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364B1 - 무동력 목재용 벽난로 - Google Patents

무동력 목재용 벽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364B1
KR102059364B1 KR1020180024322A KR20180024322A KR102059364B1 KR 102059364 B1 KR102059364 B1 KR 102059364B1 KR 1020180024322 A KR1020180024322 A KR 1020180024322A KR 20180024322 A KR20180024322 A KR 20180024322A KR 102059364 B1 KR102059364 B1 KR 102059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flame
combustion
fireplac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3646A (ko
Inventor
김상원
Original Assignee
김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원 filed Critical 김상원
Priority to KR1020180024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364B1/ko
Publication of KR2019010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3Grates; Ir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9Fuel-handl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1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combustion-air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난로는, 연소실의 전방에서 개폐되며 투시창을 구비한 도어(230), 연소실(210)의 하부에서 재를 받아 수거하는 재받이(220), 연소실(210)의 상부에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연통(240)이 포함되는 난로 본체(200)와;
상기 난로 본체(200)의 연소실(210) 하부에 수평하게 위치되는 지지판(211)에 걸려 설치되어, 연소실에서 연소된 재의 배출 경로와 연소시 하방에서 상방으로 연소공기의 상향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로스톨(100)과;
연소실(210)의 상부에 횡으로 위치되며 다수의 노즐구멍(311)들이 뚫어지는 수평부재(310)와, 이 수평부재(310)의 양단에 내부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단부가 난로 본체(200)의 저면 외부에 노출되는 수직부재(320)를 포함하며, 이 수직부재(320)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노즐구멍(311)들로 분출되어 화염을 확산시킴과 아울러 2차 연소를 유도하는 화염확산관(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동력 목재용 벽난로{FIREPLACE FOR WOOD WITHOUT POWER}
본 발명은 목재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키는 목재용 벽난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소 지점으로 연소공기를 빠르게 공급시킴과 아울러 외부 공기를 통한 2차 연소와 동시에 화염 면적을 넓게 확산시키며, 난방 능력 및 난방 속도의 향상과 열효율이 대폭 상승되어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난로는 실내온도의 상승을 위한 난방 목적과 함께 시각적으로 따스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 목적으로 거실 등에 설치하고 있다.
일반적인 벽난로의 단점은 점화 이후 원하는 실내 온도까지 상승시키는 난방 속도가 늦고 벽난로가 차지하는 체적대비 열을 생성하는 난방능력이 낮으며, 열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신속한 난방이 가능하면서도 체적대비 난방능력이 우수한 벽난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효율을 대폭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벽난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연소실의 전방에서 개폐되며 투시창을 구비한 도어(230), 연소실(210)의 하부에서 재를 받아 수거하는 재받이(220), 연소실(210)의 상부에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연통(240)이 포함되는 난로 본체(200)와;
상기 난로 본체(200)의 연소실(210) 하부에 수평하게 위치되는 지지판(211)에 걸려 설치되어, 연소실에서 연소된 재의 배출 경로와 연소시 하방에서 상방으로 연소공기의 상향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로스톨(100)과;
연소실(210)의 상부에 횡으로 위치되며 다수의 노즐구멍(311)들이 뚫어지는 수평부재(310)와, 이 수평부재(310)의 양단에 내부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단부가 난로 본체(200)의 저면 외부에 노출되는 수직부재(320)를 포함하며, 이 수직부재(320)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노즐구멍(311)들로 분출되어 화염을 확산시킴과 아울러 2차 연소를 유도하는 화염확산관(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염확산관(300)의 수직부재(320) 입구에는 깔데기(321)가 더 부착되며, 수평부재(310)의 양쪽 끝단부에는 직경이 축소되어 공기 흐름을 빠르게 유도하기 위한 경사부(312)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부재(310)에 뚫어지는 노즐구멍(311)들은 전면과 배면 및 저면으로 각각 뚫어져 연소실의 화염을 난로 본체(200)의 각 벽면을 향해 분산시키게 된다.
상기 로스톨(100)은 속이 비어 있는 중공부를 형성하는 통형상부(111)와,
상기 통형상부(111)의 상단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전개되는 날개부(112), 및
타 단부를 상기 통형상부(111)의 내주면 둘레에 고정하고 일 단부를 상기 통형상부(111)의 중공부 내에 배치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을 좁혀 연소공기의 유동 속도를 가속화시키는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를 구비한 마운트부(110)와;
다수의 스루홀(121)을 형성하고 상기 마운트부(110)에 거치되는 그릴(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의 일 단부는 다수의 오목형상부(114a)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난로 본체(200)의 외측 상부에는 연소실(210)에 공급통로(252)를 통해 연통되고 연소실에 공급되는 펠렛이 저장되는 호퍼(250)와, 이 호퍼(250)의 하부에 위치되어 펠릿이 공급통로(252)를 통해 연소실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조절판(251)이 더 구비된다.
