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196B1 - Gantry Machine - Google Patents

Gantry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196B1
KR101694196B1 KR1020150037684A KR20150037684A KR101694196B1 KR 101694196 B1 KR101694196 B1 KR 101694196B1 KR 1020150037684 A KR1020150037684 A KR 1020150037684A KR 20150037684 A KR20150037684 A KR 20150037684A KR 101694196 B1 KR101694196 B1 KR 101694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ucking
hollow
unit body
chu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6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12300A (en
Inventor
김현철
김용오
정준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50037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196B1/en
Publication of KR20160112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3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1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8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inger members
    • B25J15/1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inger members with three or more finge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3Tires

Abstract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은, 중공형 피이송물을 척킹하기 위해 중공형 피이송물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척킹 유닛(chucking unit); 및 척킹 유닛과 연결되며, 척킹 유닛을 위치 이동시키는 유닛 이동부를 포함하며, 척킹 유닛은, 유닛 바디; 유닛 바디의 외부에 배치되고 유닛 바디에 접근 또는 이격되며, 유닛 바디로부터 이격될 때 중공형 피이송물의 내벽에 척킹(chucking)되는 다수의 척(chuck); 및 다수의 척이 중공형 피이송물 내의 반경 방향으로 직진 운동되도록 유닛 바디와 다수의 척에 연결되어 다수의 척을 구동시키는 척 구동부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 gantry machine for conveying hollow material. A gantry machine for transporting a hollow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ucking unit that is partially insertable into a hollow article for chucking a hollow article; And a unit moving part connected to the chucking unit and for moving the chucking unit, the chucking unit comprising: a unit body; A plurality of chucks disposed outside of the unit body and approaching or spacing from the unit body and chuck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llow deliveries when spaced from the unit body; And a chuck driver connected to the unit body and the plurality of chucks to drive the plurality of chucks such that the plurality of chucks are linearly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in the hollow article.

Description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Gantry Machine}{Gantry Machine} A gantry machine for conveying a hollow-

본 발명은,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보다 콤팩트하면서 슬림(slim)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사이즈의 중공형 피이송물에 공용으로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즈가 작은 중공형 피이송물일지라도 척킹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특히 척킹 작업 시 직진성 확보가 용이하여 중공형 피이송물을 원활하게 척킹할 수 있는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ntry machine for conveying a hollow conveyed mat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ntry machine for conveying a hollow conveyed material, which is more compact and has a slim structure than the conventional gantry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ntry machine for carrying hollow bodies to be conveyed so that chucking can be carried out even if the hollow articles are small in size, and in particular, it is easy to ensure straightness during chucking operation so that hollow articles can be chucked smoothly.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은 중공형 피이송물, 즉 다양한 피이송물 중에서도 내부가 빈 이송물인 중공형 이송물을 척킹(chucking)하여 원하는 장소로 운반하는 장치를 일컫는다.A gantry machine for conveying a hollow conveyed material refers to a device for conveying a hollow conveyed matter, that is, a hollow conveyance, which is an empty conveyance, from among various conveyed objects to a desired place by chucking.

산업 전반에 걸쳐 중공형 피이송물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파이프(pipe)나 타이어(tire) 등이 중공형 피이송물에 해당될 수 있다.The form of the hollow delivery can be varied throughout the industry. For example, a pipe, a tire, or the like may correspond to a hollow conveyance.

중공형 피이송물은 공장 내에서 생산, 적재 또는 운반 등을 위해 원하는 장소로 운반되어야 한다.Hollow deliveries should be transported to the desired location for production, loading or transport within the plant.

한편, 바닥의 일측 제1 장소에 놓인 중공형 피이송물을 원하는 장소인 제2 장소로 운반시키려면 일단 제1 장소에 놓인 중공형 피이송물을 척킹해야 하고, 그 다음에 척킹된 중공형 피이송물을 제2 장소로 이동시켜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transport the hollow article placed on the first side of the floor to the second place as the desired place, the hollow article placed in the first place must be chucked, and then the chucked hollow article The transport must be moved to the second location.

따라서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에는 중공형 피이송물을 척킹하기 위한 척킹 유닛(chucking unit)이 적용되어 사용된다.Accordingly, a chucking unit for chucking the hollow conveyed material is used in the gantry machine for conveying the hollow conveyed material.

그런데, 종래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의 척킹 유닛은 그 구조가 슬림(slim)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척킹 구조의 한계로 인해 직진성이 확보되지 못하여 중공형 피이송물을 원활하게 척킹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hucking unit of the gantry machine for transporting a hollow-shaped conveyed object,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in the past, can not slim the structure of the gantry machine and can not ensure straightness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chucking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do.

