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445B1 - 퇴적 준설물질 내의 쓰레기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퇴적물 정화방법 - Google Patents

퇴적 준설물질 내의 쓰레기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퇴적물 정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445B1
KR101693445B1 KR1020160003035A KR20160003035A KR101693445B1 KR 101693445 B1 KR101693445 B1 KR 101693445B1 KR 1020160003035 A KR1020160003035 A KR 1020160003035A KR 20160003035 A KR20160003035 A KR 20160003035A KR 101693445 B1 KR101693445 B1 KR 101693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dged material
treatment tank
storage tank
tank
dred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곤
Original Assignee
(주)신대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대양 filed Critical (주)신대양
Priority to KR1020160003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4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mechanical class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 또는 호수, 하천의 퇴적 준설물질로부터 쓰레기를 제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퇴적물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해수 또는 호수, 하천의 퇴적 준설물질로부터 비닐, 섬유 등의 저비중 쓰레기를 부상시켜 제거하는 퇴적 준설물질 내의 쓰레기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퇴적물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퇴적 준설물질 내의 쓰레기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퇴적물 정화방법{Removal device of gabage for dredged sediments and method for purifying contaminated sedi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해수 또는 호수, 하천의 퇴적 준설물질로부터 쓰레기를 제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퇴적물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해수 또는 호수, 하천의 퇴적 준설물질로부터 비닐, 섬유 등의 저비중 쓰레기를 부상시켜 제거하는 퇴적 준설물질 내의 쓰레기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퇴적물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폐기물 등에 의해 해저 또는 하수 퇴적물은 중금속, 난분해성유기오염물 등의 오염물로 오염되어 있다. 특히, 퇴적물을 구성하는 토양의 입자 중 입경이 작은 실트, 점토, 슬러리 등은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오염물과의 결합이 용이하여 상대적으로 입경이 큰 모래, 자갈 등에 비해 오염도가 높고, 또한 결합된 오염물의 분리가 곤란하다.
따라서, 종래 오염 퇴적물의 정화기술은 퇴적물을 구성하는 토양을 입도별로 분리하여 상대적으로 오염도가 높은 실트, 점토, 슬러리에 대한 정화를 집중적으로 수행하고, 토양의 입도분리를 위한 장치로서 다단 스크린, 다단 사이클론 등을 이용한다.
그런데, 준설물질 내에는 비중이 낮은 비닐, 섬유, 플라스틱 등의 쓰레기가 다량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저비중 쓰레기는 토양의 입도분리시 다단 스크린 등의 메쉬(mesh)를 막아 토양 입도분리의 효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퇴적 준설물질 내의 저비중 쓰레기를 연속공정을 통해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전체적인 정화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연속공정을 통해 퇴적 준설물질 내의 비닐, 섬유, 플라스틱 등의 저비중 쓰레기를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 퇴적물 정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퇴적 준설물질이 유입되는 준설물질 저장 탱크,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쓰레기 부상분리가 수행되는 처리 탱크, 및 상기 처리 탱크에서 부상한 쓰레기를 분리하는 쓰레기 분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와 상기 처리 탱크 하부면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준설물질의 이송방향을 따라 하부로 5 내지 50°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와 상기 처리 탱크 하부에는 준설물질의 이송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준설물질의 이송 통로의 높이는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 또는 상기 처리 탱크 전체 높이의 0.5 내지 15%이고, 상기 처리 탱크는 준설물질 이송방향을 따라 말단에 준설물질 배출 