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596B1 -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 - Google Patents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596B1
KR101690596B1 KR1020150076139A KR20150076139A KR101690596B1 KR 101690596 B1 KR101690596 B1 KR 101690596B1 KR 1020150076139 A KR1020150076139 A KR 1020150076139A KR 20150076139 A KR20150076139 A KR 20150076139A KR 101690596 B1 KR101690596 B1 KR 101690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frame
bar
fixed
stra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0051A (ko
Inventor
김천웅
Original Assignee
김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천웅 filed Critical 김천웅
Priority to KR1020150076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596B1/ko
Publication of KR20160140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은 셀프 세차장의 천정에 복수로 배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상하방향으로 선회 운동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되는 붐대를 포함하고, 상기 붐대는 붐대들 간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힌지 연결되는 제1직선붐대와, 상기 제1직선붐대에서 하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붐대와, 상기 경사붐대에서 연장되고 호스가 연결되는 제2직선붐대로 구성되어, 360도 회전되는 붐대 간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BOOM SYSTEM OF CLEAN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세차장 상부에 다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척수나 거품솔이 연결되는 붐대로서, 붐대 간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프 세차장의 상부에는 거품솔, 세척수 분사노즐이 연결되고 세척수 및 거품액을 거품솔 및 세척수 분사노즐로 전달하는 복수의 붐대가 설치된다.
이러한 붐대는 세차장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척수 분사노즐이나 거품솔의 이동을 자유롭게 한다.
종래의 셀프 세차장 회전붐대는 등록특허공보 10-0701017(2007년 03월 22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세차장으로 입고된 차량을 세척하는 고압세척수과 거품액을 구비한 세차장으로 입고된 차량을 세척하는 다수의 세차장을 설비한 각각의 세차장에 구비된 셀프 세차장의 회전붐대 시스템으로서, 내경에 배관라인이 구비되어 있는 수직축과, 상기 수직축 외경 주위에 회전을 일으키고, 내부에 베어링부가 다수 구비되고, 외경 일측에 보조판이 구비되어 있는 회전축과, 상기 수직축 하부 끝단부의 배관라인이 일측 연결부와 연결되어 360° 회전에 의해서도 배관라인이 엉키지 않도록 구비되어 있는 스위벨과, 상기 스위벨의 다른 일측 연결부는 고압호스의 일측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고압호스의 다른 일측 연결부와 연결되는 유입부가 일측부에 구비되며, 다른 일측부에는 세척수분사노즐 배관 또는 거품액블러쉬배관과 연결되는 배출부가 구비되어 있는 회전 연결대와, 상기 회전축의 보조판과 회전 연결대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회전축의 보조판과 회전 연결대를 연결하고, 완충작용을 하는 스프링이 연결되어 세차장의 천장부에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셀프 세차장 회전붐대는 회전 연결대의 길이가 짧으면 회전 연결대 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지만 회전 연결대의 회전반경이 작아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고, 회전 연결대의 길이가 길면 사용은 편하지만 회전 연결대 간 서로 간섭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현재 셀프 세차장의 기능이 왁스 기능, 버그 크리너 기능, 휠 크리너 기능, 거품액을 분사하는 폼 건 등 다양화되는 추세이기 때문에 셀프 세차장의 천장에 보다 많은 회전 연결대가 배치되고 이 경우 회전 연결대 간의 간섭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701017(2007년 03월 22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붐대의 구조를 개선하여 360도 회전되는 붐대 간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차장 상부에 복수로 배치되는 붐대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붐대가 바깥쪽을 향하여 정렬되도록 하는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은 셀프 세차장의 천정에 복수로 배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상하방향으로 선회 운동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되는 붐대를 포함하고, 상기 붐대는 붐대들 간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힌지 연결되는 제1직선붐대와, 상기 제1직선붐대에서 하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붐대와, 상기 경사붐대에서 연장되고 호스가 연결되는 제2직선 붐대를 포함한다.
상기 붐대는 셀프 세차장의 좌측 상면에 배치되는 제1붐대와, 상기 제1붐대와 일정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고 제2붐대와, 상기 셀프 세차장의 우측 방향에 배치되는 제3붐대와, 상기 제3붐대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4붐대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붐대에는 세척수 분사노즐이 연결되고, 상기 제2붐대에는 거품솔이 연결되며, 제3붐대에는 폼 건이 연결되고, 제4붐대에는 휠 크리너, 코팅제 분사노즐, 버그 크리너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힌지축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원통부와, 상기 회전 원통부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붐대가 힌지 연결되는 힌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원통부와 힌지축 사이에는 상기 회전 원통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힌지 프레임과 붐대 사이에는 붐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또는 회전부재에는 상기 붐대의 사용이 정지되면 상기 붐대가 바깥쪽 방향을 향하여 정렬되도록 하는 위치 정렬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렬유닛은 상기 고정 프레임이 일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상부 프레임에 고정하는 경사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렬유닛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고 제1경사면이 형성되는 제1캠부와, 상기 제1캠부의 제1경사면에 접촉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외면에 힌지 프레임이 연결되는 제2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은 붐대가 제1직선붐대와, 제1직선붐대에서 하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붐대와, 경사붐대에서 연장되고 호스가 연결되는 제2직선붐대로 구성되어, 360도 회전되는 붐대 간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은 고정부재 또는 회전부재에 위치 정렬유닛이 구비되어 세차장 상부에 복수로 배치되는 회전 붐대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붐대가 바깥쪽을 향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붐대가 설치되는 세차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붐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렬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렬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붐대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붐대 시스템의 상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붐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붐대 시스템은 셀프 세차장의 천정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와, 고정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20)와, 회전부재(2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되는 붐대(30)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붐대 시스템은 셀프 주차장의 천정을 이루는 상부 프레임(100)에 두 개 이상으로 설치된다.