또한 척킹 유닛은 여러 사이즈의 중공형 피이송물을 척킹할 수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기술에 적용되어 왔던 척킹 유닛의 경우에는 슬림하지 못하기 때문에 특히, 사이즈가 작은 중공형 피이송물의 척킹 작업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러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소할 수 있는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chucking unit must be capable of chucking hollow articles of various sizes, it is not slim in the case of the chucking unit which has been applied to the prior art, so that the chucking operation of the small-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ique for a gantry machine for transporting a hollow conveyance which can solve all of these problems.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7-0023060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pplication No. 10-1997-0023060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보다 콤팩트하면서 슬림(slim)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사이즈의 중공형 피이송물에 공용으로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즈가 작은 중공형 피이송물일지라도 척킹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특히 척킹 작업 시 직진성 확보가 용이하여 중공형 피이송물을 원활하게 척킹할 수 있는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llow-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ntry machine for transporting a hollow-shaped transported object, which is capable of smoothly chucking a hollow-shaped object to be conveyed while ensuring straightness of the chucking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공형 피이송물을 척킹하기 위해 상기 중공형 피이송물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척킹 유닛(chucking unit); 및 상기 척킹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척킹 유닛을 위치 이동시키는 유닛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척킹 유닛은, 유닛 바디; 상기 유닛 바디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닛 바디에 접근 또는 이격되며, 상기 유닛 바디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중공형 피이송물의 내벽에 척킹(chucking)되는 다수의 척(chuck); 및 상기 다수의 척이 상기 중공형 피이송물 내의 반경 방향으로 직진 운동되도록 상기 유닛 바디와 상기 다수의 척에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척을 구동시키는 척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ucking unit comprising: a chucking unit partially insertable into the hollow delivery to chuck the hollow delivery; And a unit moving unit connected to the chucking unit and for moving the chucking unit, the chucking unit comprising: a unit body; A plurality of chucks disposed outside of the unit body and approaching or spaced from the unit body and chuck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llow deliveries when spaced from the unit body; And a chuck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unit body and the plurality of chucks to drive the plurality of chucks so that the plurality of chucks are linearly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in the hollow deliveries. A gantry machine for water transport may be provided.

상기 척 구동부는, 상기 척킹 유닛이 상기 중공형 피이송물 내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유닛 바디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시 로드; 및 상기 푸시 로드, 상기 유닛 바디 및 상기 다수의 척에 연결되며, 상기 푸시 로드가 가압될 때, 상기 푸시 로드의 가압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척이 직진 운동되도록 하는 직진 운동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huck drive part is movably disposed in the unit body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chuck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hollow article; And a linear motion transmit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push rod, the unit body, and the plurality of chucks to cause the plurality of chucks to linearly mov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ushing direction of the push rod when the push rod is pressed can do.

상기 직진 운동 전달부는, 상기 푸시 로드로 연결되고 상기 유닛 바디의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캠 팔로워(cam follow); 양단부가 상기 척과 상기 캠 팔로워의 돌출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부재; 상기 유닛 바디의 외면에 마련되는 링크 지지구; 및 양단부가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 지지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rectilinear motion transmission portion includes: a cam follower connected to the push rod and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nit body; A first link member rotatably connected at both ends to protrusions of the chuck and the cam follower; A linkag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unit body; And a second link member having both end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linkage support, respectively.

상기 캠 팔로워에는 상기 푸시 로드와 함께 이동되는 가이드 롤러가 더 마련될 수 있다.The cam follower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roller which moves together with the push rod.

상기 유닛 바디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The unit body may be provided with a roller rail on which the guide roller is rotatably supported.

상기 롤러 레일은 상기 유닛 바디의 측벽에 절개된 절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roller rail may be formed by a cut-out portion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unit body.

상기 유닛 바디에는 상기 캠 팔로워가 노출되는 노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unit body may be formed with an exposure hole through which the cam follower is exposed.

상기 척 구동부는, 상기 푸시 로드와 상기 유닛 바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푸시 로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로드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uck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rod guide disposed between the push rod and the unit body and guiding movement of the push rod.

상기 직진 운동 전달부는 상기 유닛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inear motion transmission units may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body.

상기 푸시 로드의 노출 단부에는 가압 블록이 결합될 수 있다.A press block may be coupled to the exposed end of the push rod.

상기 다수의 척은 상기 유닛 바디를 기준으로 하여 삼각 구도로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hucks may be arranged in a triangular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the unit body.

상기 척은, 상기 중공형 피이송물의 내벽에 가압되면서 척킹되는 가압 척킹부; 및 상기 가압 척킹부의 양단부에서 상기 가압 척킹부에 교차되게 절곡되는 한 쌍의 스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huck comprises: a pressurizing chucking portion which is chucked whil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hollow article; And a pair of skirt portions bent at opposite ends of the pressure chucking portion so as to intersect the pressing chucking portion.

상기 척은, 상기 가압 척킹부 또는 상기 스커트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중공형 피이송물의 추락을 방지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uck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pressure chucking portion and the skirt portion, the stopper preventing the fall of the hollow article.

상기 척킹 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척킹 유닛에 상기 중공형 피이송물이 척킹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척킹 감지부; 및 상기 척킹 감지부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척킹 유닛 및 상기 유닛 이동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chucking sensing unit provided in the chuck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hollow article is chucked in the chuck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chucking unit and the unit moving unit based on information from the chucking sensing unit.

상기 유닛 이동부는,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갠트리 상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X축 이동부; 상기 X축 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X축에 교차되는 Y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Y축 이동부; 및 상기 척킹 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Y축 이동부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인 Z축 방향을 따라 상기 척킹 유닛을 이동시키는 Z축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형 피이송물은 타이어(tire)일 수 있다.The unit moving unit includes an X-axis moving unit movably provided on a pair of gantries arranged along the X-axis direction and moved along the X-axis direction; A Y axis moving unit connected to the X axis moving unit and moving along a Y axis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X axis; And a Z-axis moving unit that supports the chucking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Y-axis moving unit to move the chucking unit along a Z-axis dir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hollow- have.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보다 콤팩트하면서 슬림(slim)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사이즈의 중공형 피이송물에 공용으로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즈가 작은 중공형 피이송물일지라도 척킹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특히 척킹 작업 시 직진성 확보가 용이하여 중공형 피이송물을 원활하게 척킹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has a more compact and slim structure than the conventional one, it can be commonly applied to hollow-type deliveries of various sizes, and chuc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even if the hollow- In particular, it is easy to secure the straightness during chucking operation, so that the hollow conveyed material can be smoothly chucked.

