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703B1 - 레이저 발생기 - Google Patents

레이저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703B1
KR101695703B1 KR1020090119834A KR20090119834A KR101695703B1 KR 101695703 B1 KR101695703 B1 KR 101695703B1 KR 1020090119834 A KR1020090119834 A KR 1020090119834A KR 20090119834 A KR20090119834 A KR 20090119834A KR 101695703 B1 KR101695703 B1 KR 101695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hollow
coupler
optical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2946A (ko
Inventor
서홍석
안준태
박봉제
오대곤
송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19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703B1/ko
Publication of KR20110062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7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ts, e.g. segments
    • H01S3/073Gas lasers comprising separate discharge sections in one cavity, e.g. hybrid lasers
    • H01S3/076Folded-path la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9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 H01S3/09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 H01S3/09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 H01S3/094003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the pumped medium being a fibre
    • H01S3/094019Side pumped fibre, whereby pump light is coupled laterally into the fibre via an optical component like a prism, or a grating, or via V-groove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 H01S5/0615Q-switching, i.e. in which the quality factor of the optical resonator is rapidly chang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발생기를 제공한다. 이 레이저 발생기는 직선부 및 상기 직선부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중공 광학 커플러, 상기 직선부 및 상기 테이퍼부를 연속적으로 관통하는 제1 광섬유,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의 상기 직선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광섬유, 상기 제2 광섬유의 일단에 연결된 펌프 광원, 상기 제1 광섬유의 일단과 연결된 반사체, 상기 제1 광섬유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반사체와 함께 레이저 캐비티(cavity)를 구성하는 출력 커플러, 상기 제1 광섬유의 상기 일단과 상기 반사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레이저 케비티(cavity)의 선택도(Q factor)를 조절하는 변조기를 포함하되,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는 상기 펌프 광원을 통하여 상기 제2 광섬유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상기 제1 광섬유에 사이드 결합(side coupling) 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119834
레이저, 펄스, MOPA, Q 스위칭

Description

레이저 발생기{laser generator}
본 발명은 레이저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 경제부의 정보 통신 연구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관리번호: 2009-F-026-01, 과제명: 반도체 나노구조를 이용한 폄핑용 10W급 광원기술)
통상적인 광섬유 레이저는 코어 펌핑에 의하여 레이저를 구성한다. 코어 펌핑의 경우, 반도체 레이저 기반의 펌프 광이 코어에 입사되는 양은 제한되어, 상기 코어에서 나오는 레이저의 파워는 제한된다.
현재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는 이중 클래드 구조의 광섬유를 이용하여 제작 된다. 이중 클래드 구조는 코어, 제1 클래드, 제2 클래드을 포함한다. 코어는 레이징을 수행하는 희토류 이온이 첨가되어 있다. 이중 클래드 광섬유 레이저는 펌프 광원을 광섬유의 제1 클래드을 통해 입사시킨다. 제1 클래드의 면적은 코어의 면적에 비해 100배 정도 크고, 제1 클래팅은 제2 클래드과의 굴절률 차가 크다.
따라서, 이중 클래드 광섬유는 낮은 빔 질(beam quality)을 갖고 높은 파워를 가지는 다중 모드 반도체 기반의 레이저(펌프광)가 1차 클래드에 효율적으로 입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제1 클래드를 따라 진행하는 펌프광은 코 어에서 희토류 이온에 의해 흡수되고, 흡수된 에너지는 광섬유 내부 또는 외부의 미러(mirror)를 통해 새로운 파장의 좋은 빔질(beam quality)을 갖는 광섬유 레이저로 출력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펄스형 레이저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용기간이 증가된 레이저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중공 광학 커플러를 이용하여 출력 광섬유에 효율적으로 연결해주는 레이저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이저 발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는 직선부 및 상기 직선부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중공 광학 커플러, 상기 직선부 및 상기 테이퍼부를 연속적으로 관통하는 제1 광섬유,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의 상기 직선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광섬유, 상기 제2 광섬유의 일단에 연결된 펌프 광원, 상기 제1 광섬유의 일단과 연결된 반사체, 상기 제1 광섬유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반사체와 함께 레이저 캐비티(cavity)를 구성하는 출력 커플러, 상기 제1 광섬유의 상기 일단과 상기 반사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레이저 케비티(cavity)의 선택도(Q factor)를 조절하는 변조기를 포함하되,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는 상기 펌프 광원을 통하여 상기 제2 광섬유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상기 제1 광섬유에 사이드 결합(side coupling) 한다.