상기 호퍼(250)의 내부에는 펠릿들이 결합되어 뭉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한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 형상의 격판부재(253)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강한 화염을 생성할 수 있는 로스톨과 이러한 로스톨의 상부에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무동력으로 외부 공기를 빠르게 유입하여 분출시키는 화염확산관을 설치함으로써 난방 능력, 난방 속도 및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외부공기를 연소실 내부로 유입하여 2차 연소시킴과 아울러 화염의 면적을 확산한 후 연소실 벽면을 따라 상승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신속한 난방은 물론 난방 능력 향상을 도모한다.
또한, 연료의 완전 연소로 인해 그을음 발생을 방지하여 투시창은 물론 연소실 내부의 오염을 대폭 줄여 청결한 상태를 오래 지속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함을 느끼게 하고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난로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절결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구성 설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화염확산관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로스톨의 실시예를 보인 저면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난로는 연소실의 주위에 화염확산관을 더 설치하여 난방능력과 열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난로는 속이 빈 원통이나 사각, 육각 등의 통 형상으로 내부 마련된 연소실(210)에서 연소되는 장작, 땔감 또는 펠릿 등의 목재 연료에서 발생하는 연기, 가스, 그을음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240)을 난로 본체(200)의 상부에 연결하게 된다. 연소실(210)의 전방에는 장작 또는 땔감 등을 연소실로 투입하기 위한 도어(230)가 구비되며 개폐도어에는 투시창이 형성된다.
연소실(210)의 하부에는 재받이(220)가 구비되어 로스톨(100)을 통해 연통 가능하게 구획한다. 로스톨(100)은 마운트부(110)의 상부에 거치될 그릴(120)의 스루홀(121)을 통해 연소실(210) 내부로 연소공기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연소실(210) 내부에서 연소시 발생하는 재를 하방에 배치된 재받이(220)로 수거할 수 있다.
그릴(120)은 로스톨(100)의 상부에 거치되고, 그릴(120)의 상부에 장작이나 땔감이나 펠릿 등의 고체 연료를 적재한 상태로 연소시킬 수 있다.
로스톨(100)은 연소실(210)과 재받이(220)을 구획하는 지지판(211) 내부영역에 형성된 재배출공 상에 배치되되, 로스톨(100)은 연소실(210)의 하부에 수평하게 위치되는 지지판(211)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안착된다.
로스톨(100)의 하부에는 그릴(120)을 통해 하부로 배출된 재 등을 수거하는 재받이(220)를 배치하여 서랍식으로 활주가능하게 설치된다.
로스톨(10)은 고체연료를 받치는 다공판 형상의 그릴(120)과, 이 그릴(120)을 지지 보유하는 한편 지지판(211)에 안착을 돕는 마운트부(110)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마운트부(110)는 속이 비어 있는 통형상부(111)와, 이 통형상부(111)의 상단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전개되는 날개부(112), 통형상부(111)의 내주면 상부에서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그릴 거치턱부(113), 및 통형상부(111)의 내주면 하부에서 상방으로 경사져 있는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부(110)는 전반적으로 원형 또는 사각형상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속이 비어 있는 통형상부(111)를 구비한다.
통형상부(111)는 중공부를 한정하는데, 통형상부(111)를 통해 재받이 수납실로부터 연소실을 향하는 상향류의 연소공기에 대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한편 연소실(210)로부터 재받이 수납실을 향해 하향류되는 재의 배출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날개부(112)는 통형상부(111)의 상단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전개되되, 연소실(210)의 하부를 구성하는 지지판(211) 상에 포개어져 걸쳐진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로스톨(100)은 날개부(112)를 수단으로 하여 지지판(211) 상에서 탈착가능하게 걸쳐질 수 있다.
로스톨(100)의 마운트부(110)는 상부에 장작이나 땔감 펠릿 등의 고체연료를 쌓을 수 있는 그릴(120)의 재치를 돕는 그릴 거치턱부(113)를 구비한다.
