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448B1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per container having inferior remova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per container having inferior remov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448B1
KR101695448B1 KR1020150077244A KR20150077244A KR101695448B1 KR 101695448 B1 KR101695448 B1 KR 101695448B1 KR 1020150077244 A KR1020150077244 A KR 1020150077244A KR 20150077244 A KR20150077244 A KR 20150077244A KR 101695448 B1 KR101695448 B1 KR 101695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efective
defective product
lifting rod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2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41497A (en
Inventor
김주현
Original Assignee
김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현 filed Critical 김주현
Priority to KR1020150077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448B1/en
Publication of KR20160141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4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4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7/00Making conical articles by winding
    • B31C7/02Forming truncated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11/00Machinery for winding combined with other machin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7/00Making conical articles by winding
    • B31C7/02Forming truncated cones
    • B31C7/04Forming truncated cones on two or more mandrels
    • B31C7/06Forming truncated cones on two or more mandrels and inserting into a cone end a bottom to form a container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턴테이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종이용기의 제조 과정에서 포장라인 이후에 설치하여 도중에 작동을 멈추었다 다시 가동될 때 열 공급이 중지되면서 접착 또는 성형불량으로 된 종이용기를 제거시키기 위해, 턴테이블(1) 상의 제조된 종이용기를 수용하는 홀더의 하부에서, 정상품이 배출되도록 밀어 올리는 정상품 밀어 올림부를 구비하는 정상품 배출부와 불량품이 제거되도록 밀어 올리는 불량품 밀어 올림부(61)를 구비하는 불량품 제거부(60)가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와 불량품 밀어 올림부(61)는, 연결부로 연결하여 일체로 이루어지되, 종이용기의 정상적인 제조 과정 중인 경우에는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와 불량품 밀어 올림부(61)가 일체로 승강하도록 작동하면서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정상품이 배출되게 밀어 올리고, 종이용기의 정상적인 제조 과정 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의 승강 작동을 해제시켜,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불량품이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에서 제거되도록 밀어 올려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품 제거부를 구비하는 종이용기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remove a paper container which has been adhered or formed in a defective state while the supply of heat is stopped when the paper container is manufactured again after being installed again after the packaging line in the course of manufacturing a turntable type paper container, And a defective product removing unit (61) including a fixed product discharging unit having a fixed product push-up unit for pushing up the fixed product so as to discharge the fixed product and a defective product push-up unit The normal product push-up portion and the defective product push-up portion 61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ng portion. In case of normal manufacture of the paper container, the normal product push-up portion and the defective product push- The push-up portion 61 is operated so as to integrally move up and down,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regular product lifting part is released so that the defective product received in the holder is pushed up so as to be removed from the defective product lifting part (61). And a defective part removing unit.

Description

불량품 제거부를 구비하는 종이용기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per container having inferior removal}[0001]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per container having inferior removal [

이 발명은 일회용 종이용기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용기의 정상적인 제조 과정 중에 작동을 멈추었다 다시 가동될 때 열 공급이 중지되면서 접착 또는 성형 불량으로 된 종이용기를 포장라인으로 배출하지 않고 제거시키는 불량품 제거부를 구비하는 종이용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isposable paper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per container which has been stopped during normal manufacturing of a paper container and is restarted, And removing the defective product without removing the defective product.

일반적으로 종이컵은, 커피, 차, 주스와 같은 각종 음료수를 자동으로 판매하는 자동판매기나 체인점, 패스트 푸드점과 같은 각종 영업장을 비롯하여 야외 활동 등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paper cups are widely used for outdoor activities such as various sales outlets such as automatic vending machines, chain stores and fast food shops that automatically sell various drinks such as coffee, tea and juice.

또한 종이컵과 유사한 형태로, 라면, 밥, 죽, 과자 등의 각종 식품류들을 포장하기 위한 일회용 종이용기도 여러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크기와 높이 등에서 차이가 날뿐 종이컵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Disposable paper containers for packaging various foods such as ramen, rice, porridge, and confectionery in a form similar to paper cups are also used in various forms, and they are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paper cups only in size and height.

이러한 종이컵을 비롯한 종이컵과 유사한 형태의 종이용기(이하 "종이용기"라 함)는 대부분 일회용이므로 대량 생산을 위해 자동화된 제조 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성형이 완료된 종이용기의 내부 오염상태나 각종 이물질 유무 또는 찢어지거나 찌그러진 상태 등의 불량을 판별하여 포장을 위한 배출라인으로부터 제거시키는 검사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Most of the paper contain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per containers") similar to paper cups including disposable paper cups are disposable, so an automated manufacturing apparatus is used for mass production. And an inspection device for discriminating a defect such 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reign matter or a torn or distorted state from the discharge line for packaging.

도 1은 종래 불량품 검사 장치를 구비하는 종이컵 제조기의 평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종이컵 제조기에서 제조되는 종이컵의 설명을 나타낸 것이다.FIG. 1 schematically shows a plan view of a paper cup making machine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defective product testing apparatus, and FIG. 2 shows a description of a paper cup produced in the paper cup making machine of FIG.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 개의 턴테이블(1)(2)(3)이 유기적으로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해 각각 회전 구동되고, 상기 제 1턴테이블(1)의 일 측에는 재단된 옆지의 소재(A')를 적층한 상태에서 하나씩 공급하여 둥글게 말아 원통형의 옆지(A)로 성형하도록 하는 옆지 성형부(10)가 설치되는데, 옆지 성형부(10)에서는 재단된 옆지가 하나씩 이송되는 과정에서 둥글게 말려서 열을 가한 상태로 가압됨으로써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제 1턴테이블(1)로 공급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three turntables 1, 2, and 3 are organically installed and rotationally driven by a control unit, and one side of the first turntable 1 is cut (10) for feeding the material (A ') in the side laminated state one by one and shaping it into a cylindrical side edge (A) by being rounded. In the side edge forming section (10) And is compressed into a cylindrical shape by supplying heat to the first turntable 1.

상기 제 1턴테이블(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 되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홀더(11)가 형성되어 옆지 성형부(10)로부터 공급되는 종이컵을 받아 회전구동 시킨다.The first turntable 1 has a plurality of holders 11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being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to receive and rotate the paper cup supplied from the side forming portion 10.