통로를 포함하는, 쓰레기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와 상기 처리 탱크 하부면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준설물질의 이송방향을 따라 하부로 10 내지 25°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준설물질 배출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준설물질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준설물질 유량 조절 벨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 및 상기 처리 탱크 내의 준설물질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가 일정하도록 상기 준설물질 유량 조절 벨브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 상기 처리 탱크, 또는 이들 모두의 하단에는 기포 주입장치, 이송스크류 또는 이송벨트의 준설물질 이송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 또는 상기 처리 탱크를 범람한 준설물질을 정화공정으로 이송하는 이송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 탱크는 순처적으로 서로 연결된 1차 처리 탱크 및 2차 처리 탱크를 포함하고, 탱크 용량은 상기 저장 탱크, 상기 1차 처리 탱크 및 상기 2차 처리 탱크의 순서로 증가하며, 탱크의 통과 유량은 상기 2차 처리 탱크, 상기 1차 처리 탱크 및 상기 저장 탱크의 순서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쓰레기 분리수단은 회전날개, 거름막 또는 여과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쓰레기는 비닐, 섬유 또는 플라스틱의 저비중 쓰레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하수 또는 해저 퇴적물을 준설하는 준설 단계, 제1항 또는 제2항의 쓰레기 제거장치에 의해 상기 퇴적물로부터 쓰레기를 분리하는 쓰레기분리 단계, 상기 퇴적물 내의 토양을 입도별로 분리하는 토양입도분리 단계, 상기 토양입도분리 단계에서 분리된 토양 중 입경이 0.075 mm 이하인 미립토에 대해 오염물 정화처리를 수행하는 정화처리 단계, 정화된 토양을 탈수하는 탈수 단계 및 탈수된 토양을 재활용하는 재활용 단계를 포함하는, 오염 퇴적물 정화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퇴적 준설물질 내의 쓰레기 제거장치는 연속적으로 준설물질 내의 비닐, 섬유, 플라스틱 등의 저비중 쓰레기를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퇴적 준설물질 내의 쓰레기 제거장치는 쓰레기를 제거하는 연속공정에서 준설물질을 이송시키거나 쓰레기를 부상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등 운전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제거장치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제거장치의 상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 퇴적물 정화장치에 의한 정화공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제거장치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제거장치는 오염 퇴적물을 포함하는 퇴적 준설물질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준설물질 저장 탱크(10),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10)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퇴적 준설물질 내의 쓰레기 부상분리가 수행되는 처리 탱크(20) 및 상기 처리 탱크(20) 내에서 부상된 쓰레기를 분리하는 쓰레기 분리수단(40)을 포함하고,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10)와 상기 처리 탱크(20) 하부에는 준설물질이 이송될 수 있는 통로(31,32)가 형성된다.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10) 및 상기 처리 탱크(20)는 각각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면은 상기 퇴적 준설물질의 이송방향을 따라 하부로 일정각도(θ), 예를 들어 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10)로 유입된 퇴적 준설물질이 자연스럽게 처리 탱크(20)로 이송되므로 상기 퇴적 준설물질을 인위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장치가 불필요하다.
여기서, 상기 탱크(10,20)의 하부면 경사 강도(θ)가 5° 미만인 경우 퇴적 준설물질의 이송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는 반면, 50° 초과인 경우 상기 처리 탱크(20)에서 준설물질이 체류하는 시간이 과도하게 짧아 저비중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한 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다만, 상기 퇴적 준설물질의 이송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10), 상기 처리 탱크(20), 또는 이들 모두의 하부에는 준설물질 이송수단, 예를 들어, 기포 주입장치, 이송스크류, 이송벨트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포 주입장치는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10), 상기 처리 탱크(20) 및 이들 모두의 하부에 적층된 상기 퇴적 준설물질에 고속의 