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144B1 - 허리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허리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144B1
KR101693144B1 KR1020160033247A KR20160033247A KR101693144B1 KR 101693144 B1 KR101693144 B1 KR 101693144B1 KR 1020160033247 A KR1020160033247 A KR 1020160033247A KR 20160033247 A KR20160033247 A KR 20160033247A KR 101693144 B1 KR101693144 B1 KR 101693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body support
connection
hing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7147A (ko
Inventor
이도영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이도영
이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영, 이선영 filed Critical 이도영
Priority to KR1020160033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144B1/ko
Publication of KR20160037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4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4Hip
    • A61H2001/0251Hip by moving the legs together later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61H2201/0146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계의 도움으로 하반신을 위치시킨 하반신 운동부를 공전(公轉)시켜 허리 및 골반 공전운동과 아울러 그 공전의 반경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또 별도 또는 동시에 하반신 운동부 좌우로 소정 각도만큼 정역시킴과 아울러 그 회전되는 각도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사용자의 신장크기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양분된 하반신 운동부를 신장 및 축소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허리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에 따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연결부재(15)의 하단과 작동간(14)의 전방과의 연결은 연결부재(15)의 상단이 운동기구의 길이방향인 전방 내지는 후방으로 유동되도록 힌지부(28)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15)의 상단은 하체받침대(5)의 저면의 연결 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하체받침대(5)가 폭방향(A)으로 뒤틀리거나 상기 하체받침대(5)의 전방이 연결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승강 내지는 하강하더라도 힌지(29,30)회동할 수 있는 좌우 전후 유동되는 관절장치(31)와,
제1감속모터의 동략과 연결되어 회동하는 회동부재(17)와, 상기 회동부재(17)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부재(17)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고정부(18)가 있고, 상기 고정부(18)의 일측에 전방으로 길게 향한 유동부재(19)후방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유동부재(19)전방은 작동간(14)이 전방을 향하도록 끼우는 베어링하우징(20)이
위치된 절곡편(21)일단이 힌지로 연결된 절곡부재(22)와
몸체(3)에 하체받침대(5) 후방 끝단이 관절부재(7)로 연결되어 하체받침대 앞쪽이 사방으로 향하도록 구성이다.

