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732B1 - 회전조인트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조인트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732B1
KR101696732B1 KR1020150093975A KR20150093975A KR101696732B1 KR 101696732 B1 KR101696732 B1 KR 101696732B1 KR 1020150093975 A KR1020150093975 A KR 1020150093975A KR 20150093975 A KR20150093975 A KR 20150093975A KR 101696732 B1 KR101696732 B1 KR 101696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joint
rotary
fixed holder
support portio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5213A (ko
Inventor
차관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93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732B1/ko
Publication of KR2017000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22D11/1287Rolls;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05Sealing 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회전조인트 시험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조인트 시험장치는 지지부,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축, 지지부와 연결축에 형성된 유로를 포함하는 회전조인트를 시험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조인트의 지지부 외면을 포위해 밀봉상태로 지지하는 고정홀더; 회전조인트의 연결축에 회전 제한 상태로 결합되며, 연결축 선단부의 유로를 밀봉하는 회전캡; 회전캡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 및 고정홀더에 연결되어 회전조인트의 유로로 테스트를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조인트 시험장치{TEST DEVICE FOR ROTARY JOINT}
본 발명은 회전조인트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사용조건으로 회전시키면서 누수와 회전상태를 시험할 수 있는 회전조인트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 연속주조공장의 세그멘트 설비에는 반제품인 주편의 이송을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롤이 설치되는데, 가이드롤은 주편의 복사열에 의해 과열되기 쉽다. 따라서 그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해 과열을 방지하고 있다.
가이드롤처럼 회전하는 장치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냉각수배관과 회전하는 가이드롤을 연결하는 회전조인트가 필요하다. 제철소 연속주조공장에서 사용되는 가이드롤의 경우, 각 가이드롤 양단 쪽에 냉각수의 공급을 위한 회전조인트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회전조인트는 설비에 장착하기 전에 누수여부와 회전상태를 검사할 필요가 있다. 설비에 장착한 후 회전불량이나 냉각수 누설과 같은 고장이 발생할 경우 막대한 조업손실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철설비처럼 다수의 회전조인트를 이용하는 곳에서는 많은 회전조인트들을 미리 검사하고 장착하는데 부담이 있었을 뿐 아니라, 장착 전 회전조인트를 실제 가이드롤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조건(회전, 수압 등)으로 시험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실제 사용조건으로 회전시키면서 누수와 회전상태를 시험할 수 있는 회전조인트 시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지부,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축, 지지부와 연결축에 형성된 유로를 포함하는 회전조인트를 시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조인트의 지지부 외면을 포위해 밀봉상태로 지지하는 고정홀더; 상기 회전조인트의 연결축에 회전 제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연결축 선단부의 유로를 밀봉하는 회전캡; 상기 회전캡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 및 상기 고정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조인트의 유로로 테스트를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회전조인트 시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험장치는 상기 고정홀더와 상기 회전장치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홀더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캡을 고정한 상태로 회전하는 회전척과, 상기 회전척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홀더는 상기 지지부 외측을 포위하며 상기 지지부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진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 양단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 외경에 대응하는 관통공을 각각 구비하며 실링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 외면에 밀봉 결합되는 두 측면부와, 상기 지지부를 장착한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측면부 중 한쪽 측면부 양측에 마련된 걸림레일과, 상기 걸림레일 걸려 지지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장착방향으로 가압해 고정시키는 조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홀더는 상기 지지부를 분리시킬 때 상기 지지부의 플랜지부와 상기 측면부 사이의 틈으로 진입해 상기 고정홀더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분리를 돕는 쐐기형 분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캡은 상기 연결축 선단에 마련된 걸림홈에 진입하여 걸리도록 그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핀과, 시험 종료 후 내부의 잔류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조인트 시험장치는 시험과정에서 회전조인트의 연결축을 사용조건과 대등한 수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조인트 내에 실 사용조건과 대등한 수준으로 유체의 압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조인트의 누수여부와 회전상태를 실제와 대등한 상황에서 쉽게 시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조인트 시험장치는 회전조인트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다수의 회전조인트를 빠르 시간에 시험할 수 있다.
도 1은 연소주조공장의 세그멘트설비 등에 적용된 통상의 가이드롤을 나타낸다.
