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331B1 - 파이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331B1
KR101691331B1 KR1020160094030A KR20160094030A KR101691331B1 KR 101691331 B1 KR101691331 B1 KR 101691331B1 KR 1020160094030 A KR1020160094030 A KR 1020160094030A KR 20160094030 A KR20160094030 A KR 20160094030A KR 101691331 B1 KR101691331 B1 KR 101691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tact portion
contact
stat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영
Original Assignee
(주)대한프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프라스틱 filed Critical (주)대한프라스틱
Priority to KR1020160094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1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는, 유체 또는 케이블이 수용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를 수용하는 배관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파이프 고정장치에 있어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형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일측면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배관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간격배치부 및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원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배치부의 높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와 상기 배관의 이격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고정장치{Pipe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파이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체 또는 케이블이 수용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를 수용하는 배관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파이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이나 산업 단지 등에 조성된 공장 등에는 건축 또는 각종 화학 공정에 사용되는 화학물질 등이 배관을 통해 이동된다. 상기 화학물질을 운반하기 위한 배관은, 내화학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어 배관 내에서 안전하게 필요지역으로 운반된다.
그러나, 배관을 통해 이동되는 각종 화학물질(인체에 유해한 유체 등)들이 배관의 노후 또는 파손 등에 의한 유실구로 유출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하거나 환경을 오염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상기 배관을 통한 유체의 유실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건축물 등에 공급되는 전기선뿐만 아니라, 전화선,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MATV용 케이블 등 전기선을 제외한 다양한 약전용 전선들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각 층마다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마련하고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배선하는 방식으로 설계하고 있다.
이러한 유체배관이나 케이블배관 등을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환경으로부터 배관을 안전하게 보호함과 함께, 배관을 통해 이동되는 화학물질이 외부로 유실되어 사용자를 위협하고, 환경을 오염하며, 배관의 외부 노출로 인한 미관의 저하 방지와 통행자나 작업자의 안전 및 불편함의 해소를 위한 목적으로 유체배관 또는 케이블배관을 수용하는 덕트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건물 등의 냉난방 및 배선 등을 위한 파이프는 통상, 건물의 천장 등을 따라 설치되고, 이때 파이프의 설치위치를 잡아주면서 자중에 의한 처짐이나 변형이 방지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취부되는 파이프 고정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선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20-393463호 "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는 고정반도로부터 이동반도를 개방시킨 후 파이프를 고정반도에 결속하고 개방된 이동반도를 이용하여 결속된 파이프를 커버한 다음 고정반도와 결합볼트와 결합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이동반도를 개방시킨 후 파이프를 결속시키는 것으로,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파이프의 결속 후에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켜야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숙련공 이외의 초보자가 작업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장치가 장착된 파이프를 배관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고정장치와 상기 배관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등에 의해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파이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파이프의 상기 배관 내에서의 위치를 고정하는 파이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는, 유체 또는 케이블이 수용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를 수용하는 배관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파이프 고정장치에 있어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형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일측면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배관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간격배치부 및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원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배치부의 높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와 상기 배관의 이격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상기 복원방지부는,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는 중에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요철대응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요철대응부와 대응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요철대응부와 결속되는 요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요철부와 상기 요철대응부가 결속되는 경우, 상기 삽입부를 따라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은 구현되나,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은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어 형성하는 가상의 공간의 형태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이 형성하는 가상의 공간의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상기 접촉부는, 제1 폭으로 형성되는 중간에 상기 제1 폭보다 