Description

허리 운동기구{a}
본 발명은 허리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계의 도움으로 하반신을 위치시킨 하반신 운동부를 공전(公轉)시켜 허리 및 골반 공전운동과 아울러 그 공전의 반경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또 별도 또는 동시에 하반신 운동부 좌우로 소정 각도만큼 정역시킴과 아울러 그 회전되는 각도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사용자의 신장크기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양분된 하반신 운동부를 신장 및 축소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허리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허리 운동기구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 위에 사용자가 올라선 상태에서 자신의 힘으로 회전판을 회전시킴으로써 허리를 비틀어주어 허리 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 최근에는 상기 회전판을 자동으로 정역 회전되게 한 허리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허리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힘으로 회전판을 돌려주어야 함에 따라 힘의 소비와 함께 지속적인 운동을 하기 힘들다.
이와 같은 운동기구는 건강한 사람이 자기 몸관리를 위해 운동하는 방법이고, 노약자나 기타 재활치료를 위한 환자에겐 무용지물이다.
따라서 본원의 허리 운동기구는 자기 스스로 운동을 할 수 없는 노약자나 재활치료가 요구되는 환자에게 이용되는 허리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인 과제는,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기계의 도움으로 하반신을 위치시킨 하체받침부를 공전(公轉)시켜 허리 및 골반 또는 척추운동과 아울러 그 공전의 반경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또 별도 또는 동시에 하반신 운동부를 좌우로 소정 각도(비틀림)만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킴과 아울러 그 회전되는 각도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사용자의 신장크기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양분된 하반신 운동부를 신장 및 축소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과제이다.
먼저, 첨부한 도시중 도 7도에 나사선(25)을 도시하고 나머지 도면에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첨부한 도면에 의거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몸체(3) 상측에 상체받침대(4)와, 상기 상체받침대(4) 앞쪽 끝단부(3')에 위치되는 몸체(3)에 하체받침대(5) 후방 끝단이 힌지로 연결된 연결부(6)가 있다.
삭제
상기 연결부(6)는 하체받침대 앞쪽이 사방(상측, 하측, 좌측, 우측 360°포함)으로 향하도록 관절부재(7)로 구성한다.
상기 관절부재(7)는 하체받침대 앞쪽이 사방으로 향할 경우 관절에서 마찰로인한 소음이 발생함으로 베어링을 포함하고 있는 유니버셜조인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3)의 프레임(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에 끼워지되 길이를 가지고 몸체(3)와 일체된 프레임(2)이 있고, 둘레방향으로 헛돌지 않도록 가이드(11)에 가이드 된 상태에서 전후 슬라이드 되도록 가이드부(12)가 있는 이동관(13)과 , 상기 이동관(13)전방에 설치된 유니버셜 조인트(200)와, 상기 유니버셜조인트(200)에 일측이 연결되어 타측이 사방으로 절곡되는 작동간(14)과, 상기 작동간(14)의 전방 끝단과 하체받침대(5)의 저면과 연결하는 연결부재(15)와,
상기 고정부재(10)의 원호 외벽에 상기 고정부재(1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끼워진 베어링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감속모터의 동력과 연결되어 회동하는 회동부재(17)와, 상기 회동부재(17)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부재(17)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고정부(18)가 있고, 상기 고정부(18)의 일측에 전방으로 길게 향한 유동부재(19)후방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유동부재(19)전방은 작동간(14)이 전방을 향하도록 끼우는 베어링하우징(20)이 위치된 절곡편(21)일단이 힌지로 연결된 절곡부재(22)로 구성된다(5, 6도 참조).
상기 이동관(13)은 이동관(13)을 원통으로 형성하고 그 원통관 길이방향에 형성시킨 나사선(25)과, 상기 나사선(25)에 나선으로 결합되고 프레임(2)에 고정된 지지부(미도시)에 헛돌도록 설치되며 제2감속모터의 회동자(26)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감속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27)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5)의 하단과 작동간(14)의 전방과의 연결은 연결부재(15)의 상단이 운동기구의 길이방향인 전방 내지는 후방으로 유동되도록 힌지부(28)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15)의 상단은 하체받침대(5)의 저면의 연결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하체받침대(5)가 폭방향(A)으로 뒤틀리거나 상기 하체받침대(5)의 전방이 연결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승강 내지는 하강하더라도 힌지(29,30)회동할 수 있는 좌우 전후 유동되는 관절장치(31)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4,10도 참조).
상기 절곡편(21)의 베어링하우징(20)에 작동간(14) 전방이 관통하고 상기 작동간 (14)후방은 유니버셜조인트(200)가 연결되되 상기 절곡편(21)과 상기 고정부(18)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유니버셜조인트(200)는 상기 유니버셜조인트(200)후방으로 향한 상태에서 가이드부(11)에 지지되는 이동관(13)을 포함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작동간(14) 전방은 연결부재(15)하단이 힌지부(28)로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재(15) 상단이 운동기구의 길이방향 전방 내지는 후방으로 유동되도록 연결되면 상기 연결부재(15) 상단은 하체받침대(5)의 저면의 연결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하체받침대(5)가 폭방향(A)으로 뒤틀리거나 상기 하체받침대(5)의 전방이 관절부재(7)를 중심축으로 하여 승강 내지는 하강하더라도 힌지(29,30)회동할 수 있는 좌우 전후 유동되는 관절장치(31)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작동간(14) 전방이 공전하면 상기 하체받침대(5) 전방도 함께 공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6)의 앞쪽은 하체받침대(5)의 후방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 후방은 후방으로 향하는 회동축(35)을 형성하여 몸체(3)에 고정된 지지부분(36)에 지지되어 제3감속모터의 회전자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성이다(3,11,12도 참조).
상기 하체받침대(5)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제2하체받침대(5')의 길이방향을 신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도록 상기 하체받침대(5)앞쪽 끝단부에 가이드봉(37)을 앞쪽을 향하도록 길게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봉(37)에 제2하체받침대(5')가 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제2하체받침대(5')를 모터의 동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감속모터(38)를 설치하여 상기 감속모터의 동력으로부터 신장되거나 축소되는 신장봉(39)을 하체받침대 앞쪽에 고정하는 구성이다(16도 참조).
하체받침대(5)의 앞쪽에 사용자의 발등부분을 가압(加壓)하기 위한 레버(44)를 설치하는 지지판(41)과, 상기 지지판(41)에 동력에 의해 신장되거나 축소되는 제2신장봉(42)이 있는 제4감속모터(43)와,
상기 제4감속모터(43)의 제2신장봉(42)의 끝단부에 연결되되 일측을 밀리거나 당겨지면 중앙부분에 축봉(45)으로 연결되고 상측으로 향한 타측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거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레버(44)와,
상기 레버(44)의 상측에 발목을 가압하는 쿠션재(46)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보충설명, 도면 88은 하체받침대(5)에 헛돌지 않도록 고정된다.
다만 관절장치(31)가 유동되도록 결합되는 부품이다.
도시한 13도에 의해 관절장치(31)를 보충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곽이 볼형태로 되어 있고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관통하는 관통공(202)이 있는 구형(203)과, 상기 구형(202)이 유동이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틀(204)과, 상기 지지틀(204)의 양측 측면에 힌지(29)로 연결시키고 하단에 연결부재(15)를 고정시키는 힌지연결부재(205)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부재(15)의 하단과 작동간(14)의 전방과의 연결은 연결부재(15)의 상단이 운동기구의 길이방향인 전방 내지는 후방으로 유동되도록 힌지부(28)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15)의 상단과 하체받침대(5)의 저면과의 연결은 상기 하체받침대(5) 전방이 폭방향(A)으로 뒤틀리거나 승강 내지는 하강하면 힌지(29,30)회동에 의해 좌우 전후 유동되는 관절장치(31)로 연결하며,