또한 상기 제 1턴테이블(1)의 일 측에는 밑지(B)를 재단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밑지 공급부(20)가 제 2턴테이블(2)이 제 1턴테이블(1)의 상부 위치에서 일부가 중첩되게 설치되는데, 회전구동 되도록 구성되면서도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밑지 홀더(21)가 설치된다.The first turntable 1 is provided at one side with a bottom feeder 20 for cutting and feeding the bottom B and the second turntable 2 is installed at a position above the first turntable 1 so as to be partially overlapped And a plurality of base holders 21 ar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즉, 종이컵의 밑받침구에 해당되는 밑지(B)를 제 2턴테이블(2) 상에서 원형으로 절단하여 성형한 후 제 1턴테이블(1)의 홀더(11)를 통해 공급되는 원통형의 옆지(A) 내부에 삽입 체결하게 된다.That is to say, the bottom B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paper cup is cut into a circular shape on the second turntable 2 and then formed into a cylindrical inside side A supplied through the holder 11 of the first turntable 1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제 1턴테이블(1)의 타 측에는 다른 형태의 제 3턴테이블(3)이 일부가 중첩되게 설치되어 회전구동 되는데, 제 3턴테이블(3) 상에는 원통형의 옆지(A)에 원판형의 밑지(B)를 완전히 접착 성형하도록 하는 밑지 고정부(30)와 종이컵의 상단부를 말아서 성형하도록 하는 컬링 성형부(40)가 설치된다.A third type of turntable 3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turntable 1 so as to be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third turntable 3. The third type of turntable 3 includes a cylindrical side surface A, B and the curling molding section 40 for shaping the upper end of the paper cup by rolling.

상기 제 3턴테이블(3)은, 원판체로 형성되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성형 홀더(31)가 제 1턴테이블(1)의 일부와 중첩되게 설치되고,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 위치에는 밑지 고정부(30) 및 컬링 성형부(40)가 설치된다.The third turntable 3 is formed as a disk and has a plurality of molding holders 31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overlap with a part of the first turntable 1 and is provided with a bottom fixing portion 30 and a curling forming part 40 are provided.

상기 밑지 고정부(30)에서는 원통형의 옆지(A)내에 밑지(B)가 삽입 체결된 상태로 제 1턴테이블(1)에서 제 3턴테이블(3)측으로 이송시킨 후, 옆지(A)의 밑부분을 가열함과 동시에 별도의 가압부재(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로 가압함으로써 일체로 접착형성하게 된다.The underside fixing part 30 is moved from the first turntable 1 to the third turntable 3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B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side surface A, (Not shown in the drawings) at the same time as it is heated and pressurized, thereby integrally bonding.

또한 상기 밑지 고정부(30)에서 밑지(B)가 접착 성형된 후에는 제 3턴테이블(3)의 회전력에 의해 반대 측 컬링 성형부(40)로 이송된 후, 컬링 몰드(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에 의해 열을 가하면서 가압하여 종이컵(C)의 상단부분을 원형으로 말아 성형시킴으로써 종이컵(C)의 성형이 완료된다.After the bottom B is adhered and formed by the bottom fixing portion 30, the curled mold is transferred to the opposite side curling forming portion 40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hird turntable 3, So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paper cup C is curled i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molding of the paper cup C is completed.

또한 상기와 같이 성형이 완료된 종이컵(C)은, 제 3턴테이블(3)로부터 제 1턴테이블(1)의 홀더(11)로 다시 이송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이송된 종이컵(C)은 불량 여부를 검사장치(400)으로 검사한 후 정상품 배출부(50)를 통해 외부의 포장라인으로 배출된다.The thus formed paper cup C is conveyed from the third turntable 3 back to the holder 11 of the first turntable 1 and the paper cup C conveyed in this manner is checked Is inspected by the device (400),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packaging line through the regular article discharge unit (50).

도 3은 도 1의 종이컵 제조기에서 제조된 정상품을 포장라인으로 배출하는 정상품 배출부 주변을 나타낸 것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vicinity of a stationary article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stationary commodity manufactured in the paper cup making machine of FIG. 1 to a packaging line.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상품 배출부(50)는, 제 1턴테이블(1)의 마지막 라인 상에 설치되면서 상부에는 성형 완료된 종이컵이 배출되는 배출관(53)이 형성되고, 배출관(53)의 하부에는 송풍팬(52)이 설치되어, 하부에서 밀핀(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이 정상품을 홀더로부터 밀어 올려 정상품 배출부(50)의 배출관(53)내로 밀어 넣게 되고, 이와 동시에 송풍팬(52)의 작동에 의한 강한 바람으로 성형된 종이컵을 배출관(53)을 통해 포장라인으로 송풍 배출하도록 구성된다.3, the stationary commodity discharging part 50 is installed on the last line of the first turntable 1, and a discharge tube 53 for discharging the formed paper cup is formed in the upper part, A blowing fan 52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50 and the main body is pushed up from the holder and pushed into the discharge pipe 53 of the regular product discharge part 50 at the lower part, And the paper cup formed by the strong wind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52 is blown out through the discharge pipe 53 to the packaging line.

이러한 일련의 작업공정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종이컵을 제조하며, 이 과정에서 성형이 완료된 종이컵 내부의 오염상태나 각종 이물질의 유무 또는 찢어지거나 찌그러진 상태 등의 불량품을 판별하여 배출라인으로부터 제거하여 불량품의 생산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종이컵 제조기에 일체형으로 검사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작동성 향상과 더불어 설치에 따른 공간성을 확보하고, 설치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한다.Such a series of work processes are automatically performed to manufacture a paper cup. In this process, defective products such as contaminated state of the formed paper cup, presence or absence of various foreign substances, or torn or squashed state are discriminated and removed from the discharge line, In order to prevent the production from occurring, the integrated test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paper cup maker to improve the operability, to secure the space for installation, and to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considerably.

