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190B1 - 압력조절방식을 이용한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조절방식을 이용한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190B1
KR101696190B1 KR1020150151510A KR20150151510A KR101696190B1 KR 101696190 B1 KR101696190 B1 KR 101696190B1 KR 1020150151510 A KR1020150151510 A KR 1020150151510A KR 20150151510 A KR20150151510 A KR 20150151510A KR 101696190 B1 KR101696190 B1 KR 101696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water
pressure
unit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기
Original Assignee
시엔시피이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엔시피이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엔시피이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1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조절방식을 이용한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수탱크; 커피원액 추출부;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에서 추출된 커피 원액을 보관하는 추출수 저장부; 상기 냉수탱크 내 물을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로 공급하기 전에 보관하고 있는 공급수 탱크; 상기 공급수 탱크 내 물의 온도를 0 내지 50℃로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해주는 공급수 조절부; 상기 공급수 탱크 내 물을 10 내지 50 bar의 압력으로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에 공급하는 압력 조절부; 및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할 경우, 커피원액 추출부 내부 압력을 설정된 압력으로 낮줘주는 압력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방식을 이용한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력조절방식을 이용한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APPARATUS FOR RAPIDLY EXTRACTING DUTCH COFFEE USING PRESSUR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압력조절방식을 이용한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원액 추출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고속 또는 저속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커피원액 추출시 알칼리수를 이용하여 커피 추출속도를 더욱 증가시키고, 알칼리수의 이점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대한 것이다. 또한 커피 추출시 공급되는 물의 온도 및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춰 알맞은 온도와 농도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치커피(저온추출커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속으로 수분 내에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치커피란 뜨거운 물이 아닌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장시간에 걸쳐 우려낸 커피를 가리키는 것으로, 그 제조 방식은 전용 기구에 분쇄한 원두를 넣고 찬물 또는 상온의 물에 짧게는 3 내지 4시간, 길게는 8 내지 12시간 정도 우려내 커피 원액을 추출한다.
추출하는 방식에 따라 점적식과 침출식으로 구분되며, 점적식은 용기에서 우려낸 커피가 한 방울씩 떨어지게 하는 방식이고, 침출식은 용기에 분쇄한 원두와 물을 넣고 10 내지 12시간 정도 실온에서 숙성시킨 뒤 찌꺼기를 걸러내 원액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상기 방법으로 추출되는 더치커피는 오랜 시간 걸쳐 추출하기 때문에 뜨거울 물로 짧은 시간 추출한 일반 커피에 비하여 쓴맛이 덜하며 순하고 부드러운 풍미를 느낄 수 있으며, 카페인 함량 감소, 저지방, 탄질성분의 감소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더치커피의 풍미를 즐기는 사용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더치커피의 판매도 함께 꾸준하게 증가되고 있는 반면에, 장시간에 걸쳐서 추출해야하는 더치커피의 제조방식에 의해 공급되는 더치커피의 양에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었고, 더욱이 커피추출용기 또는 더치커피가 담겨 있는 포장용기 내부에서 대장균 등이 증식되어 발견되는 등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장시간에 걸쳐 추출해야 했던 종래의 더치커피와는 다르게, 외부 균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고, 짧은 시간안에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새로운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대한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하여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496342호(2015.02.17.)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상온의 물이 공급되고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덮개가 구비되는 추출용기와; 상기 추출용기의 내부에 구비되며 분쇄된 커피 원료가 수용되어 커피추출액을 우려내고 찌꺼기를 걸러주는 거름망과; 상기 덮개의 일측에 연결되어 추출용기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추출용기의 내압을 상승시키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덮개의 일측에 연결되어 추출용기 내의 커피 추출 과정에서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와; 상기 추출용기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어 추출된 커피추출액을 배출시키는 추출액 배출부와; 상기 공기공급부, 공기배출부, 추출액 배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커피의 산화 방지, 카페인 함량 감소 및 신속한 커피 제공을 위해 외부와 밀폐된 추출용기에 압력을 가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 본 발명과 유사점이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은 본 발명과는 달리 압력조절에 있어 수압이 아닌 공기압을 사용하고 있고, 또한 점적식 추출방식이 아닌 침출식 추출방식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542668호(2015.07.31.)