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094B1 - 회전형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094B1
KR101695094B1 KR1020150081108A KR20150081108A KR101695094B1 KR 101695094 B1 KR101695094 B1 KR 101695094B1 KR 1020150081108 A KR1020150081108 A KR 1020150081108A KR 20150081108 A KR20150081108 A KR 20150081108A KR 101695094 B1 KR101695094 B1 KR 101695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frame
frame
filter assembly
outle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677A (ko
Inventor
조준현
김동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1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094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3/16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형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습필터의 전체면적에 물이 공급될 수 있어 가습량이 증대되는 회전형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회전형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필터부재(140)를 사이에 마련할 수 있는 전면 프레임(200) 및 후면 프레임(400); 일면에서 상기 후면 프레임(400)의 가장자리부가 결합되는 밀착홈(304) 및 타면에서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가장자리부가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300);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프레임(200)은 원주를 따라 측벽을 관통되도록 형성된 유입구(201) 및 내주면에서 상기 필터부재(140)을 향하여 형성된 유출구(202);를 갖고,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결합 프레임(300)에 결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201) 및 상기 유출구(202)와 각각 연통되는 공간인 저장공간(600);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중심에 형성된 제1중심부(210)와 상기 유출구(202)를 곡선으로 연결하는 제1리브(220);를 포함하는 가습 필터 어셈블리를 제공하여, 미생물이나 곰팡이 등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어 청결이 유지되고, 필터에 골고루 물이 전달되므로 가습효과가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회전형 가습장치{A rotation humidifier}
본 발명은 회전형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습필터의 전체면적에 물이 공급될 수 있어 가습량이 증대되는 회전형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회전형 가습장치이다.
종래의 회전형 가습장치는 [도1]과 같이 회전형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가습기는 가습용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상단에 위치하는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링 형상의 테두리 부와, 상기 테두리 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조에 저장되는 물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 물 저장소를 구비하는 필터프레임; 및 상기 필터프레임의 내측에 장착되는 회전형 가습필터를 포함한다 종래의 회전형 가습장치는 본체의 내부에서 회전을 하며 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
도 1에 개시된 종래의 회전형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가습기는 가습용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상단에 위치하는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링 형상의 테두리 부와, 상기 테두리 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조에 저장되는 물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 물 저장소를 구비하는 필터프레임; 및 상기 필터프레임의 내측에 장착되는 회전형 가습필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회전형 가습장치는 본체의 내부에서 회전을 하며 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물을 공급받는 구조는 크게 2가지로 가습필터 프레임에 위치한 물 저장소로부터 물을 공급받거나 가습필터가 직접 물에 잠겨 물을 공급받는다. 후자의 경우 가습필터가 항상 물에 잠겨있어 가습량 제어가 불리하고 또한 미생물이나 곰팡이등이 번식 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물 저장소의 기밀정도에 따라 가습필터에 공급되는 적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물 저장소의 기밀유지를 위한 결합구조에 의하여 필터 프레임 분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0340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습필터에 물을 고르게 도포하여 가습량을 높이고, 필터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방법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필터부재(140)를 사이에 마련할 수 있는 전면 프레임(200) 및 후면 프레임(400); 일면에서 상기 후면 프레임(400)의 가장자리부가 결합되는 밀착홈(304) 및 타면에서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가장자리부가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300);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프레임(200)은 원주를 따라 측벽을 관통되도록 형성된 유입구(201) 및 내주면에서 상기 필터부재(140)을 향하여 형성된 유출구(202);를 갖고,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결합 프레임(300)에 결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201) 및 상기 유출구(202)와 각각 연통되는 공간인 저장공간(600);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중심에 형성된 제1중심부(210)와 상기 유출구(202)를 곡선으로 연결하는 제1리브(220);를 포함하는 가습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리브(220)는 중심부가 상기 가습 필터 어셈블리(110)가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휘어져 있으며 단면이 오목한 형상을 갖는 가습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리브(220)의 단부는 상기 유출구(202)의 일면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공간(60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유출구(202)를 통해 배수될 때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제1리브(220)를 따라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200)은 측벽에 형성된 유입구(201)에 인접하고 상기 유출구(202)를 향해 경사를 갖도록 상기 측벽의 제1림부측면(252)에 형성된 제1외륜부(251);를 포함하되, 상기 제1외륜부(251)의 단부와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제1내륜부(253) 사이가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201)와 상기 유출구(202)에 인접하면서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제1외륜부(251)와 상기 제1내륜부(253) 및 상기 제1림부측면(252)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격벽(203);을 포함하는 가습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외주면에는 기어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 프레임(300)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 프레임(300)은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2내륜부측면(306); 외주면을 형성하는 제2외륜부(305);를 포함하되, 상기 제2내륜부(303)와 상기 제2외륜부(305) 사이에는 상기 후면 프레임(400)의 가장자리부가 밀착하여 수용되는 밀착홈(304)이 형성된 가습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 프레임(300)은, 상기 제2내륜부(303)의 배면에서 원주를 따라 음각 처리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가장자리부의 일측이 끼움 결합되는 제2끼움홈(302); 상기 제2외륜부(305)의 배면에서 원주를 따라 음각 처리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가장자리부의 타측이 끼움 결합되는 제1끼움홈(301);를 포함하는 가습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미생물이나 곰팡이 등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어 청결이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필터에 골고루 물이 전달되므로 가습효과가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가습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습 필터 어셈블리(1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면 프레임(200)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습 필터 어셈블리(110)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면 프레임(200)의 작동 모습도로서 유입구(201)를 통해 물이저장공간(600)으로 저장되는 모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면 프레임(200)의 작동 모습도로서 유출구(202)를 통해 물이 제1리브(220)로 제공되는 모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습 필터 어셈블리(110)에서 필터부재(140)로 제공되는 물의 유속을 종래 기술과 비교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가습장치의 결합도이다.
