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432B1 -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 - Google Patents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432B1
KR101693432B1 KR1020150106704A KR20150106704A KR101693432B1 KR 101693432 B1 KR101693432 B1 KR 101693432B1 KR 1020150106704 A KR1020150106704 A KR 1020150106704A KR 20150106704 A KR20150106704 A KR 20150106704A KR 101693432 B1 KR101693432 B1 KR 101693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ircuit member
power
spot welding
electric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원식
Original Assignee
임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원식 filed Critical 임원식
Priority to KR1020150106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4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8Portable wel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전지의 전극 셀과 연결 소재를 스폿 용접할 수 있는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도록 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형성되는 몸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손잡이본체부; 상기 손잡이본체부의 손잡이 내부 공간에 삽입 장착되며, 스폿 용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 및 상기 손잡이본체부의 몸체 내부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건전지의 전극을 스폿 용접하기 위한 용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Spot Welding Device for Batteries}
본 발명은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전지의 전극 셀과 연결 소재를 스폿 용접할 수 있는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일반적으로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리튬 이차전지는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하면서 작동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 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 때문에 첨단 전자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원통형과, 각형과, 파우치형을 들 수 있으며, 이 중에서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는 리튬 이차 전지의 경량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으로, 양극판과 음극판 및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가 젤리롤 형태로 권취된 전극조립체와,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파우치 외장재를 포함하며,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일측에는 외부로 전극탭(양극탭 및 음극탭)이 돌출되어 보호회로모듈과 연결된다.
상기 보호회로모듈(PCM; protecting circuit module)은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상에 다양한 보호회로 및 양성 온도 소자를 구비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는, 전극탭과 보호회로 모듈을 연결하기 위해 연결 소재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 소재와 전극탭은 스폿 용접기를 이용하여 용접한다.
스폿 용접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짧은 수간(5 ~ 10ms) 동안 작은 점(spot)에 고전류를 흘러보내어, 그때 발생되는 열로 피용접물(예를 들어, 니켈판 등)을 녹여, 눌러주는 압력으로 모재(예를 들어, 배터리 단자 등)에 달라붙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31034호(2015.03.23.)는 전극 탭을 가지는 전극 셀과 연결 소재를 용접하는 스팟용접기의 자동화를 증대시키는 한편, 균일한 스팟용접을 얻을 수 있는 전지용 스팟용접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전극 탭을 가지는 전극 셀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와, 상기 전극 탭에 연결되는 연결 소재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를 구비한 지그; 상기 지그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지그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한 고정장치; 및 상기 고정장치에 의해 상기 지그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전극 셀의 전극 탭과 상기 제2안착부에 안착된 연결 소재를 용접하는 용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전극 탭을 가지는 전극 셀과 연결 소재를 용접하는 스팟용접기의 자동화를 증대시킴으로써 용접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작업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더욱이 지그의 고정 위치가 일정하여 균일한 스팟용접을 얻을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91923호(2005.05.19.)는 종래와 같이 수동으로 스폿 용접위치를 마킹할 필요가 없이 스폿 용접 간격이 균일하게 자동으로 용접되며, 간단한 구성으로 자동으로 스폿 용접이 되어, 현장에 손쉽게 적용되며 제작비용이 감소하며 차체 파넬의 용접 접합 강도가 향상되는 자동 스폿 용접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차량의 패널을 스폿 용접하는 자동 스폿 용접기에 있어서, 용접될 패널 부분을 따라 회전되는 롤러를 가지는 롤러부; 상기 롤러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 상기 회전 검출부의 신호에 따라 소정의 연산을 하여 이동거리를 산출하며, 소정의 스폿용접 간격만큼 이동될 때마다 스폿 용접건에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롤러부와 함께 프레임에 지지되어 롤러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어부의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스폿용 접건;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스폿 용접의 간격을 설정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폿 용접기는, 모듈 각각의 부피가 클뿐만 아니라 무게도 많이 나가 간단한 스폿 용접을 위한 휴대성 및 이동성이 불편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31034호 한국등록특허 제10-0491923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권총 형태로 형성되어 건전지의 전극 셀과 연결 소재를 스폿 용접하기 위해 휴대가 가능한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도록 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형성되는 몸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손잡이본체부; 상기 손잡이본체부의 손잡이 내부 공간에 삽입 장착되며, 스폿 용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 및 상기 손잡이본체부의 몸체 내부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건전지의 전극을 스폿 용접하기 위한 용접부를 