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484B1 - 바람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바람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484B1
KR101692484B1 KR1020150025635A KR20150025635A KR101692484B1 KR 101692484 B1 KR101692484 B1 KR 101692484B1 KR 1020150025635 A KR1020150025635 A KR 1020150025635A KR 20150025635 A KR20150025635 A KR 20150025635A KR 101692484 B1 KR101692484 B1 KR 101692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adapter
coupled
discharg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3308A (ko
Inventor
이충구
이한조
Original Assignee
유닉스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닉스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닉스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5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484B1/ko
Priority to CN201580076911.5A priority patent/CN107278129B/zh
Priority to PCT/KR2015/014026 priority patent/WO2016137103A1/ko
Priority to JP2017562945A priority patent/JP6679625B2/ja
Publication of KR20160103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122Diffusers, e.g. for variable air flow
    • A45D20/124Diffusers, e.g. for variable air flow comprising rot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헤어드라이어의 송풍구에 결합되어 바람을 진동시키는 바람 진동 장치로서, 상기 송풍구에 결합되며 상기 바람이 유입되는 관 상의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바람이 일단에서 유입되며 상기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관 상의 회전부와; 일단이 상기 회전부의 타단에 힌지부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의 타단에서 토출되는 바람에 의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진동하는 관 상의 토출부;를 포함하는, 바람 진동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바람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APPARATUS FOR VIBRATING WIND AND HAIRDRY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바람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헤어드라이어의 송풍 방향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머리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피로감을 느끼지 않고 편리하게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드라이어는 냉풍 또는 온풍을 필요한 방향으로 송풍하여 사용자가 머리를 건조하고 스타일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헤어드라이어는 본체에 전원을 인가하고 스위치를 작동하면 본체가 대기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히팅 장치 및 송풍 장치를 통과하며 본체 외부로 바람이 송풍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건조시킨다.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하여 머리를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헤어드라이어를 흔들어 헤어드라이어의 바람의 송풍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머리를 건조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헤어드라이어를 지속적으로 움직여야 하므로 손목이나 팔에 무리가 되어 사용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8713호(2004. 01. 16 공고)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어의 송풍 방향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머리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피로감을 느끼지 않고 편리하게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헤어드라이어의 송풍구에 결합되어 바람을 진동시키는 바람 진동 장치로서, 상기 송풍구에 결합되며 상기 바람이 유입되는 관 상의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바람이 일단에서 유입되며 상기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관 상의 회전부와; 일단이 상기 회전부의 타단에 힌지부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의 타단에서 토출되는 바람에 의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진동하는 관 상의 토출부;를 포함하는, 바람 진동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부는, 관 상의 회전 몸체와; 상기 바람이 유입됨에 따라 상기 회전 몸체가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 몸체 내벽에서 상기 회전 몸체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베인(van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어댑터의 내부에 결합되는 고정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 몸체의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베인이 연장되어 결합되는 회전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고정허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축소되는 원뿔대 형상의 관 상의 토출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부는, 상기 토출 몸체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회전부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토출부의 회전 중심에서 일측으로 경사지는 절단부가 형성되는 관 상의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절단부 이외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절단부 이외의 단부에 대향하여 상기 회전부의 외면에는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람에 의해 상기 토출부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진동되도록 상기 토출부의 일측에는 무게추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단속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의 일단부에는 상기 어댑터의 일부가 홈 가공되어 고정편이 형성되며, 상기 스톱퍼는, 내부에 가압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에 대해 회전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돌부가 상기 고정편을 가압하도록 하는 회전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고리의 내부에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어댑터의 일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돌부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 고리의 회전 범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는, 상기 어댑터에 대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며,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이 상기 어댑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에 상기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상기 바람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람을 토출시키는 송풍구를 구비하는 헤어드라이어 본체와; 상기 송풍구에 결합되어 바람을 진동시키는 바람 진동 장치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가 제공된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송풍구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헤어드라이어의 송풍 방향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머리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피로감을 느끼지 않고 편리하게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의 절단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의 어댑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의 회전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의 토출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의 스톱퍼의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절단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의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의 회전부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의 토출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의 스톱퍼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는, 바람 진동 장치(1), 헤어드라이어 본체(5), 토출부(10), 토출 몸체(13), 연결부(15), 무게추(16), 절단부(17), 힌지핀(19), 회전부(20), 회전 몸체(21), 베인(23), 회전축부(25), 플랜지(26), 결합핀(27), 힌지부(29), 어댑터(30), 어댑터 몸체(31), 고정허브(32), 고정편(33), 가이드홈(35), 스톱퍼(40), 회전 고리(41), 가압돌부(43), 가이드돌부(45), 노즐(50)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1)는, 헤어드라이어의 송풍구(51)에 결합되어 바람을 진동시키는 바람 진동 장치(1)로서, 송풍구(51)에 결합되며 바람이 유입되는 관 상의 어댑터(30)와; 어댑터(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람이 일단에서 유입되며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관 상의 회전부(20)와; 일단이 회전부(20)의 타단에 힌지부(29)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회전부(20)의 타단에서 토출되는 바람에 의해 힌지부(29)를 중심으로 진동하는 관 상의 토출부(10)를 포함하여, 헤어드라이어의 송풍 방향을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헤어드라이어에서 토출되는 바람을 주기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어댑터(30)는 관 상으로 형성되어, 헤어드라이어의 송풍구(51, 도 10 참조) 에 결합된다. 송풍구(51)는 헤어드라이어 본체(5, 도 10 참조)에 형성되어 헤어드라이어 본체(5)로부터 유입되는 바람을 후술할 바람 진동 장치(1)로 배출한다.