상기 작동간(14)을 회전시켜 상기 하체받침대(5)의 전방을 사방으로 향하도록 하는 절곡부재(22)는 제1감속모터의 동력과 연결되어 회동하는 회동부재(17)와,
상기 회동부재(17)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부재(17)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고정부(18)와
상기 고정부(18)의 일측에 전방으로 길게 향한 유동부재(19)후방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유동부재(19)전방은 작동간(14)이 전방을 향하도록 끼우는 베어링하우징(20)이 위치된 절곡편(21)일단이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작동간(14) 후방은 상기 절곡부재(17)의 고정부(18)와 절곡편(21) 사이에 위치된 유니버셜조인트(200)에 연결되고,

상기 하체받침대(5)의 후방과 프레임(3)의 전방과의 연결은,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하체받침대(5) 앞쪽이 상기 유니버셜조인트를 기준점으로 하여 사방으로 향하도록 한 구성이다.

여기서 청구항1에 해당하는 구성을 정확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결부재(15)의 하단과 작동간(14)의 전방과의 연결은 연결부재(15)의 상단이 운동기구의 길이방향인 전방 내지는 후방으로 유동되도록 힌지부(28)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15)의 상단과 하체받침대(5)의 저면과의 연결은 상기 하체받침대(5) 전방이 폭방향(A)으로 뒤틀리거나 상승 내지는 하강하면 힌지(29,30)회동에 의해 좌우 상하 유동되는 관절장치(31)로 연결하며,

상기 작동간(14)을 회전시켜 상기 하체받침대(5)의 전방을 사방으로 향하도록 제1감속모터의 동력과 연결되어 회동하는 회동부재(17)와,
상기 회동부재(17)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부재(17)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고정부(18)와

상기 고정부(18)의 일측에 전방으로 길게 향한 유동부재(19) 후방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유동부재(19)전방은 작동간(14)이 전방을 향하도록 끼우는 베어링하우징(20)이 위치된 절곡편(21)일단이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작동간(14) 후방은 고정부(18)와 절곡편(21) 사이에 위치된 유니버셜조인트(200)에 연결되고,

