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150B1 - 벽난로용 로스톨 - Google Patents

벽난로용 로스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150B1
KR101695150B1 KR1020150116172A KR20150116172A KR101695150B1 KR 101695150 B1 KR101695150 B1 KR 101695150B1 KR 1020150116172 A KR1020150116172 A KR 1020150116172A KR 20150116172 A KR20150116172 A KR 20150116172A KR 101695150 B1 KR101695150 B1 KR 101695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air flow
unit
flow guide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원
Original Assignee
김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원 filed Critical 김상원
Priority to KR1020150116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3Grates; Irons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난로용 로스톨은, 속이 비어 있는 중공부를 한정하는 통형상부와, 이 통형상부의 상단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전개되는 날개부, 및 타 단부를 통형상부의 내주면 둘레에 고정하고 일 단부를 통형상부의 중공부 내에 배치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을 좁혀 연소공기의 유동 속도를 가속화시키는 공기흐름 가이드부를 구비한 마운트부와; 다수의 스루홀을 형성하고 마운트부에 거치되는 그릴;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은 빠른 유속을 유지하면서 연소공기를 광역으로 확산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기흐름 가이드부의 일 단부에 다수의 오목형상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연소공기를 그릴 중심영역으로만 집중적으로 공급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벽난로용 로스톨 {Rostol for fireplace}
본 발명은 벽난로용 로스톨, 특히 연소 지점으로 연소공기의 공급 영역을 광역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벽난로용 로스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난로는 실내온도의 상승을 위한 난방 목적과 함께 시각적으로 따스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 목적으로 거실 등에 설치하고 있으며, 로스톨(10)은 벽난로의 연소실에서 연소된 재를 배출하기 위한 통로가 되면서 연소시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공기 흐름의 통로가 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은 대한미국 특허출원 10-2015-0008472호(2015. 1. 19. 출원)로, 벽난로용 로스톨에 관한 것으로서, 아직 공개되지 않은 출원이며 본 출원의 발명자에 의해 발명된 선출원이다.
도 8 및 도 9는 특허문헌 1에 따른 종래의 벽난로용 로스톨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벽난로용 로스톨(10)은 스루홀(21)이 배열된 그릴(20)이 상부에 재치되며, 공기 흐름을 가이드하는 공기 흐름 가이드부(13)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공기 흐름의 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 흐름 가이드부(13)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공기 흐름의 통로를 구비함으로써, 연소 지점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이 가속화되며, 이에 따라 공기 흐름 가이드부(13)가 그릴(20)에 배열된 스루홀(21)중에서 일부 또는 일부영역에만 보다 많은 공기 흐름이 집중되도록 형성되므로, 이용 가능한 공기 흐름을 점화 지점에 집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점화의 확산 속도와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기술은 신속한 점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 점화가 완료된 후 일반 연소중에도 공기 흐름이 집중되므로 장작과 같은 고체 연료의 일부 영역만 연소되는 바, 예를 들면 장작이 두 동강이 날 정도로 중간 부분만 연소되어서 벽난로의 사용자로서는 중간 중간 장작을 헤집어 줘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다.