도 2는 통상적인 가이드롤에 적용된 회전조인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통상적인 가이드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조인트 시험장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조인트 시험장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조인트 시험장치 단면도로, 회전조인트 장착 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조인트 시험장치 단면도로, 회전조인트 장착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조인트 시험장치의 회전캡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조인트 시험장치의 분리장치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연소주조공장의 세그멘트설비 등에 적용되는 가이드롤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롤(10)은 중심부에 냉각수유로(11a)가 형성된 회전축(11), 회전축(11) 외면에 결합된 복수의 롤(12), 회전축(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각 롤(12) 사이 및 회전축(11) 양단부에 설치된 복수의 베어링유닛(13), 회전축(11) 양단부의 베어링유닛(13) 하우징(13a)에 결합된 커버부재(14), 그리고 회전축(11)의 냉각수유로(11a)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 커버부재(14)에 설치된 회전조인트(20)를 구비한다.
회전조인트(2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14)에 고정되는 원통형 지지부(21)와, 한 쪽이 지지부(21)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쪽이 지지부(21)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회전축(11)의 냉각수유로(11a)로 진입하여 회전축(11)에 결합되는 연결축(22)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축(22) 중심부에는 회전축(11)의 냉각수유로(11a)와 연계되는 유로(22a)가 형성되고, 지지부(21)에도 연결축(22)의 유로(22a)와 연계되도록 반경방향으로 유로(21a)가 형성된다. 이 유로(21a)는 커버부재(14)의 유로와 연통된다. 따라서 커버부재(14)의 유로(14a)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각수는 지지부(21) 및 연결축(22)의 유로(21a,22a)를 통하여 회전축(11)의 냉각수유로(11a)로 공급될 수 있다.
회전조인트(20)의 지지부(21)는 커버부재(14)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부(21b)를 구비한다. 지지부(21)의 원통형 외면, 그리고 플랜지부(21b) 내면에는 냉각수의 누설방지를 위해 밀봉결합을 구현하는 오링형태의 실링부재들(23a,23b)이 설치된다.
지지부(21)에 결합되는 연결축(22)의 외면은 회전지지부재(24)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복수의 실링부재(25)에 의해 지지부(21) 내면과의 틈이 밀봉되도록 결합된다. 지지부(21)의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축(22)의 반대편은 회전축(11) 내에 설치된 연결부재(16)에 밀봉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축(22)과 연결부재(16) 내면의 밀봉을 위해 연결축(22) 외면에도 하나 이상의 실링부재(23c)가 설치된다. 따라서 연결축(22)이 회전축(11)과 함께 회전하면서 냉각수가 공급되더라도 냉각수의 누설이 방지된다.
연결부재(16)와 결합되는 연결축(22)에는 연결부재(16)의 걸림핀(16a)에 걸리는 걸림홈(22b)이 마련된다. 걸림홈(22b)은 연결축(22)의 단부 쪽으로 개방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16)와 연결축(22)이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축(11)이 회전하면 연결축(22)도 함께 회전한다.
회전조인트(20)가 이처럼 가이드롤(10)에 장착된 이후에 냉각수의 누설이나 회전불량이 발생한다면, 막대한 조업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회전조인트(20)는 가이드롤(10)에 장착 전에 누수여부와 회전상태를 시험할 필요가 있다.
아래에서는 회전조인트(20)를 설비에 장착하기 전에 누수와 회전상태를 검사하는 것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조인트 시험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회전조인트 시험장치(100)는 회전조인트(20)의 지지부(21)가 결합되는 원통형 고정홀더(110), 회전조인트(20)의 연결축(22)에 회전 제한상태로 결합되어 연결축(22) 선단의 유로(22a)를 밀봉하는 회전캡(120), 회전캡(120)을 지지한 상태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130), 회전조인트(20)의 유로로 테스트를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장치(140), 고정홀더(110)와 회전장치(13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15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50)는 고정프레임(151)과, 고정홀더(110)를 지지한 상태로 고정프레임(1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프레임(152)을 포함한다. 이동프레임(152)은 고정프레임(151)에 형성된 레일(153)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고정홀더(110)와 회전캡(12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회전장치(130)는 베이스부(151)의 고정프레임(152)에 설치되며 회전캡(120)을 고정한 상태로 회전하는 회전척(131)과, 회전척(13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2)를 포함한다. 회전척(131)은 지지브래킷(133)에 의해 고정프레임(151)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구동모터(132)는 고정프레임(151)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모터(132)와 회전척(131)은 회전동력 전달을 위해 풀리(134a,134b)와 벨트(134c)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회전척(131)은 둘레에 마련된 조임부(131a)를 조이거나 풀 때 복수의 조(131b, jaw)가 반경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그 회전중심에 회전캡(120)을 조여서 고정하거나 풀 수 있다. 또 크기가 다른 회전캡(120)을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고정홀더(110)는 회전캡(120)과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그 중심선이 회전척(131)의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이동프레임(152) 위에 고정된다. 고정홀더(110)는 회전조인트(20)의 지지부(21) 외측을 포위하며 지지부(21)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진 원통부(111)와, 원통부(111)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고 지지부(21) 외경에 대응하는 관통공(112a,113a)을 각각 구비한 두 측면부(112,113)를 포함한다.