상기 하체받침대(5)의 후방과 프레임(3)의 전방과의 연결은 관절부재(7)로 연결되되, 상기 하체받침대(5) 앞쪽이 상기 유니버셜조인트(200)를 기준점으로 하여 사방으로 향하도록 한 구성이다,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의 효과는 설명하기로 한다.
절곡된 절곡편에 작동간이 절곡된 상태이므로 절곡부재가 회전하게 되면 도시한 8,10도와 같이 유니버셜조인트를 중심으로 하여 작동간의 앞쪽 끝단이 원을 그리듯이 360°회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작동간 앞쪽과 연결된 하체받침대 또한 원을 그리듯이 360°회동하여 사용자의 하체를 360°회동시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누워있는 상태로 허리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시한 제 14,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감속모터를 회전하면 제3감속모터와 밸트로 연결된 회동축이 정회전 역회전을 반복하면 회동축과 연결되고 연결부전방에 헛돌지 않도록 고정된 하체받침대가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뒤틀리듯이 좌우로 회동을 반복한다.
이로 인해 허리의 뒤틀린 운동을 같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제 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체받침대 앞쪽에 제2하체받침대가 가이드봉에 연결되어 있고 제2하체받침대에는 신장봉을 신장시키거나 축소시키는 감속모터가 설치되어 신장봉 끝단이 하체받침대 앞쪽에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신장봉을 신장하거나 축소하면 하체받침대로부터 제2하체받침대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원의 구성에 따른 장점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참고하기 바란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허리 운동기구의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의 정면을 보인 사시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허리 운동기구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도로서
가)는 제 1도의 내부 사시도이고,
나)는 제 2도의 내부 사시도이다.
제 4도는 본 발명의 허리 운동기구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도로서
가)는 제 1도의 내부 사시도이고,
나)는 제 2도의 내부 사시도이다.
제 5도는 본 발명의 허리 운동기구의 구동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 시도로서,
가)는 절곡부재(22)의 유동부재(19)가 상측에 있는 상태에서
나)는 절곡부재의 회전으로 유동부재가 좌측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 이고,
다)는 절곡부재의 회전으로 유동부재가 하측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 이며,
라)는 절곡부재의 회전으로 유동부재가 하측 방향을 지나 우측방향 으로 회동한 상태이다.
제 6도는 제 5도의 가), 나), 다), 라)를 연이어 반복할 경우 절곡부재가 회 전하는 모습으로 표현되는 설명도이다.
제 7도는 본 발명의 허리 운동기구의 구동장치의 단면도로서,
가)는 작동간이 수평으로 있을 경우의 단면도이고,
나)는 작동간이 절곡한상태에 있는 단면도이다.
제 8도는 본 발명의 허리 운동기구의 하체받침대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 서,
가)는 하체받침대 앞쪽이 좌우로 움직이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 고,
나)는 하체받침대 앞쪽이 상하로 움직이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 다.
제 9도는 제 8도의 가), 나)를 연이어 연결시켜 동작할 경우 하체받침대의 앞쪽이 360°회전한다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10도는 본 발명의 허리 운동기구의 관절장치(31)로서,
가)는 구형(202)이 수평상태이고,
나)는 구형(202)이 상하로 유동되는 상태를 보인 상태이며,
다)는 구형(202)이 상,하,좌,우로 유동되는 상태를 보인 상태이 다.
제 11도는 본 발명의 허리 운동기구의 사시도로서,
가)는 하체받침대가 우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이고,
나)는 하체받치대가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이다.
제 12도는 제 11도의 좌우 기울어져 있는 상태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로서
가)는 하체받침대 내부가 우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이고,
나)는 하체받침대 내부가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이다.
제 13도는 본 발명의 허리 운동기구의 하체받침대의 일부를 생략한 평면도로 서,
가)는 하체받침대(5)로부터 제2하체받침대(5')가 신장된 상태이고,
나)는 하체받침대(5)로부터 제2하체받침대(5')가 축소된 상태이다.
제 14도는 본 발명의 허리 운동기구의 하체받침대의 앞쪽에 사용자의 발등부 분을 가압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설명도로서,
가) 이용자의 발목을 가압하기 전(前)상태이고,
나)는 이용자의 발목을 가압한 상태이다.
프레임(3) 상측에 상체받침대(4)가 있고 그 상체받침대(4) 앞쪽 끝단부(3')부분에 위치되는 프레임(3)에 하체받침대(5) 후방 끝단이 힌지로 연결된 연결부(6)가 있다.