도 1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는 척킹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척킹 작업 시의 척킹 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도 9 및 도 10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도 9 및 도 10의 측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각각 도 9 및 도 10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의 제어블록도이다.
FIGS. 1 to 8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a gantry machine for transporting a hollow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ucking unit.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ucking unit during chucking operation.
Figs. 11 and 12 are enlarged views of the essential parts of Figs. 9 and 10, respectively.
Figs. 13 and 14 are side views of Figs. 9 and 10, respectively.
Figs. 15 and 16 are plan views of Figs. 9 and 10, respectively.
17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gantry machine for transporting hollow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9는 척킹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척킹 작업 시의 척킹 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도 9 및 도 10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도 9 및 도 10의 측면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각각 도 9 및 도 10의 평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의 제어블록도이다.FIGS. 1 to 8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a gantry machine for conveying a hollow conveyed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ucking unit, Figs. 11 and 12 are enlarged views of the main parts of Figs. 9 and 10, Figs. 13 and 14 are side views of Figs. 9 and 10, respectively, FIG. 17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gantry machine for transporting hollow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은 종래보다 콤팩트하면서 슬림(slim)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사이즈의 중공형 피이송물에 공용으로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즈가 작은 중공형 피이송물일지라도 척킹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특히 척킹 작업 시 직진성 확보가 용이하여 중공형 피이송물을 원활하게 척킹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척킹 유닛(100, chucking unit)과, 척킹 유닛(100)과 연결되며, 척킹 유닛(100)을 위치 이동시키는 유닛 이동부(19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figures, since the gantry machine for carrying hollow bodie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more compact and slim structure than the conventional gantry machines, it can be commonly applied to hollow-type deliveries of various sizes, The chucking unit 100 can smoothly carry out the chucking operation even when the chucking unit 100 is a small hollow conveyed object. In particular, And a unit moving unit 190 connected to the unit 100 for moving the chucking unit 100.

앞서도 잠시 언급한 것처럼 중공형 피이송물은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종류, 예컨대 파이프(pipe)나 타이어(tire) 등일 수 있다.As previously mentioned, the hollow delivery may be of various types throughout the industry, such as pipes or tires.

본 실시예의 경우, 차량에 적용되는 타이어를 중공형 피이송물로 도시하고 있으나 중공형 피이송물이 반드시 타이어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즉 운반 대상으로서, 타이어처럼 내부가 빈 물품이라면 중공형 피이송물이 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tire to be applied to the vehicle is shown as a hollow delivery, but the hollow delivery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limited to a tire. That is, if the inside is empty, such as a tire, it can be a hollow article to be conveyed.

척킹 유닛(100)은 실질적으로 중공형 피이송물을 척킹하는 부분이다. 즉 척킹 유닛(100)은 중공형 피이송물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된 후에 그 위치에서 중공형 피이송물을 척킹할 수 있다.The chucking unit 100 is a portion that substantially chucks the hollow article. That is, the chucking unit 100 can chuck the hollow article at that location after being partially inserted into the hollow article.

본 실시예에서 척킹 유닛(100)은 종래와 달리 슬림한 구조를 갖는데, 일단은 유닛 이동부(190)의 구조를 먼저 설명한 다음에 척킹 유닛(100)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hucking unit 100 has a slim structure unlike the prior art. One end of the chucking unit 100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n the chucking uni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유닛 이동부(19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킹 유닛(100)과 연결되며, 척킹 유닛(100)을 위치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unit moving unit 190 is connected to the chucking unit 100 and serves to move the chucking unit 100, as shown in FIGS.

즉 바닥의 일측 제1 장소(도 1 참조)에 놓인 중공형 피이송물을 척킹 유닛(100)이 척킹하여 원하는 장소인 제2 장소(도 8 참조)로 운반시키기 위하여 유닛 이동부(190)가 마련된다.(See FIG. 8) for chucking and chucking the chucking unit 100 to a desired location, as shown in FIG. 8, .

이러한 유닛 이동부(190)는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갠트리(191) 상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X축 이동부(192)와, X축 이동부(192)에 연결되며, X축에 교차되는 Y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Y축 이동부(193)와, 척킹 유닛(100)을 지지하며, Y축 이동부(193)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인 Z축 방향을 따라 척킹 유닛(100)을 이동시키는 Z축 이동부(194)를 포함한다.The unit moving unit 190 includes an X-axis moving unit 192 that is movably provided on a pair of gantries 191 disposed along the X-axis direction and moves along the X-axis direction, and an X-axis moving unit 192 A Y-axis moving unit 193 which is moved along the Y-axis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X-axis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Y-axis moving unit 193 to support the chucking unit 100, And a Z-axis moving unit 194 for moving the chucking unit 100 along the Y-axis.

