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833B1 - 안테나 설계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안테나 설계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833B1
KR101692833B1 KR1020150088471A KR20150088471A KR101692833B1 KR 101692833 B1 KR101692833 B1 KR 101692833B1 KR 1020150088471 A KR1020150088471 A KR 1020150088471A KR 20150088471 A KR20150088471 A KR 20150088471A KR 101692833 B1 KR101692833 B1 KR 10169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pattern
design
cost function
radiator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50453A (ko
Inventor
김호용
카츠미 사카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50088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833B1/ko
Publication of KR20160150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안테나 설계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방법은, 다수의 방사체가 배열되는 어레이 안테나 설계 방법으로서, 목표 방사 패턴, 크로스 편파 정보, 방사체 개수를 포함하는 입력 변수를 입력받는 단계(a); 임의의 설계 변수들에 대해 상기 목표 방사 패턴과 상기 임의의 설계 변수가 적용된 예측 방사 패턴의 유사도에 반비례하는 비용 함수를 연산하는 단계(b)-상기 설계 변수는 방사체간 간격, 각 방사체의 파워 비 및 각 방사체로 급전되는 신호의 위상을 포함함- ; 상기 단계(b)의 결과에 대해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우수 유전 인자에 해당되는 설계 변수들을 획득하는 단계(c); 및 상기 우수 유전 인자에 해당되는 설계 변수들로부터 최적 설계 변수를 선택하는 단계(d)를 포함하되, 상기 비용 함수 연산 시 상기 목표 방사 패턴 및 상기 예측 방사 패턴으로부터 다수의 서브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각 서브 파라미터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비용 함수를 연산한다. 개시된 방법에 의하면, 원하는 방사 패턴에 대한 설계 변수를 높은 확률로 획득할 수 있으며, 빠른 시간에 원하는 방사 패턴에 대한 설계 변수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설계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Method for Designing Antenna and Recorded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테나 설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열 구조를 가지는 기지국 안테나의 설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지국 안테나는 기지국에 설치되어 특정 영역의 단말들과 통신하는 안테나이다. 통상적으로 기지국 안테나는 다수의 방사체가 배열되는 배열 구조를 가진다.
각 방사체로 급전되는 신호의 파워 및 위상에 따라 전체적인 방사 패턴이 달라진다. 다수의 방사체가 배열되는 구조이기에 각 방사체별로 급전 신호의 파워 및 위상이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하며 방사체간 거리 역시 방사 패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원하는 방사 패턴을 획득하기 위해 방사체간 거리, 파워 및 위상을 방사체별로 설계하여야 하기 때문에 배열 구조 안테나의 설계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상당한 경험을 요구하게 된다.
목표하는 방사 패턴이 특이할 경우, 상당한 경험을 가진 엔지니어라고 할지라도 목표하는 방사 패턴을 획득할 수 있는 안테나의 설계에 실패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를 안테나 설계에 이용하는 방법이 도입되었다.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게 될 경우 원하는 설계 변수를 빠른 시간에 획득하는 경우도 있으나 초기에 입력하는 임의의 설계 변수가 적절하지 않을 경우 원하는 방사 패턴을 얻기 위한 설계 변수를 획득하지 못하거나 설계 변수의 획득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원하는 방사 패턴에 대한 설계 변수를 높은 확률로 획득할 수 있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안테나 설계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빠른 시간에 원하는 방사 패턴에 대한 설계 변수를 획득할 수 있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안테나 설계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방사체가 배열되는 어레이 안테나 설계 방법으로서, 목표 방사 패턴, 크로스 편파 정보, 방사체 개수를 포함하는 입력 변수를 입력받는 단계(a); 임의의 설계 변수들에 대해 상기 목표 방사 패턴과 상기 임의의 설계 변수가 적용된 예측 방사 패턴의 유사도에 반비례하는 비용 함수를 연산하는 단계(b)-상기 설계 변수는 방사체간 간격, 각 방사체의 파워 비 및 각 방사체로 급전되는 신호의 위상을 포함함- ; 상기 단계(b)의 결과에 대해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우수 유전 인자에 해당되는 설계 변수들을 획득하는 단계(c); 및 상기 우수 유전 인자에 해당되는 설계 변수들로부터 최적 설계 변수를 선택하는 단계(d)를 포함하되, 상기 비용 함수 연산 시 상기 목표 방사 패턴 및 상기 예측 방사 패턴으로부터 다수의 서브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각 서브 파라미터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비용 함수를 연산하는 안테나 설계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목표 방사 패턴 및 상기 예측 방사 패턴으로부터 추출되는 다수의 서브 파라미터는 메인 로브 레벨, 사이드 로브 레벨 및 방향성을 포함한다.