회전조인트(20)는 이러한 고정홀더(110)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즉 회전조인트(20)는 고정홀더(110)의 한쪽 관통공(112a)으로 진입하여 연결축(22)이 반대편 관통공(113a)을 통과해 회전척(131)에 고정된 회전캡(120)에 결합되도록 장착된다. 이때 회전조인트(20)의 지지부(21) 외면은 고정홀더(110)의 두 측면부(112,113)에 지지되며, 지지되는 부분이 실링부재(23b,114)에 의해 밀봉된다. 또 지지부(21)의 플랜지부(21b)는 관통공(112a)보다 외경이 크므로 한쪽 측면부(112)에 걸려 고정홀더(110) 내측으로 진입이 제한된다. 그리고 고정홀더(110)에 장착된 회전조인트(20)는 고정홀더(110) 일측에 마련된 고정장치(1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장치(160)는 고정홀더(110)의 한쪽 측면부(112)에 결합되며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두 걸림레일(161a,161b)을 갖춘 걸림부재(161)와, 걸림부재(161)에 수용되는 형태로 양단이 걸림레일(161a,161b)에 걸려 지지되며 걸림레일(161a,161b)을 따라 승강할 수 있는 지지판(162)과, 지지판(162)에 체결되어 회전조인트(20)의 지지부(21) 후단을 장착방향으로 가압해 고정시키는 조임부재(163)를 포함한다.
고정장치(160)로 회전조인트(20)의 지지부(21)를 고정할 때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홀더(110)에 회전조인트(20)를 장착한 후 지지판(162)을 회전조인트(20) 지지부(21)의 플랜지부(21b) 후방에 위치시키고 조임부재(163)를 조여준다. 이렇게 하면, 조임부재(163)가 지지부(21)의 플랜지부(21b) 후면을 장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회전조인트(20)의 지지부(21)가 고정홀더(110)에 견고히 고정된다.
고정장치(110)의 지지판(162)과 조임부재(16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레일(161a,161b)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에 고정홀더(110)의 관통공(112a) 아래 쪽으로 내릴 수 있다. 따라서 고정홀더(110)에 회전조인트(20)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때 간섭되지 않게 내려둘 수 있다.
고정홀더(110)에 장착된 회전조인트(20)는 분리장치(170)를 이용해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분리장치(17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홀더(110)의 일측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지부(21)의 플랜지부(21b)와 고정홀더(110)의 측면부(112) 사이 틈으로 진입해 고정홀더(110)로부터 지지부(21)의 플랜지부(21b)를 분리시키는 쐐기부재(171)와, 고정홀더(110) 상부에 고정되어 쐐기부재(171)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172)와, 평소 쐐기부재(171)가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쐐기부재(171)를 상승시키는 탄성부재(173)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리장치(170)는 회전조인트(20)를 분리하고자 할 때 조임부재(163)를 풀어 지지판(162)을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쐐기부재(171)를 하방으로 가압해 쐐기부재(171)가 플랜지부(21b)와 고정홀더(110) 측면부(112) 사이 틈으로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회전조인트(20)가 고정홀더(110)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척(131)에 결합되는 회전캡(12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축(22) 단부의 유로(22a)를 밀봉할 수 있도록 연결축(22)이 진입하는 쪽이 개방되고 반대편이 폐쇄된 원통형태로 마련된다. 연결축(22)이 회전캡(120)으로 진입하면 연결축(22) 외면에 결합된 실링부재(23c)에 의해 회전캡(120) 내면과 연결축(22) 외면 사이 틈이 밀봉된다.