그러나 상기의 검사 장치에서는 성형이 완료된 종이컵에 대해서만 검사 대상으로 하고 있어, 제조하는 도중에 작동을 멈추었다 다시 가동될 때에는 제 1턴테이블(1)의 일 측에 설치되는 옆지 성형부(10)에서 재단된 옆지를 둥글게 말아 열을 가한 상태로 가압하여 원통형으로 성형시키거나, 상기 제 3턴테이블(3)의 회전 방향을 따라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밑지 고정부(30)에서 옆지(A)의 밑부분을 열을 가함과 동시에 별도의 가압부재로서 가압함으로써 원통형의 옆지(A)에 원판형의 밑지(B)를 일체로 접착 형성하거나, 컬링 성형부(40)에서 열을 가하면서 가압하여 종이컵(C)의 상단부를 원형으로 말아서 성형할 때에 열 공급이 중지되면서 옆지(A)와 밑지(B) 그리고 상단부의 접착에 불량이 발생되지만, 이 경우에는 검사할 수 없었다.However, in the inspection apparatus described above, only the paper cups that have been formed have been subjected to the inspection, and the operation is stopped during the production. When the machine is restarted, the side of the first turntable (1) The bottom of the side A is heated by the bottom fixing part 30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hird turntable 3, The bottom side B of the circular plate is integrally formed by adhering integrally with the side face A of the cylindrical side by pressing as a separate pressing member at the same time when the paper cup C is pressed, The heat supply is stopped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side surface A and the bottom B and the upper end portion is defective. In this case, however, the inspection can not be performed.

따라서 발생된 불량품은 종이컵 제조기를 재가동하면서 작업 관리자가 직접 손으로 빼내어 제거하는 실정이지만, 제 1턴테이블(1)의 회전 속도가 빨라 미처 불량품을 배출시키지 못하거나 이 과정에서 손을 다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defective product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manager removes it by hand while restarting the paper cup making machine. However, 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turntable 1 is too fast to discharge the defective product or the hand is injured in the process .

특허 제1108612호(발명의 명칭 : 종이컵 제조기의 컵 검사장치)Patent No. 1108612 (the name of the invention: cup inspection apparatus of paper cup making machine)

이 발명은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턴테이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종이용기의 제조 과정에서 포장라인 이후에 설치하여 도중에 작동을 멈추었다 다시 가동될 때 열 공급이 중지되면서 접착 또는 성형불량으로 된 종이용기를 제거시키는 불량품 제거부를 구비하는 종이용기 제조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per container in which the paper container made of a turntable type is installed after the packaging line, And a defective article removing unit to remove the defective article.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이 발명은, 종이용기 제조 장치에 있어서, 턴테이블(1) 상의 제조된 종이용기를 수용하는 홀더의 하부에서, 정상품이 배출되도록 밀어 올리는 정상품 밀어 올림부를 구비하는 정상품 배출부와 불량품이 제거되도록 밀어 올리는 불량품 밀어 올림부(61)를 구비하는 불량품 제거부(60)가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와 불량품 밀어 올림부(61)는, 연결부로 연결하여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 단독 또는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와 일체로 승강하도록 작동하며, 상기 정상품 배출부와 불량품 제거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70)에 의해, 종이용기의 정상적인 제조 과정 중인 경우에는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와 불량품 밀어 올림부(61)가 일체로 승강하도록 작동하면서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정상품이 배출되게 밀어 올리고, 종이용기의 정상적인 제조 과정 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의 승강 작동을 해제시켜,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불량품이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에서 제거되도록 밀어 올려지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품 제거부를 구비하는 종이용기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per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holder for holding a paper container manufactured on the turntable; A defective product removing unit 60 having a product discharging unit and a defective product pushing up unit 61 for pushing up the defective product pushing member 60 to remove defective products are successively install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100. The normal product pushing up unit and the defective product pushing up unit 61 are connected The control unit 70 operates to raise or lower the defective product lifting unit 61 alone or in unison with the regular product lifting unit and controls the normal product discharging unit and the defective product removing unit 60 When the paper container is in the normal manufacturing process, the regular commodity push-up portion and the defective-member push-up portion 61 are integrally moved up and down,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regular product lifting part is released and the defective product received in the holder is pushed up so as to be removed from the defective product lifting part 61 And a defective article removing unit that controls the defective artic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51)는,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에 일 단이 고정 연결되는 연결부(52)의 타 단에 축을 중심으로 세우거나 눕히게 설치되는 올림 봉(51-1)과, 상기 올림 봉(51-1)을 세우거나 눕히게 회전 작동시키는 올림 봉 회전 작동부(5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종이용기의 정상적인 제조 과정 중인 경우에는 상기 올림 봉(51-1)의 상부가 세워지게 상기 올림 봉 회전 작동부(51-2)가 작동하여,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와 일체로 승강 작동을 하면서 상기 홀더의 정상품을 밀어 올려 배출시키고, 종이용기의 정상적인 제조 과정 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올림 봉(51-1)의 상부가 눕혀지게 상기 올림 봉 회전 작동부(51-2)가 작동하여,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가 단독으로 승강 작동을 하면서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불량품을 밀어 올려 제거시키게 제어할 수 있다.The fixed commodity push-up portion 51 may include a lifting rod 52 installed o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52 fixedly connected to the defective push-up portion 61, And a lifting rod turning operation part 51-2 for rotating the lifting rod 51-1 so as to raise or lower the lifting rod 51-1. The lifting rod turning operation portion 51-2 is operate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rod 51-1 is raised so that the lifting rod 51-1 is lifted and lowered integrally with the defective product lifting portion 61, The product is pushed up and discharged. When the product is not in the normal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aper container, the lifting rod turning operation portion 51-2 is operate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rod 51-1 is laid down, (61) is accommodated in the holder while performing the lifting operation alone It can be controlled thereby to push up and remove defectiv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51')는,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에 일 단이 고정 연결되는 연결부(52')의 타 단과 이격된 상태에서, 일 단이 고정된 탄성체의 타 단에, 하부를 체결시키면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올림 봉(51'-1)과, 상기 올림 봉(51'-1)을 상기 연결부(52')의 타 단에 밀착 유지 또는 해제시키는 올림 봉 밀착 작동부(5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종이용기의 정상적인 제조 과정 중인 경우에는 상기 올림 봉(51'-1)이 상기 연결부(52')의 타 단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상기 올림 봉 밀착 작동부(51'-2)가 작동하여,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와 일체로 승강 작동을 하면서 상기 홀더의 정상품을 밀어 올려 배출시키고, 종이용기의 정상적인 제조 과정 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올림 봉(51'-1)이 상기 연결부(52')의 타 단에 밀착 상태를 해제하여 접촉되지 않게 상기 올림 봉 밀착 작동부(51'-2)가 작동하여,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가 단독으로 승강 작동을 하면서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불량품을 밀어 올려 제거시키게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xed commodity push-up portion 51 'is separa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52', one end of which is fixedly connected to the defective push-up portion 61, A lifting rod 51'-1 vertically installed while the lower end thereof is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lifting rod 51'-1 and a lifting rod 51'-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lifting rod 51'-1 to move the lifting rod 51'-1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52 ' The lifting rod contact operating portion 51'-2 is operated so as to maintain the state of being closely contacted with the defective product push-up portion 61 so that the fixed product of the holder is lifted up and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defective product push- When the container is not in the normal manufacturing process, the lifting rod 51'-1 is mov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52 ' The lifting rod contact operation portion 51'-2 is operated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lifting rod lifting portion 61 so that the defective product lifting portion 61 alone lifts and removes the defective product accommodated in the holder Can be controlled.