기포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퇴적 준설물질을 부분적으로 부상시켜 흐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이송벨트는 상기 퇴적 준설물질을 강제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10)와 상기 처리 탱크(20) 하부에 배치된 준설물질 이송 통로(31,32)는 높이가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10) 또는 상기 처리 탱크(20) 전체 높이의 0.5 내지 15%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10)에 유입된 퇴적 준설물질이 상기 좁은 통로(31,32)를 통해 상기 처리 탱크(20)로 이송되는 경우 상기 통로(31,32)에서의 유속이 증가하여 상기 처리 탱크(20) 내부에는 자연스럽게 와류가 형성됨으로써 퇴적 준설물질 내의 비닐, 섬유, 플라스틱 등의 저비중 쓰레기가 부상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준설물질 이송 통로(31,32)의 높이가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10) 또는 상기 처리 탱크(20) 전체 높이의 0.5% 미만인 경우 상기 통로(31,32)가 과도하게 좁아 준설물질의 이송이 곤란할 수 있는 반면, 15% 초과인 경우 준설물질의 이송 속도가 과도하여 상기 처리 탱크(20)에서 준설물질이 체류하는 시간이 과도하게 짧아 저비중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한 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제거장치는 퇴적 준설물질 내의 저비중 쓰레기를 인위적으로 부상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장치가 불필요하므로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처리 장치(20)에서 저비중 쓰레기가 부상되면서 상기 퇴적 준설물질 내의 실트, 점토, 슬러리 등의 미립토도 함께 부상하게 되는데, 이렇게 부상된 미립토에 부착된 중금속이 준설수로 용출하게 되어 후속적인 정화공정에서의 정화효율이 추가로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퇴적 준설물질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처리 탱크(20)의 말단에는 저비중 쓰레기가 제거된 후 배출되는 퇴적 준설물질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벨브(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벨브(50)에 의해 준설물질의 배출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준설물질의 이송 속도 및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10)와 상기 처리 탱크(20)에서의 준설물질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제거장치는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10)와 상기 처리 탱크(20)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수위를 자동 조절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10) 및 상기 처리 탱크(20) 각각의 수위에 따라 상기 유량조절벨브(50)를 자동으로 작동함으로써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10)와 상기 처리 탱크(20)의 수위를 항상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10) 및 상기 처리 탱크(20) 각각에 유입된 준설물질이 상기 탱크 위로 범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처리 탱크(20)는 1차 처리 탱크(21) 및 2차 처리 탱크(2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1차 처리 탱크(21)와 상기 2차 처리 탱크(22)의 하부에는 준설물질이 이송되는 통로(31,3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통로(31,32)의 높이는 상기 1차 처리 탱크(21) 또는 상기 2차 처리 탱크(22)의 전체 높이의 0.5 내지 15%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1차 처리 탱크(21)에서 미분리된 저비중 쓰레기는 상기 2차 처리 탱크(22)에서 추가로 분리됨으로써 쓰레기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탱크의 용량은 준설물질 저장 탱크(10), 1차 처리 탱크(21), 2차 처리 탱크(22) 순으로 증가하고, 탱크를 통과하는 유량은 2차 처리 탱크(22), 1차 처리 탱크(21), 준설물질 저장 탱크(10) 순으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쓰레기 분리수단(40)은 상기 처리 탱크(20)에서 부상한 쓰레기를 분리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날개이거나, 거름망, 여과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제거장치의 상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제거장치는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10) 및/또는 상기 처리 탱크(20)의 상부 개방면을 통해 범람한 준설물질을 별도의 정화장치로 이송하는 이송수단(60)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이송수단(60)은 예를 들어 상기 저장 탱크(10) 및/또는 상기 처리 탱크(20)의 상측 테두리에 배치된 수로(60)일 수 있다.