중공 광학 커플러의 사이드 결합 방식 및 컨트롤 레이저에 의해 펌프 광원의 손실이 최소화되어, 펄스형 광섬유 레이저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고출력 펄스형 레이저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결합 장치(100)가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결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상기 광 결합 장치(100)는 중공 광학 커플러(110), 제1 광섬유(120), 제2 광섬유들(130), 펌핑 광원들(140), 클램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hollow optical coupler, 110)는 직선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는 상기 직선부(11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는 상기 직선 부(112) 및 상기 테이퍼부(114)를 관통하는 일정한 지름의 관통 홀(1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섬유(120)는 상기 관통 홀(116)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와 융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섬유들(120)은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의 상기 직선부(112)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펌프 광원들(140)은 상기 제2 광섬유들(130)의 일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는 상기 제2 광섬유(130)를 통하여 공급된 상기 펌프 광원(140)의 출력광을 상기 제1 광섬유(120)에 사이드 결합(side coupling)할 수 있다.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는 실리카 튜브 또는 중공 광섬유를 절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의 내경은 일정할 수 있다. 상기 직선부(112)와 상기 테이퍼부(114)는 서로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직선부(112)의 외경은 일정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114)의 외경은 상기 직선부(112)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114)의 길이는 상기 직선부(112)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관통 홀(116)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의 외주면은 원형일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114)의 일단의 지름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 광섬유(120)의 외경과 같을 수 있다. 상기 직선부(112)는 균일한 외경을 갖는 실린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114)는 절두된 원뿔(truncated cone) 형태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광섬유(120)는 상기 관통 홀(116)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섬유(120)는 상기 관통 홀(116)을 관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섬유(120) 와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는 서로 융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섬유(120)는 코어/클래드(core/clad)로 구성된 다중 모드 광섬유(multi-mdoe optical fiber) 또는 이중 클래드 광섬유(double clad optical fiber)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섬유(120)는 코어(122) 및 클래드(124)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섬유(120)는 상기 클래드(124)를 감싸는 2차 클래드가 제거된 이중 클래드 광섬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의 상기 관통 홀(116)에 제1 광섬유(120)를 삽입 시 상기 제 1 광섬유(120)의 제2 클래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코어(122)에 희토류 원소가 첨가되어 상기 펌프 광원(140)의 출력광에 의하여 희토류 원소는 증폭 자발 방출(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ASE)될 수 있다. 상기 희토류 원소는 상기 펌프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여기 될 수 있다. 상기 여기된(exciated) 희토류 이온의 전자들은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희토류 이온이 방출한 광은 상기 코어(122)를 통해 진행하며, 방출된 광은 케비티(cavity)를 통해 레이저를 발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광섬유(120)의 클래드(124)는 실리카(silica)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래드(124)의 외경은 상기 코어(122)에 비해 100 배 이상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래드(124)은 많은 양의 빛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섬유(130)는 단일 모드 광섬유(single-mode optical fiber) 또는 다중 모드 광섬유일 수 있다. 상기 제2 광섬유(130)의 타단은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의 직선부(112)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섬유(130)는 상기 제1 광섬유(120)와 접촉하도록 상기 제1 광섬유(1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섬유(130)와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는 같은 재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펌프 광원(140)에 의해 상기 제2 광섬유(130)로 입사되는 입사광은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의 상기 직선부(112)의 상기 일단에서 반사 없이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로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의 상기 직선부(112)의 상기 타단은 무반사 코팅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 광섬유(130)는 중공 광학 커플러(100)의 상기 직선부(112)의 타단에 직접 융착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섬유(130)의 상기 타단을 정렬 배치할 경우,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의 상기 직선부(112)의 상기 타단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거나 혹은 약간 클 수 있다. 상기 제2 광섬유(130)의 상기 타단은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의 상기 직선부(1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펌프 광원(140)에 의한 출력광은 상기 제2 광섬유(130)를 통과하여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에 제공된 광은 사이드 커플링(side coupling)을 통하여 상기 제1 광섬유(12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섬유(130)는 상기 펌프 광원(140)의 출력광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는 어레이(array) 형태로 제작된 고출력의 상기 펌프 광원(140)의 상기 입사광을 상기 제2 광섬유(130)를 통하여 상기 제1 광섬유(120)의 상기 클래드(124)에 측면 입사시킬 수 있다.