회전캡(120)은 연결축(22)이 결합될 때 연결축(22) 선단에 마련된 걸림홈(22b)에 진입하여 걸리도록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핀(121)을 구비한다. 따라서 회전척(131)의 동작에 의해 회전캡(120)이 회전하면 연결축(22)도 회전한다. 또 회전캡(120)에는 시험 종료 후 잔류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밸브(122)가 설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유체공급장치(140)는 고정홀더(110)의 내측으로 테스트를 위한 유체(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 고정홀더(110)에 연결된 배관(141), 배관(141)을 개폐하는 개폐밸브(142), 그리고 배관(142)으로 유체를 압송하는 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는 회전조인트(20)의 사용조건에 상당하는 압력 (가이드롤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압력)으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홀더(110)에는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압력계(180)가 설치될 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회전조인트 시험장치(100)를 이용해 회전조인트(20)를 시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회전조인트(20)를 시험할 때는 먼저 고정홀더(110)에 회전조인트(20)를 장착한다. 이때는 앞서 설명한 대로 회전조인트(20)의 연결축(22)이 회전캡(120)에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지지판(162)과 조임부재(163)를 이용해 회전조인트(20)의 지지부(21)를 고정홀더(110)에 고정시킨다.
고정홀더(110)와 회전캡(120) 사이의 간격조절이 필요할 때는 이동프레임(152)을 이동시켜 고정홀더(1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 시험대상 회전조인트(20)의 종류가 달라서 연결축(22)과 회전캡(120)의 크기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회전척(131)에 회전캡(120)을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회전조인트(20)를 장착하면, 회전조인트(20)의 지지부(21) 외면(유로(21a)가 있는 부분)이 고정홀더(110)에 감싸여 밀봉되고, 회전조인트의 연결축(22) 단부의 유로(22a)도 회전캡(120)에 의해 밀봉된다.
회전조인트(20)를 장착한 후에는 회전캡(120)의 배출밸브(122)를 폐쇄하고, 유체공급장치(140)의 개폐밸브(142)를 개방해 회전조인트(20) 유로로 테스트 유체를 공급하면서 회전장치(130)를 동작시킨다. 이때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은 회전조인트(20)가 가이드롤(10)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조건일 수 있다. 대략 10㎏/㎠ 의 압력으로 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시험 압력으로 유체를 공급하고 회전장치(130)를 동작시키면, 회전조인트(20)의 연결축(22)은 사용조건과 대등한 수준으로 회전하고, 회전조인트(20) 내에는 실 사용조건과 대등한 수준으로 유체의 압력이 작용하므로, 회전조인트(20)의 누수여부와 회전상태를 실제와 대등한 상황에서 쉽게 시험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고정홀더(110)에 설치된 압력계(180)의 압력 변동상태를 확인하면서 누수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시험을 마친 후에는 회전장치(130)를 정지시키고, 유체공급장치(140)의 개폐밸브(142)를 잠가 유체공급을 중단한다. 또 회전조인트(20)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회전캡(120)의 배출밸브(122)를 개방해 회전조인트(20) 내의 잔류유체를 배출시켜 잔류압을 제거한다.
회전조인트(20)를 분리할 때는 조임부재(163)를 풀어 결속을 해제한 상태에서 분리장치(170)의 쐐기부재(171)를 이용해 회전조인트(20)를 고정홀더(11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때는 사용자가 쐐기부재(171)를 하방으로 가압해 쐐기부재(171)가 플랜지부(21b)와 고정홀더(110) 측면부(112) 사이 틈으로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회전조인트(20)가 고정홀더(110)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본 실시 예의 회전조인트 시험장치(100)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회전조인트(20)를 설비에 장착하기 전에 실 사용조건을 부여하면서 시험할 수 있고, 회전조인트(20)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다수의 회전조인트(20)를 빠르 시간에 시험할 수 있다.
10: 가이드롤, 20: 회전조인트,
21: 지지부, 22: 연결축,
100: 회전조인트 시험장치, 110: 고정홀더,
120: 회전캡, 130: 회전장치,
140: 유체공급장치, 150: 베이스부,
160: 고정장치, 170: 분리장치,
180: 압력계.

