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0814A - 헤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헤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0814A
KR20240050814A KR1020220130671A KR20220130671A KR20240050814A KR 20240050814 A KR20240050814 A KR 20240050814A KR 1020220130671 A KR1020220130671 A KR 1020220130671A KR 20220130671 A KR20220130671 A KR 20220130671A KR 20240050814 A KR20240050814 A KR 20240050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discharge
connection
air
branch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0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길업
차석진
차석재
Original Assignee
차길업
차석진
차석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길업, 차석진, 차석재 filed Critical 차길업
Priority to KR1020220130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0814A/ko
Publication of KR20240050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08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4Portable drying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22Helmets with hot air supply or ventilating means, e.g. electrically heated air current
    • A45D20/24Shape or structure of the helmet bod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22Helmets with hot air supply or ventilating means, e.g. electrically heated air current
    • A45D20/26Guiding the air; Controlling the air quant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22Helmets with hot air supply or ventilating means, e.g. electrically heated air current
    • A45D20/34Arrangements of the venti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22Helmets with hot air supply or ventilating means, e.g. electrically heated air current
    • A45D20/24Shape or structure of the helmet body
    • A45D2020/245Shape or structure of the helmet body of open configuration, e.g. with several movable hea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드 형태로 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되며 평편한 바닥면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서로 다른 형태로 공기를 배출하는 제1 토출부와 제2 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토출부와 상기 제2 토출부가 서로 구획되며 링 형태로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발생한 공기 유동을 상기 헤드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1 토출부 또는 상기 제2 토출부로 공급되도록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밸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지 않고 스탠드 형태로 기립하여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헤어드라이어{HAIR DRYER}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탠드 형태로 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다량의 공기를 집중하여 토출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헤어드라이어는 머리를 말리거나 성형을 하는 데 사용되는 전자 기기이다. 헤어드라이어는 일반 가정과 헤어샵에서 머리를 감고 머리를 말리기 위하여, 또는 원하는 헤어 스타일로 변형을 가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된다.
헤어드라이어는 팬이 작동하면 후방에 형성된 흡기공을 통해 적정량의 공기를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가 전열 히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열된 열기를 토출구로 토출시킨다. 전열 히터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팬의 작동에 의해 흡기공으로 흡입된 공기를 그대로 토출 시키는 냉풍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온풍 및 냉풍 토출 기능은 제품에 따라 다시 강, 약으로 구분되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일반적인 헤어드라이어는 사용자가 헤어드라이어를 한 손으로 잡고 송풍부가 머리부분을 향하도록 하여 열풍을 머리카락으로 분사하도록 하고, 다른 한 손으로 머리 빗이나 미용기구를 사용하여 원하는 모양의 머리를 손질하게 되어 있어 한 손으로만 머리 빗이나 미용기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머리를 손질하는데 불편한 문제가 있다.
특히, 머리숱이 많거나 긴머리를 말릴 때에 헤어드라이어로 국부적으로 공기를 분사하므로 건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풍기 등의 앞에서 냉풍으로 머리를 말리는 경우에도 머리에만 집중하지 못하여 건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2866호(2005.08.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지 않고 스탠드 형태로 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다량의 공기를 집중하여 토출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되며, 평편한 바닥면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 서로 다른 형태로 공기를 배출하는 제1 토출부와 제2 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토출부와 상기 제2 토출부가 서로 구획되며, 링 형태로 형성된 헤드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발생한 공기 유동을 상기 헤드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1 토출부 또는 상기 제2 토출부로 공급되도록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토출부는 공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토출부는 공기가 배출되는 미세틈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미세틈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코안다 효과로 외부 공기를 이끌어 함께 송풍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어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그립부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핸디 토출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분기홀에 탈착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발생한 공기 유동을 상기 핸디 토출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연결부와 상기 핸디 토출부를 연결하는 분기 연결부; 및 상기 분기홀에 구비되고, 상기 분기홀에 상기 분기 연결부가 삽입되면 상기 연결부를 폐쇄하고, 상기 분기홀에서 상기 분기 연결부가 분리되면 상기 연결부를 개방하는 