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833B1 -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833B1
KR101695833B1 KR1020150110743A KR20150110743A KR101695833B1 KR 101695833 B1 KR101695833 B1 KR 101695833B1 KR 1020150110743 A KR1020150110743 A KR 1020150110743A KR 20150110743 A KR20150110743 A KR 20150110743A KR 101695833 B1 KR101695833 B1 KR 101695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image sensor
pressing
mounting portion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학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앤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앤비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앤비젼
Priority to KR1020150110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83Processes or apparatus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는, 이미지센서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피사체를 통해 렌즈를 통과한 후 이미지센서에 입사되어 획득되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통해 상기 피사체를 검사하는 피사체 검사장치에 사용 되어 상기 이미지센서를 상기 렌즈의 광축에 정렬되도록 하는 장치로, 상기 이미지센서가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서 제1 축, 상기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 및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모두에 수직인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여 상기 이미지센서를 상기 렌즈의 광축에 정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Image sensor align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기판의 패턴 등을 검사하는데 사용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가 나날이 고집적화되면서 패턴의 크기 또한 점점 작아지고 있다.
크기가 작은 패턴을 검사는 경우 검사 장치의 해상도 또한 상승하여야 하므로, 검사 장치, 즉, 카메라 모듈도 고성능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반도체의 패턴 등을 검사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반도체를 통해 렌즈를 통과한 후 이미지센서에 입사되어 획득되는 상기 반도체의 영상을 통해 상기 반도체에 형성된 패턴 등을 검사하게 된다.
여기서, 반도체의 패턴 등을 검사하기 위한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의 중심과 이미지센서의 중심을 맞추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며, 렌즈 조립체 또는 이미지센서 자체의 틸팅이나 렌즈 조립체 또는 이미지센서가 안착되는 부분에서의 틸팅으로 인해 검사 시 양품으로 판정될 수 있는 반도체가 불량으로 판정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기판의 패턴 등을 검사하는데 있어서 검사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이미지센서를 상기 렌즈의 광축에 정렬되도록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는, 이미지센서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피사체를 통해 렌즈를 통과한 후 이미지센서에 입사되어 획득되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통해 상기 피사체를 검사하는 피사체 검사장치에 사용 되어 상기 이미지센서를 상기 렌즈의 광축에 정렬되도록 하는 장치로, 상기 이미지센서가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서 제1 축, 상기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 및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모두에 수직인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여 상기 이미지센서를 상기 렌즈의 광축에 정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의 장착부는, 상기 제1 축, 상기 제2 축 및 상기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경우, 중심이 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장착부를 수용하며, 상기 장착부는, 외면이 상기 지지부의 내면과 접촉된 상태로 위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장착부를 수용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장착부의 대향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의 상기 지지부와 상기 장착부의 대향면은, 곡률 반경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의 상기 지지부는, 중공을 구비하며, 상기 중공에 상기 장착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중공을 규정하는 내면 중 소정 영역이 외측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의 상기 함입부는, 상기 지지부의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장착부와 대향하는 대향면 중 소정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하여 상기 장착부를 가압하는 정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의 상기 지지부는, 제1 지지부 및 소정 영역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일측단이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되는 고정단이 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1 지지부와 이격되는 자유단이 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자유단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장착부를 가압하는 정도가 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의 상기 고정단은, 상기 제1 지지부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자유단의 위치 이동의 범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의 상기 자유단은, 볼트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볼트의 회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부를 향해 위치 이동되어 상기 장착부에 대한 가압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는,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장착부를 각각 상기 제1 축, 상기 제2 축 및 상기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하는 제1 회전력제공부, 제2 회전력제공부 및 제3 회전력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의 상기 제1 회전력제공부, 상기 제2 회전력제공부 및 상기 제3 회전력제공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지부의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의 상기 제1 회전력제공부 및 상기 제2 회전력제공부는, 상기 제3 축을 향한 방향으로 상기 장착부를 각각 편심되게 가압하여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의 상기 제1 회전력제공부는, 제1 외력에 의해 상기 장착부를 편심되게 