가습 필터 어셈블리(110)는 저수조(816)에 올려져 회전 가능한 구조이며, 가습 필터 어셈블리(110)의 일부분은 저수조(816)에 저장되는 물에 잠길 수 있다.
물통(810)은 가습 필터 어셈블리(110)의 일측에서 저수조(816)에 물을 공급하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물통(810)은 저수조(816)에 연통되어 물통(810)에 저장된 물을 일정량 만큼 저수조(816)로 흘려 보내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저수조(816)에 저수되는 수위는 가습 필터 어셈블리(110)의 하단부가 잠길 수 있도록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구동부(720)는 가습 필터 어셈블리(110)와 치합되어 가습 필터 어셈블리(110)를 회전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습 필터 어셈블리(110)의 분해사시도이다.
전면 프레임(200)과 후면 프레임(400) 사이에는 결합 프레임(300)이 마련된다.
결합 프레임(300)의 림폭, 즉 결합 프레임(30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의 거리는 이하에서 설명될 저수조(816)에 고인 물의 깊이와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면 프레임(200)에는 외주면의 링을 이루는 제1림부(250)가 마련되고, 제1림부(250)의 일측면에는 기어가 형성된 기어부(230)를 갖는다.
한편, 전면 프레임(200)의 중심부에는 제1중심부(210)가 형성되고 있으며, 제1중심부(210)와 제1림부(250)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방향으로 만곡된 제1리브(220)가 연결되고 있다.
제1리브(220)는 스파이럴구조이며 상기 구조의 상세 내용은 후술한다.
보강링(240)은 제1리브(220)의 일지점을 연결하는 링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보강링(240)은 제1리브(220)를 보강하는 부재로 마련된다.
한편, 결합 프레임(300)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프레임(300)은 일측면에서 전면 프레임(200)이 결합되고 타측면에서는 후면 프레임(400)과 결합된다.
후면 프레임(400)은 중심부에 제2중심부(4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 프레임(400)의 외륜 내측벽과 제2중심부(410) 사이를 잇는 제2리브(420)가 형성되고 있다.
제2리브(420)는 전면 프레임(200)의 제1리브(220)와 동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리브(220)와 서로 포개어지는 위치에서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면 프레임(200)의 일부 확대도이다.
전면 프레임(200)은 외륜부의 최상단을 이루는 제1외륜부(251) 및 외륜부의 측벽을 이루는 제1림부측면(252), 그리고 내륜부를 이루면서 제1림부측면(252)에서 내측으로 원주를 따라 형성된 제1내륜부(253)을 갖는다.
제1외륜부(251)와 제1내륜부(253) 사이에는 격벽(203)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격벽(203)은 제1외륜부(251), 제1림부측면(252), 제1내륜부(253)에 각각 밀착되어 제1외륜부(251)와 제1내륜부(253) 사이 공간을 구획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격벽(203)은 제1내륜부(253)과 만나는 지점에 라운드부(205)를 갖는다.
한편, 격벽(203)은 제1내륜부(253)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라운드부(205)에는 유입구(201)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201)는 저수조(816)에 저수된 물이 유입되는 부분으로, 제1림부측면(252)에서 제1내륜부(253) 측에 인접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림부측면(252)에는 유입구(201)에 인접되어 가림판(204)가 설치되어 있다.