상기 목표 방사 패턴과 상기 예측 방사 패턴의 서브 파라미터는 독립적으로 유사도가 비교되어 합산되며, 각 유사도에 각 서브 파라미터에 상응하는 가중치가 적용되어 합산된다.
상기 단계(c)는 상기 단계(b)의 임의의 설계 변수들에 대한 비용 함수에 기초하여 우수 유전 인자를 추출하고 우수 유전 인자들간 크로스 오버 및 변이를 통해 새로운 유전 인자에 해당되는 설계 변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c)는 높은 비용 함수에 해당되는 열성 유전 인자에 해당되는 설계 변수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서로 다른 구조의 이종 방사체가 사용될 경우 상기 단계(a)는 각 방사체의 방사체 위상을 추가적으로 입력받는다.
서로 다른 구조의 이종 방사체가 사용될 경우 상기 각 방사체의 방사체 위상과 함께 이종 방사체의 배열 정보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으며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하는 방사 패턴에 대한 설계 변수를 높은 확률로 획득할 수 있으며, 빠른 시간에 원하는 방사 패턴에 대한 설계 변수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설계 방법이 적용되는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설계를 위해 입력되는 입력 변수와 입력된 입력 변수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설계 변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설계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알고리즘의 적용과정 중 크로스 오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알고리즘의 적용 과정 중 변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알고리즘의 적용과정 중 대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설계 방법이 적용되는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설계 방법이 적용되는 기지국에 설치되는 어레이 안테나일 수 있다. 도 1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테나 설계 방법이 적용되는 안테나는 다수의 방사체(100, 102, 104, 106, 108)가 배열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안테나 설계 방법이 적용되는 기지국 안테나는 페이즈 시프터(110)를 구비하고 있으며, 페이즈 시프터(110)는 각 방사체(100, 102, 104, 106, 108)로 급전되는 급전 신호의 위상을 조절한다.
페이즈 시프터(110)는 각 방사체로 제공되는 급전 신호의 전기적 경로의 길이를 조절하여 급전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방사체(100, 102, 104, 106, 108)의 방사 신호가 조합되면서 원하는 방사 패턴이 형성되며, 각 방사체의 방사 신호는 페이즈 시프터의 위상 및 각 방사체(100, 102, 104, 106, 108)로 제공되는 급전 신호의 파워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페이즈 시프터(11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페이즈 시프터의 개수가 필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이종의 방사체를 사용하는 기지국 안테나의 설계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방사체(100, 104, 108) 및 제2 방사체(102, 106)의 두 개의 종류의 방사체가 사용된다.
추후에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종 안테나에 대한 안테나 설계가 가능하도록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의 방사체 위상 정보를 입력받으며, 각 방사체의 위상 정보가 비용 함수 계산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별도의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설계를 위해 입력되는 입력 변수와 입력된 입력 변수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설계 변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안테나 설계를 위해 입력되는 입력 변수는 목표 방사 패턴, 방사체별 방사 패턴, 크로스 편파 정보, 방사체별 방사체 위상 및 방사체 개수 및 이종 방사체 배열 정보가 포함된다.
목표 방사 패턴은 궁극적으로 설계하는 안테나가 달성하여야 하는 방사 패턴이다.
방사체별 방사 패턴은 어레이를 형성하는 개별 방사체의 방사 패턴 정보이다. 이종 방사체가 사용될 경우 제1 방사체의 방사 패턴과 제2 방사체의 방사 패턴이 독립적으로 입력된다. 제1 방사체 및 제2 방사체의 물리적 구조는 미리 설정되므로, 각 물리적 구조에 해당되는 방사 패턴이 입력된다.
크로스 편파 정보는 설계하려는 안테나의 크로스 편파 정보이다. 예를 들어, +45도 및 -45도의 편파를 사용할 경우 해당 정보가 입력된다.
방사체별 방사체 위상은 이종 방사체가 사용될 경우 각 방사체의 주파수에 따른 위상 정보를 의미한다. 방사체 위상은 이종 방사체가 사용될 경우 입력되며 이종 방사체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입력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입력 변수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설계 변수는 방사체간 간격, 각 방사체로 입력되는 파워 비 및 각 방사체에 대한 위상 정보가 출력된다.
방사체간 간격은 어레이 안테나에서 방사체들간의 물리적 거리를 의미한다.
