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013B1 - 드레인포트 - Google Patents
드레인포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1013B1 KR101691013B1 KR1020150134154A KR20150134154A KR101691013B1 KR 101691013 B1 KR101691013 B1 KR 101691013B1 KR 1020150134154 A KR1020150134154 A KR 1020150134154A KR 20150134154 A KR20150134154 A KR 20150134154A KR 101691013 B1 KR101691013 B1 KR 1016910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ure
- pipe
- accommodation space
- condensed water
- drain port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30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46 flu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requiring the use of refrigeration, e.g. of helium or hydrogen ; Details and kind of the refrigeration system used; Integration with other units or processes; Controlling aspects of the process
- F25J1/0243—Start-up or control of the process; Details of the apparatus used; Details of the refrigerant compression system used
- F25J1/0244—Operation; Control and regulation; Instrumentation
- F25J1/0254—Operation; Control and regulation; Instrumentation controlling particular process parameter, e.g. pressure, 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10/00—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other details of the feed stream
- F25J2210/70—Flue or combustion exhaust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배기가스의 유입을 방지하고 보다 깨끗하게 응축수를 처리하는 드레인포트가 제공된다. 드레인포트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부,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연도와 용기부의 사이에 연결되어 연도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수용공간으로 유입하는 응축수유입관, 용기부 일 측에 형성된 응축수배출관, 및 용기부에 연결되고 수용공간에 기체를 주입하여 수용공간의 내부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연도 내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처리하는 드레인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가스의 유입을 방지하고 보다 깨끗하게 응축수를 처리하는 드레인포트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나 엔진, 발전시설 등에서 생성된 가스는 연도(煙道)를 통해 배기된다. 배기가스는 연소작용에 의해 생성되어 고온상태로 배출되므로 연도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온도 차가 발생할 수 있고 유동과정에서 배기가스의 압력이나 온도가 급격히 변화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연도의 내부에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증기 등이 응축하여 액상의 응축수가 생성된다.
이러한 응축수를 처리하기 위해서 연도 외측으로 배출관을 형성하거나 연도 하부에 응축수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용기인 드레인포트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드레인포트는 응축수를 수용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일종의 버퍼탱크 역할을 할 수 있어 응축수 처리에 매우 유용하다. 드레인포트는 관로를 통해 연도의 다양한 지점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드레인포트는 연도와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도 내부의 불순물까지 드레인포트 내부로 함께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압의 배기가스가 관로를 통해 드레인포트까지 역류할 수 있어 드레인포트 내부가 오염되거나 배기가스가 원활하게 배기되지 못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드레인포트 구조로는 이러한 문제에 대비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기가스의 유입을 방지하고 보다 깨끗하게 응축수를 처리하는 드레인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포트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부;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연도와 상기 용기부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연도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하는 응축수유입관; 상기 용기부 일 측에 형성된 응축수배출관; 및 상기 용기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기체를 주입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관을 포함한다.
