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619B1 -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619B1
KR101695619B1 KR1020140078426A KR20140078426A KR101695619B1 KR 101695619 B1 KR101695619 B1 KR 101695619B1 KR 1020140078426 A KR1020140078426 A KR 1020140078426A KR 20140078426 A KR20140078426 A KR 20140078426A KR 101695619 B1 KR101695619 B1 KR 101695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magnet
housing
ferromagnetic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773A (ko
Inventor
김학권
박규섭
정재희
Original Assignee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8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61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자석의 개수를 두 개로 줄이고도 빠른 오토 포커싱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가 개시된다. 개시된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는, 베이스(base) 및 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cover)를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 중앙에 형성된 통공에 렌즈(lens)가 삽입 장착되고, 하우징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캐리어(carrier), 캐리어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coil), 캐리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커버의 측벽의 내측면과 대면(對面)하도록 하우징 내부에 고정된, 판(plate)형의 한 쌍의 자석, 및 캐리어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고, 권선된 코일에 의해 노출되지 않고 가려지며, 한 쌍의 자석과 일대일 대응되고, 권선된 코일을 사이에 두고 자신과 대응되는 자석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판(plate) 형의 한 쌍의 강자성체 조각을 구비한다. 하우징의 내측면은 자석이 고정된 면과, 자석이 고정되지 않는 면이 교번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Lens focusing actuator}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의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에 적용되는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포터블 카메라뿐만 아니라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PC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오토 포커싱, 즉 자동 초점 조절 가능한 카메라가 탑재되고 있다.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은, 렌즈를 광축 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퇴시켜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화상이 명확하게 맺히도록 하는 기능으로 렌즈를 지지하는 경통을 전진 및 후퇴시키는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에 의해 수행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5932호에는 종래의 일 예에 따른 오토 포커싱용 액추에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코일(coil)과 자석(magnet)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렌즈 경통을 전진 및 후퇴시키게 되는데, 전진 및 후퇴 속도를 높여 빠른 오토 포커싱이 구현되도록 4개의 자석을 구비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5932호
본 발명은, 자석의 개수를 두 개로 줄이고도 빠른 오토 포커싱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석의 개수를 줄여 원가 절감, 경량화, 및 소형화에 유리한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base)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cover)를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 중앙에 형성된 통공에 렌즈(lens)가 삽입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캐리어(carrier), 상기 캐리어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coil), 상기 캐리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의 측벽의 내측면과 대면(對面)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된 한 쌍의 자석, 및 상기 캐리어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자석과 일대일 대응되고, 상기 권선된 코일을 사이에 두고 자신과 대응되는 자석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강자성체 조각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은 상기 자석이 고정된 면과, 상기 자석이 고정되지 않는 면이 교번하여 형성된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는, 상기 캐리어의 승강으로 인한 위치 변화에 불구하고, 상기 한 쌍의 강자성체 조각 각각의 기하학적 중심은 자신과 대응되는 자석의 기하학적 중심보다 위에 위치하고, 상기 캐리어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최대로 상승한 때에도, 상기 강자성체 조각의 하단 모서리는 자신과 대응되는 자석의 상단 모서리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강자성체 조각의 넓이는 상기 자석의 넓이의 1/25 내지 1/4 일 수 있다.
상기 강자성체 조각의 가로 길이는 상기 자석의 가로 길이의 1/5 내지 1/2 이고, 상기 강자성체 조각의 세로 길이는 상기 자석의 세로 길이의 1/10 내지 1/2 일 수 있다.