가림판(204)은 제1림부측면(252)에서 제1내륜부(253) 및 제1외륜부(251)에 대해 경사를 이루면서, 제1외륜부(251) 및 제1내륜부(253)와 각각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림판(204)은 유출구(202)를 향하여 경사를 이룬다.
다시 말해서, 가림판(204)과 제1내륜부(253) 사이에는 틈새(206)가 형성된다.
제1내륜부(253)에는 유입구(201)와 인접된 위치에서 유출구(202)가 형성되어 있다.
유출구(202)는 격벽(203)의 일단부로서 가림판(204)의 하측에 형성된 제1면(254), 유입구(201)의 하측에 형성된 제2면(255), 라운드부(205)에 인접된 제3면(256)으로 둘러싸여 개구부를 이룬다.
유출구(202)는 유입구(20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제1리브(220)를 따라 흘러 내리도록 배수되는 출구이다.
제1리브(220)는 제3면(256)에서 연장되는 제1안내면(221)과 제2면(255)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안내면(223)을 갖는다.
제1안내면(221)은 제1내륜부(253)와 평행하며, 제2안내면(223)은 제1림부측면(252)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20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유출구(202)를 통하여 제1안내면(221) 상면과 제2안내면(223) 측면을 타고 제1리브(220)를 따라 아래로 흘러 내릴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유입구(201)를 통해 유입된 물은 격벽(203)과 유출구(202), 제1외륜부(251)내벽, 그리고 제1내륜부(253)가 형성하는 공간에 임시적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수용되었던 물은 전면 프레임(200)이 회전함에 따라서 중력에 의해 가림판(204)과 제1내륜부(253) 사이 공간인 틈새(206)를 통해 빠져나와 유출구(202)를 통해 제1리브(220)로 흘러갈 수 있다.
제2안내면(223)은 유출구(202)를 통해 제1리브(220)로 흐르는 물을 안내하는 물길을 형성한다.
한편, 유입구(201), 유출구(202), 격벽(203), 가림판(204), 라운드부(205), 틈새(206)는 전면 프레임(200)의 원주를 따라서 일정 간격 반복하여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습 필터 어셈블리(110)의 일부 확대도이다.
필터부재(140)는 전면 프레임(200)과 후면 프레임(400) 사이에서 밀착되어 배치된다.
필터부재(140)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판형으로서 외주면 단부가 유출구(202)에 대향된다.
결합 프레임(300)은 전면 프레임(200)과 후면 프레임(400) 사이에 배치되어 전면 프레임(200) 및 후면 프레임(400)에 결합된다.
결합 프레임(300)는 후면 프레임(400)과 결합되는 면이 제2내륜부(303), 밀착홈(304), 제2외륜부(305)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 프레임(300)은 내주면을 이루는 제2내륜부측면(306)이 제2내륜부(303)로 연장되며, 결합 프레임(300)의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제2외륜부(305)와 제2내륜부(303) 사이에는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된 밀착홈(304)을 갖는다.
또한, 결합 프레임(300)은 배면에 결합 프레임의 후면부(307)를 갖는다.
한편, 결합 프레임(300)의 전면 프레임(200)과 결합되는 측면은 제2내륜부(303)를 향해 움푹 들어가 형성된 제2끼움홈(302)과, 제2외륜부(305)를 향해 움푹 들어가 홈이 형성된 제1끼움홈(301)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제2끼움홈(302)과 제1끼움홈(301)은 결합 프레임(300)의 원주를 따라서 결합 프레임(300)의 두께 방향으로 들어가 형성된 홈인 것이다.
제1끼움홈(301)과 제2끼움홈(302)에는 전면 프레임(200)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전면 프레임(200)이 제1끼움홈(301) 및 제2끼움홈(302)에 결합될 때 전면 프레임(200)에는 저장공간(600)이 형성된다.
저장공간(600)은 유입구(20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임시로 저장되는 공간이며, 임시 저장된 물은 유출구(202)를 통해 필터부재(140)에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밀착홈(304)과 후면 프레임(400)의 중심간 거리는 제1끼움홈(301)과 후면 프레임(400)의 중심간 거리 보다 작게 형성되고 있다.
제2끼움홈(302)과 후면 프레임(400)의 중심간 거리는 밀착홈(304)과 후면 프레임(400)의 중심간 거리 보다 크게 형성되고 있다.
전면 프레임(200)의 일측 외주면에는 기어부(23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습 필터 어셈블리(11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면 프레임(200)의 작동 모습도로서 유입구(201)를 통해 물이 저장공간(600)으로 저장되는 모습도이다.