상기의 구성을 갖는 이 발명의 불량품 제거부를 구비하는 종이용기 제조장치에 의하면, 턴테이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포장라인의 다음 위치에 간단한 구성을 추가하여 제조 도중에 작동을 멈추었다 다시 가동될 때 열 공급이 중지되면서 접착 또는 성형 불량된 종이 용기를 정상적으로 접착 성형될 때까지 배출시키게 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완제품에 불량품이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aper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defective product removing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imple construction is added to the next position of the turntable packaging line to stop the operation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the defective paper container is discharged until it is normally adhered and molded, thereby ensuring safety of the operator at a low cost and preventing defective products from being included in the finished product.

도 1은 종래 불량품 검사 장치를 구비하는 종이컵 제조기의 평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종이컵 제조기에서 제조되는 종이컵의 설명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1의 종이컵 제조기에서 제조된 정상품을 포장라인으로 배출하는 정상품 배출부 주변을 나타낸 것이고,
도 4a 및 도 4b는 이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불량품 제거부를 구비하는 종이용기 제조장치에서 정상품의 배출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이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불량품 제거부를 구비하는 종이용기 제조장치에서 불량품의 배출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6a 및 도 6b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불량품 제거부를 구비하는 종이용기 제조장치에서 정상품의 배출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이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불량품 제거부를 구비하는 종이용기 제조장치에서 불량품의 배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Fig. 1 schematically shows a planar configuration of a paper cup producing machine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defective product testing apparatus,
Fig. 2 shows a description of a paper cup produced in the paper cup making machine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the vicinity of a stationary article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stationary commodity manufactured in the paper cup making machine of Fig. 1 to a packaging line,
FIGS. 4A and 4B illustrate a process of discharging a fixed product in a paper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rejec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to 5C illustrate a process of discharging a defective product in a paper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defective product remo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illustrate a process of discharging a fixed product in a paper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rejec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to 7C show a process of discharging a defective product in a paper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defective product remo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이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이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사용되는 전후, 좌우, 상하, 내외와 같은 상대적인 위치를 정의하는 용어는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Terms used to define relative positions such as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top and bottom, and inside and outside are based on the attached drawings.

도 4a 및 도 4b는 이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불량품 제거부를 구비하는 종이용기 제조장치에서 정상품의 배출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이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불량품 제거부를 구비하는 종이용기 제조장치에서 불량품의 배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FIGS. 4A and 4B illustrate a process of discharging a static product in a paper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defective product remo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to 5C are views showing a defective product remo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process of discharging a defective product in the provide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per containers.

이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불량품 제거부를 구비하는 종이용기 제조장치는, 턴테이블(1) 상의 제조된 종이용기를 수용하는 홀더(11)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종이용기 제조장치에서, 정상품이 배출되도록 밀어 올리는 정상품 밀어 올림부(51)를 구비하는 정상품 배출부(50)와 불량품이 제거되도록 밀어 올리는 불량품 밀어 올림부(61)를 구비하는 불량품 제거부(60)가 상기 턴테이블(1) 회전방향을 따라 앞과 뒤의 차례로 상기 홀더(11)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정상품 배출부(50)와 불량품 제거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한다.A paper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rejec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er 11 for receiving a paper container manufactured on the turntable 1 so that the regular product is discharged A defective article removing unit 60 including a fixed article discharge unit 50 having a fixed article push-up unit 51 to be pushed up and a defective article push-up unit 61 to be pushed up to remove a defective article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turntable 1 And a control unit 70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11 in the order of front and rear along the direction of the fixed goods discharging unit 50 and the defective product removing unit 60.

상기 정상품 배출부(50)는, 프레임(80) 상에 설치되고, 턴테이블 홀더(11)에 끼워진 정상품이 배출되도록 밀어 올리는 정상품 밀어 올림부(51)와,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51)에서 밀어 올려진 정상품을 송풍에 의해 외부의 포장라인으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관(53)을 구비한다.The stationary commodity discharging portion 50 includes a stationary commodity pushing up portion 51 which is installed on the frame 80 and pushes up the regular commodity fitted to the turntable holder 11 to be discharged, 51 for discharging the pushed up product to the outside packaging line by blowing air.

이러한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51)는, 올림 봉(51-1)과 올림 봉 회전 작동부(51-2)를 포함하고, 정상품을 제 1턴테이블(1)이 일 클릭만큼 회전하였다가 멈추어 설 때마다 외부의 포장라인으로 배출시킨다.The fixed commodity push-up portion 51 includes a lifting rod 51-1 and a lifting rod turning operation portion 51-2. The fixed commodity is rotated by one click of the first turntable 1 Whenever it stops, discharge it to the outside packing line.

