고 Rail Magnetic Cutting 장치를 설치하여 레일을 타고 가스 토치(gas torch)로 자동 절단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강재로 기제작된 레그 연장부(53)를 모든 보기부(52) 상단의 절단된 위치에 올려놓고 스퀘어 바(32)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클라이밍 잭(40)을 동시에 하강하도록 작동시켜 절단된 모든 크레인 레그(10)의 하단이 상기 레그 연장부(53)의 상단에 얹히도록 한다(도 4h)(S80). 여기서 레그 연장부(53)로 연장된 크레인 레그(10)의 레벨(level)과 수직도를 측량기 등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절단된 위치인 보기부(52)의 상단과 레그 연장부(53)의 하단, 절단된 크레인 레그(10)의 하단과 레그 연장부(53)의 상단을 각각 용접하여 크레인 레그(10)를 레그 연장부(53) 길이만큼 연장시킨다(도 4i)(S90). 여기서 용접방식은 Butt Joint Welding 방식으로 용접 이음부 배면에 Back Plate를 대고 CO2용접을 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그 후, 마스트(30)를 포함한 리프팅 시스템을 해체한다(도 4j)(S100).
10 : 크레인 레그 20 : 브라켓
21 : 로딩 빔 30 : 마스트
31 : 마스트 베이스 32 : 스퀘어 바
40 : 클라이밍 잭 41 : 상부블록
42 : 하부블록 43 : 유압잭 실린더
44: 이퀄라이저 실린더 45 : 플레이트
46 : 웨지 50,54 : 와이어
51 : 버킷 52 : 보기
53 : 레그 연장부

Claims (8)

  1. (a) 크레인을 크레인 레그(10)의 연장이 이루어질 작업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b) 클라이밍 잭(40)을 설치할 높이를 선정한 후 클라이밍 잭(40)의 플레이트(45)에 얹혀져 크레인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크레인 레그(10) 각각의 일정높이에 브라켓(20)을 용접고정하는 단계와;
    (c) 마스트(30)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마스트(30) 및 스퀘어 바(32)가 받고 있는 하중을 지반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마스트 베이스(31)를 각 크레인 레그(10)와 일정정도 이격된 위치에서 지면에 설치하는 단계와;
    (d) 각 크레인 레그(10)와 일정정도 이격된 위치에 일정 높이를 갖는 마스트(30)를 이동시켜 마스트 베이스(31)에 직립 고정 설치하고, 복수의 스퀘어 바(32)를 각 마스트(30)에 결합설치하는 단계와;
    (e) 클라이밍 잭(40)을 스퀘어 바(32) 1열에 하나씩 고정 결합시키고 브라켓(20) 하부에 밀착되도록 클라이밍 잭(40)을 상승시키는 단계와;
    (f) 크레인의 주행장치인 보기(52)의 전도 방지를 위해 모든 보기부(52)를 마스트(30)에 와이어(54)나 스틸바를 이용하여 지지시키는 단계와;
    (g) 크레인 레그(10) 하부 일정위치에서 모든 크레인 레그(10)를 횡으로 절단하고 스퀘어 바(32)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클라이밍 잭(40)을 동시에 작동시켜 모든 브라켓(20)을 동일한 속도로 상승시킴으로써 크레인을 일정 높이만큼 밀어 올려 보기부(52)와 이격시키는 단계와;
    (h) 레그 연장부(53)를 모든 보기부(52) 상단의 절단된 위치에 올려놓고 스퀘어 바(32)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클라이밍 잭(40)을 동시에 하강하도록 작동시켜 절단된 모든 크레인 레그(10)의 하단이 상기 레그 연장부(53)의 상단에 얹히도록 하는 단계와;
    (i) 절단된 위치인 보기부(52)의 상단과 레그 연장부(53)의 하단, 절단된 크레인 레그(10)의 하단과 레그 연장부(53)의 상단을 각각 용접하여 크레인 레그(10)를 레그 연장부(53) 길이만큼 연장시키는 단계, 및
    (j) 마스트(30)를 포함한 리프팅 시스템을 해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계(d)에서 스퀘어 바(32)를 마스트(30)에 결합설치하는 방법은 스퀘어 바(32)에 T형강(323)을 용접하고 마스트(30)에 베이스 플레이트(324)와 마주보는 2개의 L형 플레이트(325)를 순서대로 밀착시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4)와 상기 L형 플레이트들(325)을 마스트(30)에 볼팅한 후 T형강(323)을 마주보는 2개의 L형 플레이트(325)에 삽입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시스템은 마스트(30), 마스트 베이스(31), 스퀘어 바(32) 및 클라이밍 잭(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사전작업으로 각 크레인 레그(10)와 일정정도 이격되어 설치될 마스트(30)의 위치를 지면에 마킹하고 마스트(30)가 수직으로 곧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지면의 평탄작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에서 마스트(30) 수직도를 체크하고, 마스트(30)를 와이어(50) 래싱을 통해 지면의 버킷(51)에 고정하는 단계가 추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0)과 클라이밍 잭(40)의 플레이트(45) 사이에 로딩 빔(21)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h)에서 레그 연장부(53)로 연장된 크레인 레그(10)의 레벨과 수직도를 측량기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
KR1020150037213A 2015-03-18 2015-03-18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 KR101696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213A KR101696744B1 (ko) 2015-03-18 2015-03-18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213A KR101696744B1 (ko) 2015-03-18 2015-03-18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193A KR20150051193A (ko) 2015-05-11
KR101696744B1 true KR101696744B1 (ko) 2017-01-16