상기 압력조절관은 상기 수용공간으로 압축된 기체를 주입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을 상기 연도 내부를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압력보다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포트는, 상기 용기부와 상기 압력조절관 사이에 연결되는 리턴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포트는, 상기 압력조절관 및 상기 리턴관에 형성된 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을 설정 압력으로 유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포트는, 상기 응축수유입관 끝단부 또는 상기 연도 내부에 설치되는 제1압력센서, 및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제2압력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1압력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2압력센서의 측정값에 대응하여 상기 기체의 주입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포트는, 상기 용기부 내부의 상기 압력조절관 끝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주입되는 상기 기체의 주입방향을 변경하는 주입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포트는, 상기 용기부 내부의 상기 응축수유입관이 연결된 측과, 상기 응축수배출관이 연결된 측의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포트는 연도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유입하여 처리하되 연도의 배기가스가 드레인포트 내부까지 역류하는 것은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불순물 등의 유입도 차단하여 응축수를 보다 깨끗하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포트의 배치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포트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포트의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포트의 작동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포트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포트의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포트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포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포트의 배치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포트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포트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포트(1)는 내부에 수용공간(도 2의 100a참조)이 형성된 용기부(100), 배기가스(도 1의 화살표참조)가 유동하는 연도(2)와 용기부(100)의 사이에 연결되어 연도(2)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수용공간(100a)으로 유입하는 응축수유입관(110), 용기부(100) 일 측에 형성된 응축수배출관(120), 및 용기부(100)에 연결되고 수용공간(100a)에 기체를 주입하여 수용공간(100a)의 내부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관(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포트(1)는 용기부(100) 내부로 기체를 주입하여 용기부(1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고 용기부(100) 내부와 외부 사이에 압력 차를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도(2)에 연결된 상태에서도 용기부(100) 내부로 배기가스가 유입되지 않도록 배기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는 매우 효과적인 씰링(Sealing)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드레인포트(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도(2)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연도(2)는 배기가스가 이동하는 연통이나 덕트, 또는 연통이나 덕트를 통해 연결된 그 밖의 배기가스 유동로 전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연도(2) 일 측에 드레인포트(1)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1에는 엔진(3)을 포함하는 시설물과 이러한 시설물이 포함하는 연도(2), 엔진(3) 배기가스를 연도(2)로 배기하는 배기관(31)의 연결지점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드레인포트(1)가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연도(2)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시설물에 드레인포트(1)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드레인포트(1)는 응축수를 용이하게 유입하기 위해 연도(2)의 중력 하방에 위치할 수 있고 응축수유입관(110)을 통해 연도(2)와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포트(1)는 응축수배출관(120)을 통해 유입된 응축수(A)를 시설물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드레인포트(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공급부(200)와 연결된 압력조절관(130)으로 기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리턴관(140)을 설치하여 용기부(100) 내부의 압력조절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응축수유입관(110) 끝단부 또는 연도(2)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압력센서(161)와, 용기부(100) 내부의 수용공간(100a)에 설치되는 제2압력센서(162)의 측정값에 대응하여 기체의 주입량이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용기부(100) 내부의 압력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고 유지할 수 있다. 드레인포트(1)의 압력조절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용기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부(100) 내부의 빈 공간은 응축수(A)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00a)으로 기능한다. 용기부(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00a)이 형성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 형상의 구조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용기부(100)는 관로 연결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밀폐되어 압력유지가 용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부(100) 하부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배수가 보다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용기부(100) 내부에는 응축수유입관(110)이 연결된 측과, 응축수배출관(120)이 연결된 측의 사이를 분할하는 필터부재(15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재(150)는 수용공간(100a)의 응축수유입관(110)이 연결된 측과, 응축수배출관(120)의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재(150)는 용기부(100) 내부의 수용공간(100a)을 구획하여 분리할 수 있으며 응축수(A)는 필터부재(150)를 통과하여 응축수배출관(120)이 연결된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응축수(A)는 응축수유입관(110)을 통해 용기부(100) 내부로 유입된 후 필터부재(150)를 통과하여 정화되고, 정화된 응축수(A)가 응축수배출관(120)으로 배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필터부재(150)는 망체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다. 필터부재(150)는 응축수(A)에 함유된 불순물을 걸러낼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형상 및 재질로 구성된 복수 개의 필터부재(150)를 단계적으로 설치하여 응축수(A)의 정화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용기부(100) 내부에는 용기부(100)에 연결된 압력조절관(130) 끝단부에 기체의 주입방향을 변경하는 주입가이드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주입가이드부(1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perforated)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타공된 구멍을 통해 기체의 주입방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즉, 압력조절관(130)을 통해 수용공간(100a)으로 주입되는 기체가 주입가이드부(132)를 통과하면서 수용공간(100a) 전체에 골고루 분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기부(100) 내부 압력을 보다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주입가이드부(132)의 형상이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노즐이나, 홈, 배플 등을 활용하여 수용공간(100a) 내부로 주입되는 기체의 주입방향을 적절히 변경시킬 수 있다.