상기 강자성체 조각은 스테인레스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캐리어의 외주면에는 안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강자성체 조각은 상기 안착 홈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캐리어가 기준되는 높이로 수렴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와 상기 캐리어 사이에 개재되는 상부 스프링,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캐리어 사이에 개재되는 하부 스프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자석과 한 쌍의 강자성체 조각 사이의 자기적 인력(磁氣的 引力)이 자석을 두 쌍에서 한 쌍으로 줄임으로 인한 전자기력의 부족을 대체한다. 따라서, 이 자기적 인력이 캐리어에 작용하여 캐리어가 초점이 맞는 위치에서 정지할 때 안정화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짧게 줄여준다. 이에 따라, 자석의 개수를 두 쌍에서 한 쌍으로 줄이고도 빠르고 안정적인 오토 포커싱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에 비하여 자석의 개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제품의 경량화 및 소형화에 유리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을 III-III에 따라 절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캐리어, 자석, 권취 코일, 및 강자성체 조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 내의 자석과 강자성체 조각만을 발췌하여 겹쳐지게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a는 종래의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의 안정화 시간(settling time)에 관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의 안정화 시간에 관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을 III-III에 따라 절개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캐리어, 자석, 권취 코일, 및 강자성체 조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10)는, 베이스(12)와 커버(16)를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11), 프레임(frame)(20), 캐리어(carrier)(30), 코일(coil)(41), 한 쌍의 자석(45), 한 쌍의 강자성체 조각(50), 상부 스프링(25), 및 하부 스프링(27)을 구비한다.
베이스(12)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인 부재로서, 중앙에 개구(13)가 형성된 대략 사각형의 판(plate)과, 상기 사각형 판의 4 곳의 코너(corner)에서 위로 돌출된 4개의 기둥(15)을 구비한다. 상기 개구(13)를 한정하는 내주면에는 복수의 단차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미지 센서(미도시) 및 적어도 한 종류의 광학 필터(미도시)가 상기 내주면에 끼워져 베이스(12)에 탑재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와 광학 필터는 캐리어(30)에 탑재되는 렌즈(미도시)와 광축 정렬된 상태로 배치된다.
커버(16)는 사각형의 상측면과, 사각형 상측면의 4 모서리에서 아래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4개의 측벽(18)을 구비한다. 커버(16)의 상측으로부터 하우징(11)의 내부로 빛이 수광(受光)되도록 커버(16) 상측면에는 개구(17)가 형성된다. 커버(16)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커버(16)의 측벽(18)은 한 쌍의 자석(45)의 자기장을 하우징(11) 밖으로 분산되지 않게 제한하는 요크(yoke)의 기능을 수행한다.
프레임(20)은 중앙에 커버(16)의 개구(17)에 대응되는 개구(21)가 형성된 사각형의 판(plate)과, 상기 판의 4곳의 코너(corner)에서 아래로 돌출된 4개의 다리(22)를 구비하며,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에 고정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20)의 4개의 다리(22)가 베이스(12)의 4개의 기둥(15)과 겹쳐지고, 각 다리(22)의 하단은 베이스(12)의 사각형 판의 4곳의 코너에 지지된다.
캐리어(30)는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통공(31)이 형성된 링(ring) 형상의 부재로서 하우징(11)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통공(31)의 경계가 되는 캐리어(30)의 내주면(32)에는 렌즈(lens)(미도시)를 고정 지지하는 렌즈 경통(미도시)이 삽입되고 고정 장착된다. 캐리어(30)의 외주면(33)에는 코일(coil)(41)이 권선된다. 캐리어(30)의 상단과 하단에는 권선된 코일(41)이 캐리어(30)의 외주면(33)에서 빠지지 않게 막는 상단 플랜지(flange)(35)와 하단 플랜지(36)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자석(45)은 하우징(11) 내부에서 캐리어(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커버 측벽(18)의 내측면과 접촉 대면(對面)하도록 하우징(11) 내부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각 자석(45)은 사각형 판(plate) 형상이며, 베이스(12)와 프레임(20)이 결합된 때 프레임(20)의 인접한 한 쌍의 다리(22)와, 프레임(20)의 사각형 판의 일 모서리와, 베이스(12)의 사각형 판의 일 모서리에 의해 한정되는 사각형의 윈도(window)에 끼워져 고정된다. 다만, 각 자석(45)의 형상이 반드시 사각형 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11)의 내면이, 제1, 2, 3, 4면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하우징(11)의 제1, 3면에는 자석(45)이 배치되고, 상기 제2, 4면에는 자석(45)이 배치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자석(45)의 수가 종래에 비하여 줄어들게 된다. 이를 통하여, 제조 비용이 저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자석(45)의 수가 줄어듦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전자기력의 약화는 후에 상술하는 한 쌍의 강자성체 조각(50)에 의하여 보완 할 수 있다.
