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349B1 - 바디 유닛 및 그 바디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바디 유닛 및 그 바디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349B1
KR101692349B1 KR1020140149582A KR20140149582A KR101692349B1 KR 101692349 B1 KR101692349 B1 KR 101692349B1 KR 1020140149582 A KR1020140149582 A KR 1020140149582A KR 20140149582 A KR20140149582 A KR 20140149582A KR 101692349 B1 KR101692349 B1 KR 101692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exchange
exchange medium
guid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731A (ko
Inventor
김규호
정창욱
이현철
이헌재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9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34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0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dismountable joints
    • F28F9/12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dismountable joints by flange-type connections

Abstract

바디 유닛 및 그 바디 유닛을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열교환 매체; 열유체를 열교환 매체 주변으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포밍부; 상기 포밍부가 상기 열교환 매체를 경유하는 열유체 통과 부분을 입구부에 비해 후방 면적을 줄이는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바디 유닛, 또는 포밍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의 전체 또는 일 부분에 형성된 에어 포켓;을 더 포함함으로써, 열교환 매체에 대한 열교환 효율을 높이거나 열손실 없이 열교환 매체에 열을 전달하거나 공기층을 통해 자체적으로 표면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디 유닛 및 그 바디를 포함하는 열교환기{BODY AND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바디 유닛에 관한 것으로 열원의 연소공기가 열교환 매체 주변에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거나 열교환 매체의 열교환 시기에 따른 열교환 편차를 줄이거나 표면 온도 상승을 자체적으로 제어하는 바디 유닛과 그 바디 유닛을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 등에 적용되는 열교환기는 버너 연소열을 열교환 매체로 보내고 그 과정에서 열교환 매체 안을 유동하는 유체의 열교환을 유도하여 난방수를 공급한다. 도 1은 보일러 등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열교환기의 형식 중 하나를 나타내는데, 열교환기(10)는 열교환 매체(20)로서 열교환 파이프나 열교환 튜브 등을 바디(30)에 배치하여 대상 유체를 유동시키고 그 과정에서 연소열과 열교환 되도록 한다.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열교환 매체(20)는 다양한 형식과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열교환 튜브에 다수의 핀을 배열한 핀 앤드 튜브 등은 열교환 성능을 고려한 것이다.
STS 열교환기는 동 열교환기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아 효율이 낮은 경향이 있으며, 보일러에 적용될 때 배기가스는 온도가 떨어짐에 따라 유속이 느려져 효율을 저하시키고 있다. 열교환기 표면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하여 바디(30)에 세라믹 단열재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예가 알려져 있다.
열교환기의 열효율과 성능 개선을 위한 여러 제안들은 열교환 매체나 열전달 및 재료, 그리고 유체 유동 및 열교환 회로 설계 등에 집중되었다. 일부는 열교환기 복합 보일러를 보완하는 제안들이 있는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73892호에는 보일러 연소실 하우징 벽면의 단열, 이를 통한 연소실 외벽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가스보일러 연소실이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실용 실1998-012318호에는 연소실 하우징 내부 단열재, 그 사이에 공기유로를 형성한 가스보일러 연소실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73892호(2004. 08. 21 공개)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실용 실1998-012318호(1998. 05. 25 공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에서 열교환 매체를 지지하는 바디 유닛을 통해 열원 측 유동 공기가 열교환 매체 주변에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교환기에서 열교환 매체의 열교환 시기에 따른 열교환 편차를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교환기의 바디 표면 온도 상승을 다른 보조재 사용 없이 구조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유닛은,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유체와 열교환 되는 유동 유체가 유동하는 열교환 매체에 접촉하는 열유체를 열교환 매체 주변으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포밍부; 상기 포밍부가 상기 열교환 매체를 경유하는 열유체 통과 부분을 입구부에 비해 후방 단면적을 줄이는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유닛은,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유체와 열교환 되는 유동 유체가 유동하는 열교환 매체에 접촉하는 열유체를 열교환 매체 주변으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포밍부; 상기 포밍부가 상기 