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583B1 -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 - Google Patents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583B1
KR101695583B1 KR1020160005009A KR20160005009A KR101695583B1 KR 101695583 B1 KR101695583 B1 KR 101695583B1 KR 1020160005009 A KR1020160005009 A KR 1020160005009A KR 20160005009 A KR20160005009 A KR 20160005009A KR 101695583 B1 KR101695583 B1 KR 101695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ound
tunnel
horn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Priority to KR1020160005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5Transducer mountings or cabinet supports enabling variable orientation of transducer of cabi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40Details of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covered by H04R1/4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를 이용한 터널 정보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향을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발생부, 및 상기 음향발생부에서 발생된 음향을 확성시켜 출력하도록 내부에 출력공간부를 갖고, 터널 측벽과 인접한 일면부가 터널 측벽과 접하도록 설치되는 혼,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발생부에서 발생된 음향은 상기 혼의 출력공간부를 따라 확성되어 출력되되, 터널 측벽에 반사되어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출력되는 음향을 터널 벽에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출력할 수 있어 차량 내부에서도 출력되는 음향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상황파악은 물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Speaker improved information transfer for tunnel}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 내부에서 음향을 출력하되, 차량 내부에서 정확하게 들을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들이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함은 물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은 주로 산세가 깊은 곳에 형성됨은 물론, 차량의 입출구가 양단부에만 형성됨에 따라, 내부에서 유고상황이 발생될 경우, 존재하는 차량들에 의해 사고처리차량의 진입이 어려워 신속한 사고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터널 또는 터널로 진입하기 위한 차량의 탑승자들이 상황파악을 빠르게 할 수 없어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없음에 따라, 사고처리가 더욱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 등록특허 10-1150993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터널 내에서의 재해 시 신속하게 화재 및 사고 등의 이벤트 발생시 유고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자동으로 영상을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토록 하여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터널 내부에 존재하는 차량 탑승자들은 전파장애에 의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거나 정보를 제공받더라도 대처할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전광판이나 스피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화제가 발생 될 경우, 연기에 의해 전광판을 확인할 수 없으며, 복수 개 설치된 스피커는 동시에 출력된 음향이 터널 벽 등에 반사되어 상호 간섭됨에 따라, 정확하게 들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터널 내에 이동되는 차량을 향하여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되, 이동 중에도 명확하게 들을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발생부, 및 상기 음향발생부에서 발생된 음향을 확성시켜 출력하도록 내부에 출력공간부를 갖고, 터널 측벽과 인접한 일면부가 터널 측벽과 접하도록 설치되는 혼,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발생부에서 발생된 음향은 상기 혼의 출력공간부를 따라 확성되어 출력되되, 터널 측벽에 반사되어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출력할 수 있어 차량 내부에서도 출력되는 음향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상황파악은 물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음향을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발생부, 상기 음향발생부에서 발생된 음향을 확성시켜 출력하도록 내부에 출력공간부를 갖고, 일면부가 터널 측벽과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혼, 및 상기 음향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상기 혼의 일면부 내측면에 반사되도록 출력방향으로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발생부에서 발생된 음향은 상기 출력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혼의 내측면으로 반사되도록 출력함에 따라, 반사된 음향이 출력공간부를 따라 확성되어 출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혼은, 터널 측벽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일면부, 상기 일면부와의 이격거리가 음향이 출력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타면부, 및 상기 일면부와 타면부의 가장자리를 연결하여 내부에 음향 출력방향으로 개방된 출력공간부를 형성하는 측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타면부는, 직선 또는 굴곡진 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출력조절수단은, 상기 음향발생부가 설치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를 상기 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절힌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조절수단은, 상기 음향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음향의 출력방향을 조절하도록 상기 혼의 내부에 위치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를 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조절힌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력조절수단은, 상기 혼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을 반사시키기 위한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를 혼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조절힌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동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혼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음파를 감지하기 위한 조절센서, 및 상기 조절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절구동부를 제어함에 따라, 음향의 출력방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조절제어부,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음압감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음압감지부는 해당 터널용 스피커 주변의 음압을 측정하여 터널용 스피커의 출력 음압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터널용 스피커는, 터널 측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되고, 회전시키기 위한 위치조절부,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터널용 스피커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기 위한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설치된 터널용 스피커를 회전시키기 위한 위치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널용 스피커는, 터널 양측 벽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증폭시키는 앰프, 및 상기 앰프와 각 터널용 스피커를 제어하되, 해당 차량에 인접한 터널용 스피커를 기준으로, 진행방향을 따라 배열된 각 터널용 스피커들을 지연 출력시키는 메인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에 의하면, 출력되는 음향을 터널 벽에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출력할 수 있어 차량 내부에서도 출력되는 음향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상황파악은 물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스피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스피커의 혼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스피커의 출력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조절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조절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조절수단에 조절구동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스피커에 위치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스피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스피커에 음압감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스피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스피커의 혼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스피커의 출력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조절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조절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조절수단에 조절구동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스피커에 위치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스피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스피커에 음압감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200)는 음향발생부(230)와 혼(210), 출력조절수단(220)으로 구성된다.