포함하는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용접부는,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스폿 용접에 필요한 전력으로 변환시킨 후 전달하기 위한 타이머회로부재; 상기 타이머회로부재로부터 변환된 전력을 전달받아 출력시켜 주기 위한 출력회로부재; 및 상기 출력회로부재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에 의해 건전지의 전극을 스폿 용접하기 위한 용접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타이머회로부재는,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스위칭 온 또는 스위칭 오프하기 위한 텍트스위치수단; 사용자의 시간 조절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시간 조절값을 생성시켜 상기 출력회로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시간조절수단; 및 사용자의 출력 조절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출력 조절값을 생성시켜 상기 출력회로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출력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타이머회로부재는, 전원의 스위칭 온/오프의 선택, 동작 시간의 조절, 출력의 조절에 따라 스폿 용접에 필요한 전력으로 상기 출력회로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출력조절수단은, 저출력을 위한 저항값을 가지는 제1저항; 고출력을 위해 상기 제1저항보다 큰 저항값을 가지는 제2저항; 및 상기 제1저항 또는 상기 제2저항을 선택하기 위한 저항선택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출력조절수단은, 입력단이 상기 제1저항 및 상기 제2저항의 출력단과 직렬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저항값이 변화하는 가변저항;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미세조절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타이머회로부재는, 상기 전력공급부의 전력 잔량 정보, 동작 시간 정보 및 출력 정보를 표시해 주기 위한 디스플레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타이머회로부재는,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회로부재로 전달되는 전력값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과부하감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과부하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력값이 기 설정된 전력값 이하 또는 기 설정된 전력값 이상인 경우 상기 출력회로부재로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용접봉부재는, 상기 출력회로부재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에 의해 건전지의 전극을 스폿 용접하기 위한 두 개의 용접봉수단; 및 상기 용접봉수단이 관통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본체부의 몸체 일측에서 상기 용접봉수단을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권총 형태로 형성되어 건전지의 전극 셀과 연결 소재를 스폿 용접하기 위해 휴대가 가능한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스폿 용접기 모듈 각각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도 감소시킬 수 있어 스폿 용접을 위한 휴대성 및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용접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타이머회로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있는 출력조절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있는 용접봉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10)는, 손잡이본체부(100), 전력공급부(200) 및 용접부(300)를 포함한다.
손잡이본체부(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도록 하는 손잡이 및 손잡이의 상부에 형성되는 몸체로 이루어지며, 손잡이 및 몸체 각각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손잡이의 내부 공간에 전력공급부(200)가 삽입 장착되며, 몸체의 내부 공간에 용접부(300)가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본체부(100)는, 탈부착 가능한 전력공급부(200)를 삽입 장착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권총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스폿 용접을 할 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공급부(200)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이 전부 소비된 경우 전력공급부(200)를 용이하게 교체하도록 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 줄 수 있다.
전력공급부(200)는, 손잡이본체부(100)의 손잡이 내부 공간에 삽입 장착되며, 스폿 용접에 필요한 전력을 용접부(300)로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공급부(200)는, 손잡이본체부(100)의 손잡이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권총의 탄창 형태로 형성되어 손잡이본체부(100)에 용이하게 탈부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공급부(200)는, 1셀부터 6셀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예를 들어, nickel-cadmium, lithium-ion, lithium-polymer 또는 리튬-인산철 배터리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공급부(200)는, 스폿용접에 필요한 전력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고방전 배터리 팩(즉, 2,200mA × 40C = 88A)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공급부(200)는, 고전류를 확보하기 위해 고방전 RC 배터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대용량의 트랜스나 대용량 캐퍼시터(콘덴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공급부(200)는, 탈부착수단(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탈부착수단은, 손잡이본체부(100)의 손잡이에 형성되며, 손잡이본체부(100)의 손잡이 내부 공간에 삽입된 전력공급부(200)를 체결하여 전력공급부(200)로부터 전력공급부(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수단은, 원터치 버튼식(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잡이본체부(100)의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해당 버튼을 누르면 체결이 풀리면서 전력공급부(200)로부터 전력공급부(200)가 분리되는 형태 등)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본체부(100)를 파지한 상태에도 용이하게 전력공급부(200)를 분리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본체부(100)는, 전력공급부(200)를 하측으로부터 손잡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하도록 함으로써, 탈부착수단의 체결 해제 시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도 전력공급부(200)를 손잡이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용접부(300)는, 손잡이본체부(100)의 몸체 내부 공간에 형성되며, 전력공급부(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해당 공급받은 전력으로 건전지의 전극을 스폿 용접한다.