대한미국 특허출원 10-2015-0008472호(2015. 1. 19. 출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신속한 점화가 가능하면서도 연소공기의 광역 공급을 도와 벽난로에서 고체 연료를 골고루 연소시킬수 있는 벽난로용 로스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난로용 로스톨은, 속이 비어 있는 중공부를 한정하는 통형상부와, 이 통형상부의 상단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전개되는 날개부, 및 타 단부를 통형상부의 내주면 둘레에 고정하고 일 단부를 통형상부의 중공부 내에 배치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을 좁혀 연소공기의 유동 속도를 가속화시키는 공기흐름 가이드부를 구비한 마운트부와; 다수의 스루홀을 형성하고 마운트부에 거치되는 그릴;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은 빠른 유속을 유지하면서 연소공기를 광역으로 확산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기흐름 가이드부의 일 단부에 다수의 오목형상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연소공기를 그릴 중심영역으로만 집중적으로 공급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마운트부는 그릴의 거치를 돕는 통형상부의 내주면 상부에서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그릴 거치턱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그릴 거치턱부는 공기흐름 가이드부의 일 단부보다 높게 배치하여, 그릴의 하부면과 공기흐름 가이드부의 일 단부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릴의 하부면과 공기흐름 가이드부 사이에 소정의 틈새는 오목형상부를 통해 방향전환될 연소공기를 그릴의 가장자리 방향으로도 안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수의 오목형상부는 공기흐름 가이드부의 일 단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다수의 오목형상부는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스톨의 마운트부는 통형상부의 하단부와 공기흐름 가이드부의 타 단부의 결합부위에 재의 배출을 돕는 다수의 슬릿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흐름 가이드부는 상협하광의 뒤집혀진 깔대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발명은 정사각 단면형상의 스루홀을 그릴에 격자배열할 수 있다. 이는 마운트부를 수단으로 하여 가속화되고 확산되어 공급되는 연소공기를 연소실 내부에서 사방으로 골고루 분산시켜 균일한 형태의 연소 화염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연소실 내부로 공급되는 상향류 연소공기의 유속을 빠르게 유지하면서도 그릴 하부 전반으로 광역 공급시킬 수 있는 로스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협하광의 뒤집혀진 깔대기형상을 갖추고 상단부에 다수의 오목형상부를 형성한 공기흐름 가이드부를 수단으로 하여 연소공기의 가속화와 함께 연소공기를 일부에 집중되지 않고 확산 공급할 수 있다. 이는 연소실 내부에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순식간에 점화시킬 수 있으며, 점화를 위한 시간과 노력이 적게 들고 화력도 세지는 효과와 더불어서, 연소공기의 광역 공급으로 고체연료를 골고루 연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협하광의 공기흐름 가이드부의 구조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연소된 재를 하방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스톨을 장착한 벽난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벽난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스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마운트부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 선으로 절취한 로스톨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로스톨을 구성하는 다른 일례의 마운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로스톨을 구성하는 또 다른 일례의 마운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8은 특허문헌 1에 따른 종래의 벽난로용 로스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특허문헌 1에 따른 종래의 벽난로용 로스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벽난로용 로스톨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스톨(10)을 설치한 벽난로(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도시된 벽난로(1)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벽난로(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20)과, 이 하우징(20)의 전면에 하나 이상의 도어(참조부호 없음)를 구비한다. 벽난로(1)는 연소실(210)에서 연소되는 장작 또는 땔감 등의 고체연료에서 발생하는 연기, 가스, 그을음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230)을 벽난로(1)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신장하고 있다.
하우징(20)은 다단으로 분할되되, 연소실(210)과 재받이 수납실(220)을 본 발명에 따른 로스톨(10)을 통해 연통가능하게 구획한다. 로스톨(10)은 마운트부(110)의 상부에 거치될 그릴(120)의 스루홀(121)을 통해 연소실(210) 내부로 연소공기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연소실(210) 내부에서 연소시 발생하는 재를 하방에 배치된 재받이통(221)으로 수거할 수 있다. 그릴(120)은 로스톨(10)의 상부에 거치되고, 그릴(120)의 상부에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 연료를 적재한 상태로 연소시킬 수 있다.
