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974B1 -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 - Google Patents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974B1
KR101692974B1 KR1020160035296A KR20160035296A KR101692974B1 KR 101692974 B1 KR101692974 B1 KR 101692974B1 KR 1020160035296 A KR1020160035296 A KR 1020160035296A KR 20160035296 A KR20160035296 A KR 20160035296A KR 101692974 B1 KR101692974 B1 KR 101692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ole
filtration
filtration member
dr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원
Priority to KR1020160035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6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1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nozzles or su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B01D2201/291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는, 양단이 개구된 튜브형태의 여과부재; 여과부재의 개구된 일단부에 결합되고, 여과부재를 통과하는 공기가 지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 캡; 여과부재의 개구된 타단부에 결합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제2 캡; 및 관통홀을 폐쇄하거나 개방하고, 관통홀을 폐쇄한 상태에서 제2 캡을 제1 캡 쪽으로 당기는 견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탈진조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더라도 여과부재의 파손 및 여과부재와 캡의 결합부위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CARTRIDGE FILTER USED IN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진조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더라도 여과부재의 파손 및 여과부재와 캡의 결합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에 관한 것이다.
국내산업체, 복합화력발전소, 공조시설 등에 설치된 여과장치에는 대부분 표면여과용 카트리지 필터(cartridge filter)를 설치하여 미세먼지입자 등을 정제하고 있다.
카트리지 필터의 표면에 먼지층이 과도하게 형성되면 압력손실이 상승하므로, 탈진조작을 통한 주기적인 탈진이 이루어진다.
탈진조작은 압축공기를 솔레노이드 밸브 및 블로우 파이프를 통해 카트리지 필터 상부에서 순간적으로 분사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탈진조작을 하면 필터 표면에서 먼지층이 순간적으로 유리되어 떨어진다.
그러나 탈진조작은 압축공기의 분사에 의해 카트리지 필터 내부 압력을 순간적으로 높이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므로, 탈진조작이 반복되면 여과부재의 팽창에 의한 파손 및 여과부재와 캡의 결합부위 파손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33453호에는 이중 타공망체가 구비된 카트리지 필터가 개시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5-0133453호는 송풍기가 설치된 본체 하부측에 위치되고 공기유입구와 통하는 여과실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에어펄스밸브에 의해 내부측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며 상부캡과 하부캡 및 상부캡과 하부캡 사이에 위치되고 상부캡과 하부캡에 의해 양측단이 지지되는 주름진 여과포를 갖는 카트리지 필터에 있어서, 여과포의 내측에는 제1 타공망체가 더 구비되고, 여과포의 외측에는 제2 타공망체가 더 구비되어, 여과포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에어펄스밸브에 의해 에어가 분사될 때 여과포가 제2 타공망체에 의해 여과포의 외측방향으로 부풀어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공개특허공보 제2015-0133453호는 여과포를 제1 타공망체와 제2 타공망체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여과부재의 팽창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는 있으나, 여과부재와 캡의 결합부위에서 발생하는 파손은 방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2015-0133453호는 제2 타공망체가 여과포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여과포의 부풀어짐을 방지하므로, 제2 타공망체와 여과포의 접촉부위에서 여과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공개특허공보 제2015-0133453호는 여과포의 팽창이 구속되어 압축공기의 힘이 여과부재와 캡의 결합부위에 더욱 집중됨에 따라, 여과부재와 캡의 결합부위의 파손발생율이 오히려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탈진장치의 이상 작동에 의해 필터 내부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 카트리지 필터의 파손을 막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33453호 (공개일: 2015.11.30)