하우징(11) 내부에서 상부 스프링(25)은 커버(16)와 캐리어(30) 사이, 구체적으로는 프레임(20)의 사각형 판과 캐리어(30)의 상단 플랜지(35) 사이에 개재되고, 하부 스프링(27)은 베이스(12)와 캐리어(30) 사이, 구체적으로는 베이스(12)의 사각형 판과 캐리어(30)의 하단 플랜지36)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상부 스프링(25)과 하부 스프링(27)은 캐리어(30)가 의도하지 않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하우징(11) 내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으로, 하우징(11) 내에서 캐리어(30)가 기준 높이로 수렴하도록 탄성 가압한다. 상기 캐리어(30)의 기준 높이는 예컨대, 베이스(12)의 적어도 일 부분에 캐리어(30)의 하단부가 접촉 지지될 때의 캐리어(30)의 높이일 수 있다.
즉, 코일(41)에 전류가 흐르면 상기 상부 및 하부 스프링(25, 27)의 탄성력에 불구하고 자석(45)과 코일(41)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캐리어(30)가 하우징(11) 내에서 상승하여 렌즈 초점이 맞춰지는 높이로 이동한다. 렌즈 초점이 맞춰진 캐리어(30)의 높이는 코일(41)에 가해지는 전자기력과 상부 및 하부 스프링(25, 27)의 탄성력이 평형을 이루는 위치이다. 한편, 코일(41)에 흐르던 전류가 끊어지면 캐리어(30)는 상부 및 하부 스프링(25, 27)의 탄성력에 의해 기준 높이까지 하강하여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하부 스프링(27)에는 아래로 절곡 돌출되어 베이스(12)의 외부로 노출된 단자(29)가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 명확히 도시되진 않았으나, 하부 스프링(27)은 코일(41)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11)의 외부로부터 하부 스프링(27)을 통해 코일(41)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한 쌍의 강자성체 조각(50)은 캐리어(30)에 권선된 코일(41)에 의해 노출되지 않고 가려지도록 캐리어(30)의 외주면(33)에 고정 결합된다. 한 쌍의 강자성체 조각(50)은 한 쌍의 자석(45)과 일대일 대응되고, 코일(41)을 사이에 두고 자신과 대응되는 자석(45)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캐리어(30)의 외주면(33)에 안착 홈(37)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 홈(37)에 강자성체 조각(50)이 하나씩 안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강자성체 조각(50)은 자석(45)보다 작은 사각형 판(plate) 형상이나, 강자성체 조각(50)의 형상이 반드시 사각형 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강자성체 조각(50)은 산화에 강한 금속인 스테인레스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제1, 3면에 자석(45)이 배치된다면, 상기 강자성체 조각(50) 또한 상기 하우징(11)의 제1, 3면에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11)의 제2, 4면에 대향되어서는 상기 자석(45)이 배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2의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 내의 자석과 강자성체 조각만을 발췌하여 겹쳐지게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한 쌍의 강자성체 조각(50)의 크기와 형태는 서로 동일하고, 강자성체 조각(50)의 가로 길이(SW)는 대응되는 자석(45)의 가로 길이(MW)의 1/5 내지 1/2이고, 강자성체 조각(50)의 세로 길이(SH)는 대응되는 자석(45)의 세로 길이(MH)의 1/10 내지 1/2 이다. 또는, 강자성체 조각(50)의 넓이는 대응되는 자석(45)의 넓이의 1/25 내지 1/4 이다. 강자성체 조각(50)의 크기가 상술한 범위보다 작으면 한 쌍의 자석(45)과 한 쌍의 강자성체 조각(50) 사이의 자기적 인력 증강 효과가 미흡하여 빠른 렌즈 초점 조절이 어려워진다. 반면, 강자성체 조각(50)의 크기가 상술한 범위보다 크면 한 쌍의 자석(45)과 한 쌍의 강자성체 조각(50) 사이의 자기적 인력(引力)이 과대하여 정밀한 렌즈 초점 조절이 어려워진다.