이에, 도 1 내지 도 8처럼 X축 이동부(192) 및 Y축 이동부(193)가 동작되어 척킹 유닛(100)을 바닥의 일측 제1 장소에 놓인 중공형 피이송물의 상부로 위치 이동시키고 나면 Z축 이동부(194)가 동작되어 중공형 피이송물을 척킹하여 픽 업(pick up)하게 되며, 이후 X축 이동부(192) 및 Y축 이동부(193)가 다시 동작되어 척킹 유닛(100)을 제2 장소로 이동시킨 다음, Z축 이동부(194)가 동작되어 중공형 피이송물을 척킹하여 픽 다운(pick down)할 수 있다.1 to 8, the X-axis moving unit 192 and the Y-axis moving unit 193 are operated to move the chucking unit 10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article to be placed on the first side of the floor The Z-axis moving unit 194 is operated to chuck up the hollow article to be picked up. Thereafter, the X-axis moving unit 192 and the Y-axis moving unit 193 are operated again, The Z-axis moving unit 194 may be operated to chuck the hollow article to be picked down after moving the hollow article 100 to the second position.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척킹 유닛(100)이 종전과 달리 콤팩트하면서 슬림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사이즈가 작은 중공형 피이송물일지라도 척킹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특히 척킹 작업 시 직진성 확보가 용이하여 중공형 피이송물을 원활하게 척킹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chucking unit 100 has a compact and slim structure, the chucking unit 100 can perform the chucking operation even in the case of a hollow article having a small size. In particular, Type conveyed object can be smoothly chucked.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 개가 상하로 포개져 있는 다수의 타이어, 예컨대 6장의 타이어를 한 번에 척킹하여 제2 장소로 운반하고 있으나 도면과 달리 타이어를 하나씩 운반할 수도 있다.For referenc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tires, for example, six tires stacked one on top of the other are chucked at one time and transported to the second place. However, unlike the drawings, the tires may be transported one by one.

한편, 척킹 유닛(100)은 실질적으로 중공형 피이송물을 척킹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척킹 유닛(100)은 유닛 바디(110), 다수의 척(120, chuck), 그리고 척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ucking unit 100 serves to chuck the substantially hollow article. The chucking unit 100 may include a unit body 110, a plurality of chucks 120, and a chuck driving unit 130.

우선, 유닛 바디(110)는 척킹 유닛(100)의 중심 기둥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유닛 바디(110)는 롤러 레일(111)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파이프(pipe) 타입의 구조물로 마련될 수 있다.First, the unit body 110 forms the central pillar of the chucking unit 100. In this embodiment, the unit body 110 may be provided as a pipe-type structure as a whole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roller rail 111 is formed.

다음으로, 다수의 척(120)은 유닛 바디(110)의 외부에 배치되고 척 구동부(130)에 의해서 유닛 바디(110)에 접근(도 9, 도 11 및 도 13 참조) 또는 이격(도 10, 도 12 및 도 14 참조)되는 구조물이다.Next, a plurality of chucks 120 are disposed outside the unit body 110 and are moved toward the unit body 110 (see Figs. 9, 11 and 13)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chuck driving unit 130 , Figs. 12 and 14).

다수의 척(120)이 유닛 바디(110)로부터 이격될 때(도 10, 도 12 및 도 14 참조) 중공형 피이송물의 내벽에 척킹(chucking)됨으로써, 척킹 유닛(100)이 실질적으로 중공형 피이송물을 척킹할 수 있도록 한다.When a plurality of chucks 120 are spaced from the unit body 110 (see FIGS. 10, 12 and 14), the chucking unit 100 is chuck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llow article, So that the conveyed object can be chucked.

이러한 척(120)은 중공형 피이송물의 내벽에 가압되면서 척킹되는 가압 척킹부(121)와, 가압 척킹부(121)의 양단부에서 가압 척킹부(121)에 교차되게 절곡되는 한 쌍의 스커트부(122)를 포함한다.The chuck 120 includes a pressurizing chucking portion 121 that is chucked whil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hollow article to be conveyed and a pair of skirts 120 that are bent to cross the pressurizing chucking portion 121 at both ends of the pressurizing chucking portion 121. [ (Not shown).

한 쌍의 스커트부(122)가 마련됨에 따라 후술한 직진 운동 전달부(150)의 제1 및 제2 링크부재(152,154)를 부분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제1 및 제2 링크부재(152,154)의 동작 시 간섭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The pair of skirt portions 122 are provided to partially protect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52 and 154 of the rectilinear motion transmitting portion 150 described later and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52 and 154, An interference phenomenon does not occur.

본 실시예에서 척(120)은 유닛 바디(11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마련된다. 이처럼 척(120)이 길게 배치됨으로써, 적재된 다수의 파이프를 한 번에 척킹하여 운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huck 120 is provided to be relative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unit body 110. Since the chuck 120 is long, the plurality of pipes can be chucked and transported at a time.

특히, 다수의 척(120)은 유닛 바디(110)를 기준으로 하여 삼각 구도로 배치되는데, 이처럼 120도씩 이격된 다수의 척(120)이 중공형 피이송물의 내벽에 가압되면서 중공형 피이송물을 척킹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중공형 피이송물을 척킹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a plurality of chucks 120 are arranged in a triangular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the unit body 110. A plurality of chucks 120 spaced apart by 120 degrees are pressed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hollow conveyed object,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ollow material can be chucked stably.

척(120)의 하단부에는 척(120)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게 절곡된 스토퍼(123)가 마련된다.A stopper 123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huck 120 so as to intersect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uck 120.

스토퍼(123)는 중공형 피이송물의 추락을 방지시키는 걸림턱 역할을 담당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스토퍼(123)가 가압 척킹부(121)에서 돌출 형성되지만 스토퍼(123)는 스커트부(122)에서 돌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stopper 123 serves as a latching jaw for preventing the fall of the hollow article. 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123 is protruded from the pressurizing chucking portion 121, but the stopper 123 may be protruded from the skirt 122.