본 발명의 목적은, 탈진조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더라도 여과부재의 파손 및 여과부재와 캡의 결합부위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양단이 개구된 튜브형태의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의 개구된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여과부재를 통과하는 공기가 지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 캡; 상기 여과부재의 개구된 타단부에 결합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제2 캡; 및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거나 개방하고, 상기 관통홀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캡을 상기 제1 캡 쪽으로 당기는 견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여과부재는, 부직포층 및 상기 부직포층의 외면에 결합되는 다공성 멤브레인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층은 ePTFE(Expanded polytetra fluoroethylen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견인부재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캡 쪽으로 당겨지면 상기 관통홀을 막는 중공몸체; 상기 제1 캡 쪽에서 분사된 압축공기의 충격력을 상기 중공몸체로 전달하는 전달부재; 및 상기 제1 캡과 상기 전달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전달부재를 자체 탄성회복력에 의해 상기 제1 캡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중공몸체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압축공기의 충격력을 받는 복수의 항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항력부에는, 상기 제1 캡을 마주보는 오목한 제1 항력면과 상기 제2 캡을 마주보는 볼록한 제2 항력면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와이어를 절곡성형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캡과 상기 항력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시설에 사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중공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캡과 상기 전달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전달부재를 상기 제1 캡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이 구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견인부재가 관통홀을 폐쇄한 상태에서 제2 캡을 제1 캡 쪽으로 당김으로써, 탈진조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더라도 여과부재의 파손 및 여과부재와 캡의 결합부위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의 여과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는, 탈진조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더라도 여과부재의 파손 및 여과부재와 캡의 결합부위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의 여과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의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는, 탈진조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더라도 여과부재의 파손 및 여과부재와 캡의 결합부위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며, 여과부재(100), 제1 캡(200), 제2 캡(300) 및 견인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국내산업체, 복합화력발전소, 공조시설 등에는 미세먼지입자 등을 정제하기 위한 집진시설(미도시)이 설치된다. 공개특허공보 제2012-001213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집진시설에서 배기팬(미도시)이 작동하면 분진유입구(미도시)를 통해 외부의 분진이 집진케이스(미도시)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분진은 집진케이스 내부공간을 격리시키는 차단판(1)에 설치된 카트리지 필터(10)에 의해 여과된다.(도 4 참조)
집진시설에는 카트리지 필터(10)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층을 탈진하기 위한 탈진장치(미도시)가 구비된다. 탈진조작은 압축공기를 솔레노이드 밸브 및 블로우 파이프를 통해 카트리지 필터(10) 상부에서 순간적으로 분사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탈진조작을 하면 필터 표면에서 먼지층이 순간적으로 유리되어 떨어진다. 집진시설 및 탈진장치는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원통형의 표면여과용 카트리지 필터(10)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카트리지 필터(10)는 탈진장치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한 손상이 견고하게 방지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재(100)는 표면에서 미세먼지입자를 제거하는 구성으로서, 양단이 개구된 튜브형태로 형성된다.
도 2에는 여과부재(100)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재(100)는 먼지를 여과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절곡된 형태로 제작된다. 여과부재(100)는 절곡 깊이, 단위 길이당 절곡수, 절곡 형상 등의 절곡조건에 따라 필터성능이 좌우될 수 있다.
여과부재(100) 내부에는 지지망(N)이 구비된다. 지지망(N)은 제1 캡(200)과 제2 캡(300)을 연결하여 카트리지 필터(10)의 뼈대를 형성하는 동시에, 집진시설의 배기팬 작동시 여과부재(100) 내외 압력차이에 의한 여과부재(100)의 축소변형을 방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재(100)는 부직포층(110) 및 다공성 멤브레인층(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직포층(110)은 여과부재(100)의 안쪽에 형성되는 여과층으로서, 굵은 먼지입자의 여과와 더불어 여과부재(100)의 형태를 유지하는 지지층으로서 기능한다.
다공성 멤브레인층(120)은 여과부재(100)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여과층으로서, ePTF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로 이루어진다. ePTFE는 소수성이고, 조밀한 미세 다공성 구조에 따라 물 침입에 저항하며, 소형 입자를 포획하는데 효과적인 표면을 형성하고, 염분 입자의 통과를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다공성 멤브레인층(120)이 여과부재(100)의 바깥쪽에 형성되면, 여과부재(100)는 높은 여과 효율, 기류, 파열 강도(burst strength)를 갖게 된다.