Family

ID=5338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213A KR101696744B1 (ko) 2015-03-18 2015-03-18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7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850B1 (ko) * 2020-08-21 2022-01-18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컨테이너 크레인 레그 연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하역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6297A (ja) * 2001-05-31 2002-12-10 Kyowa Exeo Corp 鉄塔建設用クレーン及び該クレーンを用いた鉄塔建設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8931B2 (ja) * 1992-10-30 2000-08-21 株式会社竹中工務店 筒状構造体のクライミングステージ工法と煙突の施工法
KR101120071B1 (ko) * 2009-12-03 2012-03-22 세방 주식회사 초중량물 인양용 크라이밍 잭 장치
KR101166718B1 (ko) 2009-12-30 2012-07-19 한국과학기술원 개선된 레그 구조를 가지는 안정화된 컨테이너 크레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6297A (ja) * 2001-05-31 2002-12-10 Kyowa Exeo Corp 鉄塔建設用クレーン及び該クレーンを用いた鉄塔建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193A (ko) 201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0592B1 (en) Storage tank construction
US20100000955A1 (en) Girder block lifting method and jack-up stage used therefor
KR100634465B1 (ko)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CN104652807A (zh) 液压爬模系统中内爬塔支撑钢梁的自周转施工系统及方法
CN104060543B (zh) 一种预制桥面板的安装装置
KR101696744B1 (ko) 크레인 레그 연장공법
EP3650686A1 (en) Device for supporting a number of elongate elements in lying position on a deck of a vessel
KR100807311B1 (ko) 크레인 붐조립체 제작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CN102995560B (zh) 薄壁空心墩提模架及使用方法
KR101120071B1 (ko) 초중량물 인양용 크라이밍 잭 장치
JP2009114822A (ja) 落橋防止pcブロック取付工事用特殊作業台車装置
CN110847031A (zh) 桥梁施工用移动吊篮
CN116497706A (zh) 桥面用箱梁钢筋部品运输装置与方法
CN105417397A (zh) 一种移动式起重吊装运输设备及方法
CN101664963B (zh) 大体积预应力砼箱梁张拉多功能操作平台
JP2016142097A (ja) 可搬式昇降装置および水平部材の解体方法
CN113403951B (zh) 一种有限净空条件下钢桁架桥桥面板吊装施工方法
JP3251495B2 (ja) 橋型クレーンの組み立て工法
CN210214588U (zh) 一种抓斗桥式起重机
KR20060026332A (ko) 대형 구조물 이동 및 잭킹 장치
KR102347820B1 (ko) 메가급 항만 물류 자동화 구축을 위한 가설 구조물 기반의 항만 기초구조물 시공 방법
CN112777484A (zh) 一种货架的吊装方法
KR20140003936U (ko) H빔 운반용 지그
CN219237938U (zh) 一种提高螺纹钢运输船舶堵橄作业效率的滑落架
CN116005557B (zh) 大跨度飞燕式提篮钢箱拱桥空间异型拱肋结构的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