헤어드라이어 본체(5)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 흡입된 공기를 송풍구(51)로 송풍시키는 모터 및 팬 등이 설치되는 송풍 장치,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 전원과 온도 등을 조정하는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헤어드라이어 본체(5)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잡고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어댑터(30)는 단면이 환형인 관 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이 송풍구(51)에 결합되며, 내부의 중공을 통해 헤어드라이어 본체(5)로부터 유입되는 바람이 타단으로 배출된다.
어댑터(30)는 송풍구(51)에 억지 끼움 방식이나 나사 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20)는 어댑터(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람이 일단에서 유입되며 바람에 의해 회전한다. 회전부(20)는 단면이 환형인 관 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어댑터(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어댑터(30)에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어댑터(30)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부(20)가 회전하며, 회전부(20)를 회전시키면서 통과한 바람은 회전부(20)의 타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토출부(10)를 힌지부(29)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부(20)는 관 상의 회전 몸체(21)와, 회전 몸체(21) 내벽에서 회전 몸체(21)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베인(2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몸체(21)는 관 상으로 형성되어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며, 회전 몸체(21) 내벽에서 회전 몸체(21)의 중심 방향으로 나선형의 베인(23)이 연장 형성된다. 베인(23)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 몸체(21) 내부로 유입되는 바람이 베인(23)에 부딪혀 회전 몸체(21)가 회전된다. 베인(23)은 저항력을 높이기 위해 회전 몸체(21)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회전부(20)는 회전 몸체(21)의 중심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회전축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부(25)는 회전 몸체(21)의 중심에 배치되며 회전 몸체(21)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베인(23)이 회전축부(25)에 결합된다.
어댑터(30)의 내부에는 회전축부(25)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허브(32)가 결합될 수 있는데, 회전축부(25)가 어댑터(30)의 고정허브(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바람이 회전부(20)에 유입됨에 따라 회전부(20)가 어댑터(30)의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고정허브(32)에 대한 회전부(20)의 결합을 위하여 회전축부(25)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핀(27)의 단부가 회전축부(25)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고정허브(32)에 결합되면서 회전부(20)가 고정허브(3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토출부(10)는 회전부(20)의 타단에 힌지부(29)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회전부(20)의 타단에서 토출되는 바람에 의해 힌지부(29)를 중심으로 틸팅되면서 진동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토출부(10)는 관 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힌지부(29)에 의해 회전부(20)의 타단에 힌지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관 상의 토출부(10)의 양 측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힌지핀(19)이 구멍에 삽입되면서 회전부(20)에 결합되어 힌지부(29)를 중심으로 틸팅된다. 토출부(10)는 회전부(20)에 힌지결합되어 있어 회전부(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부(20)와 함께 회전이 이루어진다.
회전부(2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바람은 내부의 베인(23)에 압력을 가하여 회전부(20)을 회전시키면서 관 상의 회전부(20)를 통과하고 회전부(20)를 통과한 바람은 토출부(10)의 내벽에 압력을 가해 힌지부(29)를 중심으로 주기적으로 틸팅시켜 회전부(20)에 대해 토출부(10)를 진동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부(20)와 토출부(10)을 통과한 바람은 회전부(20)의 회전과 토출부(10)의 틸팅에 의해 바람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화되면서 진동된다(도 8 및 도 9 참조).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1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축소되는 원뿔대 형상의 관 상의 토출 몸체(13)와, 토출 몸체(13)의 연장되어 회전부(20)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며, 토출부(10)의 회전 중심에서 일측으로 경사지는 절단부(17)가 형성되는 관 상의 연결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몸체(13)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축소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토출 몸체(13) 내부로 유입되는 바람이 토출 몸체(13)의 내벽 경사면에 부딪히면서 토출부(10)가 빠르게 주기적으로 틸팅되어 진동하게 된다.
