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387B1 -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387B1
KR101695387B1 KR1020160080300A KR20160080300A KR101695387B1 KR 101695387 B1 KR101695387 B1 KR 101695387B1 KR 1020160080300 A KR1020160080300 A KR 1020160080300A KR 20160080300 A KR20160080300 A KR 20160080300A KR 101695387 B1 KR101695387 B1 KR 101695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chat
play screen
window
game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도선
손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게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게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게임
Priority to KR1020160080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3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 A63F13/327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Wi-Fi® or pico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63F13/87Communicating with other players during game play, e.g. by e-mail or ch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게임 플레이 중, 게임 유저가 채팅창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하여, 게임 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다른 유저와 채팅을 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유저 단말기(100)에 상기 모바일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서버(200), 상기 유저 단말기(100)에서 상기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도중,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지원하는 채팅서버(300), 및 상기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도중, 상기 게임 유저가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을 원할 때 상기 채팅창을 터치하면, 상기 채팅창을 활성화시켜 확대시키고, 동시에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은 축소시켜, 상기 게임 유저가 게임 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다른 유저와 채팅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상기 채팅창은 하나의 윈도우 내에 구현되고, 상기 채팅창이 활성화되어 확대될 때,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은 상기 채팅창이 확대된 만큼 축소되며,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이 확대될 때, 상기 채팅창은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이 확대된 만큼 축소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채팅창이 하나의 윈도우 내에 구현된 모바일 게임 플레이 중, 게임 유저가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을 원할 때 터치 또는 드래그 방식을 통해 채팅창을 확대시키고, 동시에 게임 플레이 화면을 축소시킬 수 있음으로써, 게임 유저가 게임 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다른 유저와 채팅을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유저가 터치 또는 드래그 방식을 통해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채팅창의 배열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음으로써, 게임 유저가 본인이 원하는 환경에서 게임 및 채팅을 즐길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CHATTING SERVICE SYSTEM PROVIDING CHATTING SERVICE AMONG MOBILE GAME USERS}
본 발명은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채팅창이 하나의 윈도우에 구현된 모바일 게임 플레이 중, 게임 유저가 채팅창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하여 게임 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다른 게임 유저들과 채팅을 할 수 있는,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제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음성통화, 문자서비스, 인터넷 서비스 뿐만 아니라 종래에 PC에서만 즐기던 게임들을 스마트폰에서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스마트폰의 사양이 급격히 향상됨에 따라, 스마트폰으로 즐길 수 있는 모바일 게임의 종류 또한 다양해졌고, 그와 더불어 모바일 게임 유저들도 증가했다.
한편, 많은 게임 유저들이 이용하는 모바일 게임들 중에는 원활한 게임 진행을 위해 유저들 간에 소통이 필요한 게임들이 있는데, 현재 모바일 게임에서의 채팅창은 전체 게임 플레이 화면 중에 일부 작은 입력창 정도로만 구성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유저들이 채팅창을 이용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유저에 따라 일부 외부의 채팅앱을 구동하여 화면 전환이나 윈도우 이동을 통해 다른 유저들과 채팅을 진행하면서 일부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는 있었으나, 이런 경우, 채팅을 하는 동안에는 게임 플레이 화면을 볼 수 없었기 때문에, 게임과의 일체성을 갖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게임 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채팅을 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단말기 또는 운영체계에서 멀티윈도우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실제로, 현재 몇몇 스마트폰 단말기의 기능 중에 멀티윈도우 기능이 있지만,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게임이나 어플리케이션 등이 거의 없고, 사용이 매우 불편해서 유저들이 대부분 그 기능을 모르거나 사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 게임 중 제공되는 채팅 서비스와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10-2010-0115867호(발명의 명칭: 채팅기능을 갖춘 온라인 게임의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공개일자: 2010년 10월 29일), 공개특허 제10-2013-0096508호(발명의 명칭: 채팅창을 통해 게임 아이템 거래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공개일자: 2013년 08월 30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채팅창이 하나의 윈도우 내에 구현된 모바일 게임 플레이 중, 게임 유저가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을 원할 때 터치 또는 드래그 방식을 통해 채팅창을 확대시키고, 동시에 게임 플레이 화면을 축소시킬 수 있음으로써, 게임 유저가 게임 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다른 유저와 채팅을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유저가 터치 또는 드래그 방식을 통해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채팅창의 배열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음으로써, 게임 유저가 본인이 원하는 환경에서 게임 및 채팅을 즐길 수 있는,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은,
모바일 게임 플레이 중, 게임 유저가 채팅창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하여, 게임 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다른 유저와 채팅을 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유저 단말기에 상기 모바일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서버;