저장공간(600)은 전면 프레임(200)의 최하부에 위치된다.
전면 프레임(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물론 반대측에서 관찰 경우 시계 방향일 것이나, 여기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상정하고 설명한다.
전면 프레임(200)은 하단 일부가 저수조(816)에 저수된 물에 잠겨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 프레임(200)의 하단부가 물에 잠기어 유입구(201)를 통해 물이 저장공간(600)으로 유입된다.
이 때, 가림판(204)은 제1외륜부(251) 및 제1내륜부(253)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시키고 있기 때문에 저장공간(600)으로 물이 저장될 때 보다 용이하게 저장될 수 있다.
저장공간(600)으로 저수된 물은 전면 프레임(2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격벽(203)에 막혀 더 이상 좌측으로 흘러가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저장공간(600)의 물은 유출구(202)를 통해서만 배수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면 프레임(200)의 작동 모습도로서 유출구(202)를 통해 물이 제1리브(220)로 제공되는 모습도이다.
전면 프레임(200)이 계속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저장공간(600)은 전면 프레임(200)의 최상단에 위치된다.
유입구(201)를 통해 유입되어 저장공간(600)에 저장된 물이 격벽(203)에 막혀 전면 프레임(200)의 우측으로 흘러 내리지 않는다.
저장공간(600)에 저장된 물은 가림판(204)의 안내를 받으면서 가림판(204)과 제1내륜부(253) 사이 틈을 통해 유출구(202)로 빠져 나간다.
다시 말해서 저장공간(600)에 임시 저장되었던 물은 유출구(202)를 통해 제1리브(220)를 타고 흘러 내릴 수 있는 것이다.
물이 제1리브(220)의 스파이럴 구조를 타고 흘러 내리기 때문에 제1리브(220)의 형상대로 전면 프레임(20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휘어져 흘러 내리게 되다가 다시 전면 프레임(200)의 중심을 향해 휘어져 흐르게 된다.
따라서, 유출구(202)를 통해 곧바로 수직 낙하하는 물도 물론 있지만 제1리브(220)를 따라 스파이럴 구조를 타고 휘어지면서 흘러 내리는 물이 필터부재(140)로 제공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전면 프레임(200)이 회전됨에 따라서 유출구(202)를 통해 필터부재(140)로 제공되는 물의 유속이 각각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부재(140)로 제공되는 물의 유속을 느리게 함으로써 필터부재(140)에 보다 고르게 물 제공이 가능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습 필터 어셈블리(110)에서 필터부재(140)로 제공되는 물의 유속을 종래 기술과 비교한 개략도이다.
회전형 가습장치가 (θ1)만큼 회전하였고, 물 저장소로부터 물이 공급될 때 물의 이동방향과 중심간 (θ2)각도가 생성된다.
이때 도 8 (a)와 같이 직선형 가이드의 경우 물의 속도는 V3= V1*COS(θ2)+V2*SIN(θ2)이다.
하지만 도 8 (b)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리브(220,420)의 고유한 형상에 의하여 V2*SIN(θ2)항의 방향이 반대가 되어, V5*SIN(θ2)*SIN(θ1)만큼 물이 낙하하는 속도를 줄이는 동시에, 리브(220,420)의 형상에 의하여 이동거리를 늘리게 되어 물이 필터의 더 넓은 면적을 지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가습 필터 어셈블리
140 : 필터부재
200 : 전면 프레임
202 : 유출구
210 : 제1중심부
220 : 제1리브
251 : 제1외륜부
252 : 제1림부측면
253 : 제1내륜부
300 : 결합 프레임
301 : 제1끼움홈
302 : 제2끼움홈
303 : 제2내륜부
304 : 밀착홈
305 : 제2외륜부
306 : 제2내륜부측면
400 : 후면 프레임
600 : 저장공간

Claims (9)

  1. 필터부재(140)를 사이에 마련할 수 있는 전면 프레임(200) 및 후면 프레임(400), 일면에서 상기 후면 프레임(400)의 가장자리부가 결합되는 밀착홈(304) 및 타면에서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가장자리부가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300)을 갖는 가습 필터 어셈블리(110);
    상기 전면 프레임(200)은 원주를 따라 측벽을 관통되도록 형성된 유입구(201) 및 내주면에서 상기 필터부재(140)을 향하여 형성된 유출구(202);를 갖고,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결합 프레임(300)에 결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201) 및 상기 유출구(202)와 각각 연통되는 공간인 저장공간(600);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중심에 형성된 제1중심부(210)와 상기 유출구(202)를 곡선으로 연결하는 제1리브(220)와;
    상기 후면 프레임(400)에는 중심부에 제2중심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중심부(410)와 상기 후면 프레임(400)의 외륜 내측벽 사이를 잇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1리브(220)와 서로 포개어지는 위치에서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리브(420);를 포함하는,
    가습 필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220)는,
    중심부가 상기 가습 필터 어셈블리(110)가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휘어져 있으며 단면이 오목한 형상을 갖는,
    가습 필터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220)의 단부는 상기 유출구(202)의 일면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공간(60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유출구(202)를 통해 배수될 때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제1리브(220)를 따라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필터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200)은,
