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268B1 - 전통 단소의 단소 보조구 - Google Patents

전통 단소의 단소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268B1
KR100800268B1 KR1020060017519A KR20060017519A KR100800268B1 KR 100800268 B1 KR100800268 B1 KR 100800268B1 KR 1020060017519 A KR1020060017519 A KR 1020060017519A KR 20060017519 A KR20060017519 A KR 20060017519A KR 100800268 B1 KR100800268 B1 KR 100800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so
point
hole
distanc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8234A (ko
Inventor
강행복
김원선
Original Assignee
강행복
김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행복, 김원선 filed Critical 강행복
Priority to KR1020060017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268B1/ko
Publication of KR20070068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우리나라의 전통 국악기인 단소를 보다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개발한 것으로, 특히 단소의 입구부분에 결합하여 단소를 처음 접하는 초심자들도 누구나 쉽게 불어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고 단소의 연주나 바람을 불어주는 취구에서 바람을 불어주는 것이 숙달이 되면 이를 제거하여 전통적인 기법으로 단소를 불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통 단소의 단소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삽입통로(2)를 형성 단소(10)의 취구(11)가 있는 상단 입구부(12)가 밀착되는 내벽(3)과,
단소 보조구(1)의 외부 하단점(c)에서 중간점(a)까지의 거리를 하단점(c)과 상단점(b)의 총 높이(h)의 3/1지점의 높이를 기점으로 상단점(b) 까지 3/2거리 상에서 경사각(α)을 형성한 경사면(4)을 만든 취부(5)와,
상기 내벽(3) 면을 기점으로 취부(5) 측으로 약간 거리(f)를 띄워 개구 시작부(6)에서 선단부(7) 지점까지 일정간격(g)을 유지하며 위부분을 개방한 면취 통수공(9)과,
취부(5)에는 공기 유입 경사공(20)을 형성하여 된 단소 보조구(1)를 특징으로 한다.
단소 보조구 삽입통로 내벽 경사면 취부 개구 시작부 선단부 면취 통수공 공기 유입 경사공 입구공 배출공 경사면 경계 아래면 상부경계면 중간점 상단점 하단점 거리 일정간격 높이 경사각

