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920B1 -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 - Google Patents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920B1
KR101695920B1 KR1020150132802A KR20150132802A KR101695920B1 KR 101695920 B1 KR101695920 B1 KR 101695920B1 KR 1020150132802 A KR1020150132802 A KR 1020150132802A KR 20150132802 A KR20150132802 A KR 20150132802A KR 101695920 B1 KR101695920 B1 KR 101695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s
cards
card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창
Original Assignee
정해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창 filed Critical 정해창
Priority to KR1020150132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6Card games appurtenances
    • A63F1/062Boxes or cases for car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1/00Game accessories of general use, e.g. score counters, box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1/00Game accessories of general use, e.g. score counters, boxes
    • A63F11/0002Dispensing or collecting devices for tokens or chi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특정 구조를 갖는 몸체에 각종 도안이나 문자, 숫자 등이 인쇄된 놀이용 카드나 블럭 등을 수납한 후, 선입선출 방식에 의해 순차적으로 수납된 카드나 블럭들을 인출하면서 다양한 놀이나 학습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은, 일정 크기의 패널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 결합되되, 상.하면이 개방된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는 개방된 상면을 통해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이 투입되어 적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그 전면의 하단에는 몸체 내부에 적층된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 중 최하층에 위치한 카드나 블럭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된 수납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FIRST IN FIRST OUT TYPE BLOCK BOX FOR GAME}
본 발명은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구조를 갖는 박스몸체에 각종 도안이나 문자, 숫자 등이 인쇄된 놀이용 카드나 블럭 등을 수납한 후, 선입선출 방식에 의해 순차적으로 수납된 카드나 블럭을 인출하여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가 시간의 활용 및 친목도모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장소에서 블럭이나 카드 등을 이용한 유희용 게임이 진행됨은 물론, 학교나 유치원 등에서는 교육 및 유희를 목적으로 블럭이나 카드 등을 이용한 학습이나 놀이가 진행되기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희나 학습 등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블럭이나 카드로는 다양한 숫자나 문양, 도안 등이 인쇄된 블럭이나 카드를 비롯하여 트럼프, 화투 등과 같은 고전적인 카드, 그 이외에 디지몬, 유희왕, 요괴워치 등 애니메이션과 결합된 카드나 블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카드나 블럭 등을 이용한 학습이나 놀이의 진행에 있어서는 다양한 방법이나 규칙 등이 적용될 수 있는데, 그 중 일정 수량의 카드나 블럭을 쌓아놓고 참여자들이 순차적으로 카드나 블럭을 한 개씩 배분하여 학습이나 놀이를 진행하는 방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 수량의 카드나 블럭을 쌓아놓고 학습이나 놀이를 진행하는데 있어서는, 다량의 카드나 블럭을 쌓는 과정, 또는 쌓인 카드나 블럭을 이용한 학습이나 놀이의 진행 과정에서 상기 카드나 블럭이 임의로 흐트러지거나 무너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35064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 본 발명은 특정 구조를 갖는 몸체에 각종 도안이나 문자, 숫자 등이 인쇄된 놀이용 카드나 블럭 등을 수납한 후, 선입선출 방식에 의해 순차적으로 수납된 카드나 블럭들을 인출하면서 다양한 놀이나 학습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은, 일정 크기의 패널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 결합되되, 상.하면이 개방된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는 개방된 상면을 통해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이 투입되어 적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그 전면의 하단에는 몸체 내부에 적층된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 중 최하층에 위치한 카드나 블럭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된 수납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납몸체의 양측면에는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을 용이하게 몸체 내부에 적층시킬 수 있도록 각각 "∪" 형상의 파지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수납몸체의 전면 및 후면에는 "∪" 형상으로 요입 형성된 요입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다수 개의 수납몸체가 고정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수납몸체가 고정되는 위치의 베이스부재 상면에는 상기 수납몸체 내부에 적층되는 카드나 블럭의 두께에 따라 상기 인출구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바(bar) 형태의 높이조절부재가 선택적으로 부착 설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몸체에서 인출구가 형성되는 위치의 양측면에는 각 측면의 폭이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감소되도록 일정 기울기의 경사부가 형성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은, 일정 크기의 패널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 결합되되, 상.