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피분말이 수용되는 커피분말용기와; 상기 커피분말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정수기의 냉수를 상기 커피분말용기로 공급하는 정수기연결관과; 상기 커피분말용기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피분말과 냉수가 혼합되어 추출된 커피액이 저장되는 커피액용기와; 상기 정수기연결관의 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정수기연결관을 통해 이동되는 냉수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냉수를 상기 커피분말용기로 강제적으로 유입시키키고, 냉수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와; 상기 정수기연결관으로부터 상기 커피분말용기로 냉수가 유입되는 유입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커피분말용기로 유입되는 냉수의 유량을 조절하여 커피액의 농도를 조절하는 유량조절부를 포함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커피분말용기에 공급되는 냉수의 수압을 제어하며, 커피액의 양, 농도 및 추출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 유사점이 있으나, 선행기술의 수압 제어는 더치커피의 질을 위해 일정한 수압으로 제어하는 데 관한 것으로 본 발명과 같이 고압으로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본 발명과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550337호(2015.08.31.)는 자동판매기 타입의 더치커피멋니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24시간에 걸쳐 내려서 생성시키던 종래의 더치커피머신과는 달리, 자동판매기 타입으로 외형이 이루어지며, 짧은 시간안에 제조되어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어, 여름철에도 변질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짧은 시간 안에 내려서 마실 수 있어, 대략 하루 정도의 시간을 기다려야만 했던 커피마니아에게 더치커피의 판매가 용이한 자동판매기 타입의 더치커피머신 및 그 운용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펌프를 이용하여 냉수를 커피추출탱크에 공급하고 압력을 가하고, 압력센서를 통해 커피추출탱크의 내부 압력을 모니터링 한다는 점에 있어서 본 발명과 유사점이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고압의 수압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커피를 추출하는 기술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는 차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현재까지 더치커피 추출 속도를 높이기 위한 여러 기술 중, 아직까지는 고압의 수압을 이용하는 방법이 없어 본 발명을 통해 고압의 수압을 이용하여 더치커피를 신속하게 추출하는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커피추출용기에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10 내지 50 bar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내에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데 있어서, 커피추출용기 내로 투입되는 물의 온도 또는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풍미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데 있어서, 커피추출 공정에 포함되는 모든 용기를 외부 공기와 밀폐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 균에 의해 추출된 커피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데 있어서, 공급수 이온화를 통해 생성된 알칼리수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함으로써, 알칼리수의 효능을 갖는 커피를 제조하고 더불어 빠른 시간 내에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수탱크; 커피원액 추출부;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에서 추출된 커피 원액을 보관하는 추출수 저장부; 상기 냉수탱크 내 물을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로 공급하기 전에 보관하고 있는 공급수 탱크; 상기 공급수 탱크 내 물의 온도를 0 내지 50℃로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해주는 공급수 조절부; 상기 공급수 탱크 내 물을 10 내지 50 bar의 압력으로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에 공급하는 압력 조절부; 및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할 경우, 커피원액 추출부 내부 압력을 설정된 압력으로 낮춰주는 압력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공급수 탱크는, 공급수 탱크 내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로 이온화시키는 이온화조;를 포함하며, 상기 산성수는 배출하고 알칼리수만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온도 조절부는, 상기 냉수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1차로 가열한 후 상기 공급수 탱크 내로 공급하며, 이후 설정된 온도에 맞춰 2차로 상기 공급수 탱크 내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압력펌프, 압력 실린더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압력조절방식을 이용한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커피추출용기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 양 및 수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취향의 커피 원액을 수분 내지 수 시간에 걸쳐 다양한 속도로 추출할 수 있으며, 또한 커피추출과정에 공급되는 물을 이온화시켜 이중 산성수는 배출하고 알칼리수만을 공급함으로써, 커피추출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알칼리수 효능을 갖는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피추출과정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을 