가압하는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가압부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가압부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제1 가압부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회전력제공부는, 제2 외력에 의해 상기 장착부를 편심되게 가압하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가압부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제2 가압부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의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외력에 의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가압부지지부 상에서 상기 제3축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2 외력에 의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가압부지지부 상에서 상기 제3 축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는, 상기 지지부 중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가 가압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에 의한 가압력에 의한 상기 지지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의 상기 변형방지부는, 상기 지지부보다 경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의 상기 제3 회전력제공부는, 제3 외력에 의해 상기 장착부가 상기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3 가압부 및 상기 제3 가압부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3 가압부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제3 가압부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부의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3 가압부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장착부가 상기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력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의 상기 제3 가압부는, 상기 회전력전달부를 상기 제3 축을 기준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3 가압부지지부의 양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의 상기 제3 가압부는, 상기 제3 외력에 의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3 가압부지지부 상에서 상기 제3축과 수직인 평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이미지센서;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를 상기 피사체를 기준으로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의하면, 이미지센서를 상기 렌즈의 광축에 간단한 방법에 의해 정렬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의 패턴 등을 검사하는데 있어서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7은 도 3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에 제공되는 장착부가 제1 회전력제공부에 의해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에 제공되는 장착부가 제2 회전력제공부에 의해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의 B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에 제공되는 장착부가 제3 회전력제공부에 의해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100), 이미지센서(200), 고정부(300) 및 렌즈배럴(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200)는 고해상도 영상이 획득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이미지센서를 커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피사체, 즉, 반도체 분야에서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패턴 등의 불량 등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100)의 장착부(110)에 장착되는 이미지센서(200)의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이미지센서(200)를 렌즈의 광축과 정렬되도록 한 후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는 반도체 기판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200)의 위치 이동은 상기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도 3 내지 10을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미지센서(200)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렌즈배럴(400)의 틸팅 또는 이미지센서(200)가 상기 장착부(11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의 상기 이미지센서(200)의 틸팅을 보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반도체 기판의 패턴 등의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0)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100)의 지지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 정렬 장치(100)를 피사체를 기준으로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을 피사체 검사 장치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400)은 상기 고정부(3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에 제공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100)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피사체를 통해 렌즈를 통과한 후 이미지센서(200)에 입사되어 획득되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통해 상기 피사체를 검사하는 피사체 검사장치에 사용 되어 상기 이미지센서(200)를 상기 렌즈의 광축에 정렬되도록 하는 장치로, 상기 이미지센서(200)가 장착되는 장착부(110) 및 상기 장착부(110)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부(11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10)는 상기 지지부(120) 상에서 제1 축(X), 상기 제1 축(X)과 수직인 제2 축(Y), 상기 제1 축(X) 및 상기 제2 축(Y) 모두에 수직인 제3 축(Z)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장착부(110)에 장착되는 상기 이미지센서(200)를 렌즈의 광축에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센서(200)의 위치 이동, 즉, 상기 장착부(110)의 상기 제1 축(X), 상기 제2 축(Y) 또는 상기 제3 축(Z)을 기준으로 한 회전 이동은, 각각 후술할 제1 회전력제공부(130), 제2 회전력제공부(140) 및 제3 회전력제공부(15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0)는 중공을 구비하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상기 중공에 상기 이미지센서(200)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110)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120)와 상기 장착부(110)의 대향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지지부(120)의 내면 및 상기 장착부(110)의 