연결부(15)는 토출 몸체(13)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관 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부(15)의 타측은 힌지부(29)에 의해 회전부(20)의 타단에 힌지결합된다. 연결부(15)에는 토출부(10)의 회전 중심에서 일측으로 경사지는 절단부(17)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절단부(17)에 의해 연결부(15)의 일부의 높이가 낮아져 토출부(10)의 틸팅 범위가 증가되어 토출부(10)를 통해 토출되는 바람의 진동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
한편, 회전부(20)의 외면에는, 연결부(15)의 절단부(17) 이외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절단부(17) 이외의 단부에 대향하여 플랜지(2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부(20)의 외면에는 연결부(15)의 절단부(17) 이외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플랜지(26)가 형성되어, 회전부(20)의 외면을 따라 어댑터(30)의 타단으로 배출되는 바람이 연결부(15)의 절단부(17) 이외의 단부에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헤어드라이어에서 토출되는 바람이 진동되지 않도록 회전부(20)의 회전을 정지시켜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토출부(10)는 회전부(20)를 통과하는 바람에 의해 직립된다. 그런데, 연결부(15)의 절단부(17) 이외의 단부는 회전부(20)의 외면을 따라 어댑터(30)의 타단으로 배출되는 바람이 바로 부딪히는 반면, 연결부(15)의 절단부(17)는 어댑터(30)의 타단으로부터 어느 정도 이격되어 있어 회전부(20)의 외면을 따라 어댑터(30)의 타단으로 배출되는 바람이 바로 부딪히지 않게 되어 토출부(10)가 절단부(17) 쪽으로 틸팅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20)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는 바람이 연결부(15)의 절단부(17) 이외의 단부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부(15)의 절단부(17) 이외의 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플랜지(26)를 둔다. 플랜지(26)에 의해 연결부(15)의 절단부(17) 이외의 단부에 바람이 바로 부딪히는 것이 방지되어 토출부(10)가 절단부(17) 쪽으로 틸팅되지 않고 직립할 수 있다.
한편, 원뿔대 형상의 관 상의 토출 몸체(13)의 일측에는 무게추(16)가 결합될 수 있다. 무게추(16)는 토출부(10)의 내벽의 일측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토출부(10)의 회전 중심에 대해 토출부(10)의 무게가 비대칭되도록 하여 토출부(10)가 진동하는 진동 주기를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무게추(16)는 절단부(17)가 형성되는 토출부(10)의 일측의 내벽에 일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절단부(17)가 형성되는 토출부(10)의 일측에 무게추(16)가 결합되면, 토출부(10)의 진동이 빨라져 바람의 진동 주기가 빨라질 뿐 아니라 토출부(10)의 회전 범위가 증가되어 바람의 진동 폭 또한 증가하여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하여 머리를 건조시키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1)는, 어댑터(30)에 결합되며 회전부(20)의 회전을 단속하는 스톱퍼(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헤어드라이어에서 토출되는 바람이 진동되지 않도록 하여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할 수 있는데, 스톱퍼(40)를 사용하여 회전부(20)의 회전을 정지시켜 바람이 진동없이 일정하게 나오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톱퍼(40)는, 내부에 가압돌부(43)가 형성되고 어댑터(3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어댑터(30)에 대해 회전하는 회전 고리(4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고리(41)에 삽입되는 어댑터(30)의 일단부에는 어댑터(30)의 일부가 홈 가공되어 형성되는 고정편(33)이 형성되어 있다. 어댑터(30)에 대한 회전 고리(41)의 회전에 따라 회전 고리(41)의 내부에 형성된 가압돌부(43)는 어댑터(30)의 고정편(33)을 가압하게 되며, 고정편(33)은 다시 회전부(20)의 외면을 가압하여 회전부(2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어댑터(30)의 일단부에는 어댑터(30)의 일부가 홈 가공되어 형성되는 고정편(33)이 형성된다. 고정편(33)은 일정한 넓이를 가지도록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이 어댑터(30)에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은 어댑터(30)와 분리되도록 “ㄷ” 자로 홈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편(33)은 회전 고리(41)의 회전에 따라 가압돌부(43)에 의해 가압되어 어댑터(30) 내측으로 휘어져 어댑터(30)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부(20)를 가압하면서 회전부(20)를 고정시킨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전 고리(41)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서, 내부에 가압돌부(43)가 형성되어 있고 어댑터(3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어댑터(30)에 대해 회전된다. 그리고, 회전 고리(41)의 내부에는 가이드돌부(4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여 어댑터(30)의 일단부에는 가이드돌부(45)가 삽입되어 회전 고리(41)의 회전 범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35)이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30)의 일단부에는 가이드돌부(45)가 삽입되도록 어댑터(3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길이로 가이드홈(35)이 형성되며, 가이드홈(35)의 길이에 의해 가이드홈(35)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45)의 이동 범위가 제한되어 회전 고리(41)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가이드홈(35)의 길이는 어댑터(30)에 형성되는 고정편(33)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회전부(20)를 고정시키기 위해 회전 고리(41)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가압돌부(43)가 고정편(33)을 지나치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편(33)을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스톱퍼(40)의 변형예로서 어댑터(30)에 대해 슬라이딩되도록 어댑터(30)에 결합되며, 슬라이딩에 따라 회전부(20)의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단속버튼은 일단이 어댑터(30)를 관통하도록 어댑터(30) 외벽에 구비되어 슬라이딩됨에 따라 회전부(20)를 가압하여 회전부(20)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즐(50)은, 그 일단이 어댑터(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에 토출부(10)로부터 토출된 바람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노즐(50)의 배출구는 일방향으로 긴 슬롯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토출부(10)에서 토출된 바람이 슬롯형태의 배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10에는 바람 진동 장치(1), 헤어드라이어 본체(5), 송풍구(51)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송풍구(51)에는 상술한 바람 진동 장치(10)가 결합되어 있다.
