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492B1 -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 - Google Patents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2492B1 KR101692492B1 KR1020150081336A KR20150081336A KR101692492B1 KR 101692492 B1 KR101692492 B1 KR 101692492B1 KR 1020150081336 A KR1020150081336 A KR 1020150081336A KR 20150081336 A KR20150081336 A KR 20150081336A KR 101692492 B1 KR101692492 B1 KR 1016924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sound
- small
- cut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유입된 외부 공기가 통과되는 윈드웨이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윈드웨이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취구가 형성된 단소의 일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단소의 내공을 차폐하는 블록이 형성된 밀착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단소의 외면 일측이 지지되며, 상기 통공을 통과한 공기중 일부가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라비움이 형성된 고정 가이드부; 및 상기 고정 가이드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단소의 직경에 따라 신축되면서 단소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착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소의 직경이나 모양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단소를 탄력적으로 고정 및 이탈할 수 있고, 취구가 형성된 단소의 일단부에 탄성 밀착되어 단소의 내공을 차폐할 수 있으며, 단소의 취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배분할 수 있는 음보정 돌기를 통해 단소의 원래음과 동일한 음색과 음폭으로 누구나 쉽게 단소를 연주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소의 직경이나 모양에 상관없이 단소를 결착한 상태에서 단소를 단소의 원래음과 동일한 음색과 음폭으로 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서양 악기인 리코더와 그 모습이 흡사한 단소(短簫)는 소리가 맑고 청아하며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우리의 고유 관악기이다. 이러한 단소는 서(舌)가 없이 취구에 입을 대고 세로로 연주하는 관악기의 하나이며, 지공이 뒤에 한 개, 앞에 네 개, 모두 다섯 개뿐인 매우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단소는 세로로 부는 관악기 중 가장 짧고, 주로 거문고, 가야금, 세피리, 대금, 해금, 장구, 양금과 함께 줄풍류에 자주 편성되며, 이 밖에도 생황이나 양금과의 이중주, 즉 생소병주나 양금, 단소 병주 및 독주 등에 폭넓게 애용되는 대중적인 악기이다.
이러한 단소를 연주를 보조하는 선행 기술자료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459267호에 정위치 유도장치가 구비된 단소 보조구, 한국등록특허 제10-0800268호에 전통 단소의 보조구, 한국등록특허 제10-1256488호에 전통 관악기 연습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악기에 관한 기술내용이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단소 보조구 관련 기술은 단소 보조구에 형성된 삽입 통로에 단소를 삽입하여 단소의 취구가 있는 상단 입구부를 밀착시켜 결합하는 구조이므로, 삽입통로의 직경에 맞는 단소만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단소는 플라스틱이나 대나무를 재료로 하여 제작되는데,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할 경우에 제조사별로 단소의 직경이나 모양이 달라지고, 대나무 재료를 사용할 경우에도 대나무의 직경이나 형태가 모두 다르므로 단소의 직경이나 모양이 다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단소 보조구에 관련한 기술은 단소 보조구의 삽입통로에 맞는 단소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대나무 재료로 제작된 단소 또는 다른 제조사의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된 단소에는 호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단소는 아랫입술로 내공을 막고 취구에 윗입술로 공기를 유입시켜 소리를 내어 연주를 하는데, 초보자의 경우에 소리가 잘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단소 보조구를 이용하여 초보자가 단소를 쉽게 배우고 연주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단소 보조구는 단소의 내공을 막지 않은 상태에서 단소의 취구에 공기를 유입시켜 소리를 내기 때문에 단소 보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모두 취구로 유입되어 원래의 단소음보다 음높이가 1/2 가량 올라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단소의 직경이나 모양에 상관없이 단소를 결착할 수 있는 결착 구조를 가지며, 단소의 취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배분할 수 있는 음보정 구조를 통해 단소의 원래음과 동일한 음색과 음폭으로 누구나 쉽게 단소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를 제공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는, 일측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유입된 외부 공기가 통과되는 윈드웨이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윈드웨이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취구가 형성된 단소의 일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단소의 내공을 차폐하는 블록이 형성된 밀착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단소의 외면 일측이 지지되며, 상기 통공을 통과한 공기중 일부가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라비움이 형성된 고정 가이드부; 및 상기 고정 가이드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단소의 직경에 따라 신축되면서 단소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는, 상기 밀착부 또는 상기 몸체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단소의 취구를 미리 설정된 영역만큼 폐쇄시키는 음보정 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음보정 