외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20)와 상기 장착부(110)의 대향면은 곡률 반경이 동일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장착부(110)가 상기 상기 제1 축(X), 상기 제2 축(Y) 및 상기 제3 축(Z)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경우, 중심이 변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장착부(110)는 상기 제1 회전력제공부(130), 제2 회전력제공부(140) 및 제3 회전력제공부(150)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축(X), 상기 제2 축(Y) 및 상기 제3 축(Z)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120)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부(110)를 상기 지지부(120)의 중공에 삽입하는 경우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외면으로 인해 소정의 외력이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소정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장착부(11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중공을 규정하는 내면 중 소정 영역이 외측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부(12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합입부(126)는 상기 지지부(120)의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형성 위치 및 개수 등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20)의 중공에 상기 장착부(110)가 수용되면, 상기 장착부(110)는 어느 정도 위치 이동이 제한되어야 하며, 이는 상기 지지부(120)의 내면이 상기 장착부(110)의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장착부(110)와 대향하는 대향면 중 소정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하여 상기 장착부(110)를 가압하는 정도가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120)는 제1 지지부(122) 및 소정 영역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일측단이 상기 제1 지지부(122)와 연결되는 고정단(124a)이 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1 지지부(122)와 이격되는 자유단(124b)이 되는 제2 지지부(12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지지부(124)는 상기 자유단(124b)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장착부(110)를 가압하는 정도가 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단(124a)은 상기 제1 지지부(122)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자유단(124b)의 위치 이동의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자유단(124b)은 볼트(T)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122)와 연결되며, 상기 볼트(T)의 회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부(110)를 향해 위치 이동되어 상기 장착부(110)에 대한 가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볼트(T)를 회전시킬수록 상기 제2 지지부(124)의 상기 자유단(124b)은 상기 장착부(110)를 향해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장착부(110)는 상기 지지부(120)의 중공에 안정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장착부(110)가 상기 지지부(120)의 중공에 안정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을 조립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이미지센서(200)가 광축과 정렬되지 않게 되면, 상기 장착부(110)의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장착부(110)에 장착되는 이미지센서(200)를 광축에 정렬시킬 수 있다.
상기 장착부(110)는 제1 회전력제공부(130), 제2 회전력제공부(140) 및 제3 회전력제공부(150)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축(X), 상기 제2 축(Y) 또는 상기 제3 축(Z)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회전력제공부(130), 상기 제2 회전력제공부(140) 및 상기 제3 회전력제공부(15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지부(120)의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력제공부(130) 및 상기 제2 회전력제공부(140)가 상기 지지부(120)의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회전력제공부(150)는 상기 지지부(12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력제공부(130)는 상기 지지부(120)의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축(Z)을 향한 방향으로 상기 장착부(110)를 편심되게 가압하여 상기 장착부(110)를 상기 제1 축(X)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 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력제공부(130)는 제1 외력에 의해 상기 장착부(110)를 편심되게 가압하는 제1 가압부(132) 및 상기 제1 가압부(132)가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1 가압부(132)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120)에 장착되는 제1 가압부지지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압부(132)는 상기 제1 외력에 의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가압부지지부(134) 상에서 상기 제3 축(Z)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축(Z)을 향한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부(110)가 상기 제1 축(X)을 기준으로 한 회전의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력제공부(140)는 상기 지지부(120)의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축(Z)을 향한 방향으로 상기 장착부(110)를 편심되게 가압하여 상기 장착부(110)를 상기 제2 축(Y)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 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력제공부(140)는 제2 외력에 의해 상기 장착부(110)를 편심되게 가압하는 제2 가압부(142) 및 상기 제2 가압부(142)가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제2 가압부(142)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120)에 장착되는 제2 가압부지지부(14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가압부(142)는 상기 제2 외력에 의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가압부지지부(134) 상에서 상기 제3 축(Z)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축(Z)을 향한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부(110)가 상기 제2 축(Y)을 기준으로 한 회전의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20) 상에는 상기 제1 가압부(132) 및 상기 제2 