하면이 개방된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는 개방된 상면을 통해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이 투입되어 적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는 격벽을 매개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분할 형성되며, 분할 형성된 각 공간부 전면의 하단에는 몸체 내부에 적층된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 중 최하층에 위치한 카드나 블럭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된 수납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납몸체에 분할 형성된 각 공간부의 양측면에는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을 용이하게 해당 공간부 내부에 적층시킬 수 있도록 각각 "∪" 형상의 파지홈이 형성되고, 각 공간부의 양측면에는 각각 "∪" 형상의 요입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몸체의 상단에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일정 기울기로 하강하는 가이드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수납몸체의 해당 공간부 내에 카드나 블럭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 개의 블럭이나 카드 등을 적층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특정 구조로 구성된 수납몸체를 이용하여, 선입선출 방식에 의해 순차적으로 수납된 카드나 블럭들을 인출하면서 다양한 놀이나 학습 등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때, 블럭함을 구성하는 수납몸체에는 파지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수 개의 블럭이나 카드 등을 매우 편리하게 적층하여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또한 인출구 측에 구비된 높이조절부재 및 경사부를 매개로 선입선출 방식이 적용되어 적층된 블럭이나 카드 등을 한 장씩 용이하게 인출하면서 다양한 놀이나 학습 등을 즐길 수가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에 카드나 블럭이 적층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에 카드나 블럭이 적층 수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에 적층 수납된 카드나 블럭이 인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에 카드나 블럭이 적층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에 카드나 블럭이 적층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에 카드나 블럭이 적층 수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에 적층 수납된 카드나 블럭이 인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에 카드나 블럭이 적층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은, 선입선출 구조를 갖도록 특정 구조로 제작된 수납몸체(20)를 이용하여, 각종 도안이나 문자, 숫자 등이 인쇄된 카드나 블럭(100) 등을 적층 수납한 후, 수납된 카드나 블럭(100) 등을 선입선출 방식에 의해 순차적으로 인출하면서 다양한 놀이나 학습 등을 즐길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은, 대략 직사각판 형상을 갖는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수납몸체(20)가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납몸체(20)는 그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대략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는 개방된 상면을 통해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100) 등이 투입되어 적층될 수 있도록 소정 공간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납몸체(20)는 적용되는 카드나 블럭(100)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그 크기 및 높이 등을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가 있음은 물론, 해당 게임이나 학습 등에 사용되는 상기 카드나 블럭(100)의 양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 세워지는 수납몸체(20)의 개수도 한 개에서 다수 개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몸체(20)의 전면의 하단에는 개방된 상부를 통해 몸체 내부에 적층된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100) 중 최하층에 위치한 카드나 블럭(100) 등을 한 개씩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구(26)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납몸체(20)가 고정되는 위치의 베이스부재(10) 상면에는 상기 수납몸체(20) 내부에 적층되는 카드나 블럭(100) 등의 두께에 맞춰 상기 인출구(26)의 높낮이를 설계할 수 있도록 대략 바(bar) 형태의 높이조절부재(30)가 고정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 다수 개의 수납몸체(20)가 설치된 경우, 각 수납몸체(20)에 대응되는 상기 높이조절부재(30)의 높이 및 적용 유무를 달리하여 놀이용 블럭함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수납몸체(20)의 양측면을 구성하는 각 측판의 형태는 상기 인출구(26)가 형성되는 위치의 