외부 공기와 밀폐하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외부 균에 의한 커피 원액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점적식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방식을 이용한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방식을 이용한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사이즈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고, 특징적 구성이 드러나도록 공지의 구성들은 생략하여 도시하였으므로 도면으로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점적식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받침대(40)에 위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원수공급부(10)/커피추출부(20)/추출커피저장부(30)를 순차적으로 배치시키고, 상기 원수공급부(10)에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신선한 물을 넣은 상태에서, 적은 양의 물이 방물 방울 떨어지도록 밸브를 조절하고, 떨어지는 물방울이 적당한 크기로 분쇄된 원두가 담겨진 상기 커피추출조(20)에 공급되면, 상기 분쇄된 원두가루로 부터 추출된 원두커피가 바닥에 놓여 있는 필터를 통하여 걸러진 다음, 상기 추출커피저장조(30)에 모아지는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수시간에서 수십시간에 걸쳐 장시간 동안 추출해야하며, 추출용기 내부에서 대장균 등의 균 증식이 발견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세균증식에 대한 염려가 없고 빠른 시간 내에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100)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각 구성 요소를 외부공기가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밀폐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였고, 특히 압력펌프, 압력 실리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커피추출 시 수압을 조절하도록 하며, 커피추출에 필요한 공급수를 이온화시키고 생성된 산성수 및 알칼리수 중 알칼리수만 더치커피 추출에 이용함으로써, 커피 추출속도를 가속시켜 빠른 시간안에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방식을 이용한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력조절방식을 이용한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100)는 냉수탱크(110), 온도 조절부(120), 공급수 탱크(130), 이온화조(135), 압력 조절부(140), 커피원액 추출부(150), 추출수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냉수탱크(110)에는 본 발명의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물을 저장된다. 상기 냉수탱크(110)의 물은 냉수탱크(110) 하단부에 위치한 공급수 탱크(130)로 이동된 후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150)로 공급되게 되며, 상기 온도 조절부(120)는 상기 공급수 탱크(130) 내 물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맞춰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온도 조절부(120)는 상기 냉수탱크(110) 내 물이 상기 공급수 탱크(130)로 이동될 때 1차로 물을 가열한 후 공급수 탱크(130)로 공급한다. 이는 냉수탱크(110) 내 물을 커피원액 추출부(150)로 공급하기 전 살균을 하기 위함이며, 상기와 같이 온도 조절부(120)에 의해 1차로 가열된 물은 공급수 탱크(130)로 공급되며, 이후에 별도로 온도 조절부(120)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공급수 탱크(130) 내 물의 온도가 조절된다.
상기 온도 조절부(120)가 조절 가능한 온도 범위는 0 ℃ 내지 100 ℃ 범위이며, 이를 위해 상기 온도 조절부(120)는 가열/냉각 장치 및 온도 센서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 조절부(120)는 1차 가열 시에는 100 ℃의 고온으로 공급수 탱크(130)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고, 커피원액 추출부(150)로 공급할 물의 온도는 0 ℃ 내지 50 ℃ 범위로 조절한다. 바람직하게는 0 ℃ 내지 30 ℃ 범위로 조절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10 ℃ 범위로 조절한다. 그 이유는 50 ℃ 이상의 온수에서는 추출되는 커피원액에 함유되는 카페인 량이 급격히 상승하며, 15 bar의 압력 및 고온수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에스프레소 커피원액과 차이점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100)는 추출되는 커피원액을 더치커피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로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급수 탱크(130)에 저장된 공급수는 상기 이온화조(135)로 유입되는데, 상기 이온화조(135)는 공급수 탱크로부터 유입되는 공급수를 이온화시켜 산성수, 알칼리수의 pH에 맞춰 이온수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되는 이온수인 알칼리수와 산성수 중 알칼리 이온수만이 커피원액 추출부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산성수는 장치 밖으로 배출되거나, 냉수탱크 또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는 산성수 저장조로 배출되어 재사용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온화조는 통상의 이온화 정수기에서 사용되는 전해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공급수를 이온화시키며, 구조 또한 공지된 전해조 또는 물 이온화장치와 같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급수를 이온화시켜 알칼리수를 더치커피 추출수로 이용할 경우 커피 추출속도를 가속시켜 추출시간이 단축되며, 알칼리수의 효능 즉, 만성 설사, 위산 과다, 소화불량 위장 내 이상 발효 등의 문제 개선 효능을 갖는 더치커피를 제조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력 조절부(140)는 상기 공급수 탱크(130) 내부의 설정 온도로 조절된 물을 소정의 수압으로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150)로 공급한다. 