상기 범람한 준설물질은 상대적으로 오염도가 높은 점토, 실트, 슬러리 등의 미립토 부유물을 포함하므로 별도의 정화장치로 이송되어 정화처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 퇴적물 정화장치에 의한 정화공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오염 퇴적물 정화장치는 육지에 설치되거나 선박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염 퇴적물 정화장치에 의한 정화공정은 준설 단계, 쓰레기분리 단계, 토양입도분리 단계, 정화처리 단계, 탈수 및 추가처리 단계, 재활용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쓰레기분리 단계는 앞서 기술한 쓰레기 제거장치를 이용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입도분리 단계는 드럼 스크린, 다단 사이클론 장치 등을 이용하여 수행하되 분리된 토양 중 입경이 0.075 mm 이하인 미립토는 정화처리 단계로 이송되고 입경이 0.075 mm 초과인 조립토는 재활용단계로 바로 이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럼 스크린은 원통형의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2개의 스크린이 구비되고, 퇴적 준설물질로부터 입경이 4 mm 이하인 토양 입자만을 분리할 수 있고, 상기 다단 사이클론 장치는 입경이 0.075 mm 이하인 미립토만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정화처리단계에서는 부상분리, 침강분리, 자력분리, 펜톤산화반응 등의 물리화학적 처리,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 가열 등에 의한 열처리 등의 정화처리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오염 토양의 오염원이 중금속인 경우, 자력분리, 킬레이션침출 등의 처리가 수행될 수 있고, 오염원이 유기물인 경우, 부상분리, 펜톤산화반응, 생물학적 처리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중금속과 유기물에 의한 복합 오염 토양의 경우 유기물을 선처리하여 제거한 후 중금속을 정화할 수 있다. 중금속이 결합된 오염 토양의 표면에 유기물이 부착된 경우 상기 유기물에 의해 중금속의 분리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유기물을 먼저 제거한 후 중금속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상분리는 준설물질을 교반하면서 미세기포를 주입함으로써 점토, 실트, 슬러리 등의 미립토, 유류 등을 준설물질 표면으로 부상시켜 분리한 후 폐기하거나 추가적인 정화를 수행하는 공정이고, 상기 침강분리는 준설수 내에 용출된 유기 오염물, 중금속 등을 침강시켜 분리 및 제거하는 공정이며, 상기 펜톤산화반응은 과산화물에 의한 유기물의 산화분리를 이용한 공정이다.
또한, 상기 생물학적 처리는 미생물 처리액으로 준설물질을 처리하여 준설물질 내의 유기물을 분해하는 공정이다. 상기 미생물 처리액에 포함된 미생물은 광합성세균, 효모, 유산균, 방선균, 사상균 등을 포함하고, 약 130종의 세균 및 효모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해저 퇴적물의 경우 해양 환경에 따라 염분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이러한 고염분 환경하에서도 활성화될 수 있는 미생물, 예를 들어, 내염성 바실러스 균주(Bacillus sp.),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속(Bacillus sp.) EBW의 균주 또는 배양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미생물 처리액은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화를 위한 산소발생제, 미생물의 영양제, 유기물과 미생물의 물리적 접촉을 촉진하기 위한 다공성담체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력분리는 상기 토양입도분리 단계, 상기 정화처리 단계 및 상기 탈수 및 추가처리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자력분리를 수행하는 자력분리기는 원통형의 자석에 벨트가 감겨 있는 형태로서 자석이 자전하면서 벨트가 순환하는데 상기 벨트 위에 놓인 준설토 중 자성을 띠는 물질이 상기 작성에 부착된 상태로 이송되다가 벨트가 자력의 영향에서 벗어난 곳으로 이동되면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방식으로 자력분리를 수행한다.
상기 토양입도분리 단계에서 수행되는 자력분리는 3,000 내지 4,000 gauss 정도의 자력을 갖는 2.2 kW급 자석 2개를 이용하여 주로 철편류, 철제류를 분리하게 되고, 상기 정화처리 단계에서 수행되는 자력분리는 6,000 내지 10,000 gauss 정도의 자력을 갖는 고구배자력분리기를 이용하여 준설토 내의 자성체를 분리하게 된다.