상기 유저 단말기에서 상기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도중,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지원하는 채팅서버; 및
상기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도중, 상기 게임 유저가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을 원할 때 상기 채팅창을 터치하면, 상기 채팅창을 활성화시켜 확대시키고, 동시에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은 축소시켜, 상기 게임 유저가 게임 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다른 유저와 채팅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상기 채팅창은 하나의 윈도우 내에 구현되고, 상기 채팅창이 활성화되어 확대될 때,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은 상기 채팅창이 확대된 만큼 축소되며,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이 확대될 때, 상기 채팅창은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이 확대된 만큼 축소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도중, 드래그 방식을 통해 상기 채팅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도중, 드래그 방식을 통해 상기 채팅창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부에서,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 중일 때의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부에서,
게임 플레이 중일 때의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부를 통해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 중일 때의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상기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가 미리 설정된 경우,
모바일 게임 플레이되는 도중, 게임 유저가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을 원할 때 상기 채팅창을 터치하면,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채팅창의 크기는 상기 설정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되어,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부를 통해 게임 플레이 중일 때의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상기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가 미리 설정된 경우,
상기 다른 게임 유저와의 채팅이 종료되어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을 터치하면,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채팅창의 크기는 상기 설정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되어,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채팅창이 하나의 윈도우 내에 구현된 모바일 게임 플레이 중, 게임 유저가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을 원할 때 터치 또는 드래그 방식을 통해 채팅창을 확대시키고, 동시에 게임 플레이 화면을 축소시킬 수 있음으로써, 게임 유저가 게임 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다른 유저와 채팅을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유저가 터치 또는 드래그 방식을 통해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채팅창의 배열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음으로써, 게임 유저가 본인이 원하는 환경에서 게임 및 채팅을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서,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이 하나의 윈도우 내에 구현되어 나타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서,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도중, 게임 유저가 드래그 방식을 통해 채팅창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서,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도중, 게임 유저가 드래그 방식을 통해 채팅창의 위치를 변경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서, 게임 유저가 설정부에서 미리 설정되어 제공되는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 중일 때의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를 선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서, 게임 유저가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 중일 때의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를 직접 설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서,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도중, 게임 유저가 채팅창을 터치할 때, 채팅창이 활성화되어 확대되고, 채팅창이 확대된 만큼 게임플레이 화면이 축소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서, 채팅이 종료되어 게임 유저가 게임 플레이 화면을 터치할 때, 게임 플레이 화면이 활성화되어 확대되고, 게임 플레이 화면이 확대된 만큼 채팅창의 크기가 축소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은, 유저 단말기(100), 게임서버(200), 채팅서버(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설정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의 특징, 및 각각의 구성을 통하여 모바일 게임 플레이 중 게임 유저들 간에 제공되는 채팅 서비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유저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스마트 카메라, 스마트 TV,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유저 단말기(100)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를 통해 게임서버(200)에 접속하여, 게임서버(200)에서 제공되는 모바일 게임을 즐길 수 있고, 채팅서버(300)에서 제공되는 채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유저 단말기(1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게임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유저 단말기(100)에 모바일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게임서버(200)는 해당 모바일 게임에 접속한 각각의 유저 단말기(100)에 대해 게임 진행과 관련된 서버측에서의 각종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접속 기능, 게임 데이터 처리 기능 및 게임 실행 시 제공되는 각종 그래픽 처리 기능 등이 게임서버(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채팅서버(300)는 유저 단말기(100)에서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도중,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해당 모바일 게임에 접속한 각각의 유저 단말기(100)의 게임 플레이 화면상의 일부 영역에 채팅창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채팅창에 입력된 단어 및 문장들을 다른 유저의 채팅창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도중, 게임 유저가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을 원할 때 채팅창을 터치하면, 채팅창을 활성화시켜 확대시키고, 동시에 게임 플레이 화면은 축소시켜, 게임 유저가 게임 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다른 유저와 채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서,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이 하나의 윈도우 내에 구현되어 