폭이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저감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일정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28)가 형성되어 구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수납몸체(20) 내부의 최하층에 수납된 카드나 블럭(100)을 용이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인출구(26)를 통해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납몸체(20)의 양측면에는 대략 "∪" 형상을 이루도록 요입 형성된 파지홈(22)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수납몸체(20) 내부에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100) 등을 적층 수납할 시에 흐트러짐 없이 용이하게 내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수납몸체(20)의 전면 및 후면에도 대략 "∪" 형상으로 요입 형성된 요입홈(24)이 제공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납몸체가 일체형 구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 결합되는 수납몸체(20)는 그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대략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되, 내부에의 공간부는 다수 개의 격벽(21)을 매개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분할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몸체(20) 내에 분할 형성된 각 공간부의 전면 하단에는 몸체 내부에 적층된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100) 중 최하층에 위치한 카드나 블럭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26)가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수납몸체(20)에 분할 형성된 각 공간부의 양측면에 해당하는 측판 및 격벽(21)에는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100)을 용이하게 해당 공간부 내부에 적층시킬 수 있도록 각각 "∪" 형상의 파지홈(22)이 형성됨과 아울러, 각 공간부의 전면 및 하면에는 각각 "∪" 형상의 요입홈(2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몸체(20)에 분할 형성된 각 공간부와 대응되는 지점의 상기 베이스부재(10) 상면에는 각 공간부 내에 적층되는 카드나 블럭(100) 등의 두께에 맞춰 해당 인출구(26)의 높낮이를 설계할 수 있도록 대략 바(bar) 형태의 높이조절부재(30)가 고정 결합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수납몸체(20) 및 격벽(21)의 상단은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일정 기울기로 하강하는 형태로 가이드 경사면(29)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상기 수납몸체(20)의 해당 공간부 내에 카드나 블럭(100) 등을 수납할 시에 상기 가이드 경사면(29)의 가이드 작용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수납작업을 실시할 수가 있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하여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을 이용하여 다량의 블럭이나 카드(100) 등을 이용하여 학습이나 놀이를 행하기 위해서는, 놀이용 블럭함을 구성하는 수납몸체(20)와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학습이나 놀이 등에 활용되는 다수 개의 블럭이나 카드(1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블럭함을 매개로 소정 학습이나 놀이 등을 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상면에 구비된 각각의 수납몸체(20) 내에 카드나 블럭(100)의 인쇄면이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면서 학습이나 놀이 등에 필요한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100)을 적층 수납한다.
이때, 상기 수납몸체(20)의 양측면에는 각각 일정 깊이로 파지홈(22)이 형성됨과 아울러, 전.후면에는 각각 요입홈(24)이 형성되어 구성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엄지 및 검지 손가락으로 카드나 블럭(100)의 양측면을 파지한 상태로 각 파지홈(22) 또는 요입홈(24)에 엄지 및 검지 손가락이 가이드되도록 하면서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100)들을 흐트러짐 없이 용이하게 해당 수납몸체(20) 내에 적층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재(10) 상면에 구비된 복수 개의 수납몸체(20)에 일정 수량의 카드나 블럭(100)을 적층 수납한 후에는 학습이나 놀이를 진행하는 소정 순서나 규칙 등에 따라 선입선출 방식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적층 수납된 상기 카드나 블럭(100)을 한 개씩 외부로 인출하면서 해당 학습이나 놀이를 진행할 수가 있게 된다.
즉, 상기 수납몸체(20)에 적층 수납된 카드나 블럭(100)의 인출 시에는 선입선출 구조에 따라 인출구(26) 측에 위치하는 최하층의 카드나 블럭(100)을 인출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구(26)의 양측에 구비된 경사부(28)를 매개로 노출되는 소정 카드나 블럭(100)의 양측면을 인체의 엄지 및 검지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용이하게 수납몸체(20) 외부로 잡아 당기면서 해당 카드나 블럭(100)들을 인출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납몸체(20)가 고정되는 위치의 베이스부재(10) 상면에 구비된 높이조절부재(30)를 매개로 상기 인출구(26)의 높이는 적층 수납되는 카드나 블럭(100)의 두께와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인출구(26)를 통해서는 최하층에 위치한 한 개씩의 카드나 블럭(100)만 용이하게 인출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 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10: 베이스부재, 20: 수납몸체,
21: 격벽, 22: 파지홈,
24: 요입홈, 26: 인출구,
28: 경사부, 29: 가이드 경사면,
30: 높이조절부재, 100: 카드나 블럭.