본원은 상기 연결부(6)를 하체받침대 앞쪽이 사방(상측, 하측, 좌측, 우측 360°포함)으로 향하도록 관절부재(7)로 구성하였다.
상기 관절부재(7)는 시중에서 구매가 용이하고, 관절에서 마찰로 인한 소음이 발생함으로 베어링을 포함하고 있는 유니버셜조인트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몸체(3)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가 있고, 그 고정부재(10)에 끼워지되 길이를 가지고 있고 둘레방향으로 헛돌지 않도록 가이드(11)에 가이드 된 상태에서 전후 슬라이드되는 이동관(13)이 있으며, 상기 이동관(13)전방에 설치된 유니버셜조인트(200)가 있다. 그리고 그 유니버셜조인트(200) 일측에 연결되어 타측이 사방으로 절곡되는 작동간(14)이 있으며, 그 작동간(14)의 전방 끝단과 하체받침대(5)의 저면과 연결부재(15)로 연결된다.
그리고 고정부재(10)의 원호 외벽에 상기 고정부재(1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끼워진 베어링(16)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동하는 회동부재(17)가 있으며, 그 회동부재(17)는 제1감속모터의 동력과 밸트(E)로 연결되어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또 상기 회동부재(17)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부재(17)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고정부(18)가 있고, 상기 고정부(18)의 일측에 전방으로 길게 향한 유동부재(19)후방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유동부재(19)전방은 작동간(14)이 전방을 향하도록 끼우는 베어링하우징(20)이 위치된 절곡편(21)일단이 힌지로 연결된 절곡부재(22)로 구성하였다(도 5,6 참조).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이동관(13)은 가이드부(11)에 가이드 되어 헛돌지 않도록 되어있되 전후 이동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앞으로 전진시켜 미도시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부재(10) 및 프레임(2)과 고정한다.
그렇게 고정하게 되면 이동관(13)은 앞으로나 뒤로 이동하지 않는다.
상기 이동관(13)의 전진과정에 상기 이동관(13)전방에 설치된 유니버셜조인트(200)또한 앞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그 유니버셜조인트(200)는 상기 유니버셜조인트(200)와 연결되고 절곡부재(22)의 절곡편(21)에 설치된 작동간(14)은 앞으로 전진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어 도시한 7도와 같이 절곡편(21)이 앞으로 전진하지 못하고 상측으로 절곡되는 것이다.
그래서 절곡편(21)을 따라 작동간(14) 또한 절곡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부재(15)의 하단과 작동간(14)의 전방과의 연결은 연결부재(15)의 상단이 운동기구의 길이방향인 전방 내지는 후방으로 유동되도록 힌지부(28)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15)의 상단은 하체받침대(5)의 저면의 연결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하체받침대(5)가 폭방향(A)으로 뒤틀리거나 상기 하체받침대(5)의 전방이 연결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승강 내지는 하강하더라도 힌지(29,30)회동할 수 있는 좌우 전후 유동되는 관절장치(31)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4,10도 참조).
여기까지 구성으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곡편(21)을 따라 작동간(14)이 절곡되면 작동간(14)은 작동간(14)과 연결된 연결부재(15)를 도시한 바와 같이 들어올리면 연결부재(15)와 연결된 하체받침대(5)의 앞쪽 또한 유니버셜조인트를 기준점으로
상측으로 절곡된다.
이 상태에서 컨트롤에 의해 전류를 제1감속모터에 인가하면 제1감속모터는 제1감속모터와 밸트(E)로 연결된 회동부재(17)를 회동시킨다. 그러므로 회동부재(17)에 고정된 절곡부재(22)가 회전하고 그로 인해 작동간(14)이 절곡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하면 연결부재(15)로 연결된 하체받침대(5) 또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다시 한번 언급하면, 작동간(14) 전방과 연결부재(15)하단의 연결에 있어서, 힌지부(28)로 연결되되 작동간(14)의 상측이 운동기구(1)의 폭방향으로 절곡되면 하체받침대(5)를 회동시키지 못하므로 전방과 후방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5) 상단은 좌우 전후 유동되는 관절장치(31)와 연결되어 있어 하체받침대(5)를 회동시킬 수 있다(도 5,7 참조).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곡편(21)이 절곡되면서 작동간(14)이 절곡된 상태이므로 절곡부재(22)가 회전하게 되면 도시한 8,10도와 같이 유니버셜조인트(200)를 중심으로 하여 작동간(14)의 앞쪽 끝단이 원을 그리듯이 360°회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작동간(14) 앞쪽과 연결된 하체받침대(5) 또한 원을 그리듯이 360°회동하여 사용자의 하체를 360°회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한 3,11,12도와 같이, 상기 연결부(6)의 앞쪽은 하체받침대(5)의 후방에 고정되고 그 연결부 후방은 후방을 향하는 회동축(35)을 형성하여 몸체(3)에 고정된 지지부분(36)에 지지되어 제3감속모터의 회전자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의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감속모터를 회전하면 제3감속모터와 밸트(E)로 연결된 회동축(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의 후방에 연결된 회전자 포함)이 정회전 역회전을 반복하면 회동축(35)과 연결되고 연결부(6)전방에 헛돌지 않도록 고정된 하체받침대(5)가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뒤틀리듯이 좌우로 회동을 반복한다.