나타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서,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은 하나의 윈도우 내에 구현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채팅창이 활성화되어 확대될 때, 게임 플레이 화면은 채팅창이 확대된 만큼 축소되며, 반대로 게임 플레이 화면이 확대될 때, 채팅창은 게임 플레이 화면이 확대된 만큼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도중, 게임 유저가 드래그 방식을 통해 채팅창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서,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도중, 게임 유저가 드래그 방식을 통해 채팅창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서,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도중, 게임 유저가 드래그 방식을 통해 채팅창의 위치를 변경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게임 유저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채팅창이 하나의 윈도우 내에 구현된 모바일 게임을 플레이하는 도중, 다른 유저와 채팅을 하고 싶을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 방식을 통해 채팅창의 크기를 확대시킬 수 있다. 이때, 드래그 방식을 통해 채팅창의 크기가 확대된 만큼, 게임 플레이 화면의 크기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채팅이 종료되면, 드래그 방식을 통해 채팅창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이때 게임 플레이 화면의 크기는 채팅창의 크기가 축소된 만큼 확대될 수 있다.
또한, 게임 유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 방식을 통해 채팅창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드래그 방식을 통해 채팅창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게임 유저가 본인이 원하는 환경에서 게임 및 채팅을 즐길 수 있다.
설정부(500)에서는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게임 유저는 설정부(500)를 통해 본인이 원하는 대로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를 미리 설정할 수 있는데, 실시예에 따라 게임 플레이 중일 때의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와,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 중일 때의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서, 게임 유저가 설정부에서 미리 설정되어 제공되는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 중일 때의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를 선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라, 게임 유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부(500)에서 미리 설정되어 제공되는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 중일 때의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게임 유저는 설정부(500)에서 미리 설정되어 제공되는 게임 플레이 중일 때의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서, 게임 유저가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 중일 때의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를 직접 설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라, 게임 유저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 중일 때의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채팅창의 배열 위치를 직접 설정할 수 있으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 중일 때의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채팅창의 크기를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게임 유저는 게임 플레이 중일 때의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를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 유저는 드래그 방식을 통해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채팅창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는데, 크기 설정 방식은 드래그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채팅창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서,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도중, 게임 유저가 채팅창을 터치할 때, 채팅창이 활성화되어 확대되고, 채팅창이 확대된 만큼 게임플레이 화면이 축소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라, 설정부(500)를 통해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 중일 때의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가 미리 설정된 경우, 게임 유저가 모바일 게임을 플레이하는 도중,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을 원할 때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창을 터치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채팅창의 크기는 설정부(5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되어,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이때, 게임 유저는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을 하면서, 축소된 게임 플레이 화면을 통해 실제 게임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서, 채팅이 종료되어 게임 유저가 게임 플레이 화면을 터치할 때, 게임 플레이 화면이 활성화되어 확대되고, 게임 플레이 화면이 확대된 만큼 채팅창의 크기가 축소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라, 설정부(500)를 통해 게임 플레이 중일 때의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가 미리 설정된 경우, 다른 게임 유저와의 채팅이 종료되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유저가 게임 플레이 화면을 터치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채팅창의 크기는 설정부(5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되어,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채팅창이 하나의 윈도우 내에 구현된 모바일 게임 플레이 중, 게임 유저가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을 원할 때 터치 또는 드래그 방식을 통해 채팅창을 확대시키고, 동시에 게임 플레이 화면을 축소시킬 수 있음으로써, 게임 유저가 게임 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다른 유저와 채팅을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유저가 터치 또는 드래그 방식을 통해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채팅창의 배열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음으로써, 게임 유저가 본인이 원하는 환경에서 게임 및 채팅을 즐길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유저 단말기 200: 게임서버
300: 채팅서버 400: 제어부
500: 설정부

Claims (8)

  1. 모바일 게임 플레이 중, 게임 유저가 채팅창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하여, 게임 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다른 유저와 채팅을 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유저 단말기(100)에 상기 모바일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서버(200);
    상기 유저 단말기(100)에서 상기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도중,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지원하는 채팅서버(300);