마지막으로, 척 구동부(130)는 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할 때, 다수의 척(120)이 중공형 피이송물 내의 반경 방향으로 직진 운동되도록 유닛 바디(110)와 다수의 척(120)에 연결되어 다수의 척(120)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11 and 12, the chuck driving unit 130 includes a unit body 110 and a plurality of chucks 120 (not shown) such that a plurality of chucks 120 are linearly moved in a radial direction in the hollow article, To drive a plurality of chucks 120.

이러한 척 구동부(130)는 푸시 로드(140)와, 직진 운동 전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uck driving part 130 may include a push rod 140 and a linear motion transmitting part 150.

푸시 로드(140)는 척킹 유닛(100)이 중공형 피이송물 내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유닛 바디(110)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막대형 구조물이다.The push rod 140 is a rod-like structure that is movably disposed within the unit body 110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chucking unit 10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delivery.

푸시 로드(140)가 A 방향(도 14 참조)으로 가압될 때, 직진 운동 전달부(150)의 작용에 의해 척(120)들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직진 운동되면서 중공형 피이송물의 내벽에 밀착되어 척킹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 척킹이 해제될 수 있다.When the push rod 140 is pressed in the direction A (see Fig. 14), the chucks 120 are linearly moved radially outward by the action of the rectilinear motion transmitting portion 150, and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hollow article And in the opposite case, the chucking can be released.

이처럼 푸시 로드(140)가 A 방향(도 14 참조)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푸시 로드(140)의 노출 단부에는 가압 블록(141)이 결합된다. 가압 블록(141)에 예컨대, 액추에이터 등이 연결될 수 있다.The press block 141 is coupled to the exposed end of the push rod 140 so that the push rod 140 can be pressed in the A direction (see Fig. 14). For example, an actuator or the like may be connected to the pressurizing block 141.

그리고 푸시 로드(140)가 A 방향(도 14 참조)으로 잘 가압될 수 있고 또한 원위치로 잘 복귀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의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에는 로드 가이드(115)가 마련된다.A rod guide 115 is provided in the gantry machine for carrying hollow bodies of the present embodiment so that the push rod 140 can be pressed well in the A direction (see Fig. 14) and can be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well.

로드 가이드(115)는 푸시 로드(140)와 유닛 바디(110) 사이에 배치되며, 푸시 로드(14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로드 가이드(115)는 푸시 로드(140)의 상단부 영역 일측에만 마련될 수 있다.The rod guide 115 is disposed between the push rod 140 and the unit body 110 and guides the push rod 140 to move. The rod guide 115 may be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region of the push rod 140.

한편, 직진 운동 전달부(150)는 푸시 로드(140), 유닛 바디(110) 및 다수의 척(120)에 연결되는 기계식 구조물로서, 푸시 로드(140)가 가압될 때, 푸시 로드(140)의 가압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척(120)이 직진 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linear motion transfer unit 150 is a mechanical structure connected to the push rod 140, the unit body 110 and the plurality of chucks 120. When the push rod 140 is pressed, So that a plurality of chucks 120 are linearly mov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chuck 120.

다시 말해, 푸시 로드(140)가 A 방향(도 14 참조)으로 가압될 경우, 다수의 척(120)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직진 운동되면서 중공형 피이송물의 내벽에 밀착되어 척킹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척킹 작업 시 직진성 확보가 용이하기 때문에 종전과 달리 중공형 피이송물을 원활하게 척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push rod 140 is pressed in the A direction (see Fig. 14), the plurality of chucks 120 can be chucked tightly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hollow article while linearly moving radially outward.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it is easy to secure the straightness during the chuck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chuck the hollow article to be delivered.

본 실시예에서 직진 운동 전달부(150)는 유닛 바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된다. 이는 유닛 바디(110)뿐만 아니라 척(120)들의 길이가 길기 때문인데, 만약 유닛 바디(110)와 척(120)들을 짧은 것으로 사용한다면 직진 운동 전달부(150)는 하나만 적용되어도 충분할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linear motion transmission parts 150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body 110. This is because the length of the chucks 120 as well as the unit body 110 is long. If the unit body 110 and the chucks 120 are short, only one rectilinear motion transfer unit 150 may be applied.

이러한 직진 운동 전달부(150)는 캠 팔로워(151, cam follow), 제1 링크부재(152), 링크 지지구(153), 그리고 제2 링크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tilinear motion transfer unit 150 may include a cam follower 151, a first link member 152, a linkage support member 153, and a second link member 154.

캠 팔로워(151)는 푸시 로드(140)로 연결되어 푸시 로드(140)와 함께 동작되는 구조물이다. 유닛 바디(110)에는 상기 캠 팔로워(151)가 노출되는 노출공(112)이 형성될 수 있다.The cam follower 151 is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push rod 140 and operated together with the push rod 140. The unit body 110 may be formed with an exposure hole 112 through which the cam follower 151 is exposed.

캠 팔로워(151)는 유닛 바디(110)의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즉 캠 팔로워(151)의 돌출부(151a)와 가이드 롤러(151b)는 유닛 바디(110)의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된다.The cam follower 151 is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nit body 110. [ That is, the protrusion 151a of the cam follower 151 and the guide roller 151b are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nit body 110.