가압부(142)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1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변형방지부(16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변형방지부(160)는 상기 지지부(120) 중 상기 제1 가압부(132) 및 상기 제2 가압부(142)가 가압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변형방지부(160)는 상기 지지부(120)보다 경도가 클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12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상기 변형방지부(160)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형방지부(160)와 접촉하는 제1 가압부(132)의 끝단 및 상기 제2 가압부(142)의 끝단은 직경이 감소된 형상, 즉,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제1 가압부(132) 및 상기 제2 가압부(142)는 상기 변형방지부(160)와 점접촉되어 상기 장착부(110)의 회전 이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회전력제공부(150)는 제3 외력에 의해 상기 장착부(110)가 상기 제3 축(Z)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3 가압부(152) 및 상기 제3 가압부(152)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3 가압부(152)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120)에 장착되는 제3 가압부지지부(15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가압부(152)는 상기 장착부(110)의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12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회전력전달부(170)에 의해 상기 장착부(110)를 상기 제3 축(Z)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회전력전달부(170)는 일종의 제3 외력을 전달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제3 가압부(152)는 상기 회전력전달부(170)를 상기 제3 축(Z)을 기준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3 가압부지지부(154)의 양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외력에 의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3 가압부지지부(154) 상에서 상기 제3 축(z)과 수직인 평면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3 가압부지지부(154)의 양측에 장착되는 상기 제3 가압부(152)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의해 상기 장착부(110)의 회전 방향이 결정될 수 있으며, 회전의 범위는 상기 회전력전달부(170)가 관통되도록 상기 지지부(120)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홀(H)의 직경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력전달부(170) 및 상기 제2 회전력전달부(170) 각각에 의한 상기 장착부(110)의 제1 축(X) 및 제2 축(Y)을 기준으로 한 회전의 범위도 상기 관통홀(H)의 직경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에 제공되는 장착부가 제1 회전력제공부에 의해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에 제공되는 장착부가 제2 회전력제공부에 의해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의 B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에 제공되는 장착부가 제3 회전력제공부에 의해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우선, 도 8을 참조하면, 장착부(110)에 장착된 이미지센서(200)가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제1 축(X)을 기준으로 회전된 상태라면, 상기 이미지센서(200)를 광축과 정렬되도록 상기 장착부(110)를 상기 회전된 상태와 반대로 상기 제1 축(X)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120)의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쌍으로 제공되는 상기 제1 회전력제공부(13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1 회전력제공부(130)의 제1 가압부(132)를 제1 외력에 의해 회전시키면, 상기 제1 가압부(132)가 상기 제1 가압부지지부(134) 상에서 제3 축(Z)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장착부(110)를 편심되게 가압함으로써, 상기 장착부(110)를 상기 제1 축(X)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선택되지 않은 제1 가압부(132)는 상기 장착부(110)의 회전 이동을 위해 풀어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장착부(110)에 장착된 이미지센서(200)가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제2 축(Y)을 기준으로 회전된 상태라면, 상기 이미지센서(200)를 광축과 정렬되도록 상기 장착부(110)를 상기 회전된 상태와 반대로 상기 제2 축(Y)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120)의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쌍으로 제공되는 상기 제2 회전력제공부(14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2 회전력제공부(140)의 제2 가압부(142)를 제2 외력에 의해 회전시키면, 상기 제2 가압부(142)가 상기 제2 가압부지지부(144) 상에서 제3 축(Z)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장착부(110)를 편심되게 가압함으로써, 상기 장착부(110)를 상기 제2 축(Y)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선택되지 않은 제2 가압부(142)는 상기 장착부(110)의 회전 이동을 위해 풀어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장착부(110)에 장착된 이미지센서(200)가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제3 축(Z)을 기준으로 회전된 상태라면, 상기 이미지센서(200)를 광축과 정렬되도록 상기 장착부(110)를 상기 회전된 상태와 반대로 상기 제3 축(Z)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3 가압부지지부(154)의 양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3 가압부(15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3 가압부(152)를 제3 외력에 의해 회전시키면, 상기 제3 가압부(152)가 장착부(110)와 연결되는 회전력전달부(170)를 가압하여 상기 장착부(110)를 상기 제3 축(Z)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선택되지 않은 제3 가압부(152)는 상기 장착부(110)의 회전 이동을 위해 풀어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카메라 모듈
100: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110: 장착부
120: 지지부
130: 제1 회전력제공부
140: 제2 회전력제공부
150: 제3 회전력제공부

Claims (22)

  1.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피사체를 통해 렌즈를 통과한 후 이미지센서에 입사되어 획득되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통해 상기 피사체를 검사하는 피사체 검사장치에 사용 되어 상기 이미지센서를 상기 렌즈의 광축에 정렬되도록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가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장착부를 각각 제1 축, 제2 축 및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하는 제1 회전력제공부, 제2 회전력제공부 및 제3 회전력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서 제1 축, 상기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 및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모두에 수직인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여 상기 이미지센서를 상기 렌즈의 광축에 정렬되도록 하며