돌기는 상기 통공을 통과한 공기가 단소의 취구에서 배분되도록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반구형 또는 빗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결착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단소의 외면 일측이 지지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 외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상기 단소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끼움 또는 탈착되는 탄성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착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단소의 외면 일측이 지지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단소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단소에 고정 또는 탈착되는 벨크로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착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단소의 외면 일측이 지지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단소의 직경에 따라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단소의 외면 일측에 탄력적으로 고정되는 고무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는 상기 취구가 형성된 단소의 일단부에 탄성 밀착되어 밀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밀착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일측이 결합되고, 후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취구가 형성된 단소의 일단부에 밀착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음보정 돌기는 겔(Gel) 타입의 실리콘 재질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의 블록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음보정 돌기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깊이에 따라 돌출길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는 단소의 직경이나 모양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단소를 탄력적으로 고정 및 이탈할 수 있고, 취구가 형성된 단소의 일단부에 탄성 밀착되어 단소의 내공을 차폐할 수 있으며, 단소의 취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배분할 수 있는 음보정 돌기를 통해 단소의 원래음과 동일한 음색과 음폭으로 누구나 쉽게 단소를 연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형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결착부의 형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결착부의 형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보정 돌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형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결착부의 형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결착부의 형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보정 돌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100)는 몸체부(110), 밀착부(130), 고정 가이드부(140), 결착부(150) 및 음보정 돌기(16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일측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유입구(111)와 연통되어 유입된 외부 공기가 통과되는 윈드웨이(112)가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부(110)는 리코더의 취구 부분과 유사하게 선단을 향하여 점차로 가늘어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술이 닿는 유입구(111)의 상측부에는 사용자의 윗입술이 접촉되고, 유입구(111)의 하측부에는 사용자의 아랫입술이 접촉된다.
한편, 윈드웨이(112)는 리코더의 윈드웨이 길이와 거의 유사한 길이를 가지거나, 리코더의 윈드웨이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밀착부(130)는 몸체부(110)의 타단에 윈드웨이(112)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공(113)이 형성되고, 통공(113)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취구(210)가 형성된 단소(200)의 일단부에 탄성 밀착되어 단소(200)의 내공(113)을 차폐하는 블록(135)이 형성됨으로써 단소(200)의 일단부에 탄성 밀착되어 밀착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밀착부(130)는 몸체부(110)의 타단에 일측이 결합되고, 후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131)와, 탄성 부재(131)의 타측에 결합되고, 탄성 부재(131)에 의해 취구(210)가 형성된 단소(200)의 일단부에 완전 밀착되어 단소(200)의 내공(330)을 폐쇄하는 차폐부재(132)를 포함한다. 이때, 밀착부(130)는 쿠션감 또는 탄성력을 가지는 비닐, 부직포 등의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탄성 부재(131)는 스프링 수단이 되며, 차폐 부재(132)는 단소(200)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박판 형태의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다른 일 실시예로, 밀착부(130)는 박판 형태의 합성 수지 재질을 1/2 정도를 접어 '∠' 형태로 형성한 후 한쪽 면을 몸체부(110)의 타단에 접합하면, 접힌 부분이 탄성적으로 움직이게 되어 탄성 부재(131)의 역할을 수행하고, 몸체부(110)와 결합되지 않은 다른 쪽 면이 차폐 부재(132)역할을 수행한다.
고정 가이드부(140)는 몸체부(110)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단소(200)의 외면 일측이 지지되되며, 통공(113)을 통과한 공기중 일부가 창(141)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라비움(142)이 형성된다. 고정 가이드부(140)는 통공(220)과 단소(200)의 취구(210)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 가이드부(140)는 전면 상단에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창(141)이 형성되고, 창(141)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원활히 빠져나가면서 적절하게 마찰되도록 완만하게 경사지게 라비움(142)이 형성된다.