넓은 제2 폭으로 형성되는 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간격배치부는, 상기 제2 폭으로 형성되는 구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제2 폭으로 형성되는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상기 간격배치부는,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의 변형에 따라 상기 배관과의 접촉영역이 상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상기 간격배치부는, 상면이 볼록하게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상기 간격배치부는, 상기 제2 폭보다 큰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는, 상기 간격배치부의 높이는 상기 복원방지부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는, 상기 복원방지부의 상측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장치가 장착된 파이프를 배관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고정장치와 상기 배관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등에 의해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파이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파이프의 상기 배관 내에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유체가 수용된 채 이동되는 파이프와 배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상기 파이프를 통해 이동되는 유체의 성질에 따라 고온 또는 저온으로 온도 변화되는 파이프에 의해 배관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선, 전화선,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MATV용 케이블을 수용한 파이프에 경우,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전기선 등에 흐르는 전류 등에 의해 고온화된 파이프가 상기 배관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상기 배관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공정이 단순하여 숙련공 이외의 초보자가 작업하기에도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가 설치된 배관 덕트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간격배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가 설치된 배관 덕트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1)(이하, 고정장치)는 유체가 이동되는 파이프(P) 또는 각종 케이블 등이 이동되는 파이프(P)를 수용하는 배관(C)과 상기 파이프(P)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파이프(P)와 상기 배관(C)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상기 배관(C)은, 상기 배관(C)을 정렬하고, 보관 및 보호하는 배관(C) 보호 덕트(D)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배관(C) 보호 덕트(D)는, 배관(C)을 통해 이동되는 인체에 유해한 유체 등이 배관(C)의 노후 또는 파손 등에 의한 유실구로 유출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하거나, 전기 등이 이동되는 케이블 등이 배관(C)으로부터 유출되어 사용자에게 노출됨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장치(1)는, 유체가 수용된 채, 이동되는 파이프(P)와 배관(C)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파이프(P)를 통해 이동되는 유체의 성질에 따라 고온 또는 저온으로 온도 변화되는 파이프(P)에 의해 상기 배관(C)은 손상 또는 파손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고정장치(1)에 의해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여 배관(C)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선, 전화선,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MATV용 케이블을 수용한 파이프(P)에 경우, 상기 고정장치(1)는 상기 전기선 등에 흐르는 전류 등에 의해 고온화된 파이프(P)가 상기 배관(C)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상기 배관(C)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장치(1)는 접촉부(10), 간격배치부(20) 및 복원방지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0)는, 인가된 외력에 의해 제1 상태(도 3(a) 참조)에서 제2 상태(도 3(b) 참조)로 변형되어 파이프(P)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인가된 외력이란, 사용자가 상기 접촉부(10)를 변형시키기 위해 가한 외력을 의미한다. 여기서 파이프(P)는 대략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10)의 상기 제1 상태란, 상기 접촉부(10)에 인가된 외력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대략 편평하게 펴진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란, 상기 외력에 의해 변형된 상태를 의미하며, 파이프(P)의 외주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굴곡진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제2 상태의 접촉부(10)는 폐곡선을 형성하며, 상기 폐곡선에 의해 형성된 개구에 상기 파이프(P)가 위치한다.
사용자는 상기 제1 상태의 접촉부(10)를 설치하고자 하는 파이프(P)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외력을 인가하여 제2 상태로 변형시킨다. 이 때, 상기 파이프(P)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접촉부(10)에 의해 포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부(10)의 타측면은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을 따라 굴곡된 채 상기 파이프(P)와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1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의 변형이 자유로울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부(10)는 장착되는 파이프(P)의 크기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형이 자유로울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10)의 유동성은 상기 접촉부(10)를 형성하는 재질에 종속된 특징일 수 있다.
상기 간격배치부(20)는, 상기 접촉부(10)의 일측면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배관(C)의 내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간격배치부(20)는 제1 간격배치부(20a) 내지 제N 간격배치부(20e)(N은 자연수, 도면상에서는 N은 5로 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격배치부(20)는 상기 접촉부(10)의 제1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부(10)의 일측면을 따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상기 접촉부(10)가 제2 상태로 변형되면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을 따라 굴곡지게 배치되는 상기 접촉부(10)의 일측면을 따라 평행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간격배치부(20)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N 간격배치부는 상기 제2 상태의 접촉부(10)가 형성하는 가상의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예각, 직각, 둔각을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도 7의 K).