상기 펌프 광원(140)은 반도체 어레이 다이오드 레이저( semiconductor arrayed diode laser)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어레이 다이오드 레이저는 바 다이 오드(bar diode) 또는 다이오드 스택(diode stack)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펌프 광원(140)의 파장 대역은 808 nm 915 nm, 980 nm, 및 1480 nm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 광원(140)은 대구경이고 높은 NA(numerical aperture: NA)를 가진 상기 제2 광섬유(13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광섬유(120)의 코어(122)에서 고출력의 레이저 발진이 가능하다. 상기 클래드(124)에 입사된 상기 펌프 광원(140)의 출력광은 상기 코어(122)를 가로지르면서 상기 코어(122)에 도핑되어 있는 희토류 이온을 여기 시킬 수 있다. 여기된 희토류 이온은 빛을 방출하고, 방출된 빛은 상기 코어(122)를 통해 진행하며 증폭될 수 있다.
제1 광섬유(120)에 형성된 레이징 케비티(cavity), 광섬유 브래그 격자(fiber Bragg gratings), 또는 거울(mirrors)를 통해 레이저가 발진할 수 있다. 상기 발진된 레이저는 고출력이고 높은 품질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코어(122)의 조건에 따라 단일 모드 또는 다중 모드 광섬유 레이저가 형성될 수 있다.
클램프(150)는 상기 제2 광섬유들(130)과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를 서로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150)의 일단에 배치된 커플러 홈(152)에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의 직선부(112)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150)의 타단은 상기 제1 광섬유(120)가 삽입되는 제1 광섬유 홈 및 상기 제2 광섬유들(130)이 삽입되는 제2 광섬유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150)는 유전체 또는 금속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섬유 홈은 상기 클램프(150)의 중심축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섬유 홈들과 상기 제1 광섬유 홈이 서로 접촉하는 영역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섬유(120) 및 상기 제2 광섬유들(130)은 상기 클램프(150)와 기계적 및/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가 설명된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는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된 광 결합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섬유(120)의 일단은 마스터 오실레이터(170, master oscillator)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오실레이터(170)는 펄스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스터 오실레이터(170)는 펄스 출력을 내보내는 광섬유 레이저, 펄스 광원을 증폭한 광섬유 증폭기, 펄스 출력을 내는 고출력 반도체 레이저 또는 고체 레이저일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오실레이터(170) 및 상기 제1 광섬유(120)의 상기 일단 사이에 아이솔레이터(1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솔레이터(160)는 광을 일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오실레이터(170)는 상기 아이솔레이터(160)와 단일 모드 광섬유(162)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아이솔레이터(160)는 상기 제1 광섬유(120)의 상기 일단과 단일 모드 광섬유(162)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섬유(120)의 타단은 출력단(19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출력단(190)은 상기 제1 광섬유(120)의 상기 타단과 단일 모드 광섬유(162)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된 광 결합 장치(100)의 테이퍼부(114)는 상기 출력 단(190)을 향하고, 상기 광 결합 장치(100)는 상기 출력단(190)보다 상기 마스터 오실레이터(17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 결합 장치(100)는 상기 마스터 오실레이터(170)에서 발생하는 상기 펄스 광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광 결합 장치(100) 내의 광을 사이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는 단방향 펌핑 구조의 MOPA 레이저 일 수 있다.