열교환 매체를 경유하는 열유체 통과 부분을 입구부에 비해 후방 단면적을 줄이는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 및 상기 포밍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의 전체 또는 일 부분에 형성된 에어 포켓;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유닛의 포밍부는, 아랫부분에 비해 윗부분의 면적이 넓으며 그 경계면은 상부를 향하는 슬로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유닛은, 열교환 매체와 마주보는 내판; 내판과 구분되어 외벽을 형성하는 외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유닛의 포밍부는, 열교환 매체와 마주보는 내판, 내판과 구분되어 외벽을 형성하는 외판을 포함하는 바디 유닛의 내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유닛은, 열교환 매체와 마주보는 내판, 내판과 구분되어 외벽을 형성하는 외판을 포함하고, 내판이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를 포함하며, 내판과 외판은 단독판 또는 겹판 또는 한 개 부품을 절곡하여 형합한 겹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유입관을 따라 유입되는 유체를 열교환 하여 유출관으로 내보내는 열교환 매체, 상기 유출입관과 열교환 매체를 배치하는 바디 유닛을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바디 유닛은,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유체와 열교환 되는 유동 유체가 유동하는 열교환 매체에 접촉하는 열유체를 열교환 매체 주변으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포밍부; 상기 포밍부가 상기 열교환 매체를 경유하는 열유체 통과 부분을 입구부에 비해 후방 단면적을 줄이는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유입관을 따라 유입되는 유체를 열교환 하여 유출관으로 내보내는 열교환 매체, 상기 유출입관과 열교환 매체를 배치하는 바디 유닛을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바디 유닛은,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유체와 열교환 되는 유동 유체가 유동하는 열교환 매체에 접촉하는 열유체를 열교환 매체 주변으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포밍부; 상기 포밍부가 상기 열교환 매체를 경유하는 열유체 통과 부분을 입구부에 비해 후방 단면적을 줄이는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 및 상기 포밍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의 전체 또는 일 부분에 형성된 에어 포켓;을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유닛 및 열교환기는 포밍부를 구비하여 열교환기 상단으로 흐르게 되는 열유체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 매체의 주변을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유닛을 포함하는 열교환기는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온도가 떨어짐에 따라 속도가 늦어져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개선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열유체가 통과되는 부분의 열유체 통과 부분의 단면적을 좁게 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유닛 및 열교환기는 자체적으로 에어 포켓을 형성함으로써 공기층이 열교환기 표면 온도상승을 억제하여 세라믹 등의 단열재 사용 없이 간단한 제조를 통해 고품질의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열교환기 및 그 바디 유닛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유닛 및 열교환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유닛의 일부 절취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밍부가 형성된 바디 유닛.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밍부 및 제1,2 유로 가이드를 구비하는 바디 유닛의 제작 과정 예시도.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유닛에 형성되는 포밍부 및 제1,2 가이드 형상.
도 7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에서의 열유체 유동 상태 설명도.
도 9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에서의 열유체 유동 분포 비교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유닛 및 그 바디 유닛이 적용된 열 교환기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유닛의 일부 절취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유닛(200)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유체와 열교환 되는 유동 유체가 유동하는 열교환 매체(110)에 접촉하는 열유체를 열교환 매체(110) 주변으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포밍부(250)가 구성된다. 그리고, 포밍부(250)는 열교환 매체(110)를 경유하는 열유체 통과 부분(130)을 입구부에 비해 후방 단면적을 줄이는 제1 가이드(230)와 제2 가이드(2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유닛(200)은,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유체와 열교환 되는 유동 유체가 유동하는 열교환 매체(110)에 접촉하는 열유체를 열교환 매체(110) 주변으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포밍부(250)가 구성된다. 그리고, 포밍부(250)는 열교환 매체(110)를 경유하는 열유체 통과 부분(130)을 입구부에 비해 후방 단면적을 줄이는 제1 가이드(230)와 제2 가이드(240), 그리고 포밍부(250)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 가이드(230)와 제2 가이드(240)의 전체 또는 일 부분에 형성된 에어 포켓(26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다.
