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754B1 - 에어백 - Google Patents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754B1
KR101690754B1 KR1020150057308A KR20150057308A KR101690754B1 KR 101690754 B1 KR101690754 B1 KR 101690754B1 KR 1020150057308 A KR1020150057308 A KR 1020150057308A KR 20150057308 A KR20150057308 A KR 20150057308A KR 101690754 B1 KR101690754 B1 KR 101690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gas
disposed
elastic body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6347A (ko
Inventor
윤효한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7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754B1/ko
Publication of KR20160126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3Free fall

Abstract

에어백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가스 저장부, 가스 저장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유입부를 포함하고, 유입된 가스에 의해 부피 팽창이 가능한 팽창부, 가스 유입부에 설치되어 가스 유입을 제어하는 차단부, 일측이 차단부와 결합하고, 타측의 압력 변화에 의해 회전하여 차단부를 가스 유입부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지렛대 및 지렛대 타측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에어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백{AIR BAG}
본 발명은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은 차량의 충돌 시 충격으로부터 차량에 탑승한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이다. 에어백은 차량이 받은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시스템과 부피가 팽창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에어백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차량의 운전석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중량물의 낙하로 인해 발생하는 인명 피해, 구조물의 파손 등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에어메트가 있다. 하지만, 에어매트는 중량물이 에어매트를 벗어나 낙하하는 경우 인명 피해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에어매트가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해 작업장의 사용면적이 감소되고 작업자의 통행이 제한되어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24332호 (2015.03.06)
본 발명은 자유 낙하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가스 저장부, 가스 저장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유입부를 포함하고, 유입된 가스에 의해 부피 팽창이 가능한 팽창부, 가스 유입부에 설치되어 가스 유입을 제어하는 차단부, 일측이 차단부와 결합하고, 타측의 압력 변화에 의해 회전하여 차단부를 가스 유입부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지렛대 및 지렛대 타측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에어백을 제공한다.
가압부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지렛대 타측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제1 탄성체 및 지렛대가 평형을 유지하도록 지렛대의 일면에 배치되는 평형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는 가스 유입부에 설치되어 가스의 유입을 제어하는 개폐부 및 개폐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복원력에 의해 개폐부를 가스 유입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체는 지렛대의 타측의 하면에 배치되고, 평형체는 지렛대의 평형이 유지되도록 지렛대의 타측 상면에 배치되며, 차단부는 지렛대의 일측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지렛대는 종방향으로 설치되되, 제1 탄성체와 나란하도록 돌출되는 연장면을 포함하고, 평형체는 지렛대의 평형이 유지되도록 연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탄성체는 중력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지렛대의 타측 상면에 배치되고, 차단부는 지렛대의 일측 하면에 배치되며, 평형체는 지렛대의 평형을 유지하도록 지렛대의 일측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유 낙하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이 낙하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이 낙하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이 낙하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구조체가 낙하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100)은 저장부(10), 팽창부(20), 차단부(30), 지렛대(40) 및 가압부(50)를 포함한다.
가스 저장부(10)는 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포함하여, 압축된 가스를 저장하고, 압축된 가스가 확산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팽창부(20)로 가스를 유입시킬 수 있다.
팽창부(20)는 가스 저장부(10)로부터 유입되는 가스 유입부(25)를 포함하고, 유입된 가스에 의해 부피 팽창이 가능하다. 팽창부(20)는 유입된 가스에 의해 외부로부터 에어백(1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차단부(30)는 팽창부(20)의 가스 유입부(25)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가스 유입부(25)를 개폐하여 가스 저장부(10)에서 팽창부(20)로 가스가 유입 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차단부(30)는 개폐부(32), 제2 탄성체(34), 차단블럭(3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탄성체(34)는 개폐부(32)의 일단에 결합되고, 차단블럭(36)이 개폐부(32)에 의해 가스 유입이 차단된 상태에서 개폐부(32)와 제2 탄성체(34)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가스 유입이 차단된 상태는 제2 탄성체(34)가 이완된 상태에서 가스 유입부(25)가 개폐부(32)에 의해 차단된 상태이다.
이완된 제2 탄성체(34)의 수축을 방해하기 위해 차단블럭(36)이 제2 탄성체(34)와 개폐부(32)와 사이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가스 유입을 제어할 수 있다.