음향발생부(230)는 음향을 발생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터널 측벽에 설치된다.
그리고 혼(210)은 음향발생부(230)에서 발생된 음향을 확성시켜 출력하도록 내부에 출력공간부(211)를 갖고, 일면부가 터널 측벽과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출력조절수단(220)은 음향발생부(23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혼(210)의 일면부 내측면에 반사되도록 출력방향으로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2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음향발생부(230)에서 발생된 음향은 출력조절수단(220)에 의해 혼(210)의 내측면으로 반사되도록 출력함에 따라, 반사된 음향이 출력공간부(211)를 따라 확성되어 출력된다.
다시 말해, 혼(210)의 일측면에 반사된 음향이 동일한 파동으로 출력됨에 따라, 상호 간섭되어 상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혼(21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면부(212)와 타면부(214) 및 측면부(216)로 형성된다.
일면부(212)는 터널 측벽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출력공간부(211)의 일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타면부(214)는 일면부(212)와 대면되어 출력공간부(211)의 타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면부(212)와의 이격거리가 음향이 출력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측면부(216)는 일면부(212)와 타면부(214)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것으로, 출력공간부(211)의 양측면을 형성함에 따라, 출력공간부(211)는 음향 출력방향으로 개방되록 형성된다.
여기서, 타면부(214)는 직선으로 형성된 평면이거나 굴곡진 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출력조절수단(220)의 일 실시 예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부(221)와 조절힌지(222)로 구성된다.
조절부(221)는 음향발생부(230)가 설치되는 것으로, 프레임이나 하우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절힌지(222)는 조절부(221)를 혼(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출력조절수단(220)은 조절힌지(222)를 기준으로 조절부(221)가 회전됨에 따라, 음향발생부(230)를 직접 회전시켜 발생된 음향을 혼(210)의 일측면에 반사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출력조절수단(220')은 조절부(221')와 조절힌지(222')로 구성된다.
조절부(221')는 음향발생부(230)에서 발생되는 음향의 출력방향을 조절하도록 혼(210)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복수의 판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절힌지(222')는 조절부(221')를 혼(2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출력조절수단(220')은 혼(210) 내부에 설치된 조절부(221)가 회전됨에 따라, 음향발생부(230)에서 발생된 음향을 혼(210)의 일측면에 반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의 출력조절수단(220")은 조절부(221")와 조절힌지(222")로 구성된다.
조절부(221")는 혼(210)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을 반사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복수의 판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절힌지(222")는 조절부(221")를 혼(21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출력조절수단(220")은 혼(210)의 단부에 설치된 조절부(221")를 회전시킴에 따라, 음향발생부(230)에서 발생된 음향을 혼(210)의 일측면에 반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각 실시 예의 출력조절수단(220, 220', 220")에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구동부(240)가 더 구비된다.
이 조절구동부(240)는 조절부(221, 221', 221")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조절부(221, 221', 221")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각 출력조절수단(220, 220', 220")에는 조절센서(250)와 조절제어부(2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조절센서(250)는 혼(21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음파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절제어부(260)는 조절센서(2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조절구동부(240)를 제어함에 따라, 음향의 출력방향을 자동으로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터널용 스피커(20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부(2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위치조절부(270)는 거치대(272)와 위치구동부(274)로 구성된다.
거치대(272)는 터널용 스피커(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기 위한 것으로, 터널에 설치된다.
또한 위치구동부(274)는 거치대(272)에 설치된 터널용 스피커(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된다.
물론, 터널용 스피커(200)는 터널 측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그리고 위치구동부(274)는 조절센서(250) 및 조절제어부(260)와 연계되어 작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터널용 스피커(200)는 터널 양측 벽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된다.
또한 앰프(300)와 메인제어부(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앰프(300)는 복수의 터널용 스피커(200)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증폭시키게 된다.
그리고 메인제어부(400)는 앰프(300)와 각 터널용 스피커(200)를 제어하되, 해당 차량에 인접한 터널용 스피커(200)를 기준으로, 진행방향을 따라 배열된 각 터널용 스피커(200)들을 지연 출력시키게 된다.