일 실시 예에서, 용접부(300)는, 두 용접봉(즉, 도 6의 두 개의 용접봉수단(331))의 전극이 바뀌어도 사용할 수 있으며, 용접 시 두 용접봉이 피용접물에 균등한 압력으로 접촉하여 용접을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용접부(300)는, 두 용접봉(즉, 도 6의 두 개의 용접봉수단(331))이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피용접물의 방향이나 각도 등에 대응하여 용접봉을 회전시켜 용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용접 작업을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10)는, 전면 2점식 용접 장치로서, 스폿 용접하기 위한 피용접물인 건전지와 건전지의 전극 사이에 0.05mm 내지 0.3mm 두께의 니켈 플레이트 용접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10)는, 용접 시 두 용접봉이 피용접물에 균등한 압력으로 용접하기 위해 본 발명과 같이 권총 형태로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10)는, 손잡이본체부(100)가 권총 형태로 형성되어 건전지의 전극 셀과 연결 소재를 스폿 용접하기 위해 휴대가 가능함으로써, 스폿 용접기 모듈 각각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도 감소시킬 수 있어 스폿 용접을 위한 휴대성 및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용접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며, 용접부(300)는, 타이머회로부재(310), 출력회로부재(320) 및 용접봉부재(330)를 포함한다.
타이머회로부재(310)는, 전력공급부(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해당 공급받은 전력을 스폿 용접에 필요한 전력으로 변환시키며, 해당 변환시킨 전력을 출력회로부재(32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타이머회로부재(310)는, 회로의 안정적인 출력을 위해 승압모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타이머회로부재(31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펄스 폭 변조) 출력 제어 및 RC 테스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마이컴(아두이노(Arduino, 오픈 소스를 지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를 내장한 기기 제어용 기판으로, 컴퓨터 메인보드의 단순 버전으로 이 기판에 다양한 센서나 부품 등의 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며, 컴퓨터와 연결해 소프트웨어를 로드하면 동작을 하게 되므로 제어용 전자 장치부터 로봇과 같은 것을 만들 수 있는 '오픈소스 하드웨어'라고 할 수 있고,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에서 출발한 오픈 소스라는 개념을 하드웨어 부문까지 확산시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타이머회로부재(310)는, 회로의 구동을 위한 각종 설정값을 상술한 마이컴에 저장함으로써, 전원이 꺼진 후 다시 켠 후에도 새로이 설정값의 입력함이 없이 기존의 설정값을 사용할 수 있다.
출력회로부재(320)는, 타이머회로부재(310)로부터 변환된 전력을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전력을 용접봉부재(330)로 출력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출력회로부재(320)는, 릴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예를 들어, SSR(solid state relay) 또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 회로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용접봉부재(330)는, 출력회로부재(32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에 의해 건전지의 전극을 스폿 용접한다.
도 3은 도 2에 있는 타이머회로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타이머회로부재(310)는, 텍트스위치수단(311), 시간조절수단(312) 및 출력조절수단(313)을 포함할 수 있다.
텍트스위치수단(311)은, 전력공급부(200)로부터 타이머회로부재(310)로 공급되는 전력을 스위칭 온 또는 스위칭 오프 한다.
시간조절수단(312)은, 사용자의 시간 조절을 확인하며, 해당 확인 한 시간 조절에 대응하는 시간 조절값을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시킨 시간 조절값을 출력회로부재(32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시간조절수단(312)은, 스폿을 위한 시간 조건(예를 들어, 스폿 시간, 반복 횟수 또는 반복 대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조절수단(312)은, 스폿 시간을 0.1ms 내지 20ms 등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반복 횟수를 1회 내지 6회 등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반복 대기를 1ms 내지 50ms 등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시간조절수단(312)은, 타이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여기서 타이머 기능이라 함은, 스폿 용접의 스위칭 온 시간 또는 오프 시간을 시/분/초 단위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말하며, 이때 무한 반복 기능도 포함하여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정지 명령이 없는 경우 전력공급부(200)의 전력이 모두 소비되는 시점까지 스폿용접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출력조절수단(313)은, 사용자의 출력 조절을 확인하며, 해당 확인한 출력 조절에 대응하는 출력 조절값을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시킨 출력 조절값을 출력회로부재(320)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타이머회로부재(310)는, 제어수단(3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수단(314)은, 전원의 스위칭 온/오프의 선택, 동작 시간의 조절, 출력의 조절에 따라 스폿 용접에 필요한 전력으로 출력회로부재(320)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타이머회로부재(310)는, 디스플레이수단(135) 및 과부하감지수단(3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수단(135)은, 전력공급부(200)의 전력 잔량 정보, 동작 시간 정보 및 출력 정보를 표시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수단(135)은, LED 또는 OLED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과부하감지수단(316)은, 제어수단(314)으로부터 출력회로부재(320)로 전달되는 전력값을 측정하여 제어수단(314)으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과부하감지수단(316)은, 과부하감지수단(316)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력값이 기 설정된 전력값(예를 들어, 스폿 용접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력 등) 이하 또는 기 설정된 전력값(예를 들어, 과부하가 걸려 회로를 태워버릴 정도의 전력 등) 이상인 경우 출력회로부재(320)로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타이머회로부재(310)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발을 이용하여 누르는 형식에 의해 전원을 스위칭 온 또는 오프하던 기존의 스폿 용접 장치와는 달리, 권총 형태의 방아쇠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텍트스위치수단(311)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전력의 스위칭 온 또는 오프 하여 스폿용점을 하도록 하여 기존의 스폿 용접 장치보다 용이하게 스폿 용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있는 출력조절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출력조절수단(313)은, 제1저항(3131), 제2저항(3132) 및 저항선택스위치(3133)를 포함한다.