한편, 하우징(11) 내부에서 캐리어(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2)에 접촉되어 있는 기준 높이에서 베이스(12)에서 이격되어 상승한 높이로 상승하거나, 반대로 하강 가능하다. 각각의 강자성체 조각(50)의 기하학적 중심(SC_D, SC_U)은 자신과 대응되는 자석(45)의 기하학적 중심(MC)보다 위에 위치한다. 도 5에서 SC_D는 캐리어(30)가 상기 기준 높이인 때 강자성체 조각(50)의 기하학적 중심의 위치를 나타내며, SC_U는 캐리어(30)가 하우징(11) 내에서 최대로 상승한 때 강자성체 조각(50)의 기하학적 중심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도 5에서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사각형은 캐리어(30)가 하우징(11) 내에서 최대로 상승한 때 강자성체 조각(50)을 나타낸다.
캐리어(30)가 하우징(11) 내에서 상기 기준 높이인 때에는, 강자성체 조각(50)의 상단 모서리(51)는 자신과 대응되는 자석(45)의 상단 모서리(46)보다 낮게 위치하고, 강자성체 조각(50)의 하단 모서리(52)는 자신과 대응되는 자석(45)의 하단 모서리(47)보다 높게 위치한다. 한편, 캐리어(30)가 하우징(11) 내에서 최대로 상승한 때에도 강자성체 조각(50)의 하단 모서리(52)는 자신과 대응되는 자석(45)의 상단 모서리(46)보다는 낮게 위치한다. 이때, 강자성체 조각(50)의 상단 모서리(51)는 자신과 대응되는 자석(45)의 상단 모서리(46)보다 높게 위치할 수도 있고 낮게 위치할 수도 있다.
강자성체 조각(50)의 높이에 대한 상기한 한정을 벗어나면 강자성체 조각(50)이 자신과 대응되는 자석(45)에 대해 너무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어서, 캐리어(30)가 하우징(11) 내에서 상승하게 될 때 자석(45)과의 강한 인력(引力)에 의해 아래로 강하게 당겨지고, 이로 인해 렌즈 초점 조절의 정밀한 제어가 어려워진다.
도 6a는 종래의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의 안정화 시간(settling time)에 관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의 안정화 시간에 관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두 쌍의 자석을 구비하고 강자성체 조각은 구비하지 않은 종래의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는, 코일에 입력되는 전류가 56mA까지 상승할 때 캐리어의 스트로크(stroke)가 101.7㎛ 에서 안정화될 때까지 안정화 시간(settling time)이 247.5ms 소요되며, 오버슈트(overshoot)는 10.28% 이다.
그러나, 도 6b를 참조하면, 한 쌍의 자석과 한 쌍의 강자성체 조각을 구비한 본 발명 실시예에따른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는, 코일에 입력되는 전류가 56mA까지 상승할 때 캐리어의 스트로크(stroke)가 102.3㎛ 에서 안정화될 때까지 안정화 시간(settling time)이 151.5ms 소요되며, 오버슈트(overshoot)는 0.27% 이다. 도 6a와 도 6b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가 종래의 그것에 비해 안정화 시간이 짧음을 확인할 수 있고, 수 회의 반복 테스트를 통해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석(45)과 강자성체 조각(50)이 서로 당기는 힘으로, 포커스 위치에서 정지할 때 안정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포커싱 속도를 짧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자성체 조각(50)의 가로 및 세로 크기를 조절하게 되면, 자석과 요크의 인력으로 액츄에이터의 구동성능인 프리로드(preload)와, 슬로프(slope)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 12: 베이스
16: 커버 20: 프레임
25, 27: 상부, 하부 스프링 30: 캐리어
37: 안착 홈 41: 권선 코일
45: 자석 50: 강자성체 조각

Claims (7)

  1. 베이스(base)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cover)를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 중앙에 형성된 통공에 렌즈(lens)가 삽입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캐리어(carrier); 상기 캐리어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coil); 상기 캐리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의 측벽의 내측면과 대면(對面)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코일과 함께 상기 캐리어를 기준위치로부터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한 쌍의 자석;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캐리어가 기준 높이로 수렴되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캐리어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자석과 동일한 면에 상기 권선된 코일 및 자석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자석과 코일 사이에 자기적 인력(引力)을 증강시키는 한 쌍의 강자성체 조각;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자석이 고정 배치되지 않은 면이 존재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은 상기 자석이 고정된 면과, 상기 자석이 고정되지 않는 면이 교번하여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강자성체 조각의 기하학적 중심은, 상기 자석의 상단 모서리 및 하단 모서리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승강으로 인한 위치 변화에 불구하고, 상기 한 쌍의 강자성체 조각 각각의 기하학적 중심은 자신과 대응되는 자석의 기하학적 중심보다 위에 위치하고,