Claims (8)

  1. 지지부,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축, 지지부와 연결축에 형성된 유로를 포함하는 회전조인트를 시험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프레임의 상단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조인트의 지지부가 끼워져 장착되는 관통공을 구비하되 상기 지지부 외면에 형성된 유로(21a)를 포위해 밀봉상태로 지지하는 고정홀더;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서 상기 고정홀더와 마주하게 배치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척을 포함한 회전장치;
    상기 회전척의 복수의 조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회전조인트의 연결축에 회전 제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연결축 선단부의 유로를 밀봉하는 회전캡;
    상기 고정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홀더와 상기 회전조인트의 지지부 사이 공간에 상기 회전조인트의 유로로 테스트를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장치; 및
    상기 고정홀더에 장착된 상기 회전조인트를 분리 시 상기 회전조인트의 플랜지부와 상기 고정홀더 사이 틈으로 진입하도록 상기 고정홀더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쐐기형 분리장치;를 포함하는 회전조인트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분리장치는 상기 고정홀더 일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쐐기부재와, 상기 쐐기부재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쐐기부재가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쐐기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조인트 시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에는 상기 고정홀더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확인할 수 있는 압력계가 설치되는 회전조인트 시험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는
    상기 지지부 외측을 포위하며 상기 지지부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진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 양단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 외경에 대응하는 상기 관통공을 각각 구비하며 실링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 외면에 밀봉 결합되는 두 측면부와,
    상기 지지부를 장착한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회전조인트 시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두 측면부 중 한쪽 측면부 양측에 마련된 걸림레일과, 상기 걸림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걸림레일에 걸려 지지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장착방향으로 가압해 고정시키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조인트 시험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캡은 상기 연결축 선단에 마련된 걸림홈에 진입하여 걸리도록 그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핀과, 시험 종료 후 내부의 잔류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밸브를 포함하는 회전조인트 시험장치.

KR1020150093975A 2015-07-01 2015-07-01 회전조인트 시험장치 KR101696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975A KR101696732B1 (ko) 2015-07-01 2015-07-01 회전조인트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975A KR101696732B1 (ko) 2015-07-01 2015-07-01 회전조인트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213A KR20170005213A (ko) 2017-01-12
KR101696732B1 true KR101696732B1 (ko) 2017-01-17

Family

ID=5781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975A KR101696732B1 (ko) 2015-07-01 2015-07-01 회전조인트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7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646A (ko) *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비틀림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KR102366309B1 (ko) * 2020-08-11 2022-02-2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회전결합기 검증용 시험 치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22210B (zh) * 2023-11-09 2024-01-30 成都沃特塞恩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转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329B1 (ko) * 2012-07-06 2013-11-11 주식회사 포스코 로터리조인트 테스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704Y1 (ko) * 1993-08-25 1996-09-1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로터리조인트의 성능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329B1 (ko) * 2012-07-06 2013-11-11 주식회사 포스코 로터리조인트 테스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646A (ko) *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비틀림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KR102244896B1 (ko) 2019-05-31 2021-04-27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비틀림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KR102366309B1 (ko) * 2020-08-11 2022-02-2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회전결합기 검증용 시험 치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213A (ko)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732B1 (ko) 회전조인트 시험장치
KR101370591B1 (ko) 밸브시험 장치
CA2704427C (en) Double block and bleed plug
CN103903488B (zh) 一种轴向密封的卡箍快开卧式深海模拟舱
KR101583597B1 (ko) 배관용 클램프 장치
KR101185176B1 (ko) 유지보수 편의를 위한 밸브 연결장치
NO20131699A1 (no) Pakning for kompakt rørflens
US10718458B2 (en) Automated pressure equalization above and below completion plug of gate valve cartridge or a completion plug of a line stop fitting
JP2014029195A (ja) 仕切弁の弁蓋撤去工法及び仕切弁
KR20140085731A (ko) 유압배관의 플러싱을 위한 가설 배관 장치
KR102018708B1 (ko) 에어 리크 테스트 장치
KR101559681B1 (ko) 유지 보수가 용이한 스템 밸브
KR101701333B1 (ko) 배관용 클램프 장치
KR20180123363A (ko) 자동 및 수동 전환식 밸브 테스트 장치
JP5426875B2 (ja) 管接続部材の脱着装置
CN105784282A (zh) 一种燃油附件零组件漏油量试验装置
KR101327329B1 (ko) 로터리조인트 테스트장치
KR20150010080A (ko) 원심펌프의 미캐니컬 씰 기밀성 테스트 장치
KR100973894B1 (ko) 코렉스 쿨링가스 압축기의 메카니칼 시일 테스트 장치
CN112444389A (zh) 一种用于阀门制造的质量检测装置
RU2768902C2 (ru) Шиберная задвижка для газонепроницаемого запирания соединительных насадок для присоединения измерительных зондов в доменной печи
KR20190074057A (ko) 열분석 실험장치
KR102473505B1 (ko) 볼밸브 스템 지그
CN212059253U (zh) 一种用于混凝土管道的内压检测装置
KR102015627B1 (ko) 밸브 테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