여기서 참고, 본원에서는 제3감속모터와 밸트로 연결하고 있으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왕복운동시키는 크랭크 원리를 이용하여 회동축(35)을 정회전 역회전 시킬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체받침대(5)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하체받침대(5,5')의 길이방향을 신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도록 하체받침대(5)앞쪽 끝단부에 가이드봉(37)을 앞쪽을 향하도록 길게 형성하여 그 가이드봉(37)에 제2하체받침대(5')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하체받침대(5')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감속모터(38)를 설치하고 그 감속모터(38)는 감속모터에 의해 신장되거나 축소되는 신장봉(39)을 하체받침대(5) 앞쪽에 고정하였다.
여기서 상기의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하체받침대(5)앞쪽에 제2하체받침대(5')가 가이드봉(37)에 연결되어 있고 제2하체받침대(5')에는 신장봉(39)을 신장시키거나 축소시키는 감속모터(38)가 설치되어 신장봉(39)끝단이 하체받침대(5) 앞쪽에 연결시켰다.
그러므로 하체받침대(5)로부터 제2하체받침대(5')를 신장시키려면 감속모터(38)에 전류를 인가하여 신장봉(39)을 신장하면 제2하체받침대(5')가 신장되는 것이다. 축소는 반대로 하면 된다.
그리고 도시한 14도와 같이 하체받침대(5)의 앞쪽에 사용자의 발등부분을 가압하기 위한 레버(44)를 설치하는 지지판(41)을 설치하고 그 지지판(41)에 동력에 의해 신장되거나 축소되는 제2신장봉(42)이 있는 제4감속모터(43)가 있으며,
상기 제4감속모터(43)의 제2신장봉(42)의 끝단부에 연결되되 일측을 밀리거나 당겨지면 중앙부분에 축봉(45)으로 연결되고 상측으로 향한 타측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거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레버(44)가 있다.
그리고 그 레버(44)의 상측에 발목을 가압하는 쿠션재(4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의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목을 가압시키려면 축봉(45)에 설치된 레버(44)의 하단과 제4감속모터(43)의 제2신장봉(42)끝단과 연결된 상태에서 제4감속모터(43)에 전류를 인가하면 제2신장봉(42)은 신장되고 그에 따라 레버(44)는 축봉(45)을 중심으로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로 인해 레버(40)의 상단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레버의 상단에 설치된 쿠션재(46)가 사용자의 발목을 가압하는 것이다. 반대로 제2신장봉(42)을 축소하면 쿠션재(46)가 시계반대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발목으로부터 이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쿠션재로 발목을 고정함으로써 이용자는 안전하게 운동이 가능한 것이다. 만약 발목을 잡아주지 못하게 되면 이용자의 하체가 하체받침대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그리고 제 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관(13)은 이동관(13)을 원통으로 형성하고 그 원통관 길이방향에 형성시킨 나사선(25)과, 상기 나사선(25)에 나선으로 결합되고 프레임(2)에 고정된 지지부(미도시)에 헛돌도록 설치되며 제2감속모터의 회동자(26)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감속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27)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도시한 체인 및 밸트(E)로 제2감속모터와 연결된 회동부(27)는 제2감속모터가 회전하면 회전하게되고 그로 인해 회동부(27)와 나선으로 결합되고 헛돌지 않도록 가이드부(11)에 가이드된 이동관(13)이 앞으로 전진하거나 후방으로 후진한다.
물론 앞에서 언급하였지만 회동부(27)는 프레임(2)등에 헛도는 상태로 지지된다.
이렇게 제2감속모터에 의해 이동관(13)을 이동하므로 보다 편리한 것이다.
그 이동관(13)을 이동시키는 이유에 대해 앞에서 설명하였기에 그에 따른 설명은 생략한다.
2 ;프레임 3 ; 몸체
4 ; 상체받침대 5 ; 하체받침대
5' ; 제2하체받침대 6 ; 연결부
7 ; 관절부재 10 ; 고정부재
11 ; 가이드 12 ; 가이드부
13 ; 이동관 14 ; 작동간
15 ; 연결부재 16 ; 베어링
17 ; 회동부재 18 ; 고정부
19 ; 유동부재 20 ; 베어링하우징
21 ; 절곡편 22 ; 절곡부재
25 ; 나사선 26 ; 회동자
27 ; 회동부 28 ; 힌지부
31 ; 관절장치 36 ; 지지부재
37 ; 가이드봉 40 ; 레버
41 ; 지지판 42 제2신장봉
46 ; 쿠션재 200 ; 유니버셜조인트