차단블럭(36)이 제2 탄성체(34)와 개폐부(32)사이에서 이탈됨으로서, 제2 탄성체(34)가 수축되고 제2 탄성체(34)의 일단에 결합된 개폐부(32)도 제2 탄성체(34)의 수축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스 유입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지렛대(40)는 차단부(30)가 일측에 배치되어 타측의 압력 변화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차단부(30)를 가스 유입부(25)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가압부(50)는 지렛대(40) 타측의 압력을 변화시키도록 지렛대(4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탄성체(52) 및 평형체(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체(52)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지렛대(40) 타측의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1 탄성체(52)는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지렛대(40) 및 평형체(54)의 하중에 의해 수축되어 있다. 에어백(100)이 자유 낙하하면 지렛대(40) 및 평형체(54)가 중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관성에 의해 무중력 상태에 놓이게 됨에 따라 제1 탄성체(52)가 받는 하중이 제거되어 이완될 수 있다.
평형체(54)는 제1 탄성체(52) 및 차단부(30)가 지렛대(40)의 수평 상태에서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렛대(4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100)은 낙하 위험이 있는 장치 등에 장착되어 중량물이 낙하하는 경우 에어백(100)이 팽창됨으로써, 에어백(100)이 장치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에어백(100)이 바닥에 빠른 속도로 닿아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바닥을 보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100)이 낙하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에어백(100) 내부에 설치된 지렛대(40)의 일측의 상면에는 차단부(30)가 배치되고, 지렛대(40)의 타측의 하면에는 제1 탄성체(52) 배치될 수 있다.
평형체(54)가 지렛대(40)의 평형이 유지되도록 지렛대(40)의 타측의 상면에 배치되면, 지렛대(40)의 타측의 하면에 배치된 제1 탄성체(52)는 수축한 상태에서 평형을 유지하게 된다.
지렛대(40)가 상기와 같이 평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에어백(100)이 낙하하게 되면, 지렛대(40)의 일측 및 타측 상면에 위치한 차단부(30) 및 평형체(54)는 중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관성을 받게 되어 중력에서 관성력을 제거한 크기의 하중을 받게 된다.
에어백(100)은 자유 낙하하기 때문에 반대 방향으로 중력 가속도와 동일한 가속도가 발생하여 중력과 동일한 관성력에 의해 에어백(100) 내부는 무중력 상태가 된다. 에어백(100) 내부가 무중력 상태가 되면, 제1 탄성체(52)는 수축되어 있는 상태에서 복원력에 의해 이완됨으로써, 지렛대(40)의 타측을 들어 올릴 수 있다.
지렛대(40)의 타측이 상승하면 일측이 하강하여 지렛대(4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차단부(30)가 가스 유입부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차단부(30)가 가스 유입부에서 이탈되어 가스 저장부(10)와 팽창부(20) 사이에 가스가 유입 가능하도록 개방되면 가스 저장부(10)에 저장된 가스가 팽창부(20)로 확산될 수 있다.
반면, 차단부(30)는 개폐부(32), 제2 탄성체(34), 차단블럭(36)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개폐부(32) 가스 유입부(25)에 배치되고, 제2 탄성체(34)가 개폐부(32)의 일단에 결합되어 복원력에 의해 가스 유입부(25)에서 이탈됨으로써, 가스가 가스 저장부(10)에서 팽창부(20)로 확산될 수 있다.
차단블럭(36)은 지렛대(40)의 일측에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탄성체(34)의 수축을 방해하도록 개폐부(32)와 제2 탄성체(34)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지렛대(40)가 회전하면, 일측에 결합된 차단블럭(36)도 회전되어 개폐부(32)와 제2 탄성체(34)의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2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이 낙하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지렛대(40)는 종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200)의 지렛대(40)는 제1 탄성체(52)와 나란하도록 돌출되는 연장면(42)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면(42)은 지렛대(40)가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평형체(54)가 지렛대(40)에 배치될 수 있는 일면을 제공할 수 있다.
평형체(54)는 지렛대(40)의 평형이 유지되도록 연장면(42)에 배치될 수 있으며, 차단부(30)와 동일하게 제1 탄성체(52)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200)이 자유 낙하하게 되는 경우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100)과 동일하게 에어백(200) 내부는 무중력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차단부(30), 지렛대(40), 평형체(54)에 작용하는 중력이 자유 낙하에 의해 중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해 상쇄됨으로써, 수축된 제1 탄성체(52)에 작용하는 힘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탄성체(52)에 작용하는 힘이 제거되면, 수축되었던 제1 탄성체(52)는 복원력에 의해 이완될 수 있으며, 제1 탄성체(52)가 이완하면서 지렛대(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된 지렛대(40)는 차단부(30)가 가스 유입부(25)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하여 가스 저장부(10)의 가스가 팽창부(20)로 확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200)은 상술한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100)의 주요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3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300)이 낙하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제1 탄성체(52)는 중력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지렛대(40)의 타측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차단부(30)는 지렛대(40)의 일측의 하면에 배치되고, 평형체(54)는 지렛대(40)의 평형을 유지하도록 지렛대(40)의 일측의 상면에 배치된다.