분기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기홀은 상기 연결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기밸브는 상기 분기홀에 회전되게 체결되며, 상기 분기홀에 상기 분기 연결부가 삽입되면 상기 분기밸브가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를 폐쇄하고, 상기 분기홀에서 상기 분기 연결부가 분리되면 상기 분기밸브가 자중에 의해 회전 복귀하여 상기 분기홀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어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그립부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핸디 토출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형성된 분기홀에 탈착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발생한 공기 유동을 상기 핸디 토출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핸디 토출부를 연결하는 분기 연결부; 및 상기 분기홀에 구비되고, 상기 분기홀에 상기 분기 연결부가 삽입되면 상기 연결부를 폐쇄하고, 상기 분기홀에서 상기 분기 연결부가 분리되면 상기 연결부를 개방하는 분기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기홀은 상기 연결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기밸브는 상기 분기홀에 회전되게 체결되며, 상기 분기홀에 상기 분기 연결부가 삽입되면 상기 분기밸브가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를 폐쇄하고, 상기 분기홀에서 상기 분기 연결부가 분리되면 상기 분기밸브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 복귀하여 상기 분기홀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헤어드라이어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으로 잡지 않고 스탠드 형태로 기립하여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토출부에서 공기를 바로 토출하는 형태 또는 코안다 효과로 외부공기를 끌어들이면서 다량의 공기를 토출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 다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토출부가 링 형태로 되어 있어서 머리부분에 온풍 또는 냉풍을 집중하여 분사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머리를 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핸디 토출부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헤어드라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헤어드라이어에서 헤드부의 제2 토출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헤어드라이어에서 헤드부의 제1 토출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헤어드라이어의 연결부에 핸디 토출부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헤어드라이어의 연결부에 분기 연결부가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헤어드라이어의 베이스프레임에 분기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헤어드라이어의 베이스프레임에 분기 연결부가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헤어드라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상기 헤어드라이어에서 헤드부의 제2 토출부 및 제1 토출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헤어드라이어의 연결부에 핸디 토출부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연결부에 분기 연결부가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헤어드라이어의 베이스프레임에 분기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분기 연결부가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1부터 도 9까지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헤어드라이어(100)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구동부(230)와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240)가 구비되며 평편한 바닥면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200)과, 서로 다른 형태로 공기를 배출하는 제1 토출부(310)와 제2 토출부(3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토출부(310)와 상기 제2 토출부(320)가 서로 구획되며 링 형태로 형성된 헤드부(300)와, 상기 구동부(230)에 의해 발생한 공기 유동을 상기 헤드부(300)로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200)과 상기 헤드부(300)를 연결하는 연결부(400), 그리고 상기 헤드부(300)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40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1 토출부(310) 또는 상기 제2 토출부(320)로 공급되도록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밸브(3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은 지면 또는 테이블에 안착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평편하게 형성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잡지 않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을 테이블에 배치한 상태에서 스탠드 형태로 기립하여 사용자가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은 하우징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모터(231)와 팬(232)으로 이루어진 구동부(230)가 구비되고, 둘레를 따라서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유입홀(210)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구동부(230)가 구동하면 외부의 공기가 복수의 상기 유입홀(210)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부(230)가 설치되는 부분에 복수의 연통홀(220)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2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유입홀(210)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연결부(400)로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연통홀(220)은 상기 모터(23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즉, 복수의 리브가 서로 이격 배치되면서 상기 연통홀(220)을 형성하고, 복수의 리브의 중심에 상기 모터(231)가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공기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부(230)와 상기 연결부(400)의 사이에 상기 히터(240)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240)는 전원이 인가되면 가열하여 상기 구동부(230)에 의해 강제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연결부(400)로 공급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에는 조작버튼(250)이 구비된다. 