각 방사체로 입력되는 파워 비는 다수의 방사체로 급전되는 신호의 파워에 대한 비율을 의미한다. 파워 비는 메인 급전 선로로부터 분기되는 각 방사체의 급전 라인의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조절할 수 있다.
각 방사체에 대한 위상 정보는 페이즈 시프터에 의해 조절되는 방사체별 위상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설계 변수를 도출하기 위해 설계자의 경험 및 다수의 시행 착오를 거쳐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자동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설계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입력 변수를 입력받는다(단계 300). 본 발명의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경우 입력 변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GUI에는 이종 방사체를 사용하는지 아니면 단일 방사체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이종 방사체가 사용될 경우 각 방사체의 방사체 위상 및 이종 방사체의 배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이종 방사체의 배열 정보는 어레이에서 각 방사체의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에는 1, 3, 5번 어레이에 제1 방사체가 위치하고 2, 4번 어레이에 제2 방사체가 위치한다.
단일 방사체가 사용될 경우, 방사체 위상 및 어레이 배열 정보는 특별히 입력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입력 변수가 입력되면 1차적으로 임의의 설계 변수에 대한 비용 함수를 연산한다(단계 302).
여기서 임의의 설계 변수는 앞서 설명한 방사체간 간격, 각 방사체의 파워 비 및 각 방사체의 위상을 포함하며, 방사체간 간격, 방사체간 파워 비 및 방사체의 위상이 임의로 지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임의의 설계 변수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비용 함수를 연산한다. 예를 들어, {방사체 간격, 각 방사체 파워 비, 방사체 위상}으로 이루어진 설계 변수를 다수개 임의로 설정한 후 이에 대한 비용 함수를 연산하는 것이다.
비용 함수는 임의로 지정된 설계 변수에 따른 예측 방사 패턴이 목표하는 방사 패턴과 근접하는 정도를 연산하기 위한 함수이다. 비용 함수를 연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식은 전자기학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지정된 설계 변수(방사체간 간격, 방사체 파워 비, 방사체 위상)과 입력 변수 중 방사체 위상, 크로스 편파 정보, 각 방사체별 방사 패턴을 이용하여 방사 패턴을 예측하고 예측된 방사 패턴과 목표하는 방사 패턴과의 유사도를 산출한다. 비용 함수는 산출된 유사도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유사도가 높을수록 비용 함수는 낮아진다.
임의의 설계 변수 집합들에 대한 비용 함수를 연산하면 이를 기초로 하여 유전자 알고리즘을 통해 우수 유전인자에 해당되는 설계 변수를 획득한다(단계 304).
유전자 알고리즘은 비용 함수를 통해 우수 유전 인자(우수 설계 변수)를 선정하며 이들간의 크로스 오버, 변이 및 대치 작업을 통해 보다 우수한 유전 인자(설계 변수)를 도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알고리즘의 적용과정 중 크로스 오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크로스 오버는 우수 유전 인자간 변수를 교환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우수한 유전 인자로 선정된 부 인자와 모 인자간 변수를 교환하여 새로운 유전 인자를 생성한다. 여기서 우수한 유전 인자는 다른 유전 인자(설계 변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 함수를 출력하는 인자를 의미한다. 결국, 목표하는 방사 패턴에 보다 유사한 방사 패턴을 출력하는 인자를 의미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부 인자로 {010, 110, 111}이 있으며 이는 방사체간 간격이 010, 방사체 파워 비가 110, 방사체 위상이 111임을 의미한다. 또한, 모 인자로 {101, 101, 110}이 있다.