결착부(150)는 고정 가이드부(140)의 일측에 형성되고, 단소(200)의 직경에 따라 신축되면서 단소(200)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결착부(150)는 단소(200)의 직경이나 모양이 다르더라도 단소(200)가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100)에 안정적으로 결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 결착부(150)는 몸체부(11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에 단소(200)의 외면 일측이 지지되는 지지대(151)와, 지지대(151)의 양측에 외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단소(200)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끼움 또는 탈착되는 탄성 날개(152)로 구성된다.
이때, 탄성 날개(152)는 단소(200)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단소(200)를 끼우거나 뺄 수 있는 개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단소(200)의 외주면을 안정되게 밀착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결착부(150)는 몸체부(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단소(200)를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착부(150)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고, 단소(200)를 강제 탈거 방식으로 결착부(150)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음보정 돌기(160)는 밀착부(130) 또는 몸체부(11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단소(200)의 취구(210)를 미리 설정된 영역만큼 폐쇄시킨다. 이때, 음보정 돌기(160)는 6㎜ ~ 15mm 정도의 크기를 가진 반구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단소(200)는 아랫 입술로 내공(220)의 일정 영역을 막고 'U'자형의 취구(210)에 윗입술을 대고 공기를 불어넣어 연주를 한다. 따라서, 음보정 돌기(160)가 없는 경우에, 통공(113)을 통과한 공기가 단소(200)의 취구(210)와 내공(220)으로 유입되어 원래의 단소음보다 1/2 정도 음높이가 올라가게 된다.
음보정 돌기(160)는 사용자의 아랫입술을 대신해 단소의 취구(210)를 제외한 내공(220)의 일정 영역을 폐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의 입술을 이용해 단소(200)를 연주할 때와 동일한 음높이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음보정 돌기(160)는 통공을 통과한 공기가 취구(210)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와 단소(200)의 내공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1/2 정도로 배분되도록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반구형 또는 빗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음보정 돌기(160)의 하향 경사각 또는 빗각의 각도를 어느 기준에 맞추느냐에 따라 음색과 음폭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음보정 돌기(160)는 전통 단소와 같이 취구(210)에 바로 입술을 대고 부는 기능을 하므로, 전통 단소의 음색과 가장 유사한 음색과 음폭을 낼 수 있는 하향 경사각 또는 빗각의 각도로 설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형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몸체부(120)는 리코더의 취구 부분이 형성된 선단부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부(120)는 사용자의 입술이 닿는 선단부를 원추형, 'U'자형, 'V' 자형, 캐릭터 모양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결착부의 형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결착부(15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지지대(151)가 형성되지만, 제1 실시예와 달리 지지대(151)의 일측에 결합되며, 단소(2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단소(200)에 고정 또는 탈착되는 벨크로밴드(153)로 구성된다.
벨크로밴드(153)는 단소(200)의 외주면을 휘감아 고정할 수 있는 밴드와, 밴드의 끝단부를 떼었다 붙일 수 있는 벨크로로 구성되어 있어, 제1 실시예의 탄성 날개(152)와 동일하게 단소(200)의 직경이나 모양에 상관없이 단소의 외주면을 단단히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결착부의 형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결착부(15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지지대(151)가 형성되지만, 제1 실시예와 달리 지지대(151)에 결합되고, 단소(200)의 직경에 따라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단소(200)의 외면 일측에 탄력적으로 고정되는 고무밴드(154)로 구성된다.