상기 조작버튼(250)은 상기 히터(240)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히터(24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버튼(250)은 상기 구동부(230)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구동부(2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바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이 베이스프레임(200)의 하부에는 상기 헤어드라이어(100)가 안정적으로 기립할 수 있도록 중량체를 추가로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0)과 상기 헤드부(300)를 연결하고, 중심이 관통된 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230)에 의해 발생한 공기 유동을 상기 헤드부(300)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400)는 외력이 인가되면 형상이 변경되거나 길이가 조절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이 지면 또는 테이블 등에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연결부(400)를 당겨서 길이를 조절하거나, 굴곡 변형시켜서 상기 헤드부(300)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300)는 중심이 관통된 링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형태로 공기를 배출하는 제1 토출부(310)와 제2 토출부(3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토출부(310)와 상기 제2 토출부(320)는 분리벽(330)에 의해 서로 구획된다. 이러한 상기 헤드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의 외측부(301)와 내측부(302)로 각각 제조된 후 조립되고 나사(303)를 통하여 체결 고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토출부(310)는 상기 헤드부(300)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의 전방에 형성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홀(311)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400)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는 복수의 상기 배출홀(311)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토출부(320)는 상기 헤드부(300)에서 상기 제1 토출부(310)의 후방에 형성되고, 반경 방향의 내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미세틈(321)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로, 상기 미세틈(321)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외부 공기를 이끌어 다량의 공기를 함께 송풍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밸브(341)는 상기 헤드부(300)에서 상기 연결부(400)가 체결되는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40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1 토출부(310) 또는 상기 제2 토출부(320)로 공급되도록 방향을 전환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밸브(341)는 상기 헤드부(300)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는 레버(342)에 체결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레버(342)를 회전시키면 상기 방향전환밸브(341)가 회전하여 상기 제1 토출부(310) 또는 상기 제2 토출부(320)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어(1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을 테이블 등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300)를 사용자의 머리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 토출부(310) 또는 상기 제2 토출부(320)로 공기가 토출되게 설정한 후, 사용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머리카락을 건조시키거나 스타일링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어(100)는 상기 헤드부(300)가 아니라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헤어드라이어(100)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그립부(511)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512)가 형성된 핸디 토출부(510)와, 상기 구동부(230)에 의해 발생한 공기를 상기 핸디 토출부(510)로 안내하는 분기 연결부(5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기 연결부(520)는 상기 연결부(400)에 형성된 분기홀(410)에 탈착되고, 상기 구동부(230)에 의해 발생한 공기 유동을 상기 핸디 토출부(510)로 안내하도록 상기 연결부(400)와 상기 핸디 토출부(510)를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분기홀(410)은 상기 연결부(400)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기홀(410)에 구비되고, 상기 분기홀(410)에 상기 분기 연결부(520)가 삽입되면 상기 연결부(400)를 폐쇄하고, 상기 분기홀(410)에서 상기 분기 연결부(520)가 분리되면 상기 연결부(400)를 개방하는 분기밸브(4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분기밸브(420)는 상기 분기홀(410)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상기 분기홀(410)에 상기 분기 연결부(520)가 삽입되면 상기 분기밸브(420)가 상기 분기 연결부(520)에 밀려서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400)를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분기홀(410)에서 상기 분기 연결부(520)가 분리되면 상기 분기밸브(420)가 자중에 의해 회전 복귀하여 상기 분기홀(410)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분기밸브(420)에 탄성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분기홀(410)에서 상기 분기 연결부(520)가 분리되면 상기 분기밸브(420)가 탄성 복귀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핸디 토출부(510)를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400)에 형성된 분기홀(410)에 상기 분기 연결부(520)를 삽입하면, 상기 분기밸브(420)가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400)를 폐쇄하여 상기 헤드부(300)로는 공기가 토출되지 않고, 상기 구동부(230)에 의해 발생한 공기 유동은 상기 분기 연결부(520)로 공급되어 상기 핸디 토출부(510)로 토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분기 연결부(520)가 탈착되는 분기홀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에 형성된 분기홀(260)은 상기 연결부(400)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기밸브(271)는 상기 분기홀(260)에 회전되게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분기밸브(271)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분기밸브(271)가 회전하면 일측이 상기 분기홀(260)을 폐쇄하거나 개방하고, 타측이 상기 연결부(400)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분기밸브(27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272)에 삽입되어 회전되고, 탄성부재(273)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된 후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273)는 상기 힌지핀(272)에 삽입되고, 일측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분기밸브(271)에 지지되어, 상기 분기밸브(271)가 상기 분기홀(260)을 폐쇄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한다.