제1저항(3131)은, 저출력을 위한 저항값(예를 들어, 0.5 내지 1.5kΩ 등)을 가진다.
제2저항(3132)은, 고출력을 위해 제1저항(3131)보다 큰 저항값(예를 들어, 1.5 내지 2.5kΩ 등)을 가진다.
저항선택스위치(3133)은, 제1저항(3131) 또는 제2저항(3132)을 선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출력조절수단(313)은, 가변저항(3134) 및 미세조절스위치(3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변저항(3134)은, 입력단이 제1저항(3131) 및 제2저항(3132)의 출력단과 직렬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저항값이 변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변저항(3134)은, 10kΩ의 저항값을 가지는 가변저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미세조절스위치(3135)는, 사용자로부터 가변저항(3134)의 저항값 선택을 입력받는다.
일 실시 예에서, 미세조절스위치(3135)는, 다이얼 형태로 형성되어, 해당 다이얼의 회전 조작에 대응하여 가변저항(3134)의 저항값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버튼식의 조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보다 세밀한 저항값의 선택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출력조절수단(313)은, 피용접물에 대응하여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하나의 스폿 용접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피용접물을 용접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출력조절수단(313)은, 제1저항(3131) 또는 제2저항(3132)의 선택에 대응하여 출력을 저출력 또는 고출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변저항(3134)을 이용한 미세조절스위치(3135)의 저항값 선택에 따라 보다 세밀한 출력의 선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있는 용접봉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용접봉부재(330)는, 두 개의 용접봉수단(331) 및 회전수단(332)을 포함할 수 있다.
용접봉수단(331)은, 출력회로부재(32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에 의해 건전지의 전극을 스폿 용접한다.
회전수단(332)은, 용접봉수단(331)이 관통 고정되며, 손잡이본체부(100)의 몸체 일측에서 용접봉수단(331)을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수단(332)은, 라인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회전본체(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인홀은, 손잡이본체부(100)의 몸체 일측에 형성되며, 손잡이본체부(100)의 몸체 일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라인돌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며, 라인돌기로 회전본체를 체결하여 회전시켜 준다.
회전본체는, 용접봉수단(331)이 관통 고정되며, 라인돌기에 체결되기 위한 라인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며, 용접봉수단(331)을 손잡이본체부(100)의 몸체 일측에서 회전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전수단(332)은, 두 개의 용접봉수단(331)이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피용접물의 방향이나 각도 등에 대응하여 용접봉수단(331)을 회전시켜 용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용접 작업을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손잡이본체부
200: 전력공급부
300: 용접부
310: 타이머회로부재
311: 텍트스위치수단
312: 시간조절수단
313: 출력조절수단
3131: 제1저항
3132: 제2저항
3133: 저항선택스위치
3134: 가변저항
3135: 미세조절스위치
314: 제어수단
315: 디스플레이수단
316: 과부하감지수단
320: 출력회로부재
330: 용접봉부재
331: 용접봉수단
332: 회전수단

Claims (10)

  1.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도록 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형성되는 몸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손잡이본체부;
    상기 손잡이본체부의 손잡이 내부 공간에 삽입 장착되며, 스폿 용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 및
    상기 손잡이본체부의 몸체 내부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건전지의 전극을 스폿 용접하기 위한 용접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접부는,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스폿 용접에 필요한 전력으로 변환시킨 후 전달하기 위한 타이머회로부재; 상기 타이머회로부재로부터 변환된 전력을 전달받아 출력시켜 주기 위한 출력회로부재; 및 상기 출력회로부재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에 의해 건전지의 전극을 스폿 용접하기 위한 용접봉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타이머회로부재는,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스위칭 온 또는 스위칭 오프하기 위한 텍트스위치수단; 사용자의 시간 조절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시간 조절값을 생성시켜 상기 출력회로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시간조절수단; 사용자의 출력 조절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출력 조절값을 생성시켜 상기 출력회로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출력조절수단; 및 전원의 스위칭 온/오프의 선택, 동작 시간의 조절, 출력의 조절에 따라 스폿 용접에 필요한 전력으로 상기 출력회로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출력조절수단은, 저출력을 위한 저항값을 가지는 제1저항; 고출력을 위해 상기 제1저항보다 큰 저항값을 가지는 제2저항; 상기 제1저항 또는 상기 제2저항을 선택하기 위한 저항선택스위치; 입력단이 상기 제1저항 및 상기 제2저항의 출력단과 직렬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저항값이 변화하는 가변저항;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미세조절스위치를 포함하는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회로부재는,