이러한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에 의하면, 운전자에게 필요한 터널 및 터널 주변의 상황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 상황대처를 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추가 발생될 수 있는 2차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터널용 스피커(200)에는 음압감지부(500)가 더 구비된다.
이 음압감지부(500)는 해당 터널용 스피커(200) 주변의 음압을 측정하여 출력 음압을 조절함에 따라, 차량 내부에서 정보를 음향으로 명확하게 들을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음압감지부(500)에서 측정된 터널 음압에 따라, 메인제어부(400)가 앰프(300)를 제어하여 음향을 출력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터널과 터널 주변에는 복수의 센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각 센서부(100)는 센서(102)와 센서제어부(104) 및 센서통신부(106)를 포함한다.
센서(102)는 터널과 터널 주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센서제어부(104)는 센서(102)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터널 또는 터널 주변 상황을 감지하고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센서통신부(106)는 센서제어부(104)에서 판단된 주변 상황에 대한 데이터 신호를 메인제어부(400)로 송신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센서부(100)는 CCTV 센서부(110)와 속도감지 센서부(120)로 구성된다.
CCTV 센서부(110)는 터널 내부 및 터널 주변의 영상을 확인하기 위해 구비되고, 속도감지 센서부(120)는 터널 내부 및 터널 주변의 차량 속도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와 같은, CCTV 센서부(110)와 속도감지 센서부(120)는 메인제어부(400)는 CCTV 센서부(110)와 속도감지 센서부(12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구역과 해당 구역으로 이동되는 차량을 향하여 정보를 음향으로 전달한다.
또한 온도 센서부(130)와 습도 센서부(140) 및 풍향-풍속 센서부(150)로 구성된다.
온도 센서부(130)는 터널 내부 및 터널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고, 습도 센서부(140)는 터널 내부 및 터널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풍향-풍속 센서부(150)는 터널 내부 및 터널 주변의 풍향과 풍속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메인제어부(400)는 온도 센서부(130)와 습도 센서부(140) 및 풍향-풍속 센서부(150)에서 측정되어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날씨정보를 해당 구역과 해당 구역으로 이동되는 차량을 향하여 음향으로 전달된다.
또한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를 이용한 터널 정보 방송 시스템에는 화재감지 센서부(160)가 더 구비된다.
이 화재감지 센서부(160)는 터널 내부 및 터널 주변의 화재발생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화재감지 센서부(160)에서 전송된 데이터는 메인제어부(400)에 의해 해당 구역과 해당 구역으로 이동되는 차량을 향하여 음향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지진 센서부(170)가 더 포함되고, 이 지진 센서부(170)는 터널 내부 및 터널 주변의 지진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지진 센서부(170)에서 전송된 데이터는 메인제어부(400)에 의해 이동하는 차량의 탑승자에게 지진에 대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한다.
또한 외부서버(600)와 메인통신부(410)가 더 포함된다.
외부서버(600)는 메인제어부(400)의 데이터를 저장하게 되고, 메인통신부(410)는 원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외부서버(600)로 메인제어부(400)의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물론, 메인통신부(410)는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고,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음이 당연하다.
그리고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를 이용한 터널 정보 방송 시스템에는 표시부(700)와 외부통신부(800)가 더 포함된다.
이 표시부(700)는 외부서버(600)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모니터와 전광판 등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표시부(700)인 모니터나 전광판 등을 통해 터널 및 그 주변의 상황을 터널 및 그 주변 도로 관리자와 차량 탑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함에 따라,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외부통신부(800)가 더 포함되어 외부서버(6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설정된 휴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시설 관계자와 해당 터널에 존재하는 사람들 및 터널을 통과하기 위해 이동하는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서비스 신청을 한 경우에 개인이 소지한 휴대기기 즉, 스마트폰 등으로 정보를 제공함이 당연하며, 개인 동의를 받지 않아도 정보를 제공해야되는 비상상태일 경우,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이 당연하다.