그릴 거치턱부(113)는 통형상부(111)의 내주면 상부에서 내부방향으로 돌출되어, 그릴(120)의 가장자리가 그릴 거치턱부(113) 상에 안착되어 그릴의 재치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로스톨(10)의 마운트부(110)는 벽난로의 연소실(210) 내부로 연통 효과에 기인하는 연소공기의 유동을 제공하는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를 통형상부(111) 내측에 구비한다.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는 재받이 수납실로부터 연소실로 연소공기를 안내하는 구성부재로서, 통형상부(111)의 내주면 하부에서 상방을 상협하광(上狹下廣)의 뒤집혀진 깔대기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의 일 단부는 그릴(120)의 하부면과 접촉되지 않게 그릴 거치턱부(113) 보다 아래에 배치되고,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의 타 단부는 통형상부(111)의 내주면 하부에 고정된다.
상협하광 형상의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는 연속의 법칙(law of continuity)에 따라 통형상부(111)의 하부로 안내된 연소공기를 통형상부(111)의 상부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유체의 유속을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유체(연소공기)가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를 따라 흐를 경우에 유체의 유속은 관로 단면적에 반비례하므로 단면적이 좁아질수록 유속이 빨라져 연소공기는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을 통과하면서 유속이 현저하게 빨라져 그릴(120)을 지나 상향류로서 연소실로 공급된다.
아울러,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는 이의 일 단부에 다수의 오목형상부(114a)를 구비한다.
다수의 오목형상부(114a)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의 일 단부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되, 바람직하기로는 다수의 오목형상부(114a)는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의 일 단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열되도록 한다.
오목형상부(114a)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선호되기로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난로 본체(200)의 저면에 설치된 공기조절구(260)를 통해 유입된 연소공기는 재받이(220)의 측방 및 후방을 통해 상향 이동하며, 마운트부(110)의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를 지나 그릴(120)의 스루홀(121)을 관통해 상향류로 연소실의 저부로 안내된다.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의 경사면을 따라 유동하는 연소공기는 상협하광 형상의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를 통과하면서 유속을 빠르게 설정되는 한편 다수의 오목형상부(114a)에 의해 일부의 공기 흐름은 방향 전환되어 그릴(120)의 가장자리를 향해 방사상 방향으로 분산되면서 상향류 되도록 할 수 있다.
장작, 땔감 또는 펠릿 등의 목재 연료를 연소하고 남은 재는 그릴(120)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어 재받이(220)에 수거된다.
한편, 이러한 성능을 발휘하는 로스톨(100)은 강한 화염을 만들 수 있으나, 그 강한 화염이 연소실(210) 내부에 오래 머물지 못하고 연통(240)을 통해 바로 배출되는 경우 열효율이 매우 낮아지게 되는데, 이를 본 발명의 화염확산관(300)을 통해 억제시키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염확산관(300)의 설치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화염확산관(300)은 수평부재(310)와 수직부재(320)로 구성된다.
수평부재(310)는 그릴(120)의 상부에 횡으로 위치되며 다수의 노즐구멍(311)들이 뚫어지게 되며, 수직부재(320)는 수평부재(310)의 양단에 내부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하측 단부는 난로 본체(200)의 저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수평부재(310)는 연소실(210)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위치되므로 목재 연료가 연소될 때 고온으로 가열된다. 특히, 연소실(210)내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수직부재(320)도 연소실의 공간에 관형태로 형성되고 사방이 화염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이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를 급격히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공기가 차가운 위치에서 뜨거운 위치로 이동되려는 현상에 의해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수직부재(32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후 노즐구멍(311)들로 분출되어 2차 연소와 동시에 뿜어내는 압력으로 화염을 확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화염확산관(300)의 능력을 크게 발휘하기 위하여 수직부재(320) 하단부 입구에는 깔데기(321)가 더 부착되며, 수평부재(310)의 양쪽 끝단부에는 직경이 축소되어 공기 흐름을 빠르게 유도하기 위한 경사부(312)가 형성된다.
따라서, 넓은 공간에서 깔데기(321)를 통해 면적이 1차 축소되어 유속이 빠르게 진행되도록 한 다음, 수평부재(310)의 양쪽 경사부(312)에 의해 2차로 단면적이 더 축소되어 유속을 더 빠르게 증대시켜 노즐구멍(311)들로 분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부재(310)에 뚫어지는 노즐구멍(311)들은 전면과 저면을 향해 각각 뚫어져 있다.