에어백(300)이 자유 낙하하면 지렛대(40)의 일측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된 평형체(54) 및 차단부(30)가 무중력 상태에 있어, 지렛대(40)를 가압하였던 힘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수축되어 있던 제1 탄성체(52)가 이완되어 지렛대(40)의 타측이 하강하도록 가압하게 된다.
지렛대(40)의 타측이 하강하면 일측이 상승하여 차단부(30)가 가스 유입부(25)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부(30)가 가스 유입부(25)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가스 유입부(25)가 개방되고, 가스 저장부(10)에 저장된 가스가 팽창부(20)로 확산되어 에어백(100)이 전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300)은 상술한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100)의 주요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중량물 구조체(1000)는 중량물(90) 및 중량물(90)과 각각의 위치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에어백(100,200,300)을 포함한다.
또한, 중량물(90)은 에어백(100,200,300)과 착탈 결합이 가능하도록 볼트(92) 또는 너트(94)가 도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중량물(90)에 결합될 수 있는 볼트(92) 또는 너트(94)는 에어백(100,200,300)이 결합될 위치에 다양하게 설치되어, 에어백(100,200,300)이 중량물(90)의 여러 각도에서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에어백(100,200,300)의 일면에도 볼트(92) 또는 너트(94)가 결합될 수 있어 중량물(90)과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중량물(90)에 볼트(92) 또는 너트(94)가 설치됨으로써 에어백(100,200,300)의 착탈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100,200,300)은 서로 다른 종류의 중량물(90)에서 호환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중량물(90)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구조물 또는 장치로서 도르래, 기중기 등에 의해 운반되는 하물 등 낙하 위험이 있는 중량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착탈 가능한 부재는 볼트(92), 너트(94) 등을 한정하지 않으며, 기타 체결 가능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100,200,300)은 내부에 설치된 구성을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부(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96)는 가스 저장부(10), 팽창부(20), 지렛대(40) 등 에어백(100,200,300) 내부에 설치된 구성이 작동하지 않는 동안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구성이며 내부에서 밀어내는 힘에 의해 분리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구조체(1000)가 낙하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중량물(90)과 평면, 측면, 저면에서 각각 다른 방향에서 설치된 에어백(100)이 낙하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에어백(100,200,300)이 전개되면 팽창부(20)가 팽창하면서 밀어내는 압력에 의해 커버부(96)는 제거될 수 있다.
커버부(96)는 에어백(100,200,300)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에어백(100,200,300) 내부에 설치된 구성을 보호할 수 있으며, 낙하하는 상태에서는 팽창부(20)가 팽창하여 밀어내는 힘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중량물 구조체(1000)는 중량물(90)과 에어백(100,200,300)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에어백(100,200,300)의 구성이 상이하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중량물(90)의 평면에 설치된 에어백(100)은 낙하시 작동할 수 있도록 제1 탄성체(52)는 지렛대(40)의 타측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에어백(100)에 설치된 평형체(54)는 지렛대(40)의 평형이 유지되도록 지렛대(40)의 타측의 상면에 배치되며, 차단부(30)는 지렛대(40) 일측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중량물(90)의 평면에 설치된 에어백(100)이 낙하시 전개되는 원리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반면, 중량물(90)의 측면에 설치된 에어백(200)은 지렛대(40)가 제1 탄성체(52)와 나란하도록 돌출되는 연장면을 포함하고 종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에어백(200)에 설치된 평형체(54)는 지렛대(40)의 평형이 유지되도록 연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중량물(90)의 평면에 설치된 에어백(200)이 낙하시 전개되는 원리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중량물(90)의 저면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저면에 설치되는 에어백(300)은 제1 탄성체(52)가 중력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지렛대(40)의 타측의 상면에 배치되고, 차단부(30)는 지렛대(40) 일측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백(300)에 설치된 평형체(54)는 지렛대(40)의 평형을 유지하도록 지렛대(40)의 일측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중량물(90)의 평면에 설치된 에어백(300)이 낙하시 전개되는 원리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100,200,300)이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거나, 이격된 위치에 있는 구조물에 직접 설치됨으로써, 낙하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보다 직접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백(100,200,300)이 중량물(90)의 평면, 측면 및 저면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어, 중량물(90)이 다양한 각도로 낙하하는 경우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100,200,300)은 중량물(90)과 착탈이 가능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 에어백(100,200,300)만 별도로 분리 보관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가스 저장부 20: 팽창부
30: 차단부 32: 개폐부
34: 제2 탄성체 40: 지렛대
45: 받침점 50: 가압부
52: 제1 탄성체 54: 평형체
25: 가스유입부 90: 중량물
92: 볼트 94: 너트
100, 200, 300: 에어백 1000: 중량물 구조체

Claims (6)

  1. 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가스 저장부;