제1 광섬유(120)가 중공 광학 커플러(110)를 관통하여 융착되어, 상기 제1 광섬유(120)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광섬유(120)의 코어와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162)의 코어는 직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광섬유(120)와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162)의 연결 지점(A1, A2)에서 코어들의 연결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고, 희토류 원소에 의해 형성되어 진행하는 레이저 및 증폭 자발 광출이 코어로만 진행할 수 있다. 펌프 광원(140)의 수명이 증가하여 가용기간이 증가된 레이저 발생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가 설명된다. 도 2b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의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는, 도 2a 를 참조하여 설명된 레이저 발생기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된 광 결합 장치(100)의 테이퍼부(114)는 상기 마스터 오실레이터(170)을 향하고, 상기 광 결합 장치(100)는 상기 마스터 오실레이터(170)보다 상기 출력단(19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 결합 장 치(100)는 상기 마스터 오실레이터(170)에서 발생하는 상기 펄스 광의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상기 광 결합 장치(100) 내의 광을 사이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는 단방향 펌핑 구조의 MOPA 레이저 일 수 있다. 단일 모드 광섬유(162)와 제1 광섬유(120)의 연결지점(A3, A4)에서, 단일 모드 광섬유(162)의 코어와 제1 광섬유(120)의 코어의 연결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가 설명된다. 도 2c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는, 도 2a 를 참조하여 설명된 레이저 발생기 및 추가 광 결합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광 결합 장치(200)는 추가 중공 광학 커플러(210), 제1 광섬유(120), 제3 광섬유(230), 추가 클램프(250) 및 추가 펌프 광원(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광 결합 장치(200)는 상기 광 결합 장치(20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는 양방향 펌핑 구조의 MOPA 레이저 일 수 있다.
상기 추가 중공 광학 커플러(210)는 직선부 및 상기 직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중공 광학 커플러(210)는 상기 직선부 및 상기 테이퍼부를 관통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중공 광학 커플러(210)는 중공 광학 커플러(11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섬유(120)의 타단은 상기 추가 중공 광학 커플러(210)의 상기 홀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중공 광학 커플러(210)의 상기 직선부에 제3 광섬유(23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광섬유의 일단에 추가 펌프 광원(25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광섬유(220) 및 상기 추가 펌프 광원(250)은 제2 광섬유(120) 및 펌프 광원(150)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추가 중공 광학 커플러(210)는 상기 추가 펌프 광원(250)을 통하여, 상기 제3 광섬유로부터 공급되는 추가 광을 상기 제1 광섬유(120)에 사이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광 결합 장치(200)는 상기 마스터 오실레이터(170)에서 발생하는 상기 펄스 광의 진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추가 광 결합 장치(200) 내의 광을 사이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추가 광 결합 장치(200)의 사이드 결합 방향과 상기 광 결합 장치(100)의 사이드 결합 방향은 반대일 수 있다.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의 테이퍼부와 상기 추가 중공 광학 커플러(210)의 테이퍼부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1 광섬유(120)의 상기 일단은 단일 모드 광섬유(162)에 의해 아이솔레이터(160) 및 마스터 오실레이터(17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섬유(120)의 상기 타단은 단일 모드 광섬유(162)에 의해 출력단(190)과 연결될 수 있다. 단일 모드 광섬유(162)와 제1 광섬유(120)의 연결지점(A5, A6)에서, 단일 모드 광섬유(162)의 코어와 제1 광섬유(120)의 코어의 연결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가 설명된다. 도 3a 는 본 발 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a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는 도 2a 를 참조하여 설명된 레이저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를 참조하여 설명된 레이저 발생기의 중공 광학 커플러(110)에 컨트롤 레이저 발생기(145)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이저 발생기(145)는 컨트롤 레이저 광섬유(135)를 통해 제2 광섬유(120)가 연결된 중공 광학 커플러(110)의 직선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이저 광섬유(135)는 제2 광섬유(130)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는 마스터 오실레이터(170)에서 발생된 펄스 광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 내의 광을 사이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이저 발생기(145)는 컨트롤 레이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이저의 파장은 제1 광섬유(120)에서 펌프 광원(140)에 의해 형성 가능한 레이저 파장으로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이저는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를 통해 상기 제1 광섬유(120)의 클래드을 따라 입사되고 진행할 수 있다. 마스터 오실레이터(17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또는 펄스가 0 인 경우, 상기 제1 광섬유(120)의 코어에서 증폭 자발 광출(ASE)이 증가하게 되고, 이 증폭 자발 광출은 상기 코어 및 상기 클래드를 따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이저가 클래드를 따라 진행하면서 상기 제1 광섬유(120)의 상기 코어를 가로지르는 경우, 상기 코어의 희토류 원소들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빼앗아 희토류 원소에 의한 증폭 자발 광출(ASE)이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클래드를 따라 진행하는 증폭 자발 광출(ASE)에 의한 펌프 광원(140)의 손실이 최소화 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이저 발생기(145)는 상기 마스터 오실레이터(17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또는 펄스가 0 인 경우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레이저 발생기(145)를 이용하여 희토류 원소의 증폭 자발 광출(ASE)를 감소시키는 것은 단방향 펌핑 구조에 더욱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가 설명된다. 도 3b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는 도 2b 를 참조하여 설명된 레이저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 를 참조하여 설명된 레이저 발생기의 중공 광학 커플러(110)에 컨트롤 레이저 발생기(145)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이저 발생기(145)는 컨트롤 레이저 광섬유(135)를 통해 제2 광섬유(120)가 연결된 중공 광학 커플러(110)의 직선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이저 광섬유(135)는 제2 광섬유(130)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는 마스터 오실레이터(170)에서 발생된 펄스 광의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 내의 광을 사이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가 설명된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는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된 광 결합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섬유(120)의 일단은 변조기(180) 및 반사체(182)와 차례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섬유(120)의 상기 일단과 상기 변조기(180)는 단일 모드 광섬유(162)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섬유(120)의 타단은 출력 커플러(184) 및 출력단(190)과 차례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섬유(120)의 상기 타단과 상기 출력 커플러(184)는 단일 모드 광섬유(162)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는 단방향 펌핑 구조의 Q 스위칭 레이저일 수 있다.