200 : 터널용 스피커 210 : 혼
211 : 출력공간부 212 : 일면부
214 : 타면부 216 : 측면부
220, 220', 220" : 출력조절수단 221, 221', 221" : 조절부
222, 222', 222" : 조절힌지 230 : 음향발생부
240 : 조절구동부 250 : 조절센서
260 : 조절제어부

Claims (12)

  1. 음향을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발생부;
    상기 음향발생부에서 발생된 음향을 확성시켜 출력하도록 내부에 출력공간부를 갖고, 일면부가 터널 측벽과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혼; 및
    상기 음향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상기 혼의 일면부 내측면에 반사되도록 출력방향으로 조절하는 출력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발생부에서 발생된 음향은 상기 출력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혼의 내측면으로 반사되도록 출력함에 따라, 반사된 음향이 출력공간부를 따라 확성되어 출력되며,
    음압감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음압감지부는 해당 터널용 스피커 주변의 음압을 측정하여 터널용 스피커의 출력 음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은,
    터널 측벽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일면부;
    상기 일면부와의 이격거리가 음향이 출력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타면부; 및
    상기 일면부와 타면부의 가장자리를 연결하여 내부에 음향 출력방향으로 개방된 출력공간부를 형성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면부는,
    직선 또는 굴곡진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조절수단은,
    상기 음향발생부가 설치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를 상기 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절힌지;를 포함하는 전달력이향상된 터널용 스피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조절수단은,
    상기 음향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음향의 출력방향을 조절하도록 상기 혼의 내부에 위치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를 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조절힌지;를 포함하는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조절수단은,
    상기 혼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을 반사시키기 위한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를 혼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조절힌지;를 포함하는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동부;가 더 포함되는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음파를 감지하기 위한 조절센서; 및
    상기 조절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절구동부를 제어함에 따라, 음향의 출력방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조절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용 스피커는,
    터널 측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되고, 회전시키기 위한 위치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터널용 스피커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기 위한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설치된 터널용 스피커를 회전시키기 위한 위치구동부;를 포함하는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용 스피커는,
    터널 양측 벽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증폭시키는 앰프; 및
    상기 앰프와 각 터널용 스피커를 제어하되, 해당 차량에 인접한 터널용 스피커를 기준으로, 진행방향을 따라 배열된 각 터널용 스피커들을 지연 출력시키는 메인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
KR1020160005009A 2016-01-14 2016-01-14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 KR101695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009A KR101695583B1 (ko) 2016-01-14 2016-01-14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009A KR101695583B1 (ko) 2016-01-14 2016-01-14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583B1 true KR101695583B1 (ko) 2017-01-11

Family

ID=57832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009A KR101695583B1 (ko) 2016-01-14 2016-01-14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842B1 (ko) * 2019-07-23 2020-02-19 (주)미디어디바이스 터널용 비상방송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0999A (ja) * 1992-10-22 1994-05-13 Oki Electric Ind Co Ltd コード励振線形予測復号化装置
JP2005518171A (ja) * 2002-02-14 2005-06-16 デュラン・オーディオ・ビーブイ アコースティック・トランスデュー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0999A (ja) * 1992-10-22 1994-05-13 Oki Electric Ind Co Ltd コード励振線形予測復号化装置
JP2005518171A (ja) * 2002-02-14 2005-06-16 デュラン・オーディオ・ビーブイ アコースティック・トランスデュー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842B1 (ko) * 2019-07-23 2020-02-19 (주)미디어디바이스 터널용 비상방송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453B1 (ko)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를 이용한 터널 정보 방송 시스템
US20200154220A1 (en) Vehicular sound processing system
KR102308945B1 (ko) 지향성 음향 출력용 스피커를 이용한 터널 정보 방송시스템
KR20130068679A (ko)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
US20030128850A1 (en) Loudspeaker broadcasting system and loudspeaker broadcasting apparatus
RU2007131549A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и ориентации для глухих
KR101698866B1 (ko) 자기 부상형 인공지능 카메라 장비
WO2019130789A1 (ja) 音源検知システム及び音源検知方法
US20100102957A1 (en) Monitoring Device With Network Connection and Security Component
JPH10162283A (ja) 道路状況監視装置
US20170195789A1 (en) Loudspeaker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049285A1 (ja) 検出装置および検出システム
KR101695583B1 (ko) 전달력이 향상된 터널용 스피커
JP5436256B2 (ja) 監視システム
KR101844181B1 (ko) 전달력이 향상된 도로용 스피커를 이용한 도로 정보 방송 시스템
US6114684A (en) Laser listening device detector
JP2005159446A (ja) 指向性音響システム
KR101326449B1 (ko) 버스정류장에서의 방송시스템
US200301361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noises and sounds in wheels, tires and bearings of a vehicle
JP2019144473A (ja) 騒音低減方法および騒音低減装置
KR101800863B1 (ko) 터널용 방송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
KR20160125763A (ko) 엘리베이터용 보안 및 감시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20015051A (ko) 선박 알람 방송 시스템 및 방법
Bolzmacher et al. Transforming car glass into microphones using piezoelectric transducers
JP4231353B2 (ja) 列車接近警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