Claims (1)

  1. 연결부재(15)의 하단과 작동간(14)의 전방과의 연결은 연결부재(15)의 상단이 운동기구의 길이방향인 전방 내지는 후방으로 유동되도록 힌지부(28)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15)의 상단과 하체받침대(5)의 저면과의 연결은 상기 하체받침대(5) 전방이 폭방향(A)으로 뒤틀리거나 상승 내지는 하강하면 힌지(29,30)회동에 의해 좌우 상하 유동되는 관절장치(31)로 연결하며,

    상기 작동간(14)을 회전시켜 상기 하체받침대(5)의 전방을 사방으로 향하도록 제1감속모터의 동력과 연결되어 회동하는 회동부재(17)와,
    상기 회동부재(17)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부재(17)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고정부(18)와

    상기 고정부(18)의 일측에 전방으로 길게 향한 유동부재(19) 후방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유동부재(19)전방은 작동간(14)이 전방을 향하도록 끼우는 베어링하우징(20)이 위치된 절곡편(21)일단이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작동간(14) 후방은 고정부(18)와 절곡편(21) 사이에 위치된 유니버셜조인트(200)에 연결되고,

    상기 하체받침대(5)의 후방과 프레임(3)의 전방과의 연결은 관절부재(7)로 연결되되, 상기 하체받침대(5) 앞쪽이 상기 유니버셜조인트(200)를 기준점으로 하여 사방으로 향하도록 한 구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운동기구.
KR1020160033247A 2016-03-21 2016-03-21 허리 운동기구 KR101693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247A KR101693144B1 (ko) 2016-03-21 2016-03-21 허리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247A KR101693144B1 (ko) 2016-03-21 2016-03-21 허리 운동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510A Division KR20110105413A (ko) 2010-03-19 2010-03-19 허리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147A KR20160037147A (ko) 2016-04-05
KR101693144B1 true KR101693144B1 (ko) 2017-01-04

Family

ID=5580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247A KR101693144B1 (ko) 2016-03-21 2016-03-21 허리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1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1106B (zh) * 2017-11-15 2020-02-18 上海理工大学 一种腰椎多维牵引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369Y1 (ko) 2005-06-08 2005-08-18 박유연 스윙 및 틸팅가능한 복합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369Y1 (ko) 2005-06-08 2005-08-18 박유연 스윙 및 틸팅가능한 복합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147A (ko) 201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9666B1 (en) Exercising device that produces elliptical foot movement
TWI421067B (zh) 椅型按摩機所具備之揉背裝置及具備有此揉背裝置之椅型按摩機
CA2288114C (en) Stationary exercise apparatus with adjustable crank
US6672992B1 (en) Exercising device
JP4104449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US5179940A (en) Method for massaging the spinal area and adjacent back muscles in an improved kneading motion
US9597540B2 (en) Adaptive motion exercise device
JP6723284B2 (ja) 上肢リハビリ支援装置
CN104337662A (zh) 按摩装置以及设有该按摩装置的座椅式按摩器
JP2004202011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US11944866B2 (en) Exercise machines having adjustable elliptical striding motion
KR101693144B1 (ko) 허리 운동기구
CN220090377U (zh) 一种曲柄机构、步态康复训练设备及肢体训练机
KR20160039600A (ko) 허리 운동기구
US6364850B1 (en) Massage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combined tapping and kneading massaging actions
JP4475081B2 (ja) 腕の運動装置
KR101677528B1 (ko) 전동 꺼꾸리 운동기구
KR20110105413A (ko) 허리 운동기구
JP3547722B2 (ja) 四つ玉式マッサージ機構とこの機構を内蔵したマッサージ装置
KR20180086634A (ko) 디스크 치료기
TWI603760B (zh) 可側向滑動的橢圓機
KR20130042693A (ko) 하반신 비틀림 운동장치를 갖는 허리 운동기구
JP2000116741A (ja) マッサージ装置
JP4241133B2 (ja) 歯科用診療台
CN211561009U (zh) 一种具有曲柄摇杆机构的按摩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