헤어드라이어 본체(5)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 흡입된 공기를 송풍구(51)로 송풍시키는 모터 및 팬 등이 설치되는 송풍 장치,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 전원과 온도 등을 조정하는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으며, 헤어드라이어의 송풍구(51)를 통해 바람이 토출된다. 헤어드라이어의 송풍구(51)에는 필요에 따라 상술한 바람 진동 장치(1)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헤어드라이어와 별개로 상술한 바람 진동 장치(1)를 구성하여 헤어드라이어에 착탈시켜 사용하는 형태를 제시하고 있으나, 헤어드라이어와 바람 진동 장치(1)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어댑터(30)를 송풍구(51)의 일부로서 송풍구(51)와 일체적으로 구성하여 송풍구(51)의 내부에 상술한 회전부(20), 토출부(10), 노즐(50) 등을 결합하여 바람 진동 장치(1)를 헤어드라이어와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바람 진동 장치 5: 헤어드라이어 본체
10: 토출부 13: 토출 몸체
15: 연결부 16: 무게추
17: 절단부 19: 힌지핀
20: 회전부 21: 회전 몸체
23: 베인(vane) 25: 회전축부
26: 플랜지 27: 결합핀
29: 힌지부 30: 어댑터
31: 어댑터 몸체 32: 고정허브
33: 고정편 35: 가이드홈
40: 스톱퍼(stopper) 41: 회전 고리
43: 가압돌부 45: 가이드돌부
50: 노즐 51: 송풍구

Claims (14)

  1. 헤어드라이어의 송풍구에 결합되어 바람을 진동시키는 바람 진동 장치로서,
    상기 송풍구에 결합되며 상기 바람이 유입되는 관 상의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바람이 일단에서 유입되며 상기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관 상의 회전부와;
    일단이 상기 회전부의 타단에 힌지부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의 타단에서 토출되는 바람에 의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진동하는 관 상의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축소되는 원뿔대 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전부의 타단에서 토출되는 바람이 상기 원뿔대의 내벽 경사면에 부딪히면서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진동하는 원뿔대 형상의 관 상의 토출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진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관 상의 회전 몸체와;
    상기 바람이 유입됨에 따라 상기 회전 몸체가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 몸체 내벽에서 상기 회전 몸체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베인(va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진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어댑터의 내부에 결합되는 고정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 몸체의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베인이 연장되어 결합되는 회전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고정허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진동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토출 몸체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회전부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토출부의 회전 중심에서 일측으로 경사지는 절단부가 형성되는 관 상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진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절단부 이외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절단부 이외의 단부에 대향하여 상기 회전부의 외면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진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에 의해 상기 토출부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진동되도록 상기 토출부의 일측에는 무게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진동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단속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바람 진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일단부에는 상기 어댑터의 일부가 홈 가공되어 고정편이 형성되며,
    상기 스톱퍼는,
    내부에 가압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에 대해 회전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돌부가 상기 고정편을 가압하도록 하는 회전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진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고리의 내부에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어댑터의 일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돌부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 고리의 회전 범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진동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어댑터에 대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며,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버튼을 포함하는, 바람 진동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어댑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에 상기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상기 바람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노즐을 더 포함하는, 바람 진동 장치.