로스톨(10)은 연소실(210)과 재받이 수납실(220)을 구획하는 지지판(211) 내부영역에 형성된 재배출공 상에 배치되되, 로스톨(10)은 연소실(210)의 내저부를 구성하는 지지판(211)에서 탈장착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스톨(1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지지판(211)으로부터 탈장착가능함으로, 벽난로(1)의 모델이 서로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로스톨(10)을 적용할 수 있게 되며, 다양한 형태의 벽난로(1)를 생산함에 있어서도 로스톨(10)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연소실(210)은 로스톨(10)을 제외한 내측면이 내화재로 덮여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각 구성부재의 배치를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내화재를 배제하여 도시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로스톨(10)의 하부에는 그릴(120)을 통해 하부로 배출된 재 등을 수거하는 재받이통(221)을 배치하는데, 재받이통(221)은 재받이 수납실(220) 내에서 서랍식으로 활주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스톨(1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스톨(10)을 구성하는 마운트부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스톨(1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스톨(10)은 앞서 기술되었듯이 연소실의 내저부에 배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지지판(211)의 재배출공(213) 상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로스톨(10)은 고체연료를 받치는 다공판 형상의 그릴(120;grill)과, 이 그릴(120)을 지지보유하는 한편 지지판(211)에 안착을 돕는 마운트부(110;mount)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마운트부(110)는 속이 비어 있는 통형상부(111)와, 이 통형상부(111)의 상단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전개되는 날개부(112), 통형상부(111)의 내주면 상부에서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그릴 거치턱부(113), 및 통형상부(111)의 내주면 하부에서 상방으로 경사져 있는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부(110)는 전반적으로 사각형상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지지판의 재배출공 상에 안착될 수 있는 원형, 타원형, 마름모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마운트부(110)는 속이 비어 있는 통형상부(111)를 구비한다. 통형상부(111)는 중공부(참조부호 없음)를 한정하는데, 통형상부(111)를 통해 재받이 수납실로부터 연소실을 향하는 상향류의 연소공기에 대한 이동 경로(실선 화살표)를 제공하는 한편 연소실로부터 재받이 수납실을 향해 하향류되는 재의 배출 경로(점선 화살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통형상부(111)는 재배출공(213) 내부를 관통할 수 있는 크기와 다양한 단면형상을 갖도록 한다.
전술되었듯이, 날개부(112)는 통형상부(111)의 상단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전개되되, 연소실의 하부를 구성하는 지지판(211) 상에 포개어져 걸쳐질 수 있도록 지지판(211)의 재배출공(213) 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로스톨(10)은 날개부(112)를 수단으로 하여 지지판(211) 상에서 탈착가능하게 걸쳐질 수 있다.
로스톨(10)의 마운트부(110)는 상부에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미도시)를 쌓을 수 있는 그릴(120)의 재치를 돕는 그릴 거치턱부(113)를 구비한다. 그릴 거치턱부(113)는 통형상부(111)의 내주면 상부에서 내부방향으로 돌출되어, 그릴(120)의 가장자리가 그릴 거치턱부(113) 상에 안착되어 그릴의 재치를 가능하게 한다. 선택가능하기로, 그릴 거치턱부(113)는 통형상부(111)의 상단부에서 그릴(120)의 두께만큼 이격되게 배치하는데, 이로 인해 마운트부(110)의 날개부(112)와 그릴(120)을 동일 평면으로 배치할 수 있어 연소실의 내저부를 편평하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스톨(10)의 마운트부(110)는 벽난로의 연소실(210;도 1 참조) 내부로 연통효과에 기인하는 연소공기의 유동을 제공하는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를 통형상부(111) 내측에 구비한다. 즉,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는 재받이 수납실로부터 연소실로 연소공기를 안내하는 구성부재로서, 통형상부(111)의 내주면 하부에서 상방을 향해 경사져 있다. 다시 말하자면,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는 상협하광(上狹下廣)의 뒤집혀진 깔대기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의 일 단부는 그릴(120)의 하부면과 접촉되지 않게 그릴 거치턱부(113) 보다 아래에 배치되고,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의 타 단부는 통형상부(111)의 내주면 하부에 고정된다.
상협하광 형상의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는 연속의 법칙(law of continuity)에 따라 통형상부(111)의 하부로 안내된 연소공기를 통형상부(111)의 상부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유체의 유속을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연속의 법칙은 유체(연소공기)가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를 따라 흐를 경우에 유체의 유속은 관로 단면적에 반비례하므로 단면적이 좁아질수록 유속이 빨라진다. 따라서, 연소공기는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을 통과하면서 유속이 현저하게 빨라져 그릴(120)을 지나 상향류로 연소실로 공급된다.