Claims (8)

  1. 일정 크기의 패널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 결합되되, 상.하면이 개방된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는 개방된 상면을 통해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이 투입되어 적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그 전면의 하단에는 몸체 내부에 적층된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 중 최하층에 위치한 카드나 블럭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된 수납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다수 개의 수납몸체가 고정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수납몸체가 고정되는 위치의 베이스부재 상면에는 상기 수납몸체 내부에 적층되는 카드나 블럭의 두께에 따라 상기 인출구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바(bar) 형태의 높이조절부재가 선택적으로 부착 설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몸체의 양측면에는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을 용이하게 몸체 내부에 적층시킬 수 있도록 각각 "∪" 형상의 파지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몸체의 전면 및 후면에는 "∪" 형상으로 요입 형성된 요입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몸체에서 인출구가 형성되는 위치의 양측면에는 각 측면의 폭이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감소되도록 일정 기울기의 경사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
  6. 일정 크기의 패널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 결합되되, 상.하면이 개방된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는 개방된 상면을 통해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이 투입되어 적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는 격벽을 매개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분할 형성되며, 분할 형성된 각 공간부 전면의 하단에는 몸체 내부에 적층된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 중 최하층에 위치한 카드나 블럭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된 수납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납몸체에 분할 형성된 각 공간부와 대응되는 지점의 상기 베이스부재 상면에는 각 공간부 내에 적층되는 카드나 블럭의 두께에 맞춰 해당 인출구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바(bar) 형태의 높이조절부재가 선택적으로 부착 설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몸체에 분할 형성된 각 공간부의 양측면에는 다수 개의 카드나 블럭을 용이하게 해당 공간부 내부에 적층시킬 수 있도록 각각 "∪" 형상의 파지홈이 형성되고, 각 공간부의 양측면에는 각각 "∪" 형상의 요입홈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
  8.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몸체의 상단에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일정 기울기로 하강하는 가이드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수납몸체의 해당 공간부 내에 카드나 블럭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
KR1020150132802A 2015-09-21 2015-09-21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 KR101695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802A KR101695920B1 (ko) 2015-09-21 2015-09-21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802A KR101695920B1 (ko) 2015-09-21 2015-09-21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920B1 true KR101695920B1 (ko) 2017-01-12

Family

ID=5781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802A KR101695920B1 (ko) 2015-09-21 2015-09-21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9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5787U (ko) * 1996-03-14 1997-10-13 라디오가 구비된 담배 판매대
KR200350647Y1 (ko) 2003-12-24 2004-05-13 서민정 퍼즐식 유아용 카드놀이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5787U (ko) * 1996-03-14 1997-10-13 라디오가 구비된 담배 판매대
KR200350647Y1 (ko) 2003-12-24 2004-05-13 서민정 퍼즐식 유아용 카드놀이기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ewt's Games & Puzzles, Nine Deck Revolving Card Tray at NewtsGames.com , YouTube, [online] 2011.07.01., [2016.09.09. 검색], 인터넷 [URL:https://www.youtube.com/watch?v=XhFXgvd1tII]*
Newt's Games & Puzzles, Nine Deck Revolving Card Tray at NewtsGames.com , YouTube, [online] 2011.07.01., [2016.09.09. 검색], 인터넷 [URL:https://www.youtube.com/watch?v=XhFXgvd1tII]*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3951B1 (en) Vertically stacked educational building block device
US3116927A (en) Game device comprising a game piece rack with shelves and a game piece container with an opening covered by a slit diaphragm
JP6728167B2 (ja) ボードゲーム
US4163559A (en) Compartmented card game box with removable drawer
US1578554A (en) Game apparatus
US20050167918A1 (en) Games and associated device and methods
EP2445459B1 (en) Game kit
KR101695920B1 (ko)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놀이용 블럭함
US3462154A (en) Board game apparatus with concealed,upwardly projectable playing piece
KR200414047Y1 (ko) 스도쿠 퍼즐 게임구
US3436081A (en) Game equipment
US20140342319A1 (en) Educational Game for Math
US20070235934A1 (en) Game apparatus with pegs and die
KR200424472Y1 (ko) 한글 놀이 기구
JP2007068694A (ja) ゲーム装置
JP4231858B2 (ja) メダルゲーム機用メダル射出器
US2307726A (en) Cardholder
JP3178498U (ja) 駒・小駒を用いて盤上でナンバープレース(数独)を解く遊具
JP2014184100A (ja) 数独パズル解具
US20080128987A1 (en) Tray for facilitating games involving cards
KR20120104052A (ko)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의 적층구조 및 적층보관장치
CN206745948U (zh) 游戏骰子
US3065968A (en) Surface projectile game
JP2020142089A5 (ko)
KR20170034492A (ko) 게임용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