즉, 상기 분기밸브(271)는 상기 분기홀(260)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상기 분기홀(260)에 상기 분기 연결부(520)가 삽입되면 상기 분기밸브(271)가 상기 분기 연결부(520)에 밀려서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400)를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분기홀(260)에서 상기 분기 연결부(520)가 분리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분기밸브(271)가 회전 복귀하여 상기 분기홀(260)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핸디 토출부(510)를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200)에 형성된 분기홀(260)에 상기 분기 연결부(520)를 삽입하면, 상기 분기밸브(271)가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400)를 폐쇄하여 상기 헤드부(300)로는 공기가 토출되지 않고, 상기 구동부(230)에 의해 발생한 공기 유동은 상기 분기 연결부(520)로 공급되어 상기 핸디 토출부(510)로 토출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헤어드라이어 200 : 베이스프레임
210 : 유입홀 220 : 연통홀
230 : 구동부 240 : 히터
250 : 조작버튼 260 : 분기홀
271 : 분기밸브 272 : 힌지핀
273 : 탄성부재 300 : 헤드부
310 : 제1 토출부 311 : 배출홀
320 : 제2 토출부 321 : 미세틈
330 : 분리벽 341 : 방향전환밸브
342 : 레버 400 : 연결부
410 : 분기홀 420 : 분기밸브
510 : 핸디 토출부 520 : 분기 연결부

Claims (6)

  1.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되며, 평편한 바닥면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
    서로 다른 형태로 공기를 배출하는 제1 토출부와 제2 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토출부와 상기 제2 토출부가 서로 구획되며, 링 형태로 형성된 헤드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발생한 공기 유동을 상기 헤드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1 토출부 또는 상기 제2 토출부로 공급되도록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밸브;
    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부는 공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홀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토출부는 공기가 배출되는 미세틈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미세틈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외부 공기를 이끌어 함께 송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그립부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핸디 토출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분기홀에 탈착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발생한 공기 유동을 상기 핸디 토출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연결부와 상기 핸디 토출부를 연결하는 분기 연결부; 및
    상기 분기홀에 구비되고, 상기 분기홀에 상기 분기 연결부가 삽입되면 상기 연결부를 폐쇄하고, 상기 분기홀에서 상기 분기 연결부가 분리되면 상기 연결부를 개방하는 분기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홀은 상기 연결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기밸브는 상기 분기홀에 회전되게 체결되며,
    상기 분기홀에 상기 분기 연결부가 삽입되면 상기 분기밸브가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를 폐쇄하고, 상기 분기홀에서 상기 분기 연결부가 분리되면 상기 분기밸브가 자중에 의해 회전 복귀하여 상기 분기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그립부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핸디 토출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형성된 분기홀에 탈착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발생한 공기 유동을 상기 핸디 토출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핸디 토출부를 연결하는 분기 연결부; 및
    상기 분기홀에 구비되고, 상기 분기홀에 상기 분기 연결부가 삽입되면 상기 연결부를 폐쇄하고, 상기 분기홀에서 상기 분기 연결부가 분리되면 상기 연결부를 개방하는 분기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홀은 상기 연결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기밸브는 상기 분기홀에 회전되게 체결되며,
    상기 분기홀에 상기 분기 연결부가 삽입되면 상기 분기밸브가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를 폐쇄하고, 상기 분기홀에서 상기 분기 연결부가 분리되면 상기 분기밸브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 복귀하여 상기 분기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0220130671A 2022-10-12 2022-10-12 헤어드라이어 KR202400508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671A KR20240050814A (ko) 2022-10-12 2022-10-12 헤어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671A KR20240050814A (ko) 2022-10-12 2022-10-12 헤어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814A true KR20240050814A (ko) 2024-04-19

Family

ID=9088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671A KR20240050814A (ko) 2022-10-12 2022-10-12 헤어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081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866Y1 (ko) 2005-06-03 2005-08-18 신길승 헤어드라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866Y1 (ko) 2005-06-03 2005-08-18 신길승 헤어드라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5171B2 (ja) コンセントレータ
EP2611329B1 (en) Hair styling device
US5438763A (en) Multipurpose electric dryer
KR101932158B1 (ko) 헤어 드라이기
US20130133218A1 (en) Hair dryer
JP3213043U (ja) ヘアドライヤー用根元ボリュームノズル
KR20180003263U (ko) 헤어와 바디 겸용 드라이기
CN209995559U (zh) 一种罩式头发风干机
KR20240050814A (ko) 헤어드라이어
KR20180127616A (ko) 탈부착이 가능한 탁상용 헤어드라이어
KR20100000430U (ko) 헤어드라이어 노즐
KR102321237B1 (ko) 다용도 헤어 스타일러
WO1982003757A1 (en) Apparatus for grooming hair
KR200382263Y1 (ko) 벽걸이용 헤어 드라이기
KR101771206B1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KR100894548B1 (ko) 견착식 헤어드라이어
CN210812446U (zh) 带吹风功能的筋膜枪
KR102332679B1 (ko) 머리손질용 기능성 헤어 드라이기
KR200197508Y1 (ko) 브러쉬 겸용 헤어드라이기
KR200371067Y1 (ko) 스탠드형 헤어 드라이기
CN220607644U (zh) 吹风机
CN101181112A (zh) 一种电吹风用的易梳套
KR20160082445A (ko) 날개 없는 헤어드라이어
KR101949613B1 (ko) 다기능 소음절감 드라이어
JPH0639602Y2 (ja) 吸引式ヘアドライヤ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