여과부재(100)는 다공성 멤브레인층(120)에 의해 방수성 및 높은 염분 보유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집진시설이 발전소에 설치된 경우, 다공성 멤브레인층(120)에 의해 여과된 공기에 의한 터빈 부품의 부식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따라서 염분 필터의 추가설치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캡(200)은 여과부재(100)를 통과하는 공기가 지나는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여과부재(100)를 통해 여과된 공기가 배출되는 한편 탈진장치의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통과홀(201)이 형성된다.
제1 캡(200)은 등록특허공보 제949608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홀더(2)에 의해 차단판(1)에 결합될 수도 있고, 공개특허공보 제2012-001213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볼트 등 체결부재에 의해 차단판(1)에 체결될 수도 있다. 물론, 제1 캡(200)과 차단판(1) 간의 결합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기술의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캡(200)은 여과부재(100)의 개구된 일단부에 결합된다. 제1 캡(200)과 여과부재(100)는 접착, 열융착 등 공지된 다양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캡(300)은 여과부재(100)의 개구된 타단부를 마감하는 구성으로서, 몸체(310), 제1 돌출부(320) 및 제2 돌출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310)는 대략 원반형태로 형성되며, 그 중심에는 원형의 관통홀(301)이 형성된다. 제1 돌출부(320) 및 제2 돌출부(330)는 여과부재(100)를 향해 돌출되며, 그 사이에 여과부재(100)의 단부가 삽입된다. 제1 돌출부(320) 및 제2 돌출부(330)는 여과부재(100)와 접착, 열융착 등 공지된 다양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시설의 가동 중에는 배기팬의 작동에 의해 여과부재(100) 내부의 압력이 제2 캡(300)을 기준으로 반대쪽(분진유입구와 연통된 공간)보다 낮아지며, 이에 따라 외부의 분진이 분진유입구를 통해 집진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후 통과홀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진장치의 가동 중 압축공기가 통과홀(201)을 통해 여과부재(100)의 내부로 분사되면, 압축공기는 (여과부재(100) 내부에서) 제2 캡(300) 쪽으로 이동하면서 여과부재(100) 내부 압력을 급격하게 상승시키며, 이에 따라 여과부재(100)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층이 유리된다.
이 과정에서 분사된 압축공기의 충격력은 여과부재(100) 및 제2 캡(300)에 전달되는데, 종래의 카트리지 필터는 탈진조작이 반복되는 경우 압축공기의 충격력에 의해 여과부재의 팽창에 의한 파손 및 여과부재와 캡의 결합부위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10)는 견인부재(400)를 통해 압축공기의 충격력에 의한 여과부재(100)의 파손 및 여과부재(100)와 캡의 결합부(421)위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하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부재(400)는 여과부재(100)와 제2 캡(300)의 결합부(421)위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관통홀(301)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구성으로서, 중공몸체(410), 전달부재(420), 탄성부재(430) 및 탄성수단(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몸체(410)는 관통홀(301)을 통한 공기의 배출을 단속하는 구성으로서, 바디(411), 폐쇄단부(412) 및 너트(4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411)는 관통홀(301)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중공파이프 형태로 구비된다. 바디(411)는 관통홀(301)을 관통한 상태에서 탄성부재(430)의 탄성력과 전달부재(420)의 항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바디(411)의 상단은 개방되어 여과부재(100)의 내부와 연통된다. 바디(411)의 하단은 폐쇄단부(412)에 의해 폐쇄된다. 바디(411)의 하단부에는 폐쇄단부(412)의 위쪽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공기배출홀(401)이 형성된다.
폐쇄단부(412)는 제2 캡(30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관통홀(301)을 밀폐하는 구성으로서, 원반형태로 구비되어 바디(411)의 하단에 결합된다.
제2 캡(300)의 저면에는 관통홀(301)의 둘레를 따라 오링 등 실링부재(340)가 결합되며, 폐쇄단부(412)의 상면이 제2 캡(300)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관통홀(301) 및 공기배출홀(401)을 통한 기체의 이동이 차단된다.