여기서, 바디 유닛(200)을 열교환기에 적용하는 경우 제1 가이드(230) 부분은 열유체 통과 부분(130)의 입구부 영역을 L1의 영역으로 제한하고, 제2 가이드(240) 부분은 후방 열유체 통과 부분(130)을 L2 영역으로 차등적으로 구분한다(도 7 참조).
바디 유닛(200)에 형성하는 포밍부(250)는 판재를 사용할 경우 프레스 성형 가공으로 간단히 성형 제작될 수 있으며 주물 성형인 경우 다이캐스팅을 포함하는 다양한 성형법 등으로 간단히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바디 유닛(200)에 형성하는 포밍부(250)는 아랫부분에 비해 윗부분의 면적이 넓으며 그 경계면은 상부를 향하는 슬로프(251)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랫부분에 비해 윗부분의 면적이 넓은 포밍부(250)를 구비하는 바디 유닛(200)을 열교환기(100)에 사용할 경우 열교환 파이프나 열교환 튜브 등과 같은 열교환 매체(110)에 열유체를 접촉시키는 열유체 통과 부분(130)의 면적을 열유체 통과 시기를 기준으로 초기와 후기로 구분하여 차등적으로 통과시키는 작용을 한다.
즉 열유체가 열유체 통과 부분(130)으로 유입되어 열교환 매체(110)를 지나 상부로 빠져나간다고 할 때 입구부 부분의 열유체 유량을 많게 하고 그 이후 열유체 유량을 면적 차이로 줄여준다. 이로 인해 열유체 통과 부분(130)으로 유입된 열유체는 입구부 부분에 비해 후방 지역에서 유량이 줄어드는 만큼 유속을 빠르게 한다.
열유체의 유속 저하는 온도 저하의 원인이 되며 열교환 매체(110)의 열교환 효율을 나쁘게 하지만 열유체 통과 부분(130)의 면적을 입구부과 후방을 다르게 하고 후방부 면적을 좁힌 포밍부(250)는 유속 저하를 방지한다. 종전 바디 유닛은 입구부과 후방부의 면적이 균일하여 후방부 온도가 낮고 유속이 느렸다(도 9의 열유체 유동 비교도 참조).
아랫부분에 비해 윗부분의 면적이 넓은 포밍부(250)를 두고 그 면적 차이가 주어지는 경계면 상의 슬로프(251)는 상부로 향하는 기울기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슬로프(251) 면은 열교환기에 적용되는 경우 열유체를 열교환 매체(11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집중시켜 대부분의 열유체가 열교환 매체(110)를 흐르는 유체와 열교환을 이루도록 유도하여 열손실을 줄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밍부가 형성된 바디 유닛의 예이다. 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밍부 및 제1,2 유로 가이드를 구비하는 바디 유닛의 제작 과정 예시도 이다.
바디 유닛(200)은 열교환 매체(110)와 마주보는 내판(210), 내판(210)과 구분되어 외벽을 형성하는 외판(220)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4는 외판(미도시)과 조합되는 내판(210)이 열유체 흐름을 유도하는 포밍부(250)로 형성된 예로 제시되어 있고, 도 5는 포밍부(250)가 열교환 매체(110)와 마주보는 내판(210), 내판(210)과 구분되어 외벽을 형성하는 외판(220)을 포함하는 바디 유닛(200)으로 형성된 예로 제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열교환기에서 열교환 매체(110)와 마주보는 내판(210), 내판(210)과 구분되어 외벽을 형성하는 외판(220)을 포함하는 바디 유닛(200)은 내판(210)이 제1 가이드(230)와 제2 가이드(2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판(210)과 외판(220)은 단독판(도 4 참조) 또는 겹판 또는 한 개 부품을 절곡하여 형합한 도 5와 같은 절곡형 겹판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5는 내판(210)과 외판(220)을 절곡 가능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그 절곡점 P을 중심으로 내판(210)에 형성된 포밍부(250)가 외판(220)의 내벽과 나란해질 때까지 B 방향으로 절곡하면 내판(210)과 외판(220)이 나란한 상태의 겹판형 바디를 제작할 수 있다. 겹판형 바디는 내판과 외판을 따로 분리 제작하지 않고 일회의 공정으로 제작 가능하므로 바디의 제작 작업 공수와 비용을 줄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유닛의 에어 포켓의 구성 예이다. (a)는 외판측 기준에서 보인 에어 포켓(260)의 형상이다. (b)는 내판측 기준에서 보인 에어 포켓(260)의 형상이다.