본 발명의 고정장치(1)는 상기 간격배치부(20)의 높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P)와 상기 배관(C)의 이격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격배치부(20)는 일측은 상기 파이프(P)와 밀착된 상기 접촉부(10)와 접촉되며, 타측은 상기 배관(C)의 내측면과 접촉되므로, 상기 간격배치부(20)의 높이만큼 상기 파이프(P)와 상기 배관(C)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복원방지부(30)는, 상기 접촉부(10)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상기 복원방지부(30)와 접촉된 채 결속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된 상태에서는 상기 복원방지부(30)에 의해 재차 상기 제1 상태로의 변형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부(10)는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나 상기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재질 상의 특징에 의해 복원될 수 있으며, 상기 복원방지부(30)는 이러한 상기 접촉부(10)의 복원을 방해하여 상기 제2 상태로의 변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의 복원방지부(30)는 사용자가 인가한 외력에 의해 상기 접촉부(10)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는 중에 상기 접촉부(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부(32) 및 상기 삽입부(3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요철대응부(3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10)는, 상기 삽입부(32)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요철대응부(34)와 대응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요철대응부(34)와 결속되는 요철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2)는, 상기 접촉부(10)의 끝단이 삽입된 채, 상기 접촉부(10)가 상기 삽입부(32)를 관통하여 이동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요철부(12)와 상기 요철대응부(34)는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철부(12)는 돌출부(12a)와 함입부(12b)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요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요철대응부(34)는 상기 요철부(12)의 함입부(12b)에 삽입될 수 있는 일종의 돌기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요철대응부(34)의 돌기는 상기 요철부(12)의 함입부(12b)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10)는, 상기 요철부(12)와 상기 요철대응부(34)가 접촉된 채, 결속되는 경우 상기 삽입부(32)를 따라 제1 방향(L1)으로의 위치 이동은 구현되나, 상기 제1 방향(L1)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L2)으로의 위치 이동은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L1)이란 상기 접촉부(10)가 상기 삽입부(32)에 삽입된 채, 형성하는 폐곡선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하는 상기 접촉부(10)의 이동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방향(L2)이란 상기 접촉부(10)가 형성하는 폐곡선의 크기가 커지도록 하는 상기 접촉부(10)의 이동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접촉부(10)의 일방향으로 제한된 위치 이동은 상기 요철대응부(34)의 형상과 상기 요철부(12)의 형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철부(12)의 돌출부(12a)는 상기 제1 방향(L1)을 향해 하향 경사진 사면을 형성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제2 방향(L2)과 대향하는 면은 상기 제2 방향(L2)과 수직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철대응부(34)의 돌기가 상기 요철부(12)의 함입부(12b)에 삽입된 채 상기 접촉부(10)가 상기 제1 방향(L1)으로 위치 이동하려는 경우, 상기 요철대응부(34)의 돌기는 상기 요철부(12)의 돌출부(12a)에 형성된 경사진 사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접촉부(10)의 상기 제1 방향(L1)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지 않으나, 상기 접촉부(10)가 상기 제2 방향(L2)으로 위치 이동하려는 경우, 상기 요철대응부(34)의 돌기가 상기 함입부(12b)의 수직한 면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접촉부(10)의 상기 제2 방향(L2)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0)는,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복원방지부(30)에 의해 상기 제1 상태로 복원되지 않아 상기 파이프(P)와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요철부(12)와 상기 요철대응부(34)의 구성은 상기 접촉부(10)와 상기 복원방지부(30)에 교차하여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부(10)는 상기 요철대응부(34)의 구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복원방지부(30)는 상기 요철부(12)의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원방지부(30)의 높이는 상기 간격배치부(20)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1)가 상기 파이프(P)와 상기 배관(C) 사이에 개재된 경우, 상기 간격배치부(20)의 굴곡된 상면은 상기 배관(C)의 내주면과 접촉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복원방지부(30)의 상측면은 상기 배관(C)의 내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원방지부(30) 또한 상기 파이프(P)와 상기 배관(C)이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원방지부(30)의 상측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배관(C)이 외력에 의해 굴곡되어 변형되는 경우, 상기 배관(C)이 상기 복원방지부(30)의 모서리에 의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간격배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의 간격배치부(20)는, 상기 배관(C)의 폭 방향(M)으로의 변형에 따라 상기 배관(C)과의 접촉영역이 상이해질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1)가 상기 파이프(P)와 상기 배관(C) 사이에 위치한 경우, 상기 간격배치부(20)는 상기 배관(C)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배관(C)이 굴곡되어 휘어지는 경우, 상기 간격배치부(20)와 상기 배관(C)의 내주면의 접촉 영역은 상이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격배치부(20)는, 상면이 볼록하게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관(C)과의 접촉 영역은 볼록한 상면 중 적어도 일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관(C)이 굴곡지게 변형되는 경우, 상기 간격배치부(20)와 접촉된 상기 배관(C)의 내주면 또한 변형되게 되어 상기 간격배치부(20)와의 접촉 영역이 상이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간격배치부(20)와 상기 배관(C)과의 접촉 영역이 줄어드는 효과를 주어, 상기 파이프(P) 내에 수용된 유체 또는 케이블에 의한 열이 상기 간격배치부(20)를 통해 상기 