상기 정화처리 단계에서 자력분리를 수행하는 경우, 준설물질에 자철석(Fe3O4), 1,2가철염(FeCl2, FeCl3, FeSO4) 등의 자화제를 투입하여 토양입자의 자화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자력분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수 및 추가처리 단계에서 수행되는 자력분리는 정화된 토양의 탈수 후 건식자력분리로 수행될 수 있고, 습식자력분리에서 제거되지 않은 중금속을 추가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킬레이션 침출은 준설수 내에 용출된 중금속을 킬레이트화 하여 침출시킴으로써 분리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중금속을 킬레이트화하기 위한 킬레이션제는 예를 들어 메틸글리신디아세트산(methylglycinediacetic acid; MGDA)을 이용할 수 있고, 토양에 부착된 중금속의 용출 및 킬레이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반응온도는 70 내지 80℃, pH는 1 내지 4.5로 조절하고, 추가로 초음파, 예를 들어, 28 kHz 및 30 W의 초음파를 준설물질에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화 처리 이전에 오염 토양의 세척을 통해 토양 입자에 결합한 중금속, 유기물 등을 세척수로 용출시켜 분리한 후 수계에서 오염물을 정화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수는 EDTA, CMCD(carboxymethyl-β-cyclodextrin), CMC(carboxymethyl chitosan),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오염 토양의 입경이 작을수록 상기 토양과 오염물과의 결합력이 크기 때문에 토양의 입경에 따라 사용되는 세척수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수처리단계는 벨트프레스, 전기침투탈수 등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상기 탈수처리단계를 수행한 후 건식자력분리단계를 추가로 포함해 잔류 중금속을 추가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 : 준설물질 저장 탱크 20 : 처리 탱크
30 : 준설물질 이송 통로 40 : 쓰레기 분리수단
50 : 준설물질 배출 유량조절 벨브 60 : 범람 준설물질 이송수단

Claims (10)

  1. 퇴적 준설물질이 유입되는 준설물질 저장 탱크,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쓰레기 부상분리가 수행되는 처리 탱크, 및
    상기 처리 탱크에서 부상한 쓰레기를 분리하는 쓰레기 분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와 상기 처리 탱크 하부면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준설물질의 이송방향을 따라 하부로 5 내지 50°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와 상기 처리 탱크 하부에는 준설물질의 이송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준설물질의 이송 통로의 높이는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 또는 상기 처리 탱크 전체 높이의 0.5 내지 15%이고,
    상기 처리 탱크는 준설물질 이송방향을 따라 말단에 준설물질 배출 통로 및 상기 준설물질 배출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준설물질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준설물질 유량 조절 벨브를 포함하는, 쓰레기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와 상기 처리 탱크 하부면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준설물질의 이송방향을 따라 하부로 10 내지 25°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제거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 및 상기 처리 탱크 내의 준설물질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가 일정하도록 상기 준설물질 유량 조절 벨브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제거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 상기 처리 탱크, 또는 이들 모두의 하단에는 기포 주입장치, 이송스크류 또는 이송벨트의 준설물질 이송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제거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준설물질 저장 탱크 또는 상기 처리 탱크를 범람한 준설물질을 정화공정으로 이송하는 이송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제거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탱크는 순차적으로 서로 연결된 1차 처리 탱크 및 2차 처리 탱크를 포함하고, 탱크 용량은 상기 저장 탱크, 상기 1차 처리 탱크 및 상기 2차 처리 탱크의 순서로 증가하며, 탱크의 통과 유량은 상기 2차 처리 탱크, 상기 1차 처리 탱크 및 상기 저장 탱크의 순서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제거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분리수단은 회전날개, 거름막 또는 여과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제거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는 비닐, 섬유 또는 플라스틱의 저비중 쓰레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제거장치.
  10. 하수 또는 해저 퇴적물을 준설하는 준설 단계, 제1항 또는 제2항의 쓰레기 제거장치에 의해 상기 퇴적물로부터 쓰레기를 분리하는 쓰레기분리 단계, 상기 퇴적물 내의 토양을 입도별로 분리하는 토양입도분리 단계, 상기 토양입도분리 단계에서 분리된 토양 중 입경이 0.075 mm 이하인 미립토에 대해 오염물 정화처리를 수행하는 정화처리 단계, 정화된 토양을 탈수하는 탈수 단계 및 탈수된 토양을 재활용하는 재활용 단계를 포함하는, 오염 퇴적물 정화방법.