상기 올림 봉(51-1)은,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에 일 단이 고정 연결되는 연결부(52)의 타 단에 축을 중심으로 세우거나 눕히게 설치된다.The lifting rod 51-1 is installed o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52 fixedly connected at one end to the defective product lifting part 61 so as to be erected or laid around the shaft.

상기 올림 봉 회전 작동부(51-2)는, 진퇴 작동을 하는 진퇴 작동부로서,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을 상기 올림 봉에 전달하는 진퇴 작동 전달부로서, 예를 들어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올림 봉(51-1)의 하부에 상기 와이어를 연결하여, 상기 올림 봉(51-1)을 세우거나 눕히게 회전 작동시킨다.The lifting rod turning operation portion 51-2 is a forward / backward operation portion that performs a forward / backward operation, for example, a solenoid valve and a forward / backward operation transmitting portion that transmits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to the lifting rod, And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olenoid valve and the lifting rod 51-1 so as to rotate the lifting rod 51-1 so as to stand up or lay down.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프레임(80) 상의 일 측에 설치되어 진퇴 작동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는 예를 들어 자전거 브레이크 와이어와 같은 형태로 종이컵 제조장치의 다양한 구조나 공간 특성에 맞도록 절곡된 형태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올림 봉(51-1)은 작동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적당한 위치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Here, the solenoid valve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80 so as to be moved back and forth. The wire may be bent and bent in accordance with various structures or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aper cup manufacturing apparatus, for example, It can also be installed in a form. Further, the lifting rod 51-1 may be provided with a resilient member such as a spring at an appropriate position to maintain the operating state.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진퇴 작동에 따라 연결된 와이어에 의해 올림 봉(51-1)이 축을 중심으로 상측을 향해 세워지거나 수평 또는 경사지게 눕혀지면서 정상품 배출 또는 불량품을 제거 회수할 수 있게 한다.As the solenoid valve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the lifting rod 51-1 is lifted upward or downward or horizontally by the wire connected to the lifting rod 51-1.

상기 불량품 제거부(60)는, 상기 정상품 배출부(50)의 배출관(53)을 통해 정상품이 배출되는 배출라인 직후 단계에 위치하게 프레임(8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1턴테이블(1)의 정상품 배출부(50)가 위치하는 홀더(11)에 끼워진 종이컵이 불량품인 경우에 이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 배출시키지 않고 그대로 통과되게 한 상태에서 불량품이 제거되도록 밀어 올리는 불량품 밀어 올림부(61)와, 불량품 회수함(62)을 구비한다.The defective article removing unit 60 is installed on the frame 80 at a stage immediately after the discharge line through which the static produc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53 of the static product discharging unit 50 and the first turntable When the paper cup sandwiched by the holder 11 in which the stationary product discharging portion 50 of the stationary product discharging portion 50 is located is a defective product, the defective product pushing portion is pushed upward so as to be passed without being discharged, 61), and a defective product collection box (62).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는, 상기 홀더(11)의 하부에서, 승강 구동부(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의 승강 구동에 의해 승강 작동을 하는데, 상기 연결부(52)에 의해 연결된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51)와 일체로 이루어지되, 단독 또는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51)와 일체로 승강 작동하게 제어된다.The defective product lifting portion 61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drive of the lifting drive portion (not shown)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1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ationary member (51), and is controlled to be raised or lowered alone or integrally with the stationary product lifting portion (51).

또한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에서 제거되는 불량품은, 홀더 상측에 설치되는 불량품 회수함(62)을 통해 회수하게 된다.Also, the defective product removed from the defective product push-up portion 61 is recovered through the defective product recovery box 62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여기서 상기 불량품 회수함(62)은, 하단이 개방된 사각 관체 또는 원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돌출 걸림부를 두어 홀더로부터 밀어 올려진 불량품이 걸리면서 다수 포개지는 상태로 회수되게 구성할 수 있다.The defective product collection box 62 may be formed of a rectangular tube or cylinder having a lower end opened,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defective products pushed up from the holder are collected while being provided with a protruding engagement portion.

상기 제어부(70)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이컵을 정상적으로 제조하는 도중에는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51)와 불량품 밀어 올림부(61)가 일체로 승강하면서 정상품을 배출하게 제어하며, 종이용기를 제조하는 도중에 작동을 멈추었다 다시 가동되는 경우, 열 공급이 중지되면서 발생하는 접착 또는 성형 불량품이 정상품 배출부(50)를 통해 외부의 포장라인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51)의 승강 작동을 해제시켜 정상품으로의 배출을 막고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 단독으로 승강 작동시키면서 제거하게 제어한다.4A and 4B, during the normal manufacture of the paper cup, the control section 70 causes the regular commodity push-up section 51 and the defective commodity push-up section 61 to integrally move up and down to discharge the fixed commodity When the operation is stopped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paper container and the operation is restar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hering or forming defective product, which is generated when the heat supply is stopp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packing line through the fixed product discharge portion 50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portion 51 is canceled to prevent the discharge to the regular product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defective product lifting portion 61 is controlled to be lifted and lowered.

따라서 이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는, 제 1턴테이블(1)에 정상품을 외부 포장을 위해 배출하는 배출관(53)이 연결되는 배출라인과 불량품으로 제거되는 불량품 제거라인이 턴테이블(1)의 회전방향을 따라 앞과 뒤의 차례로 설치된다.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line to which the discharge pipe 53 for discharging the regular product to the outer package is connected to the first turntable 1, and the defective product removal line to be removed by the defective product are disposed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urntable 1 In the order of front and back.

그리고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종이용기의 정상적인 제조 과정 중인 경우에는, 상기 올림 봉(51-1)의 상부가 세워지게 상기 올림 봉 회전 작동부(51-2)가 작동하여,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와 일체로 승강 작동을 하면서 상기 홀더(11)의 정상품을 밀어 올려 배출관(53)을 통해 포장라인으로 배출시킨다.Th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 when the paper container is in the normal manufacturing process, the lifting rod turning operation part 51-2 is operated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rod 51-1 is raised, The fixed product of the holder 11 is pushed up and discharged to the packaging line through the discharge pipe 53 while being lifted and lowered integrally with the push-up portion 61.