아울러, 특별하기로,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는 이의 일 단부에 다수의 오목형상부(114a)를 구비한다. 다수의 오목형상부(114a)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의 일 단부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되, 바람직하기로는 다수의 오목형상부(114a)는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의 일 단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열되도록 한다. 오목형상부(114a)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선호되기로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선 화살표는 연소공기의 이동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재받이 수납실 혹은 도시되지 않은 공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연소공기는 마운트부(110)의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를 지나 그릴(120)의 스루홀(121)을 관통해 상향류로 연소실의 내저부로 안내된다.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의 경사면을 따라 유동하는 연소공기는 상협하광 형상의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를 통과하면서 유속을 빠르게 설정되는 한편 다수(복수)의 오목형상부(114a)에 의해 일부의 공기 흐름은 방향전환되어 그릴(120)의 가장자리를 향해 방사상방향으로 분산되면서 상향류 되도록 할 수 있다. 방향전환된 일부 연소공기는 그릴(120)의 가장자리를 향해 광역으로 확산 공급되어 그릴(120)의 가장자리에 쌓여 있는 고체연료의 연소를 돕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로스톨(10)은 연소실로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유속을 빠르게 유지하는 것과 함께, 일부 연소 공기는 그릴의 주변부로 공급함으로써, 그릴의 중심영역에 배치된 고체연료만 연소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넓은 연소 영역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점선 화살표는 장작 또는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연소하고 남은 재의 배출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그릴(120) 위에서 연소된 재 등은 로스톨(10)의 그릴(120)을 통해 하부로 배출된다.
일부 재는 통형상부(111)와 공기흐름 가이드부(114) 사이의 공간으로 낙하되어, 재받이통으로 수거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재들은 상향류의 연소공기를 통해 벽난로 내부로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형상부(111)와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의 교차지점, 다시 말하자면 통형상부(111)의 하단부와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의 타 단부 사이에 다수의 슬릿(115;slit)을 형성한다. 슬릿(115)은 재 배출시 통형상부(111)와 공기흐름 가이드부(114) 사이의 공간으로 낙하된 재를 하부에 배치된 재받이통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스톨(10)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상협하광의 뒤집혀진 깔대기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단부에 다수의 오목형상부(114a)를 구비한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을 매개로 하여 연소공기를 그릴(120)을 향해 빠른 유속을 유지하면서 확산 공급할 수 있다. 덧붙여서, 그릴(120)의 다수의 스루홀(121)을 관통하는 연소공기가 넓은 연소 영역으로 연소실 내부로 골고루 확산될 수 있도록 그릴(120)의 스루홀(121)은 정사각 단면형상의 구멍으로 형성되고 격자배열을 갖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의 스루홀(121)은 연소공기를 사방으로 확산시켜 고체연료의 연소 화염을 하우징의 연소지점에 골고루 퍼져나갈 수 있다. 화염이 일부 내측면에 집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내화재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다수의 오목형상부를 구비한 마운트부의 저면도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다른 유형의 오목형상부를 장착한 마운트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마운트부(110)에서 반원형상의 오목형상부(114a)를 제외하고는 매우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배제할 것이다.
본 발명의 로스톨(10)은 방사상 방향으로 연소공기를 확산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상의 오목형상부를 구비하는데, 도 6은 사각형상의 오목형상부(114b)를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의 일 단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와 달리, 도 7은 삼각형상의 오목형상부(114c)를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의 일 단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벽난로용 로스톨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벽난로,
10 ----- 로스톨,
20 ----- 하우징,
110 ----- 마운트부,
114 ----- 공기흐름 가이드부,
114a, 114b, 114c ----- 오목형상부,
120 ----- 그릴,
210 ----- 연소실,
220 ----- 재받이 수납실.