이때 부 인자의 변수와 모 인자의 변수간 교환을 통해 새로운 유전 인자를 생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부 인자에서 방사체가 간격에 해당되는 변수 010과 모 인사에서 방사체간 간격에 해당되는 101이 교환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크로스 오버를 통해 새로운 유전 인자(후보 설계 변수)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알고리즘의 적용 과정 중 변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변이는 우수 유전 인자의 특정 변수를 다른 값으로 변경시키는 작업을 의미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부 인자{010, 110, 111}에서 '110'을 '111'로변경하여 새로운 유전 인자를 생성한다. 또한, 모 인자 {101, 101, 110}에서 '110'을 '111'로변경하여 새로운 유전 인자를 생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알고리즘의 적용과정 중 대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대치는 다수의 유전 인자 중 비용 함수가 높은 유저 인자를 제거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임의로 유전 인자(설계 변수)가 설정되거나 새로운 유전 인자가 생성되는 경우 각 유전 인자에 대한 비용 함수가 연산된다. 대치는 각 유전 인자별 비용 함수를 연산한 후 비용 함수가 높은 유전 인자는 후보군에서 제거하는 작업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 크로스 오버, 변이 및 대치 작업을 통해 비용 함수가 높은 열성 유전 인자(설계 변수)를 제거하고 교차 및 변이 작업을 통해 새로운 유전 인자들을 생성하면서 우수한 유전 인자들을 계속적으로 찾아내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용 함수 연산 시 방사 패턴(목표 방사 패턴 및 예측 방사 패턴을 포함)에 대한 정보로부터 다수의 서브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각 서브 파라미터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비용 함수를 연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 패턴으로부터 메인 로브 레벨, 사이드 로브 레벨 및 방향성의 세 개의 서브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목표 방사 패턴의 서브 파라미터와 예측 방사 패턴의 서브 파라미터를 비교하여 비용 함수를 연산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로브 레벨, 사이드 로브 레벨 및 방향성에 대해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비용 함수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특정 설계 변수에 대한 예측 방사 패턴으로부터 메인 로브 레벨, 사이드 로브 레벨 및 방향성의 서브 파라미터를 추출한다. 예측 방사 패턴의 메인 로브 레벨, 사이드 로브 레벨 및 방향성을 각각 목표 방사 패턴의 메인 로브 레벨, 사이드 로브 레벨 및 방향성과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며 이때 메인 로브 레벨, 사이드 로브 레벨 및 방향성에는 서로 다른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방향성에 가장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고 사이드 로브 레벨에 가장 낮은 가중치가 부여될 경우 예측 방사 패턴과 목표 방사 패턴의 방향성이 유사할 때 가장 낮은 비용 함수가 산출될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목표 방사 패턴과 서브 방사 패턴의 메인 로브 레벨, 사이드 로브 레벨 및 방향성은 각각 독립적으로 유사도가 산출되어 각 유사도가 합산된다. 유사도 합산 시 가중치가 높은 서브 파라미터의 유사도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치가 적용되고 가중치가 낮은 서브 파라미터의 유사도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가중치가 적용된다.
목표 방사 패턴과 예측 방사 패턴을 비교하여 비용 함수를 산출하게 될 경우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최적의 설계 변수를 찾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며 최적의 설계 변수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방사 패턴으로부터 서브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각 서브 파라미터별로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비용 함수를 연산하게 될 경우 보다 빠르게 유전자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의 설계 변수를 획득할 수 있게 되며 최적의 설계 변수를 찾을 수 있는 확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물론, 방사 패턴으로부터 추출되는 서브 파라미터가 메인 로브 레벨, 사이드 로브 레벨 및 방향성에 제한되지 않고 방사 패턴과 관련된 다양한 파라미터가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용 함수 연산 방식을 통해 우수 유전 인자(설계 변수)를 선정하고 선정된 우수 유전 인자 중 미리 설정된 임계 레벨 이하의 비용 함수를 갖는 유전 인자(설계 변수)를 최적 설계 변수로 선택한다(단계 306).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다수의 방사체가 배열되는 어레이 안테나 설계 방법으로서,
    목표 방사 패턴, 크로스 편파 정보, 방사체 개수를 포함하는 입력 변수를 입력받는 단계(a);
    임의의 설계 변수들에 대해 상기 목표 방사 패턴과 상기 임의의 설계 변수가 적용된 예측 방사 패턴의 유사도에 반비례하는 비용 함수를 연산하는 단계(b)-상기 설계 변수는 방사체간 간격, 각 방사체의 파워 비 및 각 방사체로 급전되는 신호의 위상을 포함함- ;
    상기 단계(b)의 결과에 대해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우수 유전 인자에 해당되는 설계 변수들을 획득하는 단계(c); 및
    상기 우수 유전 인자에 해당되는 설계 변수들로부터 미리 설정된 임계 레벨 이하의 비용 함수를 갖는 최적 설계 변수를 선택하는 단계(d)를 포함하되,
    상기 비용 함수 연산 시 상기 목표 방사 패턴 및 상기 예측 방사 패턴으로부터 다수의 서브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각 서브 파라미터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비용 함수를 연산하며,
    상기 다수의 서브 파라미터는 메인 로브 레벨, 사이드 로브 레벨 및 방향성이고, 상기 목표 방사 패턴과 상기 예측 방사 패턴의 서브 파라미터는 독립적으로 유사도가 비교되어 합산되며, 각 유사도에 각 서브 파라미터에 상응하는 가중치가 적용되어 합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설계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단계(b)의 임의의 설계 변수들에 대한 비용 함수에 기초하여 우수 유전 인자를 추출하고 우수 유전 인자들간 크로스 오버 및 변이를 통해 새로운 유전 인자에 해당되는 설계 변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설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미리 설정된 임계 레벨보다 높은 비용 함수에 해당되어 열성 유전 인자에 해당되는 설계 변수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설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구조의 이종 방사체가 사용될 경우 상기 단계(a)는 각 방사체의 방사체 위상을 추가적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설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구조의 이종 방사체가 사용될 경우 상기 각 방사체의 방사체 위상과 함께 이종 방사체의 배열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설계 방법.