Description

전통 단소의 단소 보조구{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단소 보조구 2: 삽입통로
3: 내벽 4: 경사면
5: 취부 6: 개구 시작부
7: 선단부 9: 면취 통수공
20: 공기 유입 경사공 30: 입구공
31: 배출공 35: 경사면
40: 경계 아래면 41: 상부경계면
a: 중간점 b: 상단점
c: 하단점 f: 거리
g: 일정간격 h: 높이
α: 경사각
본 발명은 우리나라의 전통 국악기인 단소를 보다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개발한 것으로, 특히 단소의 입구부분에 결합하여 단소를 처음 접하는 초심자들도 누구나 쉽게 불어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고 단소의 연주나 바람을 불어주는 취구에서 바람을 불어주는 것이 숙달이 되면 이를 제거하여 전통적인 기법으로 단소를 불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통 단소의 단소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국악기 단소에 있어서는 바람을 불어주는 입술 접촉부분의 취구부분이 평면상으로 된 입술 접촉부분이 일자형태로 만들어지고 그 상단에 반원형 구를 만든 취구에 바람을 불어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단소에 있어서는 초심자나 일반인의 경우 취구를 통해 바람을 불어 넣기가 너무 어려워 단소를 배워보고 싶어도 배워보지 못하고 쉽게 포기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특히 어린 초등학생이 배우기에는 너무 어려워 쉽게 흥미를 잃어버려 배움의 시작과 동시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 전통 국악을 보급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일반적으로 단소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취구부분에 아랫입술을 밀착한 다음 윗입술을 앞으로 약간 돌출시킨 모양으로 바람을 불어 넣어 소리를 낸다.
이는 통상적으로 유리병을 아랫입술에 밀착시킨 후 입으로 바람을 불면 약간 돌출한 윗입술에 의해 바람이 아래로 내려 불어지면서 소리가 나는 것과 같은 방법 으로 단소를 불고 있으나 단소의 경우 취구부분의 구조상 외주연의 요홈이 내주연에 비해 좁으며, 내주연으로 내려가면서 공간이 넓어지는 형태로 되어 바람에 의해 소리가 나게 된다.
이와 같이 전통 악기인 단소에 있어서는 취구부분의 요홈이 너무 좁게 만들어져 초보자가 바람을 내기 위해서는 무척 힘이 들어 쉽게 배움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종래에도 여러가지의 보조용품이 있으나 이들은 한결같이 취구부분으로 바람을 불어주는 량이나 입술모양에 따른 바람의 조절을 염두에 두지 않고 형식에 치우친 모양으로 만들어져 실질적으로 그의 활용하지 못하고 사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배우기 어려워 쉽게 포기하게 되는 국악기인 단소를 초보단계에서 단소에 바람 불기가 어려울 때 쉽게 사용하다 모든 부분이 익숙해지면 고급단계로 넘어가 보조구의 필요 없이 쉽게 단소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통적인 단소의 취구부분에 삽입하여 입술에 물고서 바람을 불어 주면 소리가 쉽게 나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통 단소를 연주하고자 할 경우 단소의 취구부분을 아랫입술에 밀착시켜 입술에서 바람을 위에서 아래로 모아 불어주어야 나는 방식으로 단소의 연주소리는 우리의 심금을 울려주어 누구나 배워보고 쉽은 마음은 있으나 단소를 연주할 때 불어야하는 방식에 있어서 초심자들이 배우기에는 너무 어려워 쉽게 포기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해결하여 누구나 쉽게 단소를 접하여 연주할 수 있게 취구부분에 단소 취구 보조구를 결합하여 취구 보조구를 윗입술과 아랫입술에 물고서 바람을 불어 소리가 나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전통적인 단소(10)의 취구(11)가 있는 상단 입구부(12)에 단소 보조구(1)를 삽입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단소 보조구(1)는 삽입통로(2)를 형성 단소(10)의 취구(11)가 있는 상단 입구부(12)가 밀착되는 내벽(3)과,
단소 보조구(1)의 외부 하단점(c)에서 중간점(a)까지의 거리를 하단점(c)과 상단점(b)의 총 높이(h)의 3/1지점의 높이를 기점으로 상단점(b) 까지 3/2거리 상에서 경사각(α)을 형성한 경사면(4)을 만든 취부(5)와,
상기 내벽(3) 면을 기점으로 취부(5) 측으로 약간 거리(f)를 띄워 개구 시작부(6)에서 선단부(7) 지점까지 일정간격(g)을 유지하며 위부분을 개방한 면취 통수공(9)과,
취부(5)에는 공기 유입 경사공(20)을 형성한 구조이다.
상기의 단소 보조구(1) 취부(5)의 공기 유입 경사공(20)은 양측면이 입구공(30)에서 배출공(31)측으로 대칭되는 경사면(35)을 형성시킨 것으로, 입구공(31)이 넓은 반면 배출공(31) 부분은 입구공(30)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형상으로 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서 연주시 적은 바람의 주입으로 일시에 많은량의 바람이 단소의 취구(11)로 유입되도록 함으로 편안한 연주를 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유입 경사공(20)의 배출공(31)측 상단의 시작부(6)의 경계 아래면(40)은 아주 적은 크기의 곡면을 형성하며, 배출공(31)과 내벽(3)이 만나는 상부경계면(41)은 시작부(6) 아래의 크기보다 다소 큰 곡면으로 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 유입 경사공(20)의 배출공(31)측 상단의 시작부(6)의 경계 아래면(40)은 아주 적은 크기의 곡면을 형성한 것은 입구공(30)으로 바람을 불 때 단소(10)의 취구(11)에 사람이 직접 입술을 붙일 때의 모습에 가장 근사한 각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람의 입술이 곡선인 것과 같이 약간의 바람이 위쪽으로 바람이 흘러나가도록 하여 자연스러운 소리를 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배출공(31)과 내벽(3)이 만나는 지점은 시작부(6) 아래의 크기보다 다소 큰 곡면으로 한 것은 바람을 불 때 배출공(31)을 지나는 바람이 상부경계면(41)의 곡면에 의해 단소(10)의 취구(11)에 쉽게 유입되어 단소(10)의 소리가 정확하게 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단소 보조구(1)를 사용하여 단소(10)를 배우고자 할 경우 단소 보조구(1)를 삽입통로(2)에 단소(10)의 상단 입구부(12)에 먼저 끼운다.
상기처럼 단소 보조구(1)를 단소(10)에 결합할 경우 단소(10)의 취구(11)부분이 단소 보조구(1)의 내벽(3)에 닫아 밀착될 때까지 끼운다.
이렇게 끼우는 과정에 있어 단소(10)의 취구(11) 부분이 단소 보조구(1)의 배출공(31) 아래에 위치하도록 맞추어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단소를 처음 접하는 초심자의 경우 단소 보조구를 단소의 상단 입구부에 끼운 상태에서 사용하면 누구나 전문가와 같은 단소의 소리를 낼 수 있는 것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단소를 연주할 수 있다.
이렇게 단소 보조구를 단소에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하다 단소의 연주가 일정한 수준이 되어 보다 전문가적으로 연주하고자 할 경우 단소 보조구를 분리한 후 고전 단소로 연주하면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단일 몸체로 된 단소 보조구(1),
    상기 단소 보조구(1)는 전방에 삽입통로(2)를 형성하며 단소(10)의 취구(11)가 있는 상단 입구부(12)가 밀착되는 내벽(3)과,
    단소 보조구(1)의 외부 하단점(c)에서 중간점(a)까지의 거리를 하단점(c)과 상단점(b)의 총 높이(h)의 3/1지점의 높이를 기점으로 상단점(b) 까지 3/2거리 상에서 경사각(α)을 형성한 경사면(4)을 만든 취부(5)와,
    상기 단소 보조구(1)의 내벽(3) 면이 면취 통수공(9)의 위에서 보여지도록 내벽(3) 면보다 취부(5)측으로 다소 더 면취 된 개구 시작부(6) 까지 일정거리(f)를 두며,
    상기 취부(5) 측의 개구 시작부(6)에서 삽입통로(2)를 형성한 전방 상단의 선단부(7)까지 일정간격(g)을 유지하여 위부분을 개방한 면취 통수공(9)과,
    취부(5)에는 공기 유입 경사공(20)을 형성하여 된 단소 보조구(1)를 특징으로 한 전통 단소의 단소 보조구.
  2. 제 1항에 있어서, 단소 보조구(1) 취부(5)의 공기 유입 경사공(20)은 양측면이 입구공(30)에서 배출공(31)측으로 경사면(35)을 형성시킨 것으로, 입구공(31)이 넓은 반면 배출공(31) 부분은 입구공(30)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형상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 전통 단소의 단소 보조구.
  3. 제 1항에 있어서, 공기 유입 경사공(20)의 상단의 개구 시작부(6)의 경계 아래면(40)은 아주 적은 크기의 곡면을 형성하며, 내벽(3)이 만나는 상부경계면(41)은 개구 시작부(6) 아래의 크기보다 다소 큰 곡면으로 형상됨을 특징으로 한 전통 단소의 단소 보조구.
KR1020060017519A 2006-02-21 2006-02-21 전통 단소의 단소 보조구 KR100800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519A KR100800268B1 (ko) 2006-02-21 2006-02-21 전통 단소의 단소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519A KR100800268B1 (ko) 2006-02-21 2006-02-21 전통 단소의 단소 보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443U Division KR200416394Y1 (ko) 2005-12-23 2005-12-23 전통 단소의 단소 보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234A KR20070068234A (ko) 2007-06-29
KR100800268B1 true KR100800268B1 (ko) 2008-02-04