배관(C)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간격배치부(20)는 상기 배관(C)의 휘어지는 변형에 의해서 상기 배관(C)에 부하를 주지 않은 채, 상기 배관(C)과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배관(C)과의 접촉 영역을 최소화하여 상기 파이프(P)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 등이 상기 배관(C)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부(10)는, 제1 폭(Q1, 도 3 참조)으로 형성되는 중간에 상기 제1 폭(Q1)보다 넓은 제2 폭(Q2, 도 3 참조)으로 형성되는 구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간격배치부(20)는 상기 제2 폭(Q2)으로 형성되는 구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간격배치부(20)를 구성하는 제1 간격배치부(20) 내지 제N 간격배치부(20)는 상기 접촉부(10) 중 상기 제2 폭(Q2)으로 형성된 구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10)의 제1 폭(Q1)으로 형성되는 구간의 일측에는 상기 복원방지부(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은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상기 복원방지부(30)의 삽입부(32)에 삽입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2 폭(Q2)으로 형성된 접촉부(10)는 상기 간격배치부(20)와의 접촉 영역이 확대되는 효과를 주어, 상기 파이프(P)와 상기 배관(C)을 매개하는 상기 간격배치부(20)가 상기 배관(C)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 등에 의해 상기 접촉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부(10)와 상기 간격배치부(20)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간격배치부(20)는 상기 제2 폭(Q2)보다 큰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간격배치부(2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파이프(P)와 직접 접촉되어 상기 배관(C)과의 마찰에 따른 부하에 대항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부(10)가 제2 상태로 변형되어 상기 파이프(P)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간격배치부(20)는 상기 접촉부(10)뿐만 아니라 상기 파이프(P)에도 접촉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1)에 의해 상기 파이프(P)가 상기 배관(C) 내에서 상기 배관(C)과 이격된 채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상태에서의 상기 접촉부(10)는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직선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접촉부(10)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접촉부(10)의 일측단이 상기 복원방지부(30)의 삽입부(32)에 삽입되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접촉부(10)의 일측단이 상기 삽입부(32)에 삽입됨에 따라 형성된 폐곡선 내에는 상기 파이프(P)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과 상기 접촉부(10)의 타측면이 접촉되도록 상기 접촉부(10)를 상기 삽입부(32) 내에서 위치 이동 시켜, 상기 접촉부(10)의 요철부(12)와 상기 복원방지부(30)의 요철대응부(34)가 결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접촉부(10)는 상기 삽입부(32) 내에서 상기 제1 방향(L1)으로의 위치 이동만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접촉부(10)가 상기 삽입부(32) 내에서 제1 방향(L1)으로 이동이 가능하지 않을 때까지 외력을 인가하면 된다. 즉, 상기 접촉부(10)가 상기 삽입부(32) 내에서 상기 제1 방향(L1)으로 위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접촉부(10)의 타측면은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상태에서의 상기 접촉부(10)는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과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접촉부(10)가 형성하는 가상의 공간의 형태 즉, 폐곡선은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이 형성하는 가상의 공간의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부(10)의 일측단에 연결된 상기 복원방지부(30)의 하측면은 편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원방지부(30)는 상기 접촉부(10)의 제2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상기 복원방지부(30)의 하측면은 편평하므로 라운드 형상인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과 접촉에 빈 공간이 생길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장치(1)에 의해 형성된 가상의 폐곡선은 상기 접촉부(10)와 상기 복원방지부(30)에 의해 형성되므로, 상기 복원방지부(30)가 차지하는 구간에서는 굴곡진 형상이 아닌 편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원방지부(30)의 하측면은 오목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10)와 상기 복원방지부(30)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공간의 형태와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이 형성하는 가상의 공간의 형태가 동일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장치(1)는 상기 접촉부(10)가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제2 폭(Q2)으로 형성되는 상기 접촉부(10)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파이프(P)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40)는, 상기 고정장치(1)와 상기 파이프(P) 양 부재가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접착제일 수 있다.
상기 접착부(40)는, 상기 접촉부(10)의 타측면에 도포된 채,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어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과 접촉될 때 상기 파이프(P)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접촉부(10)가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어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10)와 상기 파이프(P) 사이에 도포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는 간격배치부(12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고정장치(1)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기 간격배치부(120)에 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상기 간격배치부(120)는, 제1 간격배치부(120a) 내지 제N 간격배치부(120g)(N은 자연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간격배치부(120a) 내지 제N 간격배치부(120g)는 제2 폭(Q2)의 접촉부(110)의 구간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110)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간격배치부(120a) 내지 제N 간격배치부(120g)는 인접한 간격배치부(120) 간 접촉된 상태일 있다.