고무 밴드(154)는 단소(20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고, 단소(200)의 직경이나 모양에 상관없이 단소(200)의 상단부에 끼워져 탄력적으로 밀착 고정되며, 어느 정도의 외압에 의해 신장되어 단소(200)를 쉽게 이탈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5 실시예에 따른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게 형성되지만 윈드웨이(112a)가 다른 실시예에서의 윈드웨이(112)보다 짧게 형성된다. 또한,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 음보정 돌기(160)는 6㎜ 정도의 크기로 돌출 형성되지만, 제5 실시예에서 음보정 돌기(160a)는 10~15㎜ 정도의 크기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제5 실시예에서 결착부(150)는 몸체부(11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에 단소(200)의 외면 일측이 지지되는 지지대(151)와, 지지대(151)의 양측에 외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단소(200)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끼움 또는 탈착되는 탄성 날개(152a)로 구성된다. 이때, 탄성 날개(152a)는 단소(200)와의 결착이 용이해지도록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는 탄성 날개(152a)를 캐릭터 모양으로 형성하거나, 양측의 폭이나 모양을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보정 돌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다른 일 실시예로서, 밀착부(130)의 블록(135)에 결합홈(136)이 형성되고, 음보정 돌기(161)는 결합홈(136)에 나사 결합된다. 음보정 돌기(161)는 스크류 나사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에 위치 조정홈(162)이 형성되며, 상단부가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라이버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위치 조정홈(162)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음보정 돌기(161)와 결합홈(136) 간의 체결 상태를 조정한다.
즉, 음보정 돌기(161)를 결합홈(136)에 조여진 상태에서는 음보정 돌기(161)와 결합홈(136)에 완전이 삽입된 체결 상태이므로 단소(200)의 취구(210)를 미리 설정된 영역만큼 폐쇄시킨다. 그러나, 음보정 돌기(161)를 결합홈(136)에서 일정 횟수 풀어서 음보정 돌기(161)와 결합홈(136)간의 삽입 깊이를 조정하면, 이 삽입 깊이만큼 음보정 돌기(161)의 돌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음보정 돌기(161)는 연장된 돌출 길이만큼 단소(200)의 취구(210)를 기설된 영역보다 더 많은 영역을 폐쇄시킬 수 있다.
결합홈(136)의 나사산과 음보정 돌기(161)의 나사골의 개수만큼 음보정 돌기(161)의 돌출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단소의 음높이도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보정 돌기(161)의 돌출 길이를 조정하여 단소(200)의 정확한 음높이를 조정할 수 있고, 음보정 돌기(161)를 단소(200)의 취구(210) 모양과 크기에 상관없이 모든 단소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100)는 단소(200)의 직경이나 모양에 상관없이 결착부(150)에 단소(20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몸체부(110, 120)의 선단부, 즉 유입구(111)의 하단부를 아랫 입술로 받치고, 윗입술로 가볍게 유입구(111)를 덮은 상태에서 텅잉(Tonguing)과 호흡을 조금씩 조절하면서 단소(200)를 연주할 수 있다.
이때, 밀착부(130) 또는 몸체부(110, 12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음보정 돌기(160)는 단소의 취구(210)에 바로 입술을 대고 부는 기능을 하므로, 전통 단소의 음색과 가장 유사한 음색과 음폭을 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 110, 120 : 몸체부
111 : 유입구 112 : 윈드웨이
113 : 통공 130 : 밀착부
140 : 고정 가이드부 150 : 결착부
200 : 단소 210 : 취구
220 : 내공
111 : 유입구 112 : 윈드웨이
113 : 통공 130 : 밀착부
140 : 고정 가이드부 150 : 결착부
200 : 단소 210 : 취구
220 : 내공
Claims (10)
- 일측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유입된 외부 공기가 통과되는 윈드웨이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윈드웨이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취구가 형성된 단소의 일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단소의 내공을 차폐하는 블록이 형성된 밀착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단소의 외면 일측이 지지되며, 상기 통공을 통과한 공기중 일부가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라비움이 형성된 고정 가이드부; 및