    상기 캐리어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최대로 상승한 때에도, 상기 강자성체 조각의 하단 모서리는 자신과 대응되는 자석의 상단 모서리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체 조각의 넓이는 상기 자석의 넓이의 1/25 내지 1/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체 조각의 가로 길이는 상기 자석의 가로 길이의 1/5 내지 1/2 이고, 상기 강자성체 조각의 세로 길이는 상기 자석의 세로 길이의 1/10 내지 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체 조각은 스테인레스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외주면에는 안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강자성체 조각은 상기 안착 홈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캐리어가 기준되는 높이로 수렴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와 상기 캐리어 사이에 개재되는 상부 스프링,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캐리어 사이에 개재되는 하부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
KR1020140078426A 2014-06-25 2014-06-25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 KR101695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426A KR101695619B1 (ko) 2014-06-25 2014-06-25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426A KR101695619B1 (ko) 2014-06-25 2014-06-25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773A KR20160000773A (ko) 2016-01-05
KR101695619B1 true KR101695619B1 (ko) 2017-01-16

Family

ID=55164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426A KR101695619B1 (ko) 2014-06-25 2014-06-25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6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128B1 (ko) * 2017-06-01 2019-08-26 해성옵틱스(주) 카메라 모듈
EP3663848B1 (en) * 2017-08-01 2024-02-14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102424581B1 (ko) * 2021-12-14 2022-07-25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카메라렌즈 오토 포커싱용 액추에이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4244A (ja) 2004-02-19 2005-09-02 Fdk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2006134541A (ja) 2004-11-09 2006-05-25 Sharp Corp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のアクチュエータ、並びにこれを備え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9282090A (ja) * 2008-05-20 2009-12-03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0549A (ja) * 1992-10-29 1994-05-20 Fujitsu Ltd モールド成形型のicパッケージ
KR101246189B1 (ko) 2009-11-20 2013-03-25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4244A (ja) 2004-02-19 2005-09-02 Fdk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2006134541A (ja) 2004-11-09 2006-05-25 Sharp Corp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のアクチュエータ、並びにこれを備え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9282090A (ja) * 2008-05-20 2009-12-03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773A (ko)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207B1 (ko) 복합 판 스프링 및 광학 손떨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렌즈 모듈
US10739610B2 (en) Lens moving apparatus
KR102322840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421223B1 (ko)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160068133A (ko) 광학 손떨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렌즈 모듈
EP2144103A1 (en) Lens Driving Device Comprising Magnetic Circuit with High Magnetic Efficiency
US7880983B2 (en) Lens driving device
JP2017198727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10008714U (ko) 렌즈 초점 조절장치
KR101651115B1 (ko) 2개의 렌즈 조립체를 구비한 자동초점 카메라 모듈
KR101695619B1 (ko) 렌즈 포커싱 액추에이터
JP2012014035A (ja)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
US11215786B2 (en) Lens driving device
US20130293969A1 (en) Miniature lens auto-focusing structure
KR101673428B1 (ko) 자동초점 및 손떨림방지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KR101185303B1 (ko) 렌즈 초점 구동장치
KR102178915B1 (ko) 카메라 모듈
KR101668605B1 (ko)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KR101886386B1 (ko) 렌즈 구동장치
KR102424581B1 (ko) 카메라렌즈 오토 포커싱용 액추에이터 장치
KR101026195B1 (ko) 소형 카메라 모듈
KR101847433B1 (ko) 렌즈 구동장치
KR20160009389A (ko) 렌즈 구동장치
JP2013246301A (ja) 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KR101865206B1 (ko) 자동 초점용 액츄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