본 실시예의 경우, 3개의 척(120)들이 적용되기 때문에 돌출부(151a)와 가이드 롤러(151b) 역시 3쌍이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ree chucks 120 are used, three pairs of protruding portions 151a and guide rollers 151b may be provided.

돌출부(151a)는 제1 링크부재(152)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장소를 형성한다.The protrusion 151a forms a place where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152 is rotatably connected.

그리고 가이드 롤러(151b)는 푸시 로드(140)와 함께 이동되면서 푸시 로드(14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유닛 바디(110)에는 가이드 롤러(151b)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 레일(111)이 형성된다. 이때, 롤러 레일(111)은 유닛 바디(110)의 측벽에 절개된 절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roller 151b is moved together with the push rod 14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push rod 140. [ The unit body 110 is formed with a roller rail 111 on which a guide roller 151b is rotatably supported. At this time, the roller rail 111 may be formed by a cutout portion cut in a side wall of the unit body 110. [

제1 링크부재(152)는 양단부가 척(120)과 캠 팔로워(151)의 돌출부(151a)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막대형 부재이다.The first link member 152 is a rod-shaped member whose both ends are pivotally connected to the chuck 120 and the projection 151a of the cam follower 151, respectively.

링크 지지구(153)는 유닛 바디(110)의 외면에 결합되어 제2 링크부재(154)를 지지하는 일종의 브래킷이다.The link support member 153 is a kind of bracke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nit body 110 to support the second link member 154.

제2 링크부재(154)는 양단부가 제1 링크부재(152)와 링크 지지구(153)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막대형 부재이다.The second link member 154 is a rod-like member whose both ends are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152 and the linkage support 153, respectively.

척킹 감지부(170)는 척킹 유닛(100)에 마련되며, 척킹 유닛(100)에 중공형 피이송물이 척킹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이때는 중공형 피이송물의 유무를 감지할 수도 있고 직진 운동 전달부(150)의 동작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The chucking sensing unit 170 is provided in the chucking unit 100 and detects whether or not the hollow article is chucked in the chucking unit 100. [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ollow article to be conveyed and to detect the operation of the rectilinear motion transfer unit 150.

마지막으로, 컨트롤러(180)는 척킹 감지부(170)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척킹 유닛(100)과, 유닛 이동부(190)의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Finally, the controller 18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hucking unit 100 and the unit moving unit 190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chucking sensing unit 170. [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performing such a role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181 (CPU), a memory 182 (MEMORY), and a support circuit 183 (SUPPORT CIRCUIT).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척킹 감지부(170)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척킹 유닛(100)과, 유닛 이동부(19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8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hucking unit 100 and the unit moving unit 190 based on information from the chucking sensing unit 170 in this embodiment by various industrial computer processors Lt; / RTI >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The memory 182 (MEMORY)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81. The memory 182 may be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be located locally or remotely and may be any of various types of storage devices, including, for example, random access memory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At least one or more memories.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circuit 183 (SUPPORT CIRCUIT) is coupled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81 to support the typical operation of the processor. The support circuit 183 may include a cache, a power supply, a clock circuit, an input / output circuit, a subsystem,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척킹 감지부(170)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척킹 유닛(100)과, 유닛 이동부(19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80)가 척킹 감지부(170)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척킹 유닛(100)과, 유닛 이동부(19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hucking unit 100 and the unit moving unit 190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chucking sensing unit 170. At this time, a series of processes or the like in which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hucking unit 100 and the unit moving unit 190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chucking sensing unit 170 can be stored in the memory 182 have. Typically, a software routin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82. The software routines may also be stored or executed by other central processing units (not shown).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proce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software routines, it is also possible that at least some of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hardware.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As such,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executed on a computer system, or in hardware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or in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gantry machine for conveying hollow 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1처럼 X축 이동부(192) 및 Y축 이동부(193)가 동작되어 척킹 유닛(100)을 바닥의 일측 제1 장소에 놓인 중공형 피이송물의 상부로 위치 이동시킨다.First, the X-axis moving part 192 and the Y-axis moving part 193 are operated as shown in FIG. 1 to move the chucking unit 100 to the upper part of the hollow article to be placed on the first side of the floor.

이어, 도 2처럼 Z축 이동부(194)가 동작되어 척킹 유닛(100)이 다운(down)되어 중공형 피이송물 내로 삽입되도록 한다.Next, as shown in FIG. 2, the Z-axis moving unit 194 is operated to cause the chucking unit 100 to be downwardly inserted into the hollow conveyed object.

척킹 유닛(100)이 중공형 피이송물 내로 삽입되고 나면 컨트롤러(180)에 의해 푸시 로드(140)가 A 방향(도 14 참조)으로 가압된다.Once the chucking unit 10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delivery, the pushrod 140 is urged by the controller 180 in direction A (see FIG. 14).

푸시 로드(140)가 A 방향(도 14 참조)으로 가압되면 직진 운동 전달부(150)의 작용에 의해 척(120)들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직진 운동되면서, 다시 말해 제1 및 제2 링크부재(152,154)들이 펼쳐져서 척(120)들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직진 운동되면서 중공형 피이송물의 내벽에 밀착되어 척킹될 수 있다(도 3 참조).When the push rod 140 is pressed in the A direction (see FIG. 14), the chucks 120 are rectilinearly moved radially outward by the action of the rectilinear motion transmitting portion 150,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152 and 154 are unfolded so that the chucks 120 are linearly mov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so as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llow article to be chucked (see FIG. 3).