바디 유닛(200)에 형성하는 에어 포켓(260)은 포밍부(250)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 가이드(230)와 제2 가이드(240)의 전체 또는 일 부분에 형성된 에어 포켓(26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도 6은 제1 가이드(230)와 제2 가이드(240)를 포함하는 포밍부(250)의 전 영역을 에어 포켓(260)으로 둔 예이다. 이와 같이 바디 유닛(200)의 포밍부(250)에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에어 포켓(260)은 공기층이 바디 유닛(200)의 표면 온도상승을 억제하거나 제어한다. 종전에는 세라믹 소재 등의 단열재를 부가하여 온도 상승을 억제하였으나 본 발명은 바디 유닛의 자체 형상으로 단열 성능을 얻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100)는 포밍부(250) 및 제1 가이드(230)와 제2 가이드(240)로 구분되는 바디 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나타낸다. 도 7의 열교환기(100)를 참조하면, 열교환 매체(110)의 양측에 바디 유닛(200)이 위치한다. 그리고 바디 유닛(200)에는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관(120), 유입관(120)을 따라 유입되는 유체를 열교환 하여 유출관(121) 및 열교환 매체(110)가 지지 배치된다.
바디 유닛(200)은,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유체와 열교환 되는 유동 유체가 유동하는 열교환 매체(110)에 접촉하는 열유체를 열교환 매체(110) 주변으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포밍부(250), 포밍부(250)가 열교환 매체(110)를 경유하는 열유체 통과 부분(130)을 초기에 비해 후기 단면적을 줄이는 제1 가이드(230) 및 제2 가이드(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열교환기(100)의 바디 유닛(200)의 포밍부(250)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230) 부분은 열유체 통과 부분(130)의 입구부 영역을 L1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2 가이드(240) 부분은 후방 열유체 통과 부분(130)을 L2 영역으로 차등적으로 구분하는데 포밍부(250)의 돌출 단면 형상 차이에 의해 열유체 통과 부분(130)의 입구부 영역 면적 L1에 비해 후방 면적 L2이 좁다.
따라서, 열교환기(100)에서 열유체가 열유체 통과 부분(130)으로 유입되어 열교환 매체(110)를 지나 상부로 빠져나간다고 할 때 입구부 부분의 열유체 유량이 많고 그 이후 열유체 유량을 면적 차이로 줄여주는데 열유체 통과 부분(130)으로 유입된 열유체는 입구부 부분에 비해 후방 지역에서 유량이 줄어드는 만큼 유속을 빠르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열유체 유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열교환기(100)의 바디 유닛(200)은 아랫부분에 비해 윗부분의 면적이 넓은 포밍부(250)를 두고 있고 그 면적 차이로 주어지는 경계면 상의 슬로프(251)는 상부로 향하는 기울기를 이룬다. 이 슬로프(251) 면은 열유체를 열교환 매체(11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집중시켜 대부분의 열유체가 열교환 매체(110)를 흐르는 유체와 열교환을 이루도록 유도하여 열손실을 줄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유닛이 적용된 열교환기에서의 열유체 유동 분포 비교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열교환기(100)의 열교환 매체(110)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열유체 통과 부분(130)의 온도는 입구부 부분과 후방 부분이 유속 값(velocity counter:v.c)과 온도 값이 비례하여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온도 피크는 '주황', 피크 온도에 비해 저온이면서 중간온도는 '녹색', 녹색보다 낮은 온도는 '청색'으로서 유속과 온도는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a)는 종래의 열교환기를 측정한 결과이다. 열유체 통과 부분이 면적 차이를 갖지 않는 열유체 유동 흐름 조건으로서 온도 피크 분위기는 열교환 매체의 중심 아래 부분에 집중되어 있다.