수평부재(310)의 저면으로 뚫어져 있는 노즐구멍(311)은 상부로 향하는 화염을 눌러서 난로의 측벽쪽으로 화염을 보내는 역할을 갖는다. 그리고 수평부재(310)의 전방을 향해 뚫어지는 노즐구멍(311)은 화염을 난로의 전방측, 특히 투시창쪽으로 더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연소실(210)에서 화염이 직상승하는 것을 억제하고 화염을 눌러 측방으로 보낸후 난로 본체(200)의 둘레 벽면을 따라 올라가도록 함으로써 연소실의 측벽과 유리창을 직접 가열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난방 능력은 향상시키고, 실내를 가열하는 난방 시간은 축소되도록 하며, 전체적으로 열효율이 대폭 상승되어 경제적인 이익과 아울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정하여, 본 발명의 공기 흐름 가이드부(100)만 있고 본 발명의 화염 확산관(300)이 없는 경우에는, 공기 흐름 가이드부(100)가 외부 공기를 고속으로 연소지점에 공급함으로써 화염의 크기를 크게 하고 연소의 속도를 빠르게 하는 효과가 있으나, 연소지점으로부터 화염이 직상방으로만 크게 형성됨으로써 실내로 열을 발산할 측벽에서 먼 중앙부에만 화염이 있게 된다. 즉, 화염이 위로만 높이 솟구쳐서 바로 연통으로 빠져버리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가정하여 본 발명의 공기 흐름 가이드부(100)가 없고 본 발명의 화염 확산관(300)만 있는 경우에는 화염의 크기 자체가 작아서 화염을 확산시켜도 측벽에 미치지 못하며, 난방 능력과 난방 속도가 매우 작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 흐름 가이드부(100)와 화염 확산관(300)을 결합시켜 강하게 생성된 화염을 측벽까지 보냄으로써 강한 화염에 의하여 벽난로의 측벽 및 전면 유리를 직접 또는 보다 근접하여 가열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동일 체적의 벽난로 대비 난방능력 및 난방속도를 제고함과 동시에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벽난로는 장작과 아울러 펠릿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난로 본체(200)의 외측 상부에는 연소실(210)에 공급통로(252)를 통해 연통되고 연소실에 공급되는 펠렛이 저장되는 호퍼(250)를 더 설치하게 된다.
이 호퍼(250)의 하부에는 펠릿이 공급통로(252)를 통해 연소실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조절판(251)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양의 펠릿의 공급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연소실내 공급통로(252)의 출구측에는 공급통로(262)의 통로를 부분적으로 막는 부분막음부재(253)를 형성함으로써, 공급통로(252)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통하여 펠릿이 배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불길이 공급통로(252)내에 있는 펠릿을 타고 올라가는 문제를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호퍼(250)의 내부에는 펠릿들이 결합되어 뭉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한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해 호퍼 내부의 공간을 수직으로 분할하는 격판부재(253)를 더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격판부재(253)는 "+" 형상으로 하여 4등분 하였으나 6등분, 8등분 등을 하기 위하여 칸을 더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격판부재(253)의 하단은 공급통로(252)의 입구(254; 도 3에서 기재됨)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호퍼(250)에 연통된 공급통로(252)의 입구(254)와 격판부재(253) 사이에는 일정한 이격거리(d : 도 2 참조)를 가짐으로써 펠릿들이 벽난로의 열기 등에 의하여 뭉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점이 반복 실험을 통해 발견되었다.
본 발명자의 반복실험에 의하면 격판부재(253)와 같을 것을 이용하여 호퍼(250)의 내부를 분리하는 것이, 분리하지 않는 것에 비하여 펠릿들이 뭉치는 문제가 훨씬 적었다. 그런데, 특이할 점은 격판부재(253)를 구성함에 있어서 격판부재(253)의 하단이 공급통로의 입구(254)까지 연장되어 펠릿들을 나누는 것보다 이격거리는 가지는 쪽이 뭉침 방지에 더 효과적이었다.