KR1020160003035A 2016-01-11 2016-01-11 퇴적 준설물질 내의 쓰레기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퇴적물 정화방법 KR101693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035A KR101693445B1 (ko) 2016-01-11 2016-01-11 퇴적 준설물질 내의 쓰레기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퇴적물 정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035A KR101693445B1 (ko) 2016-01-11 2016-01-11 퇴적 준설물질 내의 쓰레기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퇴적물 정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445B1 true KR101693445B1 (ko) 2017-01-05

Family

ID=57835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035A KR101693445B1 (ko) 2016-01-11 2016-01-11 퇴적 준설물질 내의 쓰레기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퇴적물 정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44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217A (ja) * 1989-10-03 1991-05-21 Ube Ind Ltd 除塵装置
JPH1158382A (ja) * 1997-08-21 1999-03-02 Kawasaki Heavy Ind Ltd 樹脂系廃棄物の分別方法及び装置
JP3119217B2 (ja) * 1997-10-31 2000-12-18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ォトマスクおよびフォトマスクを使用した露光方法
KR20010039135A (ko) * 1999-10-29 2001-05-15 김강권 폐수의 오염물질 저감용 미세 고형물 분리장치
KR101212989B1 (ko) * 2011-12-06 2012-12-18 (주)신대양 성상별 입도분리/정화부와 토양 개량부를 이용한 오염 준설토의 재활용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217A (ja) * 1989-10-03 1991-05-21 Ube Ind Ltd 除塵装置
JPH1158382A (ja) * 1997-08-21 1999-03-02 Kawasaki Heavy Ind Ltd 樹脂系廃棄物の分別方法及び装置
JP3119217B2 (ja) * 1997-10-31 2000-12-18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ォトマスクおよびフォトマスクを使用した露光方法
KR20010039135A (ko) * 1999-10-29 2001-05-15 김강권 폐수의 오염물질 저감용 미세 고형물 분리장치
KR101212989B1 (ko) * 2011-12-06 2012-12-18 (주)신대양 성상별 입도분리/정화부와 토양 개량부를 이용한 오염 준설토의 재활용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16658B (zh) 一种黑臭河道底泥的原地清洗、回用设备及方法
KR101647676B1 (ko) 중금속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KR101033023B1 (ko) 준설토 재활용 확대를 위한 오염 퇴적토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
KR101399284B1 (ko)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CN106277678A (zh) 河道底泥水上移动式处理系统
CN102644302A (zh) 一种河道、湖泊淤泥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CN102040311B (zh) 油田聚合物驱采出水的处理方法
KR101724989B1 (ko) 오염 퇴적물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오염 퇴적물 정화방법
CN101391849B (zh) 一种洗车废水净化机
KR101647677B1 (ko) 생물학적 처리를 이용한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KR101693445B1 (ko) 퇴적 준설물질 내의 쓰레기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퇴적물 정화방법
US5240608A (en) Apparatus for waste free dredging of waterways and the fabrication of building materials
CN107311348A (zh) 湖池河道浊水和污泥高效净化处理装备
JP4683356B2 (ja) 濁水浄化装置
KR100449169B1 (ko) 퇴적 준설물의 경량화에 의한 난분해성 물질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KR20010016337A (ko) 오폐수 처리시스템
KR200225283Y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1647675B1 (ko) 유류 오염토 현장 처리용 정화선
BE1001823A7 (nl) Werkwijze en installatie voor het reinigen van door polluenten verontreinigde baggerspecie of grond.
JPH0531496A (ja) ヘドロ・底層汚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573624B1 (ko) 자기장을 이용한 준설토 처리장치
KR20060036813A (ko) 준설 슬러리 및 광미의 정화와 탈수처리공법 및 장치
JP5268698B2 (ja) バイオリアクター流動床式生物処理装置
KR102342900B1 (ko) 대량 하수처리를 위한 하수처리 장치
CN108751616A (zh) 一种市政污水管网的污水净化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