입구부 영역의 유속은 1~10(v.c) 중 중간대인 4~6(v.c)-중간온도(녹색)이고, 중간 영역의 유속은 7~10(v.c)-피크 온도(주황), 후방 영역의 유속은 0~3(v.c)-저온(청색)으로 측정되었다.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측정한 결과이다. 열유체 통과 부분이 입구부 부분에 비해 후방 면적이 좁아진 차이를 갖는 열유체 유동 흐름 조건으로서 온도 피크 분위기는 열교환 매체의 중심 아래 부분과 그 상부에 집중되어 있다.
입구부 영역의 유속은 1~12(v.c) 중 중간대인 4~7(v.c)-중간온도(녹색)이고, 중간 영역의 유속은 6~12(v.c)-피크 온도(주황), 후방 영역의 유속은 1~12(v.c)-고온(주황), 중온(녹색), 저온(청색) 등이 고르게 측정되었다.
열교환기에서 열유체의 유속 저하는 온도 저하의 원인이 되며 열교환 매체(110)의 열교환 효율을 나쁘게 하지만 열유체 통과 부분(130)의 면적을 입구부과 후방을 다르게 하고 후방부 면적을 좁힌 포밍부(250)가 있는 바디 유닛(200)은 열교환 매체(110)로 전달되는 유동 유체의 입구부과 후방부의 면적 조정으로 유속을 빠르게 하여 입구부과 후방부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고 이는 열교환 매체에 대한 열유체의 전달을 열유체 작용점 편차에 기인하는 열효율 저하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100)는 바디 유닛(200)이 아랫부분에 비해 윗부분의 면적이 넓은 포밍부(250)를 두고 있고 그 면적 차이로 주어지는 경계면 상의 슬로프(251)는 상부로 향하는 기울기를 이루고 있어 이를 통해 열유체를 열교환 매체(11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집중시켜 대부분의 열유체가 열교환 매체(110)를 흐르는 유체와 열교환을 이루도록 유도하여 열손실을 줄인다. 또한 열교환기(10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바디 유닛(200)을 세라믹 등의 소재로 단열 처리하는 단열재 사용 없이 바디 유닛(200)의 자체 에어 포켓(260)을 통해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열교환기 110: 열교환 튜브
120: 유입관 121: 유출관
130: 열유체 통과 부분 200: 바디 유닛
210: 내판 220: 외판
230: 제1(유로) 가이드 240: 제2(유로) 가이드
250: 포밍부 260: 에어 포켓

Claims (8)

  1. 삭제
  2. 열교환 매체; 열유체를 상기 열교환 매체 주변으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포밍부; 상기 포밍부는, 상기 열교환 매체를 경유하는 열유체 통과 부분을 입구부에 비해 후방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열 유체 통과 부분의 입구부 영역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열유체 통과 부분의 입구부부터 열교환 튜브까지 형성된 제1 가이드, 및 후방 열 유체 통과 부분을 상기 제1 가이드가 형성된 입구부 부분과 차등적으로 구분하기 위해 상기 열교환 튜브에서부터 후방 영역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 상기 포밍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형성된 에어 포켓; 및 상기 열교환 매체와 마주보는 내판, 및 상기 내판과 구분되어 외벽을 형성하는 외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내판이 상기 제1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내판과 외판은 단독판 또는 한 개의 부품으로 절곡하여 구성되며, 상기 내판과 외판의 결합부는 상기 열유체 통과 부분에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는 아랫부분에 비해 윗부분의 면적이 넓으며 그 경계면은 상부를 향하는 슬로프로 형성된 바디 유닛.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가 열교환 매체와 마주보는 내판, 상기 내판과 구분되어 외벽을 형성하는 외판을 포함하는 바디 유닛의 상기 내판에 형성된 바디 유닛.