    상기 제1 회전력제공부 및 상기 제2 회전력제공부는,
    상기 제3 축을 향한 방향으로 상기 장착부를 각각 편심되게 가압하여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 축, 상기 제2 축 및 상기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경우, 중심이 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장착부를 수용하며,
    상기 장착부는,
    외면이 상기 지지부의 내면과 접촉된 상태로 위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장착부를 수용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장착부의 대향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장착부의 대향면은,
    곡률 반경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중공을 구비하며, 상기 중공에 상기 장착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중공을 규정하는 내면 중 소정 영역이 외측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부는,
    상기 지지부의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8.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피사체를 통해 렌즈를 통과한 후 이미지센서에 입사되어 획득되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통해 상기 피사체를 검사하는 피사체 검사장치에 사용 되어 상기 이미지센서를 상기 렌즈의 광축에 정렬되도록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가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서 제1 축, 상기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 및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모두에 수직인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여 상기 이미지센서를 상기 렌즈의 광축에 정렬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장착부를 수용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장착부의 대향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와 대향하는 대향면 중 소정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하여 상기 장착부를 가압하는 정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9.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피사체를 통해 렌즈를 통과한 후 이미지센서에 입사되어 획득되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통해 상기 피사체를 검사하는 피사체 검사장치에 사용 되어 상기 이미지센서를 상기 렌즈의 광축에 정렬되도록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가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서 제1 축, 상기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 및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모두에 수직인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여 상기 이미지센서를 상기 렌즈의 광축에 정렬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장착부를 수용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장착부의 대향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제1 지지부 및 소정 영역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일측단이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되는 고정단이 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1 지지부와 이격되는 자유단이 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자유단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장착부를 가압하는 정도가 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은,
    상기 제1 지지부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자유단의 위치 이동의 범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은,
    볼트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볼트의 회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부를 향해 위치 이동되어 상기 장착부에 대한 가압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12. 삭제
  13.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피사체를 통해 렌즈를 통과한 후 이미지센서에 입사되어 획득되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통해 상기 피사체를 검사하는 피사체 검사장치에 사용 되어 상기 이미지센서를 상기 렌즈의 광축에 정렬되도록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가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장착부를 각각 제1 축, 제2 축 및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하는 제1 회전력제공부, 제2 회전력제공부 및 제3 회전력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서 제1 축, 상기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 및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모두에 수직인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여 상기 이미지센서를 상기 렌즈의 광축에 정렬되도록 하며
    상기 제1 회전력제공부, 상기 제2 회전력제공부 및 상기 제3 회전력제공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지부의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력제공부는,
    제1 외력에 의해 상기 장착부를 편심되게 가압하는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가압부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가압부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제1 가압부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회전력제공부는,
    제2 외력에 의해 상기 장착부를 편심되게 가압하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가압부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제2 가압부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외력에 의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가압부지지부 상에서 상기 제3축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2 외력에 의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가압부지지부 상에서 상기 제3 축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중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가 가압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에 의한 가압력에 의한 상기 지지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부는,