  13. 바람을 토출시키는 송풍구를 구비하는 헤어드라이어 본체와;
    상기 송풍구에 결합되어 바람을 진동시키는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람 진동 장치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송풍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0150025635A 2015-02-24 2015-02-24 바람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1692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635A KR101692484B1 (ko) 2015-02-24 2015-02-24 바람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CN201580076911.5A CN107278129B (zh) 2015-02-24 2015-12-21 振风装置及包括此装置的吹风机
PCT/KR2015/014026 WO2016137103A1 (ko) 2015-02-24 2015-12-21 바람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JP2017562945A JP6679625B2 (ja) 2015-02-24 2015-12-21 風振動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ヘアードライヤ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635A KR101692484B1 (ko) 2015-02-24 2015-02-24 바람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308A KR20160103308A (ko) 2016-09-01
KR101692484B1 true KR101692484B1 (ko) 2017-01-04

Family

ID=5678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635A KR101692484B1 (ko) 2015-02-24 2015-02-24 바람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79625B2 (ko)
KR (1) KR101692484B1 (ko)
CN (1) CN107278129B (ko)
WO (1) WO201613710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713Y1 (ko) 2003-06-03 2004-01-16 유닉스전자주식회사 노즐의 풍향 조절이 가능한 헤어 드라이어
US20050072019A1 (en) 2003-09-18 2005-04-07 Rago Paul S. Automatic air movement for hair dryers
KR101477739B1 (ko) 2013-08-30 2014-12-30 유닉스전자주식회사 헤어드라이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1203Y2 (ko) * 1986-06-03 1992-12-02
KR970073437A (ko) * 1996-05-16 1997-12-10 김광호 헤어드라이어의 송풍장치
JP2004176597A (ja) * 2002-11-26 2004-06-24 Kazuhiko Mori 送風機のエアー放出ノズル
CN102639024B (zh) * 2010-03-15 2016-01-20 新联电器厂有限公司 用于头发处理设备的附件
KR101286731B1 (ko) * 2011-11-15 2013-07-16 (주)언일전자 헤어드라이어
KR20140017453A (ko) * 2012-08-01 2014-02-11 키스 네일 프로덕츠, 인크. 헤어 드라이어용 회전 공기 유도 장치
JP2014151045A (ja) * 2013-02-12 2014-08-25 Kureitsu:Kk エアディフレクタ及びヘアドライ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713Y1 (ko) 2003-06-03 2004-01-16 유닉스전자주식회사 노즐의 풍향 조절이 가능한 헤어 드라이어
US20050072019A1 (en) 2003-09-18 2005-04-07 Rago Paul S. Automatic air movement for hair dryers
KR101477739B1 (ko) 2013-08-30 2014-12-30 유닉스전자주식회사 헤어드라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05763A (ja) 2018-03-01
WO2016137103A1 (ko) 2016-09-01
CN107278129A (zh) 2017-10-20
KR20160103308A (ko) 2016-09-01
CN107278129B (zh) 2021-02-26
JP6679625B2 (ja) 202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7595B2 (ja) ヘアドライヤー用回転式空気流方向づけ器具
US10251459B2 (en) Air vibration apparatus and hair dryer comprising the same
EP1570760A2 (en) Air pulsing attachment for handheld dryer
US8272142B2 (en) Hair dryer
JP2004283549A (ja) 手持ち式ドライヤのためのアタッチメント
US10660487B1 (en) Hair dryer mountable between spaced apart wall panels
US20090188125A1 (en) Conditioning attachment for hair dryer
KR200483235Y1 (ko) 목걸이형 선풍기
US2678376A (en) Hair drier
JP2004176597A (ja) 送風機のエアー放出ノズル
US11006720B2 (en) Concentrator nozzle for hair dryer
KR101692484B1 (ko) 바람 진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337365B1 (ko) 다기능 스탠드형 헤어 드라이기
KR20180127616A (ko) 탈부착이 가능한 탁상용 헤어드라이어
JP2018505763A5 (ko)
KR20030076813A (ko) 헤어드라이어
CA2500756A1 (en) Air pulsing attachment for handheld dryer
KR20240050814A (ko) 헤어드라이어
TWM527249U (zh) 吹風機導流結構
JP2008307220A (ja) 加熱送風装置
KR20210098677A (ko) 헤어 드라이어
RU2574694C2 (ru) Вентилятор в сборе
KR20190036351A (ko) 고효율 드라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