셀프 세차장은 세척수 분사노즐과, 거품솔이 최소로 구비되고, 이에 대하여 품 건이나 휠 크리너, 코팅제 분사노즐, 버그 크리너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셀프 세차장의 상부 프레임(1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 세차장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붐대(102)와, 제1붐대(102)와 일정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는 제2붐대(104)와, 셀프 세차장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3붐대(106)와, 제3붐대(106)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4붐대(108)를 포함한다.
제1붐대(102)에는 세척수 분사노즐이 연결될 수 있고, 제2붐대(104)에는 거품 솔이 연결될 수 있고, 제3붐대(106)에는 폼 건이 연결될 수 있고, 제4붐대(108)에는 휠 크리너, 코팅제 분사노즐, 버그 크리너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붐대 시스템은 세차용 주차공간이 한정되어 있고 붐대(30)의 길이가 차량 세차에 알맞은 길이를 가져야 하므로 다수의 붐대가 회전하면 서로 간섭이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붐대 간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붐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고정부재(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에 볼트 체결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12)과, 고정 프레임(12)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힌지축(14)을 포함한다.
힌지축(14)은 중앙에 관통홀(16)이 형성되어 세척수가 통과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그리고, 힌지축(14)의 끝부분에는 호스 연결부재(42)가 장착되고 호스 연결부재(42)는 호스와 연결된다.
회전부재(20)는 힌지축(14)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원통부(22)와, 회전 원통부(22)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붐대(30)가 힌지 연결되는 힌지 프레임(24)을 포함한다. 회전 원통부(22)와 힌지축(14) 사이에는 회전 원통부(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40)이 장착된다.
힌지축(14)에는 베어링(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링(44)이 장착된다.
본 발명의 회전 붐대 시스템은 사용을 정지할 경우 다수의 붐대(30)가 바깥쪽으로 향하여 정렬되도록 고정부재(10) 또는 회전부재(20)에는 위치 정렬유닛이 구비된다.
즉, 제1붐대(102) 및 제2붐대(104)는 좌측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되고, 제3붐대(106) 및 제4붐대(108)는 우측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된다.
위치 정렬유닛은 제1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12)에 형성되는 경사부(50)로 구성되어, 고정 프레임(12)을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한다. 이와 같이, 고정 프레임(12)이 경사부(50)에 의해 경사지게 배치되면, 고정 프레임(12)에 연결되는 붐대(30) 역시 고정 프레임(12)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회전 붐대 시스템의 사용이 정지되면 붐대(30)는 경사진 방향을 향하여 정렬된다.
그리고, 위치 정렬유닛은 고정 프레임(12)은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고 고정 프레임(12)에 연결되는 힌지축(14)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위치 정렬유닛은 제2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12)에 고정되고 제1경사면(52)이 형성되는 제1캠부(56)와, 제1캠부(56)의 제1경사면(52)에 접촉되는 제2경사면(54)이 형성되고 힌지축(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외면에 힌지 프레임(24)이 연결되는 제2캠부(58)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캠부(56)와 제2캠부(58) 사이는 제1캠부(56)와 제2캠부(58)가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제1경사면(52)과 제2경사면(54)은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V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렬유닛은 붐대(30)의 사용이 정지되면 제1경사면(52)과 제2경사면(54)이 서로 일치되는 위치로 제2캠부(58)가 자동으로 회전되고, 붐대(30)는 바깥쪽 방향을 향하여 정렬된다.
붐대(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프레임(2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직선붐대(32)와, 제1직선붐대(32)에서 연장되고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붐대(34)와, 경사붐대(34)에서 연장되고 호스가 연결되는 제2직선붐대(36)를 포함한다.
제1직선붐대(32)는 힌지핀(60)에 의해 힌지 프레임(24)에 상하방향으로 선회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제1직선붐대(32)와 힌지 프레임(24) 사이에는 리턴 스프링(70)이 설치되어 붐대(30)가 하측방향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붐대(30)의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붐대(30)가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봄대(30)가 상하방향으로 선회운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호스(62)를 당기면 붐대(30)가 선회 운동되면서 호스(62)를 따라 이동되므로 사용이 편리한다.