Family

ID=38366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519A KR100800268B1 (ko) 2006-02-21 2006-02-21 전통 단소의 단소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2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766A (ko) 2015-06-09 2016-12-19 김우철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35766U (en) * 2007-11-30 2008-07-01 rui-hong Cai Blow nozzle structure with acoustic echo function
KR101459267B1 (ko) * 2014-08-08 2014-11-12 최현범 정위치 유도장치가 구비된 단소보조구
JP2020013045A (ja) * 2018-07-20 2020-01-23 ヤマハ株式会社 エアリード楽器、および整流部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665Y1 (ko) * 1997-01-31 1999-10-15 김동영 단소를 쉽게 부는 장치
KR200330872Y1 (ko) * 2003-08-05 2003-10-22 전홍찬 단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665Y1 (ko) * 1997-01-31 1999-10-15 김동영 단소를 쉽게 부는 장치
KR200330872Y1 (ko) * 2003-08-05 2003-10-22 전홍찬 단소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9665호(1999.07.3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0872호(2003.10.2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766A (ko) 2015-06-09 2016-12-19 김우철 단소용 음향 발생 보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234A (ko) 200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268B1 (ko) 전통 단소의 단소 보조구
KR200416394Y1 (ko) 전통 단소의 단소 보조구
CN206558197U (zh) 一种竖竹笛
CN201780770U (zh) 加吹嘴竖吹笛子
TWI406265B (zh) Flute
US4422364A (en) Fipple type headjoint assembly for use with existing transverse flutes
KR101256488B1 (ko) 전통 관악기 연습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악기
US4573919A (en) Denture stabilizer for musician
CN201117236Y (zh) 改良多孔巴乌
KR101459267B1 (ko) 정위치 유도장치가 구비된 단소보조구
CN203882596U (zh) 哪嘟呜民俗吹管乐器
KR200459972Y1 (ko) 경사면을 구비한 취구부를 포함하는 단소
JP3175916U (ja) 練習用尺八
JP2008152217A (ja) 改良版土笛に吹口部品を装着した簡易オカリナ
KR200359866Y1 (ko) 위치감지용 돌기가 형성된 단소
CN206097890U (zh) 非竖吹的哨口类笛子
JP3191282U (ja) 縦式篠笛に着脱自在に設けた歌口具
US5375498A (en) Recorder
CN215730823U (zh) 一种小提琴弱音辅助器
CN210639968U (zh) 一种尺八的辅助吹嘴
KR200317592Y1 (ko) 피리칫솔
JPS6232310Y2 (ko)
KR20090077505A (ko) 리코더
KR200330873Y1 (ko) 플루트
CA1153915A (en) Fipple type headjoint assembly for use with existing transverse flu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