    상기 가스 저장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유입부를 포함하고, 유입된 가스에 의해 부피 팽창이 가능한 팽창부;
    상기 가스 유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 유입을 제어하는 차단부;
    일측이 상기 차단부와 결합하고, 타측의 압력 변화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차단부를 상기 가스 유입부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지렛대; 및
    상기 지렛대 타측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렛대 타측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지렛대가 평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지렛대의 일면에 배치되는 평형체;를포함하는, 에어백.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가스 유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의 유입을 제어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를 상기 가스 유입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에어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지렛대의 타측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평형체는 상기 지렛대의 평형이 유지되도록 상기 지렛대의 타측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지렛대의 일측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인, 에어백.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렛대는 종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제1 탄성체와 나란하도록 돌출되는 연장면을 포함하고, 상기 평형체는 상기 지렛대의 평형이 유지되도록 상기 연장면에 배치되는 것인, 에어백.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체는 중력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지렛대의 타측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지렛대의 일측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평형체는 상기 지렛대의 평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지렛대의 일측 상면에 배치되는 것인, 에어백.
KR1020150057308A 2015-04-23 2015-04-23 에어백 KR101690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308A KR101690754B1 (ko) 2015-04-23 2015-04-23 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308A KR101690754B1 (ko) 2015-04-23 2015-04-23 에어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347A KR20160126347A (ko) 2016-11-02
KR101690754B1 true KR101690754B1 (ko) 2016-12-28

Family

ID=5751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308A KR101690754B1 (ko) 2015-04-23 2015-04-23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7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3054A (ja) 2009-09-15 2011-03-31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用の乗員拘束装置
KR101066963B1 (ko) 2011-02-14 2011-09-22 주식회사 시큐어메딕 보호장구 장착용 인플레이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049A (ja) * 1993-09-30 1995-04-11 Hazama Gumi Ltd 墜落事故用エアバックシステム
FR2943599B1 (fr) * 2009-03-27 2012-10-05 Snpe Materiaux Energetiques Generateur de gaz pour coussin gonflable de securite automobile
JP5945169B2 (ja) 2012-06-13 2016-07-05 株式会社ダイセル 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3054A (ja) 2009-09-15 2011-03-31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用の乗員拘束装置
KR101066963B1 (ko) 2011-02-14 2011-09-22 주식회사 시큐어메딕 보호장구 장착용 인플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347A (ko)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0285C2 (ru)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для снижения ударной энергии контейнера
US6779431B2 (en) Arrangement for protecting the crew of a military vehicle from mine explosion consequences
US6966576B1 (en) Airbag restraint system
ES2491227T3 (es) Sistema de protección
US20140007761A1 (en) Blast protection
US7926769B2 (en) Shock-limiting interface, compact (SLIC)
CN105142445A (zh) 步态矫正装置以及用于保护步态矫正装置及用户免受损伤的方法
US20110024569A1 (en) Attenuated landing system
JP6852669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20090321489A1 (en) Cushioned article holder
JP2008542100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11502071A (ja) エネルギー吸収要素を備える車両乗員安全システム及び乗員の支持方法
JP2008110760A (ja) 可動体のためのクッションシステム
US10285878B2 (en) Litter support assembly for medical care units having a shock load absorber and methods of their use
KR20160019672A (ko) 낙하산이 구비된 무인 비행체
US10829245B2 (en) Apparatus for vehicle launch, recovery, storage and transport
CN106080489A (zh) 集成到中央底板控制台的可充气腔
KR101690754B1 (ko) 에어백
JP2005178696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7284059A (ja) 落下傘投下物の衝撃吸収装置
JPH10281201A (ja) 衝撃吸収エアバック
TR202022200A2 (tr) Araç ön kaput alti ve bagaj güvenli̇k yastiği
US20100212487A1 (en) Suspension system for an armored vehicle
JPH08268462A (ja) 輸送用容器
US11318906B2 (en) Force distributing progressive airba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