    상기 지지부보다 경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19.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피사체를 통해 렌즈를 통과한 후 이미지센서에 입사되어 획득되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통해 상기 피사체를 검사하는 피사체 검사장치에 사용 되어 상기 이미지센서를 상기 렌즈의 광축에 정렬되도록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가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장착부를 각각 제1 축, 제2 축 및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하는 제1 회전력제공부, 제2 회전력제공부 및 제3 회전력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서 제1 축, 상기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 및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모두에 수직인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여 상기 이미지센서를 상기 렌즈의 광축에 정렬되도록 하며
    상기 제3 회전력제공부는,
    제3 외력에 의해 상기 장착부가 상기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3 가압부 및 상기 제3 가압부가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3 가압부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제3 가압부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부의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3 가압부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장착부가 상기 제3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압부는,
    상기 회전력전달부를 상기 제3 축을 기준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3 가압부지지부의 양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압부는,
    상기 제3 외력에 의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3 가압부지지부 상에서 상기 제3축과 수직인 평면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22. 제1항 내지 제11항, 제13항,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이미지센서;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를 상기 피사체를 기준으로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배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50110743A 2015-08-05 2015-08-05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695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743A KR101695833B1 (ko) 2015-08-05 2015-08-05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743A KR101695833B1 (ko) 2015-08-05 2015-08-05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833B1 true KR101695833B1 (ko) 2017-01-24

Family

ID=5799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743A KR101695833B1 (ko) 2015-08-05 2015-08-05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8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674B2 (ja) * 1987-08-17 1995-04-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固体走査素子の位置調整装置
JP2009302837A (ja) * 2008-06-12 2009-12-24 Fujifilm Corp 撮像素子の位置調整方法、カメラモジュール製造方法及び装置
KR20110014881A (ko) * 2009-08-06 2011-02-1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
KR101259030B1 (ko) * 2011-12-30 2013-04-29 자화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JP7038674B2 (ja) * 2016-06-09 2022-03-18 アーケマ・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有機ペルオキシド分散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674B2 (ja) * 1987-08-17 1995-04-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固体走査素子の位置調整装置
JP2009302837A (ja) * 2008-06-12 2009-12-24 Fujifilm Corp 撮像素子の位置調整方法、カメラモジュール製造方法及び装置
KR20110014881A (ko) * 2009-08-06 2011-02-1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
KR101259030B1 (ko) * 2011-12-30 2013-04-29 자화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JP7038674B2 (ja) * 2016-06-09 2022-03-18 アーケマ・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有機ペルオキシド分散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15222B2 (ja) 内径測定装置
US7226025B2 (en) Structure for mounting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US8248468B2 (en) Support stand and imaging measurement device using the same
EP3351984B1 (en) Mirror holding mechanism
JP2007078656A (ja) プローブカードのクランプ機構及びプローブ装置
JP2008145160A (ja) 光学式変位センサ及びその調整方法
JP2007096830A (ja) 撮像素子のあおり調整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影装置
US10591030B2 (en) Aperture-plate moving mechanism
US7656531B2 (en) Holding apparatus for spectrum measurement
JP2011095324A (ja) レンズ装置
US20100223767A1 (en) Apparatus for aligning an optical device an object, an optical instrument and a semiconductor process system
KR101695833B1 (ko) 이미지센서 정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080014250A (ko) 렌즈 조립 편심 조정방법 및 렌즈경통
US10381191B2 (en) Sample holder unit and sample observation apparatus
JP6411191B2 (ja) 傾斜検出装置及び回転レーザ装置
JP4815273B2 (ja) 被検光学素子回転保持装置
JP5048939B2 (ja) エタロン装置及びその組立調整方法
JP2007240168A (ja) 検査装置
CN108120683B (zh) 用于生化分析仪的可调光源装置
JP2018519497A (ja) 偏光軸測定デバイスを較正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偏光軸測定デバイスのための眼鏡レンズの偏光軸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
JP2006242828A (ja) 表面欠陥検出装置
JP4718208B2 (ja) 偏心測定方法
JP2005221471A (ja) レンズ偏芯測定用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レンズ偏芯測定装置並びにその測定方法
JP3193277U (ja) 分光光度計用積分球
JP5903767B2 (ja) レンズ鏡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