응축수유입관(110)은 용기부(10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응축수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된 응축수(A)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용기부(100) 내부의 수용공간(100a)에 수용된다. 응축수배출관(120)은 용기부(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수용공간(100a)에 수용된 응축수(A)를 역시 중력을 이용하여 자연 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펌프 등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도 응축수(A)를 수용하고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관로의 연결상태를 이와 다른 방식으로 바꾸고 펌프 등을 이용하여 응축수(A)를 배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압력조절관(130) 역시 용기부(10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압력조절관(130)의 끝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가이드부(132)와 연결되어 기체의 주입방향이 수용공간(100a) 내부에서 분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기체는 압력조절관(130)을 통해서 용기부(100) 내부의 수용공간(100a)으로 주입된다. 이 때 용기부(100) 일 측에 형성된 리턴관(140)을 통해 수용공간(100a) 내부의 기체가 배출되어 압력조절관(130)으로 합류될 수 있다. 즉, 압력조절관(130) 및 리턴관(140)을 이용하여 용기부(100) 내부 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용기부(100) 내부의 압력은 제2압력센서(162)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전술한 제1압력센서(도 1의 161참조)와의 측정값을 상호 비교하여 기체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압력조절관(130) 및 리턴관(140)은 응축수(A)와 접촉하지 않도록 모두 용기부(100)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압력조절관(130)은 기체공급부(200)와 용기부(100)의 사이에 연결되어 기체공급부(200)가 공급한 기체를 용기부(100) 내부로 주입한다. 압력조절관(130) 일 측에는 압력조절관(130)을 개폐하여 기체주입량을 조절하는 주입밸브(131)가 형성될 수 있다. 리턴관(140)은 용기부(100)와 압력조절관(130)의 사이에 연결되어 용기부(100) 내 기체를 압력조절관(130) 측으로 환류시키도록 형성된다. 리턴관(140)에도 리턴관(140)을 개폐하여 기체 유동량을 조절하는 리턴밸브(1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력조절관(130) 및 리턴관(140)에 형성된 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수용공간(100a) 내부의 압력을 설정 압력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밸브와 연결되어 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제어부(300)를 설치함으로써 수용공간(100a) 내부의 압력을 설정 압력이 되도록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배출관(120)에 연결된 배출밸브(121)와 연결되어 배출밸브(121)를 조절하고 응축수(A)의 수위가 적정수준을 유지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용기부(100) 내부에 설치된 제2압력센서(162)와 전술한 제1압력센서(도 1의 161참조)의 측정값은 제어부(300)에 전달되어 주입밸브(131) 및 리턴밸브(141)를 조절하는 기준값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 가능한 전자식 제어장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압력센서의 신호로부터 압력측정치를 전달받고 그에 대응하여 주입밸브(131) 및 리턴밸브(141)의 개폐량을 조절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압력센서(161)의 측정값이 제2압력센서(162)의 측정값보다 큰 경우 주입밸브(131)를 개방하고 리턴밸브(141)는 폐쇄하는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고, 제1압력센서(161)의 측정값보다 제2압력센서(162)의 측정값이 더 큰 경우에는 주입밸브(131)는 폐쇄하고 리턴밸브(141)를 개방하는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 밖에도 필요에 따라서 밸브 개폐량, 개폐시점 등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기부(100) 내부 압력을 설정압력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압력조절관(130)을 통해 수용공간(100a)에 압축된 기체를 주입하고 수용공간(100a) 내부의 압력을 연도(도 1의 2참조) 내부를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압력보다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차에 의해 용기부(100)를 향하는 배기가스 흐름이 차단되고 배기가스의 역류 등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압축된 기체는 압축공기일 수 있으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불활성 가스 등 공기가 아닌 다른 성분을 포함하는 기체를 활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기체공급부(200)는 공압실린더, 공압펌프, 또는 기체를 저장하는 탱크 등을 포함하는 기체압축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레인포트의 작동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조절관(130)에 형성된 주입밸브(131)를 열어 용기부(100) 내부의 수용공간(100a)에 기체(B)를 주입할 수 있다. 기체(B)는 압력조절관(130) 끝단부의 주입가이드부(132)를 통과하면서 분산되어 수용공간(100a)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용기부(100) 내부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 때, 용기부(100) 내부 압력은 전술한 제1압력센서(도 1의 161참조)와 용기부(100) 내부의 제2압력센서(162)의 측정값에 대응하여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배기가스의 압력은 연도(2) 내부를 유동하면서 변동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여 이보다 높은 압력으로 용기부(100) 내부 압력이 유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압력센서(161)의 측정값과 제2압력센서(162)의 측정값이 제어부(300)에 입력되면 제어부(300)가 두 측정값을 바탕으로 이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주입밸브(131) 개폐량을 변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용공간(100a)의 압력이 설정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기체(B)를 주입할 수 있다.