연통(240)에는 배기가스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레버(241)와 댐퍼(242)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벽난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로스톨 110 - 마운트부
120 - 그릴 200 - 난로 본체
210 - 연소실 220 - 재받이
230 - 도어 240 - 연통
250 - 호퍼 300 - 화염확산관
310 - 수평부재 311 - 노즐구멍
312 - 경사부 320 - 수직부재
321 - 깔데기

Claims (7)

  1. 연소실의 전방에서 개폐되며 투시창을 구비한 도어(230), 상기 연소실(210)의 하부에서 재를 받아 수거하는 재받이(220), 상기 연소실(210)의 상부에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연통(240)이 포함되는 난로 본체(200)와;
    상기 난로 본체(200)의 연소실(210) 하부에 수평하게 위치되는 지지판(211)에 걸려 설치되어, 상기 연소실(210)에서 연소된 재의 배출 경로와 연소시 하방에서 상방으로 연소공기의 상향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로스톨(100)과;
    상기 연소실(210)의 상부에 횡으로 위치되며 다수의 노즐구멍(311)들이 뚫어지는 수평부재(310)와, 상기 수평부재(310)의 양단에 내부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단부가 난로 본체(200)의 저면 외부에 노출되는 수직부재(320)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재(320)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노즐구멍(311)들로 분출하여 화염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화염확산관(300)과;
    상기 난로 본체(200)의 외측 상부에는 연소실(210)에 공급통로(252)를 통해 연통되고 상기 연소실에 공급되는 펠렛이 저장되는 호퍼(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재(320)는 상기 연소실(210)의 공간에 관형태로 형성되고 사방이 화염에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250)의 내부에는 펠릿들이 결합되어 뭉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한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해 호퍼 내부의 공간을 수직으로 분할하는 격판부재(253)가 설치되되,
    상기 격판부재(253)의 하단은 상기 공급통로(252)의 입구(254)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염확산관(300)의 수직부재(320) 입구에는 깔데기(321)가 더 부착되고, 상기 수평부재(310)에는 직경이 축소되어 공기 흐름을 빠르게 유도하기 위한 경사부(3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310)에 뚫어지는 노즐구멍(311)들은 전면과 저면으로 각각 뚫어져 연소실의 화염을 눌러서 난로 본체(200)의 측벽을 향해 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스톨(100)은,
    속이 비어 있는 중공부를 형성하는 통형상부(111)와, 상기 통형상부(111)의 상단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전개되는 날개부(112), 및 일 단부를 상기 통형상부(111)의 내주면 둘레에 고정하고 타 단부를 상기 통형상부(111)의 중공부 내에 배치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을 좁혀 연소공기의 유동 속도를 가속화시키는 공기흐름 가이드부(114)를 포함하는 마운트부(110)와;
    다수의 스루홀(121)을 형성하고 상기 마운트부(110)에 거치되는 그릴(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기흐름 가이드부(114)의 타 단부는 다수의 오목형상부(114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퍼(250)의 하부에 위치되어 펠릿이 공급통로(252)를 통해 연소실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조절판(251)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난로.
  7. 삭제
KR1020180024322A 2018-02-28 2018-02-28 무동력 목재용 벽난로 KR102059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22A KR102059364B1 (ko) 2018-02-28 2018-02-28 무동력 목재용 벽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22A KR102059364B1 (ko) 2018-02-28 2018-02-28 무동력 목재용 벽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646A KR20190103646A (ko) 2019-09-05
KR102059364B1 true KR102059364B1 (ko) 2019-12-26

Family

ID=67949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322A KR102059364B1 (ko) 2018-02-28 2018-02-28 무동력 목재용 벽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3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907B1 (ko) 2020-06-15 2021-03-15 김득수 다용도 벽난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150B1 (ko) * 2015-08-18 2017-01-11 김상원 벽난로용 로스톨
KR200484682Y1 (ko) * 2015-09-03 2017-10-17 이승규 고체연료 난로용 노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150B1 (ko) * 2015-08-18 2017-01-11 김상원 벽난로용 로스톨
KR200484682Y1 (ko) * 2015-09-03 2017-10-17 이승규 고체연료 난로용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646A (ko)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7153A (en) Fireplace air circulation and draft control
US5133266A (en) Pellet burning heating device
US5137012A (en) Pellet burning stove
KR101486050B1 (ko) 펠렛난로
RU158355U1 (ru) Печь
KR101479579B1 (ko) 펠릿 난로
KR102059364B1 (ko) 무동력 목재용 벽난로
KR101564844B1 (ko) 고효율 펠릿 난로
US1935919A (en) Tank water heater
KR101377217B1 (ko) 대류형 화목 난로
US4185610A (en) Forced air channel baffles
KR20130053802A (ko) 하향 연소식 방열형 난로
US4207861A (en) Fire box gas baffle and hood
KR101390042B1 (ko) 에너지 효율이 높은 난로
US4694818A (en) Fireplace grate for gas fired fireplace including forced air heat exchanger
KR101622270B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US4141335A (en) Dual mode furnace
US7509954B2 (en) Residential fireplace insert
KR20170081346A (ko) 펠릿 난로
KR101273480B1 (ko) 이중난로
KR101695150B1 (ko) 벽난로용 로스톨
US4535752A (en) Fireplace cross-circulating air heater
KR20160067328A (ko) 펠릿 난로
US4230093A (en) Fireplace door
KR20150006393A (ko) 로스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