또한 종이용기의 정상적인 제조 과정 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상기 올림 봉(51-1)의 상부가 눕혀지게 상기 올림 봉 회전 작동부(51-2)가 작동하여,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가 단독으로 승강 작동을 하면서 상기 홀더(11)에 수용되는 불량품을 밀어 올려 불량품 회수함(62)에 수거 후 제거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paper container is not in the normal manufacturing process, the control unit 70 operates the lifting rod turning operation unit 51-2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rod 51-1 is laid down, The lifting portion 61 alone lifts and moves the rejects received in the holder 11 while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is performed,

상기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제조 과정에서 종이컵의 성형이 이루어지면, 제 3턴테이블(3)의 홀더에서 제 1턴테이블(1) 측의 홀더(11)로 이송됨과 동시에, 제 1턴테이블(1)은 한 피치 회전되어 정상품의 종이컵을 정상품 배출부(50)에 이송시키게 된다.First, when the paper cup is form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paper is fed from the holder of the third turntable 3 to the holder 11 of the first turntable 1,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turntable 1 is rotated by one pitch, And the paper cup of the product is transferred to the fixed product discharge unit 50.

상기 정상품 배출부(50)에 이송되어 상기 홀더(11)에 끼워진 종이컵이 정상적으로 제조된 경우에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51)에서는 상기 올림 봉 회전 작동부(51-2)의 작동으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서의 전진 작동으로 상기 와이어를 통해, 상기 올림 봉(51-1)의 하부가 밀리게 한다.4A and 4B, when the paper cup inserted into the holder 11 is transferred to the regular article discharging portion 50 and is normally manufactured, the control portion 70 controls the regular goods push- In the portion 51,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rod turning operation portion 51-2,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rod 51-1 is pushed through the wire by forward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그러면 상기 올림 봉(51-1)은, 상기 연결부(52)의 타단에 형성된 축을 중심으로 상부가 상측을 향해 세워져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와 승강 작동을 일체로 하면서 홀더(11)에 수용되어 있는 정상품을 밀어 올린다.The upper end of the lifting rod 51-1 is upwardly raised with respect to the ax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52 so as to be received in the holder 11 in unison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defective product lifting portion 61 And push up the regular product that has become.

상기 올림 봉(51-1)에 의해 밀어 올려진 정상품은, 상기 홀더(11)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관(53)의 외측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공기 유입구에 송풍팬(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의 바람이 공급되므로 배출관(53)의 내부에는 공기가 상측으로 흐르는 상승기류가 형성되면서 배출관(53)을 통해 외부의 포장라인으로 안정되게 배출된다.The fixed article pushed up by the lifting rod 51-1 is guided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pipe 53 provided above the holder 11 by an air blowing fan Since the wind is supplied, an upward flow of air flows upward in the discharge pipe (53), and is discharged stably to the external packaging line through the discharge pipe (53).

한편 상기 정상품 배출부(50)에 이송되어 상기 홀더(11)에 수용된 종이컵이 정상적으로 제조되지 않은 경우로, 예를 들어 제조 도중에 작동을 멈추었다 다시 정상적으로 종이용기를 제조할 때 성형을 위한 열의 공급이 중단됨으로써 작동을 멈춘 당시에 가열 또는 성형 중이었던 종이컵을 불량품으로 간주하여 정상품과 달리 배출라인에서 배출시키지 않고 이를 통과하여 제거될 수 있도록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51)에서는 상기 올림 봉 회전 작동부(51-2)의 작동으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서의 후진 작동으로 상기 와이어를 통해, 상기 올림 봉(51-1)의 하부가 당겨지게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per cup received in the fixed article discharge unit 50 and stored in the holder 11 is not normally manufactured,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is stopped during manufacture and the paper container is normally manufactured again,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control unit 70 so that the paper cup, which was being heated or molded at the time of stopping the operation, is regarded as a defective product and can be remov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line unlike the regular product. 51 causes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rod 51-1 to be pulled through the wire by the backward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rod turning operation portion 51-2.

그러면 상기 올림 봉(51-1)은, 상기 연결부(52)의 타단에 형성된 축을 중심으로 상부가 바닥 쪽으로 눕혀져 홀더(11)에 끼워진 불량품의 배출을 할 수 없는 상태를 유지한다.Then, the lifting rod 51-1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rod 51-1 is laid on the bottom side with respect to the shaf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52, and the defective product fitted to the holder 11 can not be discharged.

이로부터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51)의 올림 봉(51-1)이 상승하더라도 수평 또는 경사지게 눕혀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홀더(11)에 끼워져 있는 불량품을 밀어 올려주지 못하게 되어, 제 1턴테이블(1)이 일 클릭만큼 회전하였다가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에 멈추어 서게 되고, 이어서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가 상승하면서 홀더(11)에 끼워져 있는 불량품을 밀어 올려주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lifting rod 51-1 of the fixed commodity lifting part 51 is lifted up, the lifting rod 51-1 is held in a horizontal or inclined lying state, so that the defective product fitted in the holder 11 can not be pushed up, and the first turntable 1 is rotated by one click to stop at the defective product push-up part 61, and then the defective product push-up part 61 rises to push up the defective product fitted in the holder 11.

이 과정에서 제거되는 불량품은, 상기 불량품 회수함(69)에서 회수되며, 상기와 같이 불량품의 제거가 완료되면 정상적으로 제조된 정상품이 포장라인으로 배출되는 과정이 진행된다.The defective product removed in this process is recovered in the defective product recovery box 69. When the defective product is removed as described above, the normally manufactured product is discharged to the packaging line.