상기 반사체(182)는 100% 반사율을 갖는 풀 미러(full mirror) 일 수 있다. 상기 반사체(182)와 상기 출력 커플러(184)는 레이저 케비티(cavity)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변조기(180)는 레이저 케비티(cavity) 선택도(Q factor)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변조기(180)는 수동 또는 능동 변조기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조기(180)는 음향 광학 변조기(acoustic-optic modulator), 광전 변조기(electro-optic modulator) 및 마이크로 전자 기계 시스템(microelectomechanical system) 기반의 변조기와 같은 능동형 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변조기(180)는 레이저의 파워에 따라서 on/off 되는 포화 흡수체(saturable absorber) 기반의 수동형 변조기 일 수 있다.
상기 변조기(180) 및 상기 반사체(182)는 결합된 형태의 복합소자 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합 소자는 포화 흡수체(saturable absorber) 또는 피에조(piezo) 소자를 이용한 광섬유 격자를 튜닝(tuning)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광 결합 장치(100)의 테이퍼부(114)는 상기 출력단(190)을 향하고, 상 기 광 결합 장치(100)는 상기 출력단(190)보다 상기 변조기(18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섬유(120)가 중공 광학 커플러(110)를 관통하여 융착되어, 상기 제1 광섬유(120)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광섬유(120)의 코어와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162)의 코어는 직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광섬유(120)와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162)의 연결 지점(B1, B2)에서 코어들의 연결 불량이 최소화되어, 희토류 원소에 의해 형성되어 진행하는 레이저 및 증폭 자발 광출(ASE)이 코어로만 진행할 수 있다. 펌프 광원(140)의 수명이 증가하여 가용기간이 증가된 레이저 발생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가 설명된다. 도 4b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의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는, 도 4a 를 참조하여 설명된 레이저 발생기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된 광 결합 장치(100)의 테이퍼부(114)는 상기 변조기(180)을 향하고, 상기 광 결합 장치(100)는 상기 변조기(180)보다 상기 출력단(19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는 단방향 펌핑 구조의 Q 스위칭 레이저 일 수 있다.단일 모드 광섬유(162)와 제1 광섬유(120)의 연결지점(B3, B4)에서, 단일 모드 광섬유(162)의 코어와 제1 광섬유(120)의 코어의 연결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가 설명된다. 도 4c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c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는, 도 4a 를 참조하여 설명된 레이저 발생기 및 추가 광 결합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광 결합 장치(200)는 추가 중공 광학 커플러(210), 제1 광섬유(120), 제3 광섬유(230), 추가 클램프(250) 및 추가 펌프 광원(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광 결합 장치(200)는 상기 광 결합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는 양방향 펌핑 구조의 Q 스위칭 레이저 일 수 있다.