상기 압력 조절부(140)는 상기와 같이 소정의 수압으로 커피원액 추출부(150)로 공급하기 위하여 압력 펌프, 압력 실리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며, 압력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조절부(140)는 설정된 목표 수압까지 도달한 후에도 수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수압 유지 시간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100)는 커피의 추출속도 및 추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조절부(140)는 10 내지 50 bar의 압력으로 상기 공급수 탱크(130) 또는 이온화조(135) 내의 물을 커피원액 추출부(150)로 공급하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bar 범위의 압력으로 상기 공급수 탱크(130) 내의 물을 커피원액 추출부(150)로 공급한다.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150)는 상기 압력 조절부(140)에 의해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커피원액을 추출하는 것으로, 수압에 의해 커피원액이 추출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150)는 상기 압력 조절부(140)에 의해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사용자가 설정한 압력보다 높을 경우 내부 압력을 낮춰주기 위한 릴리즈밸브와 같은 압력조절밸브(151)가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커피원액 추출부(150) 내부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 게이지(152)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150)를 통해 추출된 커피원액은 커피원액 추출부(150) 하단부에 위치한 상기 추출수 저장부(160)로 이동하여 저장된다. 이때 상기 추출수 저장부(160)에 저장되는 커피원액을 오랫동안 보관하기 위해 커피원액을 일정온도로 냉각하는 별도의 온도 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이와 같은 기능을 상기 온도 조절부(120)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100)는 추출되는 사용자가 다양한 농도의 커피원액을 추출할 수 있도록,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15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해주는 공급수 조절부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150)가 내부 체적을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커피원액 추출부(150)에 용량이 조절하는 방법으로 커피원액 추출부(15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으며, 참고로 상기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의 구성요소(110~160)는 모두 외부 공기와는 밀폐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100)는 구성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휴대가 가능한 크기일 수도 있고, 커피 전문매장에서 대량으로 더치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형 크기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100)는 상기 냉수탱크에 사용자가 물을 충수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업소용 및 가정용 정수기에 연결/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커피추출용기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 양 및 수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취향의 커피 원액을 수분 내지 수 시간에 걸쳐 다양한 속도로 추출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원수공급부
20 : 커피추출부
30 : 추출커피저장부
40 : 받침대
100 :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
110 : 냉수탱크
120 : 온도 조절부
130 : 공급수 탱크
135 : 이온화조
140 : 압력 조절부
150 : 커피원액 추출부
151 : 압력조절밸브
152 : 압력 게이지
160 : 추출수 저장부

Claims (4)

  1. 냉수탱크(110);
    커피원액 추출부(150);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150)에서 추출된 커피 원액을 보관하는 추출수 저장부(160);
    상기 냉수탱크(110) 내 물을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150)로 공급하기 전에 보관하고 있는 공급수 탱크(130);
    상기 공급수 탱크(130) 내로 물이 공급될 때 1차로 가열하여 살균한 후 공급수 탱크(130)로 공급하고, 이후 공급수 탱크(130) 내의 물을 추출에 필요한 온도인 0~50℃의 온도로 냉각하여 조절하는 것인 온도 조절부(120);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15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해주는 공급수 조절부;
    상기 공급수 탱크 내(130) 물을 10 내지 50 bar의 압력으로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에 공급하는 압력 조절부(140);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150)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할 경우, 커피원액 추출부(150) 내부 압력을 설정된 압력으로 낮춰 주는 압력조절밸브(1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방식을 이용한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공급수 탱크(130) 내 물을 알칼리수와 산성수로 이온화시키는 이온화조(13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산성수는 배출하고 알칼리수만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150)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50151510A 2015-10-30 2015-10-30 압력조절방식을 이용한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696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510A KR101696190B1 (ko) 2015-10-30 2015-10-30 압력조절방식을 이용한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510A KR101696190B1 (ko) 2015-10-30 2015-10-30 압력조절방식을 이용한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190B1 true KR101696190B1 (ko) 2017-01-13