너트(413)는 바디(411)로부터 전달부재(4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전달부재(420)가 바디(411)에 결합된 후 바디(411)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바디(411)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너트(413) 및 전달부재(420)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부재(420)는 제1 캡(200) 쪽에서 분사된 압축공기의 충격력을 중공몸체(410)로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결합부(421) 및 항력부(4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합부(421)는 중공몸체(410)의 단부(바디(411)의 상단부)와 결합력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중공몸체(410)의 단부가 나사결합되는 나사홀을 형성한다. 바디(411)의 상단부가 나사홀을 통해 결합부(421)와 나사결합된 후 바디(411)의 상단부에는 상술한 너트(413)가 더 나사결합되며, 이에 따라 바디(411)와 결합부(421)의 결합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항력부(422)는 탈진조작시 압축공기의 충격력을 받는 구성으로서, 결합부(42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항력부(422)에는 제1 항력면(A1)과 제2 항력면(A2)이 형성된다.
제1 항력면(A1)은 항력부(422)에 가해지는 압축공기의 충격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면으로서, 제1 캡(200)을 마주보는 항력부(422)의 상면에서 오목한 면을 형성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진조작시 압축공기가 제1 캡(200)의 통과홀(201)을 통해 여과부재(100)의 내부로 분사되면 압축공기의 충격력은 제1 항력면(A1)에 전달되는데, 제1 항력면(A1)이 제1 캡(200)을 마주보는 오목한 형태를 형성함에 따라 항력부(422)에 전달되는 압축공기의 충격력이 상승하게 된다.
제2 항력면(A2)은 집진시설의 가동 중 항력부(422)에 의한 기체의 운동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면으로서, 제2 캡(300)을 마주보는 항력부(422)의 하면에서 볼록한 면을 형성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시설의 가동 중 여과부재(100)를 통해 여과된 기체는 여과부재(10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승하여 통과홀(201)을 통해 배출되는데, 제2 항력면(A2)이 제2 캡(300)을 마주보는 볼록한 형태를 형성함에 따라 항력부(422)와의 마찰에 의해 손실되는 여과기체의 운동에너지 감소분이 최소화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30)는 전달부재(420)를 자체 탄성회복력에 의해 제1 캡(200) 쪽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와이어를 절곡성형한 형태로 구비되어 제1 캡(200)과 항력부(422)를 연결한다.
탄성부재(430)는 와이어를 1회 이상 절곡한 형태로 구비되어 양쪽 단부가 각각 항력부(422)와 결합된다. 즉, 1개의 탄성부재(430)는 2개의 항력부(422)와 결합된다. 도 3에는 1개의 탄성부재(430)만 도시되었으나, 도 3과 같이 항력부(422)가 4개인 경우 탄성부재(430)는 2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할 걸림부(210)는 탄성부재(430)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항력부(422)에는 탄성부재(430)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탄성부재(430)의 양단부는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항력부(422)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된다.
탄성부재(430)는 중간부분을 통해 제1 캡(200)에 결합된다. 제1 캡(200)에는 통과홀(201) 내주면에 걸림부(210)가 형성된다. 걸림부(210)는 탄성부재(430)의 중간부분을 걸기 위한 구성으로서, 볼트 등으로 구비된다.
탄성부재(430)는 양단부가 항력부(4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신장된 후 그 중간부분이 걸림부(210)에 걸린다. 따라서, 탄성부재(430)는 제1 캡(200)과 항력부(422)를 연결한 상태에서 자체 탄성회복력에 의해 전달부재(420)를 제1 캡(200)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수단(440)은 전달부재(420)를 제1 캡(200) 쪽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압축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제2 캡(300)과 전달부재(420)의 사이에 개재된다. 탄성수단(440)은 전달부재(420)의 하강시 전달부재(420)와 제2 캡(300) 사이에서 탄성 압축됨으로써, 탈진조작시 전달부재(420)의 과도한 하강을 방지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견인부재(400)의 작동구조를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시설의 가동 중에는 배기팬의 작동에 의해 여과부재(100) 내부의 압력이 제2 캡(300)을 기준으로 반대쪽(분진유입구와 연통된 공간)보다 낮아지며, 이에 따라 외부의 분진이 분진유입구를 통해 집진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후 통과홀(201)을 통해 배출된다.