도 6a 및 도 6b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불량품 제거부를 구비하는 종이용기 제조장치에서 정상품의 배출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이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불량품 제거부를 구비하는 종이용기 제조장치에서 불량품의 배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FIGS. 6A and 6B illustrate a process of discharging a static product in a paper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defective product remov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to 7C show a defective product remo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process of discharging a defective product in the provide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per containers.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불량품 제거부를 구비하는 종이용기 제조장치는, 도 6a 내지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불량품 제거부를 구비하는 종이용기 제조장치와 동일하고, 다만 상기 정상품 배출부(50')를 구성하는 정상품 밀어 올림부(51')에 차이가 있는 바, 이하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6A to 7C are the same as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paper container having the defective article remo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gular commodity push-up portions 51 'constituting the regular commodity discharging portion 50'. Hereinafter, this difference will be mainly described.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51')는,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에 일 단이 연결되는 연결부(52')의 타 단과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에서, 일 단이 고정된 탄성체로서 예를 들어 스프링의 타 단에 하부를 체결시키면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올림 봉(51'-1)을 구비한다.The fixed commodity push-up portion 51 'is an elastic body fixed at one end in a state of being finely spaced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52' connected at one end to the defective push-up portion 61, And a lifting rod 51'-1 vertically installed on the other end of the spring while fastening a lower portion thereof.

그리고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51')는, 진퇴 작동을 하는 진퇴 작동부로서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을 상기 올림 봉에 전달하는 진퇴 작동 전달부로서 예를 들어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진 작동을 전달받아 상기 올림 봉(51'-1)을 연결부(52')의 타 단에 밀착시키는 밀착대로 구성되는 올림 봉 밀착 작동부(51'-2)를 구비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밀착대에 상기 와이어를 연결하여, 상기 올림 봉(51'-1)을 연결부(52')와 밀착 상태의 유지 또는 해제 작동시킨다.The fixed product lifting portion 51 'is a forward / rearward movement operation portion that performs a forward / backward movement operation, for example, a solenoid valve and a forward / backward operation transmission portion that transmits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to the lifting rod, , A lifting rod contact operation part 51'-2 configured to closely contact the lifting rod 51'-1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52 'by receiving the advanc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on the wire, , And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and the close contact so that the raise rod 51'-1 is kept in close contact with or released from the connection part 52 '.

이로부터 정상품으로 제조된 경우에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올림 봉 밀착 작동부(51'-2)를 구성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서의 전진 작동으로 와이어와 밀착대를 통해 상기 올림 봉(51'-1)이 상기 연결부(62')의 타 단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올림 봉(51'-1)이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와 일체로 승강 작동을 하면서 정상품을 밀어 올려 배출시킨다.6 (a) and 6 (b), when the solenoid valve constituting the lifting rod contact operating portion 51'-2 is advanc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0 The lifting rod 51'-1 is kept in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rod 5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62 'through the wire and the contact bar so that the lifting rod 51'- ), While pushing up and lifting the fixed goods.

여기서 상기 올림 봉(52'-1)은, 타 단에 하부를 체결시키는 스프링에 의해 미세하게 이동하면서 연결부(52')의 타 단과의 밀착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lifting rod 52'-1 is finely moved by the spring that engages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rod 52'-1, thereby facilitating the close operation of the lifting rod 52'-1 wit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52 '.

그리고 불량품이 발생된 경우에는, 도 7a 내지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후진 작동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올림 봉(52'-1)이 상기 연결부(52')와 접촉되지 않아 상부가 상승하지 않으면서 홀더(11)에 끼워진 불량품의 배출을 할 수 없게 하여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에서 불량품을 밀어 올려 제거시킨다.7A to 7C, the solenoid valve is kept in the reverse operation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 so that the lifting rod 52'-1 is moved to the connection portion 52 'So that the upper part does not rise and the defective product fitted in the holder 11 can not be discharged, and the defective product is pushed up by the defective product push-up part 61 to be removed.

이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는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도 이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 : 옆지 B : 밑지
C : 종이컵 1 : 제 1턴테이블
2 : 제 2턴테이블 3 : 제 3턴테이블
10 : 옆지 성형부 11 : 홀더
20 : 밑지 공급부 21 : 밑지 홀더
30 : 밑지 고정부 40 : 컬링 성형부
50 : 정상품 배출부 51 : 정상품 밀어 올림부
51-1 : 올림 봉 51-2 : 올림 봉 회전 작동부
52 : 연결부 53, 53' : 배출관
50' : 정상품 배출부 51' : 정상품 밀어 올림부
51'-1 : 올림 봉 51'-2 : 올림 봉 밀착 작동부
52' : 연결부 60 : 불량품 제거부
61 : 불량품 밀어 올림부 62 : 불량품 회수함
70 : 제어부 80 : 프레임
A: Side B: Bottom
C: Paper cup 1: 1st turntable
2: 2nd turntable 3: 3rd turntable
10: side molding part 11: holder
20: a sole feeder 21: a sole holder
30: a bottom fixing part 40: a curling forming part
50: Fixed goods discharge part 51: Fixed goods push-up part
51-1: Raising rod 51-2: Raising rod turning operation part
52: connection part 53, 53 ': discharge pipe
50 ': Fixed goods discharge part 51': Fixed goods push-up part
51'-1: Raising rod 51'-2: Raising rod contact operation part
52 ': connection part 60: defective product removal
61: defective product push-up part 62: defective product withdrawal box
70: control unit 80: frame

Claims (3)