상기 추가 중공 광학 커플러(210)는 직선부 및 상기 직선부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중공 광학 커플러(210)는 상기 직선부 및 상기 테이퍼부를 관통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섬유(120)의 타단은 상기 추가 중공 광학 커플러(210)의 상기 홀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중공 광학 커플러(210)의 상기 직선부에 제3 광섬유(23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광섬유의 일단에 추가 펌프 광원(25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중공 광학 커플러(210)는 상기 추가 펌프 광원(250)을 통하여, 상기 제3 광섬유로부터 공급되는 추가 광을 상기 제1 광섬유(120)에 사이드 결합할 수 있다.상기 추가 광 결합 장치(200)의 사이드 결합 방향과 와 상기 광 결합 장치(100)의 사이드 결합 방향은 반대일 수 있다.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의 테이퍼부와 상 기 추가 중공 광학 커플러(210)의 테이퍼부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르면, 단일 모드 광섬유(162)와 제1 광섬유(120)의 연결지점(B5, A6)에서, 단일 모드 광섬유(162)의 코어와 제1 광섬유(120)의 코어의 연결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가 설명된다. 도 5a 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는 도 4a 를 참조하여 설명된 레이저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를 참조하여 설명된 레이저 발생기의 중공 광학 커플러(110)에 컨트롤 레이저 발생기(145)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이저 발생기(145)는 컨트롤 레이저 광섬유(135)를 통해 제2 광섬유(120)가 연결된 중공 광학 커플러(110)의 직선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이저 광섬유(135)는 제2 광섬유(130)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이저 발생기(145)는 컨트롤 레이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이저의 파장은 제1 광섬유(120)에서 펌프 광원(140)에 의해 형성 가능한 레이저 파장으로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이저는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110)를 통해 상기 제1 광섬유(120)의 클래드을 따라 입사되고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이저가 클래드를 따라 진행하면서 상기 제1 광섬유(120)의 상기 코어를 가로지르는 경우, 상기 코어의 희토류 원소들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빼앗아 희토류 원소에 의한 증폭 자발 광출(ASE)이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클래드를 따라 진행하는 증폭 자발 광출(ASE)에 의한 펌프 광원(140)의 손실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가 설명된다. 도 5b 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는 도 4b 를 참조하여 설명된 레이저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 를 참조하여 설명된 레이저 발생기의 중공 광학 커플러(110)에 컨트롤 레이저 발생기(145)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이저 발생기(145)는 컨트롤 레이저 광섬유(135)를 통해 제2 광섬유(120)가 연결된 중공 광학 커플러(110)의 직선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이저 광섬유(135)는 제2 광섬유(130)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결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a 내지 2c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b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b 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직선부 및 상기 직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직선부의 상기 일단과 이격하는 일단을 갖는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중공 광학 커플러,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는 상기 직선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테이퍼부의 상기 일단으로 연장되는 관통 홀을 포함하는 것;
    상기 관통 홀 내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를 관통하는 제 1 광섬유, 상기 제 1 광섬유는 상기 직선부의 상기 타단으로부터 돌출된 제 1 부분,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 내의 제 2 부분, 및 상기 테이퍼부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제 3 부분을 포함하는 것;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의 상기 직선부의 상기 타단에 연결되는 제 2 광섬유;
    상기 제 2 광섬유의 일단에 연결된 펌프 광원;
    상기 제 1 광섬유와 연결된 반사체;
    상기 반사체와 대향되게 상기 제 1 광섬유와 연결되고, 상기 반사체와 함께 레이저 캐비티를 구성하는 출력 커플러;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와 상기 반사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레이저 캐비티의 선택도를 조절하는 변조기; 및
    상기 출력 커플러와 연결된 출력단을 포함하되,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는 상기 펌프 광원으로부터 상기 제 2 광섬유를 통하여 공급된 펌핑 광을 상기 제 1 광섬유에 사이드 결합하고,
    상기 테이퍼부의 상기 일단에서 상기 제 2 부분의 코어와 상기 제 3 부분의 코어는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서로 일치하는 레이저 발생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의 상기 직선부에 연결된 컨트롤 레이저를 더 포함하는 레이저 발생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와 대향되게 위치하는 추가 중공 광학 커플러;
    상기 추가 중공 광학 커플러의 직선부의 타단에 연결된 제 3 광섬유; 및
    상기 제 3 광섬유의 일단에 연결된 추가 펌프 광원을 더 포함하는 레이저 발생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섬유는 복수 개로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광섬유들은 상기 제 1 광섬유의 상기 제 1 부분을 둘러싸며 상기 중공 광학 커플러의 상기 직선부의 상기 타단에 연결되는 레이저 발생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섬유의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출력 커플러를 향해 연결되고, 상기 제 1 광섬유의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반사체를 향해 연결되는 레이저 발생기.