Family

ID=57835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510A KR101696190B1 (ko) 2015-10-30 2015-10-30 압력조절방식을 이용한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19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858B1 (ko) * 2017-06-22 2018-02-13 주식회사 이멕스 고농도 콜드브루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
KR101880391B1 (ko) 2017-03-06 2018-07-19 최범수 저온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EP3747274A1 (en) 2019-06-05 2020-12-09 Hard Beans Coffee Roasters Sp. z o.o. A method for macerating cold coffee and a device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KR20210056726A (ko) *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클라우스에프앤비 커피추출장치
KR102530326B1 (ko) 2022-08-24 2023-05-09 넥스트바이오(주) 추출 성분 및 농도의 제어가 가능한 추출장치 및 그 추출방법
KR102621302B1 (ko) * 2023-05-30 2024-01-05 커피맵(주) 콜드 에스프레소 추출 머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0684A (ko) * 2010-11-11 2012-05-21 마원준 핸드드립 커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커피드립기
KR101448230B1 (ko) * 2013-05-24 2014-10-08 고영 냉수를 이용한 커피 추출장치
KR20150069118A (ko) * 2013-12-13 2015-06-23 김상현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150120131A (ko) * 2014-04-17 2015-10-27 안치성 더치커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0684A (ko) * 2010-11-11 2012-05-21 마원준 핸드드립 커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커피드립기
KR101448230B1 (ko) * 2013-05-24 2014-10-08 고영 냉수를 이용한 커피 추출장치
KR20150069118A (ko) * 2013-12-13 2015-06-23 김상현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150120131A (ko) * 2014-04-17 2015-10-27 안치성 더치커피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391B1 (ko) 2017-03-06 2018-07-19 최범수 저온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KR101828858B1 (ko) * 2017-06-22 2018-02-13 주식회사 이멕스 고농도 콜드브루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
EP3747274A1 (en) 2019-06-05 2020-12-09 Hard Beans Coffee Roasters Sp. z o.o. A method for macerating cold coffee and a device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WO2020246901A1 (en) 2019-06-05 2020-12-10 Hard Beans Coffee Roasters Sp. Z O.O. A method for macerating cold coffee and a device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KR20210056726A (ko) *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클라우스에프앤비 커피추출장치
KR102260962B1 (ko) * 2019-11-11 2021-06-04 주식회사 클라우스에프앤비 커피추출장치
KR102530326B1 (ko) 2022-08-24 2023-05-09 넥스트바이오(주) 추출 성분 및 농도의 제어가 가능한 추출장치 및 그 추출방법
KR102621302B1 (ko) * 2023-05-30 2024-01-05 커피맵(주) 콜드 에스프레소 추출 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190B1 (ko) 압력조절방식을 이용한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828858B1 (ko) 고농도 콜드브루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
US11116354B2 (en) Vacuum brewing method
CN108882746B (zh) 烘焙和研磨系统
US9402405B2 (en) Liquid infusion process and method of brewing a beverage
ES2572602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de fermentación
EP2948030B1 (en) Vacuum brewed beverage machine and vacuum brewing method
US10051989B2 (en)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CN102985524B (zh) 发酵装置
KR101448230B1 (ko) 냉수를 이용한 커피 추출장치
KR101395307B1 (ko) 워터드립 커피용 추출장치
KR101496932B1 (ko) 더치커피 제조기구
JP2008259478A (ja) コーヒー飲料用水出しコーヒーの製造方法
CN107427145B (zh) 咖啡萃取系统及使用其的咖啡萃取方法
WO2016054050A1 (en) Vacuum infusion machine and vacuum infusion method
KR101542668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US9434918B1 (en) System for aging beer
KR101595497B1 (ko) 더치커피 추출기
US20170208986A1 (en) Liquid extract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liquid extract
KR101845629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916322B1 (ko) 커피향을 유지하는 커피 추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피 추출방법
US103906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Dutch coffee
KR20230093289A (ko) 추출 셀
KR101798784B1 (ko) 안개분사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916319B1 (ko) 고효율 커피 추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피 추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