상기 고정 가이드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단소의 직경에 따라 신축되면서 단소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밀착부 또는 상기 몸체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단소의 취구를 미리 설정된 영역만큼 폐쇄시키는 음보정 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보정 돌기는 상기 통공을 통과한 공기가 단소의 취구에서 배분되도록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반구형 또는 빗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단소의 외면 일측이 지지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 외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상기 단소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끼움 또는 탈착되는 탄성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단소의 외면 일측이 지지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단소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단소에 고정 또는 탈착되는 벨크로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단소의 외면 일측이 지지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단소의 직경에 따라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단소의 외면 일측에 탄력적으로 고정되는 고무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취구가 형성된 단소의 일단부에 탄성 밀착되어 밀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일측이 결합되고, 후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취구가 형성된 단소의 일단부에 밀착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보정 돌기는 겔(Gel) 타입의 실리콘 재질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의 블록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음보정 돌기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깊이에 따라 돌출길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1336A KR101692492B1 (ko) | 2015-06-09 | 2015-06-09 |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1336A KR101692492B1 (ko) | 2015-06-09 | 2015-06-09 |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4766A KR20160144766A (ko) | 2016-12-19 |
KR101692492B1 true KR101692492B1 (ko) | 2017-01-03 |
Family
ID=5773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1336A KR101692492B1 (ko) | 2015-06-09 | 2015-06-09 |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2492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9267B1 (ko) * | 2014-08-08 | 2014-11-12 | 최현범 | 정위치 유도장치가 구비된 단소보조구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9675Y1 (ko) * | 1995-06-12 | 1999-03-20 | 김동영 | 단소용 불대 |
KR200159665Y1 (ko) * | 1997-01-31 | 1999-10-15 | 김동영 | 단소를 쉽게 부는 장치 |
JPH11231862A (ja) * | 1998-02-09 | 1999-08-27 | Kuniyoshi Sugawara | 尺八の歌口 |
KR100800268B1 (ko) | 2006-02-21 | 2008-02-04 | 강행복 | 전통 단소의 단소 보조구 |
KR101256488B1 (ko) | 2011-03-16 | 2013-04-19 | 동용철 | 전통 관악기 연습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악기 |
-
2015
- 2015-06-09 KR KR1020150081336A patent/KR1016924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9267B1 (ko) * | 2014-08-08 | 2014-11-12 | 최현범 | 정위치 유도장치가 구비된 단소보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4766A (ko) | 2016-1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28642B2 (en) | Whistle with finger grip | |
ATE526053T1 (de) | Atemmaske | |
JP2003000755A (ja) | ゴーグルの長さ調節機構 | |
EP1356841A3 (en) | Ergonomic and adjustable respiratory mask assembly with cushion | |
JP5562349B2 (ja) | クッション連結組立体 | |
KR20170034348A (ko) | 식압 조정 약음 장치, 및 그 어댑터 | |
US20120028536A1 (en) | Game call mouth positioner and tone tuner | |
CN107207080B (zh) | 用于呼吸辅助装置的嘴件系统和用于游泳者的呼吸辅助装置 | |
KR101692492B1 (ko) |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 | |
US8895826B2 (en) | Automatic embouchure | |
KR101459267B1 (ko) | 정위치 유도장치가 구비된 단소보조구 | |
KR200453252Y1 (ko) | 섹소폰용 마우스피스 | |
KR200482693Y1 (ko) | 섹소폰 마우스피스의 리드 누름 보조기구 | |
JP3800263B2 (ja) | 発声トレーニング器具 | |
KR200483190Y1 (ko) | 바로크식 운지법과 독일식 운지법의 선택 적용이 가능한 리코더 링 | |
EP2115731A1 (en) | V type electric guitar footrest | |
KR100577534B1 (ko) | 영어발음 교정기구 | |
KR20110021868A (ko) | 조절식 듀얼 스피커 요소 인-이어폰 | |
KR102422702B1 (ko) | 사용자의 정확한 파지유도가 가능한 고리 및 로프타이 겸용 코피리 | |
JP2006122192A (ja) | 簡易ビデ | |
KR200481069Y1 (ko) | 색소폰용 마우스피스 | |
KR101565252B1 (ko) | 음향 출력레벨 조절수단을 갖는 섹소폰 연습기구 | |
KR101545823B1 (ko) |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피리 | |
US20200246668A1 (en) | Putter with interchangeable faceplate system | |
CN113035156A (zh) | 演奏辅助器具以及气簧乐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