이처럼 척킹 유닛(100)이 중공형 피이송물 내에서 척킹 유닛(100)이 중공형 피이송물을 척킹하면 Z축 이동부(194)가 동작되어 척킹 유닛(100)이 업(up) 동작되면(도 4 참조), 이후에 X축 이동부(192) 및 Y축 이동부(193)가 다시 동작되어 척킹 유닛(100)을 제2 장소로 이동시킨다(도 5 및 도 6 참조).When the chucking unit 100 chucks the hollow article in the hollow conveyed objec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Z-axis moving unit 194 is operated to operate the chucking unit 100 up (See FIG. 4). Thereafter, the X-axis moving unit 192 and the Y-axis moving unit 193 are operated again to move the chucking unit 100 to the second position (see FIGS. 5 and 6).

그런 다음, Z축 이동부(194)가 동작되어 중공형 피이송물을 척킹하여 픽 다운(pick down)한 후(도 7 참조), 척킹을 해제하고(도 8 참조), 전술한 역동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다음의 중공형 피이송물을 다시 척킹한다.Then, the Z-axis moving section 194 is operated to chuck the hollow article to be picked down (see FIG. 7), and then the chucking is released (see FIG. 8) Returning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n chucking the next hollow delivery.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보다 콤팩트하면서 슬림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사이즈의 중공형 피이송물에 공용으로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즈가 작은 중공형 피이송물일지라도 척킹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특히 척킹 작업 시 직진성 확보가 용이하여 중공형 피이송물을 원활하게 척킹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such a structure and action, since it has a more compact and slim structure than the conventional one, it can be commonly applied to hollow-shaped deliveries of various sizes, and even if the hollow- In particular, it is easy to secure the straightness during the chucking operation, so that the hollow conveyed material can be smoothly chuck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척킹 유닛 110 : 유닛 바디
111 : 롤러 레일 112 : 노출공
115 : 로드 가이드 120 : 척
121 : 가압 척킹부 122 : 스커트부
123 : 스토퍼 130 : 척 구동부
140 : 푸시 로드 141 : 가압 블록
150 : 직진 운동 전달부 151 : 캠 팔로워
151a : 돌출부 151b : 가이드 롤러
152 : 제1 링크부재 153 : 링크 지지구
154 : 제2 링크부재 170 : 척킹 감지부
180 : 컨트롤러 190 : 유닛 이동부
191 : 갠트리 192 : X축 이동부
193 : Y축 이동부 194 : Z축 이동부
100: chucking unit 110: unit body
111: roller rail 112: exposed roller
115: load guide 120: chuck
121: pressure chucking part 122: skirt part
123: stopper 130: chuck drive part
140: push rod 141: pressure block
150: linear motion transfer unit 151: cam follower
151a: protruding portion 151b: guide roller
152: first link member 153: linkage region
154: second link member 170:
180: controller 190:
191: Gantry 192: X-axis moving part
193: Y-axis moving unit 194: Z-axis moving unit

Claims (15)