Claims (8)

  1. 벽난로의 연소실에서 연소된 재의 배출 경로와 연소시 하방에서 상방으로 연소공기의 상향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로스톨에 있어서,
    속이 비어 있는 중공부를 형성하는 통형상부(111)와,
    상기 통형상부(111)의 상단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전개되는 날개부(112), 및
    타 단부를 상기 통형상부(111)의 내주면 둘레에 고정하고 일 단부를 상기 통형상부(111)의 중공부 내에 배치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을 좁혀 연소공기의 유동 속도를 가속화시키는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를 구비한 마운트부(110)와;
    다수의 스루홀(121)을 형성하고 상기 마운트부(110)에 거치되는 그릴(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의 일 단부는 다수의 오목형상부(114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용 로스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110)는 상기 통형상부(111)의 내주면 상부에서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그릴 거치턱부(1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용 로스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그릴 거치턱부(113)는 상기 공기흐름 가이드부의 일 단부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용 로스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오목형상부(114a)는 상기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의 일 단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용 로스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오목형상부(114a)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용 로스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110)는 상기 통형상부(111)의 하단부와 상기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의 타 단부의 결합부위에 다수의 슬릿(1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용 로스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는 상협하광의 뒤집혀진 깔대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용 로스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루홀(121)은 정사각 단면형상으로 상기 그릴(120)에 격자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용 로스톨.
KR1020150116172A 2015-08-18 2015-08-18 벽난로용 로스톨 KR101695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172A KR101695150B1 (ko) 2015-08-18 2015-08-18 벽난로용 로스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172A KR101695150B1 (ko) 2015-08-18 2015-08-18 벽난로용 로스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150B1 true KR101695150B1 (ko) 2017-01-11

Family

ID=5783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172A KR101695150B1 (ko) 2015-08-18 2015-08-18 벽난로용 로스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1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364B1 (ko) * 2018-02-28 2019-12-26 김상원 무동력 목재용 벽난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797A (ja) * 2000-07-27 2002-02-05 Hideo Nishina ロストル及びそれを用いたロースター
KR100824265B1 (ko) * 2007-05-28 2008-04-24 김철수 화로
KR100852905B1 (ko) * 2007-09-03 2008-08-19 조재희 벽난로
KR101138127B1 (ko) * 2009-10-20 2012-04-23 홍성훈 하향식 연소방식을 채용한 화목 난로
KR20150008472A (ko) 2012-05-10 2015-01-22 씨러스 로직 인코포레이티드 잡음 제거 개인용 오디오 디바이스에서 2차 경로 적응형 응답의 잡음 버스트 적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797A (ja) * 2000-07-27 2002-02-05 Hideo Nishina ロストル及びそれを用いたロースター
KR100824265B1 (ko) * 2007-05-28 2008-04-24 김철수 화로
KR100852905B1 (ko) * 2007-09-03 2008-08-19 조재희 벽난로
KR101138127B1 (ko) * 2009-10-20 2012-04-23 홍성훈 하향식 연소방식을 채용한 화목 난로
KR20150008472A (ko) 2012-05-10 2015-01-22 씨러스 로직 인코포레이티드 잡음 제거 개인용 오디오 디바이스에서 2차 경로 적응형 응답의 잡음 버스트 적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364B1 (ko) * 2018-02-28 2019-12-26 김상원 무동력 목재용 벽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2342B2 (en) Non-gas fire pit
US11953198B2 (en) Non-gas fire pit
KR101459370B1 (ko) 고기구이장치
US9945564B2 (en) Combustion furnace
US20220235930A1 (en) Fire column
KR101695150B1 (ko) 벽난로용 로스톨
JP4785980B1 (ja) 燃焼装置
JP2017078551A (ja) 固形燃料燃焼装置
KR101204250B1 (ko) 무연 화목 난로
KR102059364B1 (ko) 무동력 목재용 벽난로
KR102190341B1 (ko) 화로대
KR101688860B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점화장치
KR101847775B1 (ko) 옥수수를 이용한 로스터
TW201701810A (zh) 可攜式焙燒裝置及使用該焙燒裝置的焙燒方法
JP2004049279A (ja) 炭焼き用無煙ロースター
KR20160087237A (ko) 화력 조절이 가능한 필렛 난로 연소장치
JP6892717B1 (ja) 燃焼装置
KR200444821Y1 (ko) 가스 숯불 겸용 로스터
KR101899194B1 (ko) 통나무 원목 버너
KR20150006393A (ko) 로스톨
SE8107385L (sv) Spis
KR102190363B1 (ko) 하이브리드 난로
KR20190037854A (ko) 펠릿 난로
KR102398420B1 (ko) 필렛 난로 연소장치
JP2000314509A (ja) バー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