    측벽에 형성된 유입구(201)에 인접하고 상기 유출구(202)를 향해 경사를 갖도록 상기 측벽의 제1림부측면(252)에 형성된 제1외륜부(251);를 포함하되,
    상기 제1외륜부(251)의 단부와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제1내륜부(253) 사이가 서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필터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201)와 상기 유출구(202)에 인접하면서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제1외륜부(251)와 상기 제1내륜부(253) 및 상기 제1림부측면(252)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격벽(203);을 포함하는,
    가습 필터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외주면에는 기어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필터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프레임(300)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필터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프레임(300)은,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2내륜부(303);
    외주면을 형성하는 제2외륜부(305);를 포함하되,
    상기 제2내륜부(303)와 상기 제2외륜부(305) 사이에는 상기 후면 프레임(400)의 가장자리부가 밀착하여 수용되는 밀착홈(304)이 형성된,
    가습 필터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프레임(300)은,
    상기 제2내륜부(303)의 배면에서 원주를 따라 음각 처리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가장자리부의 일측이 끼움 결합되는 제2끼움홈(302);
    상기 제2외륜부(305)의 배면에서 원주를 따라 음각 처리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200)의 가장자리부의 타측이 끼움 결합되는 제1끼움홈(301);를 포함하는,
    가습 필터 어셈블리.
KR1020150081108A 2015-06-09 2015-06-09 회전형 가습장치 KR101695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108A KR101695094B1 (ko) 2015-06-09 2015-06-09 회전형 가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108A KR101695094B1 (ko) 2015-06-09 2015-06-09 회전형 가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677A KR20160144677A (ko) 2016-12-19
KR101695094B1 true KR101695094B1 (ko) 2017-01-10

Family

ID=57735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108A KR101695094B1 (ko) 2015-06-09 2015-06-09 회전형 가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0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3303A (ja) 2009-08-05 2011-02-17 Panasonic Corp 加湿装置および加湿機能付空気清浄装置
JP2012042132A (ja) * 2010-08-19 2012-03-01 Sanyo Electric Co Ltd 加湿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686B1 (ko) * 2012-12-18 2019-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화식 가습기
KR102054286B1 (ko) 2013-07-19 2019-12-10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회전형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가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3303A (ja) 2009-08-05 2011-02-17 Panasonic Corp 加湿装置および加湿機能付空気清浄装置
JP2012042132A (ja) * 2010-08-19 2012-03-01 Sanyo Electric Co Ltd 加湿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677A (ko) 201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16923B (zh) 叶轮用导板及曝气搅拌机
JP2014186138A5 (ko)
JP2015139600A (ja) 部品および洗濯機
US20120111067A1 (en) Liquid additive dispensing apparatus for a washing machine
WO2015117529A1 (zh) 洗衣机
KR102054286B1 (ko) 회전형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가습기
CN104127125A (zh) 防溢水壶
KR101695094B1 (ko) 회전형 가습장치
US11214912B2 (en) Automatic detergent supply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EP2810921A1 (en) Water filter and humidifier having the same
KR102313301B1 (ko) 에어 워셔
JP6767765B2 (ja) 洗濯機
JP7420490B2 (ja) バルブとそれを用いた間欠塗工装置
JP2011519789A (ja) 回転可能なu字形の接続路を備えた分配器
KR102366398B1 (ko) 밀폐형 물 저장소를 갖는 회전형 가습장치
KR20180051171A (ko) 캐비테이션 저감형 디스크 및 이를 갖는 버터플라이 밸브
JP2015002836A (ja) 洗濯機
KR20130035542A (ko) 유로 조절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JP2014051831A (ja) 便器装置
TW201738428A (zh) 洗衣機
KR102669898B1 (ko) 가습공기청정기
US20050147491A1 (en) Pump with seal rinsing feature
JP2013204794A (ja) 逆止弁および給液システム
KR102666234B1 (ko) 가습공기청정기
TWI694211B (zh) 泵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