탄성부재(430)는 자체 탄성회복력에 의해 전달부재(420)를 제1 캡(200) 쪽으로 가압하며, 전달부재(420)가 결합된 중공몸체(410)도 제1 캡(200) 쪽으로 지속적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폐쇄단부(412)의 상면은 제2 캡(30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관통공(h) 및 공기배출홀(401)을 통한 기체의 유입이 방지된다.
폐쇄단부(412)의 상면이 제2 캡(30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 즉, 관통홀(301)이 폐쇄된 상태에서, 견인부재(400)는 폐쇄단부(412)의 상면을 통해 제2 캡(300)을 제1 캡(200) 쪽으로 당기는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여과부재(100), 제1 캡(200) 및 제2 캡(300)의 상하방향 결합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진장치의 가동 중 압축공기가 통과홀(201)을 통해 여과부재(100)의 내부로 분사되면, 분사된 압축공기의 충격력은 제1 항력면(A1)을 통해 전달부재(420)에 전달된다.
전달부재(420)는 압축공기의 충격력에 의해 하강하게 되며, 압축공기의 일부는 바디(411)의 중공을 지나 공기배출홀(40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탈진장치의 이상 작동에 의해 필터 내부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더라도 탄성수단(440)의 압축력에 의해 전달부재(420)의 과도한 하강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카트리지 필터(10)는, 탈진조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더라도 압축공기의 힘이 여과부재(100)나 여과부재(100)와 제2 캡(300)의 결합부(421)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탈진장치의 이상 작동에 의해 카트리지 필터(10) 내부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더라도 이를 배출시킴으로써 카트리지 필터(10)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탈진장치의 가동시 공기배출홀(401)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은 탄성부재(430) 및 탄성수단(440)의 스프링상수 값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견인부재가 관통홀을 폐쇄한 상태에서 제2 캡을 제1 캡 쪽으로 당김으로써, 탈진조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더라도 여과부재의 파손 및 여과부재와 캡의 결합부위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카트리지 필터
100 : 여과부재 400 : 견인부재
110 : 부직포층 410 : 중공몸체
120 : 멤브레인층 411 : 바디
200 : 제1 캡 401 : 공기배출홀
210 : 걸림부 412 : 폐쇄단부
201 : 통과홀 413 : 너트
300 : 제2 캡 420 : 전달부재
301 : 관통홀 421 : 결합부
310 : 몸체 h : 관통공
320 : 제1 돌출부 422 : 항력부
330 : 제2 돌출부 A1 : 제1 항력면
340 : 실링부재 A2 : 제2 항력면
1 : 차단판 430 : 탄성부재
2 : 홀더 440 : 탄성수단

Claims (7)

  1. 양단이 개구된 튜브형태의 여과부재; 상기 여과부재의 개구된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여과부재를 통과하는 공기가 지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 캡; 상기 여과부재의 개구된 타단부에 결합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제2 캡; 및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거나 개방하고, 상기 관통홀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캡을 상기 제1 캡 쪽으로 당기는 견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부재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캡 쪽으로 당겨지면 상기 관통홀을 막는 중공몸체; 상기 제1 캡 쪽에서 분사된 압축공기의 충격력을 상기 중공몸체로 전달하는 전달부재; 및 상기 제1 캡과 상기 전달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전달부재를 자체 탄성회복력에 의해 상기 제1 캡 쪽으로 견인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중공몸체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압축공기의 충격력을 받는 복수의 항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부직포층 및 상기 부직포층의 외면에 결합되는 다공성 멤브레인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층은 ePTF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력부에는, 상기 제1 캡을 마주보는 오목한 제1 항력면과 상기 제2 캡을 마주보는 볼록한 제2 항력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와이어를 절곡성형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캡과 상기 항력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중공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캡과 상기 전달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전달부재를 상기 제1 캡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