경사봄대(34)의 경사각도(θ)는 20°~ 75°로 형성되어 제1직선봄대와 제2직선붐대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도록 한다.
제2직선붐대(36)는 그 끝부분에 호스(62)가 연결되는 호스 연결부(7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붐대는 제1직선붐대(32)와 제2직선붐대(36)가 경사붐대(34)에 의해 그 높이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므로 다수의 붐대들이 회전될 때 붐대 사이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고정부재 12: 고정 프레임
14: 힌지축 20: 회전부재
22: 회전 원통부 24: 힌지 프레임
30: 붐대 32: 제1직선붐대
34: 경사붐대 36: 제2직선붐대
40: 베어링 50: 경사부
52: 제1경사면 54: 제2경사면
56: 제1캠부 58: 제2캠부
70: 리턴 스프링

Claims (8)

  1. 셀프 세차장의 천정에 복수로 배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상하방향으로 선회 운동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되는 붐대를 포함하고,
    상기 붐대는 붐대들 상호 간에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힌지 연결되는 제1직선붐대와, 상기 제1직선붐대에서 하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붐대와, 상기 경사붐대에서 연장되고 호스가 연결되는 제2직선 붐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힌지축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원통부와, 상기 회전 원통부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붐대가 힌지 연결되는 힌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 또는 회전부재에는 상기 붐대의 사용이 정지되면 상기 붐대가 바깥쪽으로 향하여 정렬되도록 하는 위치 정렬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는 셀프 세차장의 좌측 상면에 배치되는 제1붐대와, 상기 제1붐대와 일정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고 제2붐대와, 상기 셀프 세차장의 우측 방향에 배치되는 제3붐대와, 상기 제3붐대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4붐대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붐대에는 세척수 분사노즐이 연결되고, 상기 제2붐대에는 거품솔이 연결되며, 제3붐대에는 폼 건이 연결되고, 제4붐대에는 휠 크리너, 코팅제 분사노즐, 버그 크리너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프레임과 붐대 사이에는 붐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유닛은 상기 고정 프레임이 일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상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경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유닛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고 제1경사면이 형성되는 제1캠부와,
    상기 제1캠부의 제1경사면에 접촉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외면에 힌지 프레임이 연결되는 제2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
KR1020150076139A 2015-05-29 2015-05-29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 KR101690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139A KR101690596B1 (ko) 2015-05-29 2015-05-29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139A KR101690596B1 (ko) 2015-05-29 2015-05-29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051A KR20160140051A (ko) 2016-12-07
KR101690596B1 true KR101690596B1 (ko) 2016-12-28

Family

ID=57573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139A KR101690596B1 (ko) 2015-05-29 2015-05-29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5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145A (ko) 2021-10-14 2023-04-21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자동차 세차호스 가이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2Y1 (ko) * 2000-05-03 2000-10-16 주식회사다솔실업 차량용 복합 셀프서비스 장치
KR200313053Y1 (ko) * 2003-02-20 2003-05-16 윤희길 세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017B1 (ko) 2006-06-16 2007-04-16 진성언 셀프 세차장의 회전붐대 시스템
KR101018144B1 (ko) * 2008-08-04 2011-02-28 삼성전기주식회사 자율주행체의 공간 스캔 장치
KR200467733Y1 (ko) * 2011-04-13 2013-07-02 허지선 세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2Y1 (ko) * 2000-05-03 2000-10-16 주식회사다솔실업 차량용 복합 셀프서비스 장치
KR200313053Y1 (ko) * 2003-02-20 2003-05-16 윤희길 세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051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3066446B1 (fr) Amenagement interieur de vehicule
KR101690596B1 (ko) 세차장용 붐대 시스템
US6463617B1 (en) Vehicle-washing system for washing of vehicles
US10232830B2 (en) Integrated truck bed washing
KR20150045201A (ko) 분사식 자동세차기
US20130263394A1 (en) Pressure Washer/Surface Cleaner
JP6838540B2 (ja) 洗車機
US5110049A (en) Rotatable boom system for dispensing fluids
CN210207300U (zh) 一种环保型蝶阀喷涂设备
US6135363A (en) Vehicle wash boom system
US2948479A (en) Washing device
CN111387899A (zh) 一种清洗装置
CN107262464A (zh) 清洗水输送工具、洒水清洗装置以及涂料回收路的清洗方法
CN105882614A (zh) 一种自动洗车机
JP6777000B2 (ja) 洗車機
KR20150060140A (ko) 세차용 노즐
KR101642873B1 (ko) 온수세정기
JP6658395B2 (ja) 洗車機及び洗車方法
JP6776999B2 (ja) 洗車機
JP3978154B2 (ja) 排水管洗浄装置
KR20160116563A (ko) 세정시스템의 관절장치
JP6642510B2 (ja) 洗車機
WO2007095956A1 (en) Device for cleaning containers and compartments
JP6331852B2 (ja) 洗車機
CN220481382U (zh) 一种研磨盘喷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