종이용기 제조장치에 있어서,
턴테이블(1) 상의 제조된 종이용기를 수용하는 홀더의 하부에서, 정상품이 배출되도록 밀어 올리는 정상품 밀어 올림부를 구비하는 정상품 배출부와 불량품이 제거되도록 밀어 올리는 불량품 밀어 올림부(61)를 구비하는 불량품 제거부(60)가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와 불량품 밀어 올림부(61)는, 연결부로 연결하여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 단독 또는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와 일체로 승강하도록 작동하며,
상기 정상품 배출부와 불량품 제거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70)에 의해, 종이용기의 정상적인 제조 과정 중인 경우에는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와 불량품 밀어 올림부(61)가 일체로 승강하도록 작동하면서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정상품이 배출되게 밀어 올리고, 종이용기의 정상적인 제조 과정 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의 승강 작동을 해제시켜,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불량품이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에서 제거되도록 밀어 올려지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품 제거부를 구비하는 종이용기 제조 장치.
In a paper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er for accommodating the manufactured paper container on the turntable 1, there are provided a regular article discharging portion having a regular commodity pushing up portion for pushing up the regular commodity to be discharged, and a defective commodity pushing up portion 61 for pushing up the defective commodity to be removed And a defective article removing unit 60 provided in that order,
The defective product push-up portion 61 and the defective product push-up portion 61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ng portion. The defective product push-up portion 61 is operated solely or integrally with the fixed product push-up portion,
When the paper container is normally being manufactured,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static product discharging unit and the defective product removing unit 60 so that the static product push-up unit and the defective product push-up unit 61 are integrally moved up and down When the paper product is not in the normal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aper container,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fixed product lifting unit is released, and the defective product received in the holder is returned to the defective product lifting unit 61) so as to be pushed up to be remov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51)는,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에 일 단이 고정 연결되는 연결부(52)의 타 단에 축을 중심으로 세우거나 눕히게 설치되는 올림 봉(51-1)과, 상기 올림 봉(51-1)을 세우거나 눕히게 회전 작동시키는 올림 봉 회전 작동부(5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종이용기의 정상적인 제조 과정 중인 경우에는 상기 올림 봉(51-1)의 상부가 세워지게 상기 올림 봉 회전 작동부(51-2)가 작동하여,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와 일체로 승강 작동을 하면서 상기 홀더의 정상품을 밀어 올려 배출시키고, 종이용기의 정상적인 제조 과정 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올림 봉(51-1)의 상부가 눕혀지게 상기 올림 봉 회전 작동부(51-2)가 작동하여,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가 단독으로 승강 작동을 하면서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불량품을 밀어 올려 제거시키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품 제거부를 구비하는 종이용기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tic product lifting part 51 includes a lifting rod 51-1 installed o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52 fixedly connected to the defective product lifting part 61 at one end thereof, And a lifting rod turning operation part (51-2) for rotating the lifting rod (51-1) so as to raise or lower it,
When the paper container is being normally manufactured, the control unit 70 operates the lifting rod turning operation unit 51-2 so as to raise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rod 51-1,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rod 51-1 is laid down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rod 51-1 is laid down when the paper is not in the normal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aper container, (51-2) is operated to control the defective product push-up part (61) to lift and remove the defective product contained in the holder while performing the up-and-down operation alone.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품 밀어 올림부(51')는,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에 일 단이 고정 연결되는 연결부(52')의 타 단과 이격된 상태에서, 일 단이 고정된 탄성체의 타 단에, 하부를 체결시키면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올림 봉(51'-1)과, 상기 올림 봉(51'-1)을 상기 연결부(52')의 타 단에 밀착 유지 또는 해제시키는 올림 봉 밀착 작동부(5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종이용기의 정상적인 제조 과정 중인 경우에는 상기 올림 봉(51'-1)이 상기 연결부(52')의 타 단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상기 올림 봉 밀착 작동부(51'-2)가 작동하여,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와 일체로 승강 작동을 하면서 상기 홀더의 정상품을 밀어 올려 배출시키고, 종이용기의 정상적인 제조 과정 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올림 봉(51'-1)이 상기 연결부(52')의 타 단에 밀착 상태를 해제하여 접촉되지 않게 상기 올림 봉 밀착 작동부(51'-2)가 작동하여, 상기 불량품 밀어 올림부(61)가 단독으로 승강 작동을 하면서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불량품을 밀어 올려 제거시키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품 제거부를 구비하는 종이용기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product lifting portion 51 'is separa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52' fixedly connected to the defective product lifting portion 61 at one end thereof,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product lifting portion 51 ' , A lifting rod 51'-1 vertically installed with the lower portion thereof being fastened, and a lifting rod contact operating portion 51'- 1 for closely holding or releasing the lifting rod 51'-1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52 '51'-2)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lifting rod contact operation unit (not shown)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lifting rod 5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unit 52 '51'-2) are operated to lift up and discharge the fixed product of the holder while elevating and lowering operation integrally with the defective product push-up part 61, and if the product is not in the normal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aper container, 2 is operated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52 'by releasing the contact state of the defective product push-up part 61' And the defective article received in the holder is pushed up and removed while the elevating operation is performed.
KR1020150077244A 2015-06-01 2015-06-01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per container having inferior removal KR1016954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244A KR101695448B1 (en) 2015-06-01 2015-06-01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per container having inferior remov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244A KR101695448B1 (en) 2015-06-01 2015-06-01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per container having inferior remov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497A KR20160141497A (en) 2016-12-09
KR101695448B1 true KR101695448B1 (en) 2017-01-11

Family

ID=5757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244A KR101695448B1 (en) 2015-06-01 2015-06-01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per container having inferior remov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448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612B1 (en) * 2009-05-25 2012-02-06 김윤식 a paper cup manufacture machine of a tes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497A (en) 2016-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31991B (en) Method for automatic cup falling and capping of beverage vending machine
US9174832B2 (en) Capping apparatus and capping system for bottle filling device
US20220061581A1 (en) Single-serve packaging, and machine and method for preparing a brewed beverage
CN104741326B (en) Fully automatic SMD LED disc-type spectrophotome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108612B1 (en) a paper cup manufacture machine of a test apparatus
KR101695448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per container having inferior removal
AU2004220125B2 (en) Method of securing a lining bag at precise locations on the inner surface of a container blank and container with lining bag
US7464804B2 (en) Automatic pallet loader system and method
KR101526458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per container having inferior removal
KR101262694B1 (en) Laver cutting machine
CN219162765U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cosmetics
KR101337310B1 (en) Paper cup edge curling device
EP2504821B1 (en) A cup feeding unit in a beverage vending machine
CN113399280A (en) Milk tea cup conveying and detecting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EP2565853B1 (en) Vending apparatus for dispensing beverages in cups
CN207115564U (en) The shelving material road structur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CN219728639U (en) Fruit feeding and discharging equipment
CN215613271U (en) Milk tea cup conveying and detecting device
KR950007085Y1 (en) Device for discharging paper cup used i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per cup
KR101638360B1 (en) Multi Vending lift
JP4146597B2 (en) Cup-type beverage vending machine
KR101521286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skewer
US20240032723A1 (en) System for dispensing individual portions of beverages precursor
KR102646389B1 (en) Apparatus for maunfacturing paper lid
KR20160126233A (en) Device for cutting tag of tea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