KR1020160035296A 2016-03-24 2016-03-24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 KR101692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296A KR101692974B1 (ko) 2016-03-24 2016-03-24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296A KR101692974B1 (ko) 2016-03-24 2016-03-24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974B1 true KR101692974B1 (ko) 2017-01-05

Family

ID=5783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296A KR101692974B1 (ko) 2016-03-24 2016-03-24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9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9547A (zh) * 2020-05-27 2020-08-25 杨自波 一种大型空气净化器
KR20240048112A (ko) 2022-10-06 2024-04-15 주식회사 에어릭스에프엔씨 집진기용 필터 카트리지의 하부캡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4881B1 (en) * 1999-04-20 2002-01-01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Filter media
KR20100127611A (ko) * 2009-05-26 2010-12-06 김기호 필터 조립체
KR20130027111A (ko) * 2011-09-07 2013-03-15 (주)신텍 기능성 벤츄리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
KR20150000176A (ko) * 2013-06-24 2015-01-02 한솔신텍 주식회사 캡 너트를 구비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
KR20150133453A (ko) 2014-05-20 2015-11-30 이경옥 이중 타공망체가 구비된 카트리지 필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4881B1 (en) * 1999-04-20 2002-01-01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Filter media
KR20100127611A (ko) * 2009-05-26 2010-12-06 김기호 필터 조립체
KR20130027111A (ko) * 2011-09-07 2013-03-15 (주)신텍 기능성 벤츄리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
KR20150000176A (ko) * 2013-06-24 2015-01-02 한솔신텍 주식회사 캡 너트를 구비한 집진장치용 필터 구조체
KR20150133453A (ko) 2014-05-20 2015-11-30 이경옥 이중 타공망체가 구비된 카트리지 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9547A (zh) * 2020-05-27 2020-08-25 杨自波 一种大型空气净化器
KR20240048112A (ko) 2022-10-06 2024-04-15 주식회사 에어릭스에프엔씨 집진기용 필터 카트리지의 하부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201B1 (ko) Ptfe 멤브레인을 이용한 고효율 카트리지 필터
US11480295B2 (en) Nozzle-type steam trap
KR101692974B1 (ko) 집진시설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필터
EP3110526B1 (en) Pulse cleaning filter system arrangement
CN112076556B (zh) 一种自疏导式连续作业布袋除尘器
CN212166816U (zh) 一种滤袋便于清理的脉冲袋式除尘器
CN205235606U (zh) 一种风源系统多功能集成式前置过滤器
RU2333784C1 (ru) Многосекционный пылеуловитель
CN108679634A (zh) 一种农业环保秸秆燃烧装置
CN107617299A (zh) 破碎机防火除尘系统
CN216343126U (zh) 一种改进后的防堵塞液压阀
CN105413328A (zh) 一种风源系统多功能集成式前置过滤器及其过滤方法
KR101972652B1 (ko) 집진기 필터용 하부캡 및 이를 구비한 카트리지 필터
CN207838523U (zh) 一种新型脉冲式反吹除尘器
CN207307432U (zh) 压缩空气净化过滤器
CN217874801U (zh) 一种污水处理防堵管件
CN214467867U (zh) 一种降噪过滤分离型输气汇管
CN205649952U (zh) 一种多孔陶瓷除尘器应急旁路装置
CN214075618U (zh) 一种无动力油水分离器
CN216171254U (zh) 一种空气压缩机水分分离装置
CN210786479U (zh) 一种新型反折流式t型过滤器
CN217568096U (zh) 一种活性炭吸附设备的喷淋装置
CN214345042U (zh) 一种除尘器过滤装置
CN218031685U (zh) 一种防污堵电磁阀
CN211568913U (zh) 一种可报警的爆破片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