KR1020090119834A 2009-12-04 2009-12-04 레이저 발생기 KR101695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834A KR101695703B1 (ko) 2009-12-04 2009-12-04 레이저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834A KR101695703B1 (ko) 2009-12-04 2009-12-04 레이저 발생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575A Division KR101797146B1 (ko) 2017-01-04 2017-01-04 레이저 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946A KR20110062946A (ko) 2011-06-10
KR101695703B1 true KR101695703B1 (ko) 2017-01-13

Family

ID=4439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834A KR101695703B1 (ko) 2009-12-04 2009-12-04 레이저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7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188A (ko) 2017-02-17 2018-08-27 (주) 블루코어컴퍼니 실시간 레이저 출력 검증이 가능한 광섬유 레이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0391A (zh) * 2016-09-27 2018-04-03 福州高意光学有限公司 一种飞秒激光器辅助制备光纤耦合器的方法
KR102001201B1 (ko) * 2016-11-01 2019-07-18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광 커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광 증폭 장치
KR101889293B1 (ko) * 2016-11-29 2018-08-21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광 공진기
KR101951349B1 (ko) * 2017-03-29 2019-02-25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광 공진기
KR102027376B1 (ko) * 2018-03-28 2019-10-02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광 공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4577A1 (de) * 1990-02-20 1991-08-22 Permanova Lasersystem Ab Vorrichtung zur materialbearbeitung mittels laserstrahl
JP2007042981A (ja) * 2005-08-05 2007-02-15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レーザ、光ファイバ増幅器、mopa方式光ファイバレーザ
JP2008177434A (ja) * 2007-01-19 2008-07-31 Sumitomo Electric Ind Ltd 増幅用光ファイバおよび光ファイバ増幅器
JP2009212441A (ja) * 2008-03-06 2009-09-17 Fujikura Ltd ポンプコンバイ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4577A1 (de) * 1990-02-20 1991-08-22 Permanova Lasersystem Ab Vorrichtung zur materialbearbeitung mittels laserstrahl
JP2007042981A (ja) * 2005-08-05 2007-02-15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レーザ、光ファイバ増幅器、mopa方式光ファイバレーザ
JP2008177434A (ja) * 2007-01-19 2008-07-31 Sumitomo Electric Ind Ltd 増幅用光ファイバおよび光ファイバ増幅器
JP2009212441A (ja) * 2008-03-06 2009-09-17 Fujikura Ltd ポンプコンバイ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188A (ko) 2017-02-17 2018-08-27 (주) 블루코어컴퍼니 실시간 레이저 출력 검증이 가능한 광섬유 레이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946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414B1 (ko) 광섬유 커플러, 그의 제조방법 및 능동 광모듈
US8611003B2 (en) Double clad fiber laser device
US7792161B2 (en) Optical fiber for fiber laser, fiber laser, and laser oscillation method
EP1869513B8 (en) Optical fibre bundle
KR101695703B1 (ko) 레이저 발생기
US6188712B1 (en) Asymmetrical distributed feedback fiber laser
KR20130104838A (ko) 광 결합장치 및 그를 구비한 능동 광모듈
US20030185269A1 (en) Fiber-coupled vertical-cavity surface emitting laser
EP30586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igh power laser light
US8902494B2 (en) Amplification optical fiber with optical component and fiber laser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20183977A (ja) 光結合器および光出力装置
KR20140001116U (ko) 2㎛ 범위 내에서 동작하는 파장용 고출력 단일모드 광섬유 레이저 시스템
EP1440495A2 (en) An optical light source
KR102078144B1 (ko) 초고출력 싱글모드 광섬유 레이저 시스템
WO2011125358A1 (ja) パルスファイバレーザ装置
KR101797146B1 (ko) 레이저 발생기
KR20110065305A (ko) 이중 클래드 광섬유 레이저 소자
WO2020203136A1 (ja) ファイバレーザ装置
KR102027376B1 (ko) 광 공진기
KR101889293B1 (ko) 광 공진기
KR101232659B1 (ko) 광 결합 장치, 광 결합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광 증폭기
JP3665738B2 (ja) レーザダイオードモジュール
US20120213235A1 (en) Optical couplers and active optical modules using the same
JP2010177314A (ja) ダブルクラッドファイバ、ファイバレーザ装置及び光増幅器
KR102001201B1 (ko) 광 커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광 증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