중공형 피이송물을 척킹하기 위해 상기 중공형 피이송물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척킹 유닛(chucking unit); 및
상기 척킹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척킹 유닛을 위치 이동시키는 유닛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척킹 유닛은,
유닛 바디;
상기 유닛 바디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닛 바디에 접근 또는 이격되며, 상기 유닛 바디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중공형 피이송물의 내벽에 척킹(chucking)되는 다수의 척(chuck); 및
상기 다수의 척이 상기 중공형 피이송물 내의 반경 방향으로 직진 운동되도록 상기 유닛 바디와 상기 다수의 척에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척을 구동시키는 척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척 구동부는,
상기 척킹 유닛이 상기 중공형 피이송물 내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유닛 바디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시 로드;
상기 푸시 로드, 상기 유닛 바디 및 상기 다수의 척에 연결되며, 상기 푸시 로드가 가압될 때, 상기 푸시 로드의 가압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척이 직진 운동되도록 하는 직진 운동 전달부; 및
상기 푸시 로드와 상기 유닛 바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푸시 로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로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
A chucking unit partially insertable into the hollow delivery to chuck the hollow delivery; And
And a unit moving unit connected to the chucking unit and for moving the chucking unit,
The chucking unit includes:
Unit body;
A plurality of chucks disposed outside of the unit body and approaching or spaced from the unit body and chuck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llow deliveries when spaced from the unit body; And
And a chuck driver connected to the unit body and the plurality of chucks to drive the plurality of chucks so that the plurality of chucks are linearly moved in a radial direction in the hollow article,
The chuck driver,
A push rod movably disposed within the unit body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chuck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hollow deliveries;
A linear motion transmit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push rod, the unit body and the plurality of chucks to cause the plurality of chucks to linearly mov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ushing direction of the push rod when the push rod is pressed; And
And a rod guide disposed between the push rod and the unit body and guiding movement of the push ro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 운동 전달부는,
상기 푸시 로드로 연결되고 상기 유닛 바디의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캠 팔로워(cam follow);
양단부가 상기 척과 상기 캠 팔로워의 돌출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부재;
상기 유닛 바디의 외면에 마련되는 링크 지지구; 및
양단부가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 지지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tilinear motion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cam follower connected to the push rod and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nit body;
A first link member rotatably connected at both ends to protrusions of the chuck and the cam follower;
A linkag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unit body; And
And a second link member having both end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linkage support, respectively. ≪ Desc / Clms Page number 19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 팔로워에는 상기 푸시 로드와 함께 이동되는 가이드 롤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am follow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roller which moves together with the push ro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바디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 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nit body is formed with a roller rail on which the guide roller is rotatably supported. ≪ Desc / Clms Page number 19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레일은 상기 유닛 바디의 측벽에 절개된 절개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oller rail is formed by a cut-out portion cut in the side wall of the unit body. ≪ RTI ID = 0.0 > 21. < / RTI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바디에는 상기 캠 팔로워가 노출되는 노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nit body is formed with an exposure hole through which the cam follower is exposed. ≪ RTI ID = 0.0 > 21. < / RTI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 운동 전달부는 상기 유닛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linear motion transfer units ar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의 노출 단부에는 가압 블록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ush block is coupled to the exposed end of the push rod. ≪ Desc / Clms Page number 13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척은 상기 유닛 바디를 기준으로 하여 삼각 구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chucks are arranged in a triangular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the unit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은,
상기 중공형 피이송물의 내벽에 가압되면서 척킹되는 가압 척킹부; 및
상기 가압 척킹부의 양단부에서 상기 가압 척킹부에 교차되게 절곡되는 한 쌍의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huck may include:
A pressurizing chucking portion which is chucked whil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hollow article; And
And a pair of skirt portions bent at opposite ends of the pressure chucking portion so as to intersect the pressing chucking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척은,
상기 가압 척킹부 또는 상기 스커트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중공형 피이송물의 추락을 방지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huck may include: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pressure chucking portion and the skirt portion to prevent a fall of the hollow conveyed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 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척킹 유닛에 상기 중공형 피이송물이 척킹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척킹 감지부; 및
상기 척킹 감지부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척킹 유닛 및 상기 유닛 이동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hucking sensing unit provided in the chuck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hollow article is chucked in the chucking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chucking unit and the unit moving unit based on information from the chucking sens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이동부는,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갠트리 상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X축 이동부;
상기 X축 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X축에 교차되는 Y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Y축 이동부; 및
상기 척킹 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Y축 이동부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인 Z축 방향을 따라 상기 척킹 유닛을 이동시키는 Z축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형 피이송물은 타이어(ti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피이송물 운반용 갠트리 머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moving unit includes:
An X-axis moving unit movably provided on a pair of gantries arranged along the X-axis direction and moved along the X-axis direction;
A Y axis moving unit connected to the X axis moving unit and moving along a Y axis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X axis; And
And a Z-axis moving unit that supports the chucking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Y-axis moving unit and moves the chucking unit along a vertical Z-axis direction,
Wherein the hollow article is a tire. ≪ RTI ID = 0.0 > 21. < / RTI >
KR1020150037684A 2015-03-18 2015-03-18 Gantry Machine KR1016941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684A KR101694196B1 (en) 2015-03-18 2015-03-18 Gant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684A KR101694196B1 (en) 2015-03-18 2015-03-18 Gantry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300A KR20160112300A (en) 2016-09-28
KR101694196B1 true KR101694196B1 (en) 2017-01-09

Family

ID=5710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684A KR101694196B1 (en) 2015-03-18 2015-03-18 Gantry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1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4044A (en) * 2018-10-29 2019-02-26 德马科起重机械有限公司 A kind of high load tire intelligent stacker
US11805357B2 (en) 2020-12-02 202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eaker module
KR20230134908A (en) * 2022-03-15 2023-09-22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Tire chucking apparatus
CN115649800B (en) * 2022-12-28 2023-12-19 广州普华灵动机器人技术有限公司 Automatic intelligent storage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5014A (en) * 2008-03-11 2009-09-24 Ishikame Kogyo:Kk Lifting tool pressed to inner circumference surface of annular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6413Y2 (en) * 1992-05-27 1996-08-07 小野谷機工株式会社 Tire hanger device
KR970023060A (en) 1995-10-12 1997-05-30 배순훈 Broadcast Voice Playback Control Method in Pause Mode of Video Tape
KR101006743B1 (en) * 2008-06-24 2011-01-10 주식회사신흥기계 Gripper tool for gant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5014A (en) * 2008-03-11 2009-09-24 Ishikame Kogyo:Kk Lifting tool pressed to inner circumference surface of annular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300A (en)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196B1 (en) Gantry Machine
US10351362B2 (en) Transfer apparatus and article taking-out method
JP2019043753A5 (en)
KR101722436B1 (en) Gantry Machine
JP2005350201A (en) Object carrying device
CN206939874U (en) Clamping device
JP2016203294A (en) Method and device for carrying out workpiece and adsorption pad device
JP2015044542A (en) Shock absorber for transportation carriage
JP6426786B2 (en) Transport device
TWM613277U (en) Article container transfer device
JP2016055406A (en) Workpiece carrying method and device
JP2009102101A (en) Pallet conveying device
JP2019181355A (en) Ultrasonic cleaning method and ultrasonic cleaning device of object to be cleaned
JP2010184792A (en) Pallet carrying device and carrying method
CN105216126B (en) Base plate processing device
JP6551390B2 (en) Transport device
CN113167633B (en) Article handling apparatus
JP5873730B2 (en) Distribution rack equipment
JP2007246259A (en) Method of delivering cassette in stacker crane
JP5293560B2 (en) Trolley feeder
JP6365230B2 (en) Transport device
JP2017190230A (en) Conveyor device and automated warehouse
JP3927933B2 (en) Conveyor centering device
KR101138058B1 (en) Carrier transfer apparatus using conveyor belt
JP2007062984A (en) Lifter device capable of temporarily storing carried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