한편, 배기가스의 압력이 감소하거나 기체(B)가 과도하게 공급되는 등의 경우에는 용기부(100) 내부의 압력이 더 이상 증가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300)는 주입밸브(131)를 닫고, 리턴밸브(141)를 열어 수용공간(100a) 내부를 감압하고 기체(B)가 리턴관(140)을 통해 순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체(B)는 이와 같이 순환하면서 용기부(100)에 연결된 응축수유입관(110) 등 개방된 관로를 통해 그 일부가 천천히 배출되어 자연스럽게 감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수용공간(100a)에 기체(B)를 주입하거나, 기체(B)를 순환 및 배출하여 수용공간(100a) 내부의 압력을 전술한 설정 압력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는 압력 차에 의해 보다 높은 압력으로 유지되는 용기부(100)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차단되며 용기부(100) 내부 공간이 매우 청결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액상의 응축수(A)는 중력에 의해 응축수유입관(110)을 따라 자연스럽게 용기부(100) 내부로 유입되고 필터부재(150)를 통과하여 정화된 후 응축수배출관(120)을 통해 매우 깨끗한 상태로 배출된다. 즉, 드레인포트(1)로 유입된 후 처리되는 응축수(A)의 처리과정이 매우 청결하게 진행되므로 응축수(A)를 다양한 방식으로 재활용 할 수 있고, 배출 시에도 후처리 과정이 간결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의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드레인포트(1)가 연결된 관로(응축수유입관)를 통해 배기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연도(도 1의 2참조)를 통해 배기가스 역시 보다 원활하게 배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드레인포트 2: 연도
3: 엔진 31: 배기관
100: 용기부 100a: 수용공간
110: 응축수유입관 120: 응축수배출관
121: 배출밸브 130: 압력조절관
131: 주입밸브 132: 주입가이드부
140: 리턴관 141: 리턴밸브
150: 필터부재 161: 제1압력센서
162: 제2압력센서 200: 기체공급부
300: 제어부 A: 응축수
B: 기체
3: 엔진 31: 배기관
100: 용기부 100a: 수용공간
110: 응축수유입관 120: 응축수배출관
121: 배출밸브 130: 압력조절관
131: 주입밸브 132: 주입가이드부
140: 리턴관 141: 리턴밸브
150: 필터부재 161: 제1압력센서
162: 제2압력센서 200: 기체공급부
300: 제어부 A: 응축수
B: 기체
Claims (7)
-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부;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연도와 상기 용기부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연도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하는 응축수유입관;
상기 용기부 일 측에 형성된 응축수배출관; 및
상기 용기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기체를 주입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관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조절관은 상기 수용공간으로 압축된 기체를 주입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을 상기 연도 내부를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압력보다 높게 유지하는 드레인포트.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와 상기 압력조절관 사이에 연결되는 리턴관을 더 포함하는 드레인포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관 및 상기 리턴관에 형성된 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을 설정 압력으로 유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드레인포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유입관 끝단부 또는 상기 연도 내부에 설치되는 제1압력센서, 및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제2압력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1압력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2압력센서의 측정값에 대응하여 상기 기체의 주입량이 조절되는 드레인포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 내부의 상기 압력조절관 끝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주입되는 상기 기체의 주입방향을 변경하는 주입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드레인포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 내부의 상기 응축수유입관이 연결된 측과, 상기 응축수배출관이 연결된 측의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드레인포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4154A KR101691013B1 (ko) | 2015-09-22 | 2015-09-22 | 드레인포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4154A KR101691013B1 (ko) | 2015-09-22 | 2015-09-22 | 드레인포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1013B1 true KR101691013B1 (ko) | 2016-12-29 |