  8. 제1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으며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 매체.


KR1020150088471A 2015-06-22 2015-06-22 안테나 설계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10169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471A KR101692833B1 (ko) 2015-06-22 2015-06-22 안테나 설계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471A KR101692833B1 (ko) 2015-06-22 2015-06-22 안테나 설계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453A KR20160150453A (ko) 2016-12-30
KR101692833B1 true KR101692833B1 (ko) 2017-01-05

Family

ID=57737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471A KR101692833B1 (ko) 2015-06-22 2015-06-22 안테나 설계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324B1 (ko) * 2017-05-19 2018-06-28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열 안테나 설계 장치 및 방법
CN109117545B (zh) * 2018-08-07 2022-03-11 中南大学 基于神经网络的天线快速设计方法
KR102608988B1 (ko) 2022-01-05 2023-11-30 국방과학연구소 비등간격 선형 어레이 안테나 설계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2814A (ja) * 2002-03-07 2003-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を設計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613903B1 (ko) 2004-05-13 2006-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배열 안테나의 배열 간격 결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파형 부등간격 배열 안테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141B1 (ko) * 2003-10-22 2006-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해석부에 링크된 유전자 알고리즘부를 이용한다중대역 안테나 설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2814A (ja) * 2002-03-07 2003-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を設計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613903B1 (ko) 2004-05-13 2006-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배열 안테나의 배열 간격 결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파형 부등간격 배열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453A (ko) 201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833B1 (ko) 안테나 설계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Sakamoto et al. A comparison study of hill climbing, simulated annealing and genetic algorithm for node placement problem in WMNs
JP5429307B2 (ja) セルラー無線ネットワークのカバレッジホールを補償する方法及び装置
CN104901734B (zh) 一种阵列天线波束赋形方法
CN106850016B (zh) 基于mift与cp混合算法的仅相位加权阵列天线波束赋形优化方法
RU2256266C2 (ru) Способ улучшения зоны обслуживания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й антенной решетки
JP2018054386A (ja) 電波到来方向推定装置、及び電波到来方向推定方法
KR102616065B1 (ko) 감소된 전력 소모를 위한 축대칭 박형 디지털 빔포밍 어레이
Shi et al. Scalable coordinated beamforming for dense wireless cooperative networks
Oraizi et al. Sum, difference and shaped beam pattern synthesis by non-uniform spacing and phase control
US20170338555A1 (en) Parasitic eleme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single radio frequency (rf) chain-based antenna array
Das et al. A new hybridized backtracking search optimization algorithm with differential evolution for sidelobe suppression of uniformly excited concentric circular antenna arrays
Das et al. Interference suppression of linear antenna arrays with combined Backtracking Search Algorithm and Differential Evolution
CN108494520B (zh) 分布式智能干扰系统用的定功率式干扰资源调度优化方法
Rani et al. Hybrid multiobjective optimization using modified cuckoo search algorithm in linear array synthesis
Biswas et al. Decomposition-based evolutionary multi-objective optimization approach to the design of concentric circular antenna arrays
Paul et al. Beamforming oriented topology control for mmwave networks
Samantaray et al. Beamforming in smart antenna using some variants of least mean square algorithm
KR102189953B1 (ko) 단위 금속 패치로 구성되는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의 설계방법
JP6666308B2 (ja) 置局設計方法
CN108260165B (zh) 一种扇区间负载均衡的方法与装置
US10658750B2 (en) Reduced gain of an antenna beam pattern
TWI581653B (zh) Decentralized multi-antenna network power distribution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ith iterative configuration antenna grouping operation
US11784693B1 (en) Coverage cluster-based beamforming in a wireless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CS)
Nandi et al. Performance comparison of optimization methods for flat-top sector beamforming in a cellular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