    상기 전력공급부의 전력 잔량 정보, 동작 시간 정보 및 출력 정보를 표시해 주기 위한 디스플레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회로부재는,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회로부재로 전달되는 전력값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과부하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과부하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력값이 기 설정된 전력값 이하 또는 기 설정된 전력값 이상인 경우 상기 출력회로부재로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봉부재는,
    상기 출력회로부재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에 의해 건전지의 전극을 스폿 용접하기 위한 두 개의 용접봉수단; 및
    상기 용접봉수단이 관통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본체부의 몸체 일측에서 상기 용접봉수단을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
KR1020150106704A 2015-07-28 2015-07-28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 KR101693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704A KR101693432B1 (ko) 2015-07-28 2015-07-28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704A KR101693432B1 (ko) 2015-07-28 2015-07-28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432B1 true KR101693432B1 (ko) 2017-01-05

Family

ID=57835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704A KR101693432B1 (ko) 2015-07-28 2015-07-28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4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8222U (ko) * 1976-02-14 1977-08-17
JP2000197975A (ja) * 1998-12-25 2000-07-18 Yoshiaki Shima 熔接ガン
JP2004106057A (ja) * 2002-07-23 2004-04-08 Dengensha Mfg Co Ltd 抵抗溶接制御方法
KR100491923B1 (ko) 2002-08-14 2005-05-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 스폿 용접기
KR20100092208A (ko) * 2009-02-12 2010-08-20 주식회사 피플웍스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 전력 스위칭장치
KR20150031034A (ko) 2013-09-13 2015-03-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용 스팟용접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8222U (ko) * 1976-02-14 1977-08-17
JP2000197975A (ja) * 1998-12-25 2000-07-18 Yoshiaki Shima 熔接ガン
JP2004106057A (ja) * 2002-07-23 2004-04-08 Dengensha Mfg Co Ltd 抵抗溶接制御方法
KR100491923B1 (ko) 2002-08-14 2005-05-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 스폿 용접기
KR20100092208A (ko) * 2009-02-12 2010-08-20 주식회사 피플웍스 고효율 이중모드 광대역 증폭기 출력 전력 스위칭장치
KR20150031034A (ko) 2013-09-13 2015-03-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용 스팟용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2839B2 (ja) 制御スイッチと光学位置検出スイッチシステムとを備えた充電式バッテリジャンプスタート装置
US7777447B2 (en) Battery powered welder system utilizing vehicle powered AC inverter
EP2195902B1 (en) Circuit arrangement with multiple batteries
JP4644062B2 (ja) 電池式はんだ取扱い器具
JP5488877B2 (ja) 電動工具
CA2482111A1 (en) Portable welding-type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energy storage device
EP3309947B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ower supply system
US7652450B2 (en) Secondary battery charging device
CN103252569A (zh) 便携式微型储能点焊机
CN102712088A (zh) 电动工具和其中使用的电池包
US20090066295A1 (en) Method for charging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EP1717926A2 (en) Battery charger
CA2590876A1 (en) Portable power supplying device
JP2007068264A (ja) 充電装置
KR102059362B1 (ko) 배터리 용접기의 사용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배터리 용접 시스템
JP5500337B2 (ja) 電池パックを充電する充電装置
JP3130869U (ja) 出力電圧調節可能の電動工具充電器
KR101693432B1 (ko) 건전지용 스폿 용접 장치
US20130106361A1 (en) Device and method for warming up a battery
JP3934700B2 (ja) バッテリ充電装置およびバッテリ充電方法
JP2006286508A (ja) リチウム電池パックおよびリチウム電池用充電装置
KR100809846B1 (ko) 셀 밸런싱을 위한 지그
JP5695970B2 (ja) 充放電電源装置
JP2011097681A (ja) 電動装置の電源システム
KR102458524B1 (ko) 이차전지의 이종금속 저항 용접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