Family
ID=57736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34154A KR101691013B1 (ko) | 2015-09-22 | 2015-09-22 | 드레인포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101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20924A (ko) * | 1998-09-24 | 2000-04-15 | 김덕중 | 약액 공급장치 |
JP2009147110A (ja) * | 2007-12-14 | 2009-07-02 | Seiko Epson Corp | 基板の熱処理装置 |
KR20130117042A (ko) * | 2012-04-17 | 2013-10-25 | (주)귀뚜라미 | 응축수 트랩장치 및 그에 설치되는 응축수 배출장치 |
KR20150001494U (ko) | 2013-10-10 | 2015-04-2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배기가스 파이프의 드레인포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
-
2015
- 2015-09-22 KR KR1020150134154A patent/KR10169101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20924A (ko) * | 1998-09-24 | 2000-04-15 | 김덕중 | 약액 공급장치 |
JP2009147110A (ja) * | 2007-12-14 | 2009-07-02 | Seiko Epson Corp | 基板の熱処理装置 |
KR20130117042A (ko) * | 2012-04-17 | 2013-10-25 | (주)귀뚜라미 | 응축수 트랩장치 및 그에 설치되는 응축수 배출장치 |
KR20150001494U (ko) | 2013-10-10 | 2015-04-2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배기가스 파이프의 드레인포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501230C (zh) | 用于模拟试验室的蒸汽产生方法及设备 | |
KR101375902B1 (ko) | 입자상 물질 제거용 필터의 세정방법 및 세정장치 | |
KR960002583A (ko) | 액체재료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 |
WO2016119708A1 (zh) | 净水机用的水箱组件以及净水机 | |
KR20050114617A (ko) | 액체주입기계 | |
PL94124B1 (ko) | ||
KR100578619B1 (ko) | 동물사체 처리 시스템 | |
KR101691013B1 (ko) | 드레인포트 | |
DE3425616A1 (de) | Anordnung zur minimierung des kuehlfluessigkeitsverbrauches insbes. bei fluessigkeitsring-vakuumpumpen o.dgl. | |
KR102314052B1 (ko) | 필터 세정 방법, 액처리 장치 및 기억 매체 | |
KR101584942B1 (ko) | 재생유닛을 구비한 건식탈황장치 | |
CN207418677U (zh) | 天然气干燥装置 | |
ITMI980329A1 (it) |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 sterilizzazione a vapore in particolare per usi odontoiatrici | |
KR20170135244A (ko) | 흡착탑의 흡착제 고효율 활용 시스템 | |
KR20150134753A (ko) | 정수기 | |
KR102271967B1 (ko) | 플러싱 장치 | |
JP3699876B2 (ja) | 水封式ドレントラップ | |
JP6763839B2 (ja) | 二酸化炭素施用装置 | |
JPH0332716A (ja) | 除塵機の逆洗方法及び除塵機 | |
JPH03127620A (ja) | 複数の作用物質の搬送装置のための清水貯蔵タンク | |
ITPN20060061A1 (it) | Impianto di filtrazione di sostanze da depurare di vario genere, particolarmente fanghi ed altre sostanze sporche ed inquinanti semisolide o liquide, e ciclo di lavoro per tale filtrazione | |
KR102574827B1 (ko) | 수처리용 세정장치 | |
CN215539503U (zh) | 再生气体流量控制装置 | |
KR20180023203A (ko) | 축사용 자동 수위 조절기구 | |
JP4374125B2 (ja) | 金型用の温度調節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