상기 접촉부(110)가 인가된 외력에 의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형되면, 상기 제1 간격배치부(120a) 내지 제N 간격배치부(120g)는 각각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배관(C)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부(110)가 제1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제1 간격배치부(120a) 내지 제N 간격배치부(120g)가 접촉된 상태이나 상기 접촉부(110)가 제2 상태 즉,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변형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110)의 변형에 따라 상기 제1 간격배치부(120a) 내지 제N 간격배치부(120g)는 각각이 이격된 채, 상기 배관(C)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C: 배관
P: 파이프
D: 덕트
1: 파이프 고정장치
10: 접촉부
12: 요철부
20: 간격배치부
30: 복원방지부
32: 삽입부
34: 요철대응부

Claims (11)

  1. 삭제
  2. 유체 또는 케이블이 수용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를 수용하는 배관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파이프 고정장치에 있어서,
    인가된 외력에 의해 편평한 상태의 제1 상태에서 굴곡된 상태의 제2 상태로 변형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일측면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배관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간격배치부; 및
    상기 접촉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접촉부의 타측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한 채, 위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여 상기 접촉부의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의 복원이 방지되도록 하는 복원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배치부의 높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와 상기 배관의 이격거리가 결정되고,
    상기 복원방지부는,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는 중에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요철대응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요철대응부와 대응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요철대응부와 결속되는 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요철부와 상기 요철대응부가 결속되는 경우, 상기 삽입부를 따라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은 구현되나,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은 구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제1 폭으로 형성되는 중간에 상기 제1 폭보다 넓은 제2 폭으로 형성되는 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간격배치부는,
    상기 제2 폭으로 형성되는 구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제2 폭으로 형성되는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배치부는,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의 변형에 따라 상기 배관과의 접촉영역이 상이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배치부는,
    상면이 볼록하게 굴곡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배치부는,
    상기 제2 폭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배치부의 높이는 상기 복원방지부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방지부의 상측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장치.
KR1020160094030A 2016-07-25 2016-07-25 파이프 고정장치 KR101691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030A KR101691331B1 (ko) 2016-07-25 2016-07-25 파이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030A KR101691331B1 (ko) 2016-07-25 2016-07-25 파이프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331B1 true KR101691331B1 (ko) 2016-12-29

Family

ID=57736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030A KR101691331B1 (ko) 2016-07-25 2016-07-25 파이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3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6712A (en) * 1978-04-15 1979-10-24 Kubota Ltd Flowing water pipe inserting execution method into sleeve pipe
JPS6215676U (ko) * 1985-07-12 1987-01-30
JPH044589U (ko) * 1990-04-27 1992-01-16
KR20160001026U (ko) * 2014-09-19 2016-03-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중 파이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6712A (en) * 1978-04-15 1979-10-24 Kubota Ltd Flowing water pipe inserting execution method into sleeve pipe
JPS6215676U (ko) * 1985-07-12 1987-01-30
JPH044589U (ko) * 1990-04-27 1992-01-16
KR20160001026U (ko) * 2014-09-19 2016-03-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중 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6914B2 (en) Universal firestopping collar assembly
KR101266585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KR101681010B1 (ko) 배관 보호 구조체
KR101835614B1 (ko) 고무튜브를 이용한 클램프형 다중 케이블
EA021896B1 (ru) Кабельный лоток
KR101691331B1 (ko) 파이프 고정장치
AU2016238643B2 (en) A cable restraint
KR100922345B1 (ko) 처짐 방지 케이블 베어 장치
KR20110046086A (ko) 건축현장의 바닥개구부용 만능 덮개
KR101190240B1 (ko)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
KR20130002305U (ko) 합성수지제 휨 나선형 전선관
KR200456526Y1 (ko) 아울렛 박스의 공용 커버
KR102321027B1 (ko) 전선관 커넥터
KR20220091932A (ko)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과 금속제 가요전선관 체결용 이종 커플링
CN104729747A (zh) 感温装置及热水器
JP7057244B2 (ja) 管材固定具
KR102539955B1 (ko) 케이블 등을 위한 트랜지션의 웨지
TWM534758U (zh) 系統天花盲板及其安全扣件
JP5312229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200433347Y1 (ko) 케이블지지 구
JPS622883Y2 (ko)
KR200487994Y1 (ko) 전로용 접지 구조
KR200176633Y1 (ko) 전선보호용 파이프의 연결장치
KR950007607Y1 (ko) 전선배선용 트래이(Tray) 행거(Hanger)
KR102088212B1 (ko) 케이블 그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