  6. 삭제
  7. 삭제
  8. 유입관을 따라 유입되는 유체를 열교환 하여 유출관으로 내보내는 열교환 매체, 상기 유출입관과 열교환 매체를 배치하는 바디 유닛을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바디 유닛은,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유체와 열교환 되는 유동 유체가 유동하는 열교환 매체에 접촉하는 열유체를 열교환 매체 주변으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포밍부; 상기 포밍부는, 상기 열교환 매체를 경유하는 열유체 통과 부분을 입구부에 비해 후방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열 유체 통과 부분의 입구부 영역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열유체 통과 부분의 입구부부터 열교환 튜브까지 형성된 제1 가이드, 및 후방 열 유체 통과 부분을 상기 제1 가이드가 형성된 입구부 부분과 차등적으로 구분하기 위해 상기 열교환 튜브에서부터 후방 영역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 상기 포밍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형성된 에어 포켓; 및 상기 열교환 매체와 마주보는 내판 및 상기 내판과 구분되어 외벽을 형성하는 외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내판이 상기 제1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내판과 외판은 단독판 또는 한 개의 부품으로 절곡하여 구성되며, 상기 내판과 외판의 결합부는 상기 열유체 통과 부분에서 이루어진 청구항 2 기재의 바디 유닛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KR1020140149582A 2014-10-30 2014-10-30 바디 유닛 및 그 바디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KR101692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582A KR101692349B1 (ko) 2014-10-30 2014-10-30 바디 유닛 및 그 바디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582A KR101692349B1 (ko) 2014-10-30 2014-10-30 바디 유닛 및 그 바디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731A KR20160050731A (ko) 2016-05-11
KR101692349B1 true KR101692349B1 (ko) 2017-01-03

Family

ID=5602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582A KR101692349B1 (ko) 2014-10-30 2014-10-30 바디 유닛 및 그 바디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3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2316A (ja) * 2005-04-13 2006-10-26 Noritz Corp 熱交換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燃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247Y1 (en) * 1986-10-11 1990-04-17 Shin Hwa Presision Co Ltd Device for leading of exhaust gas of casing for instantaneous hot-water heater
JPH04132353U (ja) * 1991-05-28 1992-12-08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それを使用する給湯機並びに給湯付風呂釜
JP2879297B2 (ja) * 1993-11-08 1999-04-05 リンナイ株式会社 熱交換器
KR100214489B1 (ko) 1996-07-02 1999-08-02 구본준 플로팅 칩 패키지
KR100502081B1 (ko) 2003-02-15 2005-07-18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가스보일러의 연소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2316A (ja) * 2005-04-13 2006-10-26 Noritz Corp 熱交換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燃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731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9062B2 (ja) 熱交換器
JP2015535585A (ja) フィン−チューブ方式の熱交換器
US20100162967A1 (en) Heat exchanger
CN111473677B (zh) 热传递翅片及使用该热传递翅片的翅管式热交换器单元
KR101422347B1 (ko) 더미 관을 갖는 응축 열교환기
JP6502852B2 (ja) 熱風オーブン
CN210638552U (zh) 一种燃气锅炉用换热装置
JP4079119B2 (ja) 熱交換器
KR101388344B1 (ko) 콘덴싱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한 보일러
CN204154169U (zh) 用于燃气热水器的换热翅片
KR101692349B1 (ko) 바디 유닛 및 그 바디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JP5178656B2 (ja) 1缶式複合熱源機
KR20100134852A (ko) 열교환기
CN106352551A (zh) 一种组合式冷凝换热器
CN208223269U (zh) 一种锅炉内翅片换热管
CN202119303U (zh) 三维螺旋板式气-气换热器
CN206094563U (zh) 一种组合式冷凝换热器
KR101068272B1 (ko) 노통 수관식 보일러
CN104534667A (zh) 冷凝式燃气采暖热水炉换热器
KR101845347B1 (ko) 스팀 컨벡션 오븐의 열교환장치
KR200434690Y1 (ko) 열교환기
KR101484842B1 (ko) 더미관을 갖는 내압 열교환기
KR101865316B1 (ko) 표면의 돌기형상 난류형성 열효율 증대 태양열집열기의 매니폴더
KR20090017174A (ko) 장방형 연관을 구비한 열교환기
CN205102651U (zh) 换热器管道结构、换热器和热泵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