    상기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도중, 상기 게임 유저가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을 원할 때 상기 채팅창을 터치하면, 상기 채팅창을 활성화시켜 확대시키고, 동시에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은 축소시켜, 상기 게임 유저가 게임 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다른 유저와 채팅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400); 및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상기 채팅창은 하나의 윈도우 내에 구현되고, 상기 채팅창이 활성화되어 확대될 때,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은 상기 채팅창이 확대된 만큼 축소되며,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이 확대될 때, 상기 채팅창은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이 확대된 만큼 축소되며,
    상기 설정부(500)에서,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 중일 때의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설정부(500)를 통해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 중일 때의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상기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가 미리 설정된 경우, 모바일 게임 플레이되는 도중, 게임 유저가 다른 게임 유저와 채팅을 원할 때 상기 채팅창을 터치하면,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채팅창의 크기는 상기 설정부(5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되어,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도중, 드래그 방식을 통해 상기 채팅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게임이 플레이되는 도중, 드래그 방식을 통해 상기 채팅창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500)에서,
    게임 플레이 중일 때의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과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500)를 통해 게임 플레이 중일 때의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상기 채팅창의 배열 위치 및 크기가 미리 설정된 경우,
    상기 다른 게임 유저와의 채팅이 종료되어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을 터치하면, 상기 게임 플레이 화면 및 채팅창의 크기는 상기 설정부(5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되어,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
KR1020160080300A 2016-06-27 2016-06-27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 KR101695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300A KR101695387B1 (ko) 2016-06-27 2016-06-27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300A KR101695387B1 (ko) 2016-06-27 2016-06-27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387B1 true KR101695387B1 (ko) 2017-01-12

Family

ID=57811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300A KR101695387B1 (ko) 2016-06-27 2016-06-27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413B1 (ko) * 2018-10-02 2020-03-02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9584A (ja) * 2002-09-03 2004-03-25 Yoshinari Nakagawa ネットワーク対局ゲーム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実現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40095633A (ko) * 2003-05-09 2004-11-15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인스턴트 메세징이 내장된 게임들
KR20120080432A (ko) * 2011-01-07 2012-07-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게임 실행 중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9584A (ja) * 2002-09-03 2004-03-25 Yoshinari Nakagawa ネットワーク対局ゲーム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実現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40095633A (ko) * 2003-05-09 2004-11-15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인스턴트 메세징이 내장된 게임들
KR20120080432A (ko) * 2011-01-07 2012-07-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게임 실행 중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413B1 (ko) * 2018-10-02 2020-03-02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37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essage transmission for a communication group
US10659844B2 (en) Intera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recommended content
WO2022156368A1 (zh) 推荐信息展示方法及装置
WO2023274144A1 (zh) 消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7533417B (zh) 在通信会话中呈现消息
CN107992360B (zh) 应用切换处理方法、移动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07113468B (zh) 一种移动计算设备以及实现的方法、计算机存储介质
US20120244913A1 (en) Flexible home page layout for mobile devices
US100434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lit screen display on mobile device
US201302832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r a Feature in Overscroll Regions on Electronic Devices
CN115509398A (zh) 使用即时消息服务以显示图释的方法及其用户装置
JP2007522546A (ja) マルチスクリーン表示システム
US1023721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haring media data between terminals
CN105808095A (zh) 一种终端的应用界面的显示方法及终端
CN109327672B (zh) 一种视频通话方法及终端
EP19564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n icon of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11870827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navigating through a stream of content items
KR101695387B1 (ko) 모바일 게임 유저들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시스템
KR102136413B1 (ko) 다자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JP2013117843A (ja) コンピュータ、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バ
CN109660445A (zh) 一种消息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9873903B (zh) 同类应用程序的显示方法、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3030292A1 (zh) 多媒体文件的播放方法和装置
WO2023015774A1 (zh) 切换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JP2023525849A (ja) メッセージ送信方法、メッセージ受信方法及び装置、機器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