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873B1 - 온수세정기 - Google Patents

온수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873B1
KR101642873B1 KR1020140083296A KR20140083296A KR101642873B1 KR 101642873 B1 KR101642873 B1 KR 101642873B1 KR 1020140083296 A KR1020140083296 A KR 1020140083296A KR 20140083296 A KR20140083296 A KR 20140083296A KR 101642873 B1 KR101642873 B1 KR 101642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housing
water supply
operation un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201A (ko
Inventor
백상훈
이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to KR102014008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873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세정기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온수세정기의 본체 측부로 급수라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조작부 하우징의 구조를 개선함은 물론, 조작부 하우징을 온수세정기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급수라인을 온수세정기의 후방에서 설치하는데 따른 작업의 불편함과 작업성 불량을 방지하고, 조작부 하우징의 회전으로부터 사용자가 온수세정기 및 변기에 대한 청소시 공간확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온수세정기{A bidet}
본 발명은 온수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세정기의 조작부 하우징의 구조 개선을 통해 본체로의 급수라인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조작부 하우징의 회전으로부터 사용자가 온수세정기 및 변기에 대한 청소시 공간확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온수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세정기는 숙박 업소 또는 일반 가정에서 화장실의 좌변기 상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온수세정기는 이용자의 용변 후에 노즐을 통해 항문 및/또는 국부에 세정수를 분사시키도록 한 것이며, 이는 본체와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하우징은 대부분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이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조작부의 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온수세정기의 본체에 조작부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었으며, 이는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3-166278호(공개일 2003.06.13)에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특허는 본체로의 급수라인 연결이 본체의 후방에서 이루어지므로, 그 연결이 복잡하고 어려웠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선행특허는 축부를 이용하여 조작부 하우징을 수평 회전시키거나 또는 수직 회전시켜 이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인 것으로 그 회전각도가 극히 제한적이고, 본체와 조작부 하우징이 축부를 통해 결합되면서 그 결합력이 견고하지 못해, 조작부 하우징을 자주 회전시키게 되면 축부에서의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면서, 조작부 하우징을 회전시킬 때 위치가 고정되지 못하고 흔들리거나 또는 이용자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조작부 하우징이 회전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온수세정기 본체의 측부로 급수라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조작부 하우징을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급수라인을 온수세정기의 후방에서 설치하는데 따른 작업의 불편함과 작업성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세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세정기의 본체 일측면에 조작부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성함으로써, 조작부 하우징의 회전으로부터 사용자가 온수세정기 및 변기에 대한 청소시 공간확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온수세정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온수세정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조작부 하우징을 설치하되, 상기 조작부 하우징의 하면에는 상기 본체의 방향으로 개구된 급수라인 인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급수연결부를 노출시키되, 노출된 상기 급수연결부에는 상기 급수라인 인입부에 인입되어 수용되는 급수공급라인이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작부 하우징은,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외부 상면에 복수의 기능버튼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에 상기 내부공간의 방향으로 돌출이 이루어지는 상기 급수라인 수용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급수라인 수용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는 반원형의 하우징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작부 하우징은 본체에 접속연결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작부 하우징에는 안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속연결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 고정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안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부에는 다단의 제 1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결합부에는 다단의 상기 제 1 걸림부와 교차되어 서로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다단의 제 2 걸림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부의 외주면은 상기 조작부 하우징에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 2 결합부의 회전을 지지하게 되는 반원형의 회전지지부에 의해 덮혀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회전지지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착되는 제 1,2 위치고정홀과, 상기 제 1,2 위치고정홀의 사이에 형성되면서 조작부 하우징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돌기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되는 회전가이드홀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위치고정홀과 상기 회전가이드홀의 제 1 경계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제 1 위치고정홀에 안착시 외력이 없을 때 걸림작용하여 상기 조작부 하우징의 수평위치를 고정시키는 제 1 스톱퍼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위치고정홀과 회전가이드홀의 제 2 경계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제 2 위치고정홀에 안착시 외력이 없을 때 걸림작용하여 상기 조작부 하우징의 수직위치를 고정시키는 제 2 스톱퍼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부에 형성되는 제 1,2 위치고정홀과 상기 회전가이드홀의 전체 길이에 따른 상기 조작부 하우징의 회전각도는 본체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0°∼100°의 범위내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스톱퍼와 제 2 스톱퍼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구조물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온수세정기 본체의 측부로 급수라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조작부 하우징의 구조를 개선함은 물론, 조작부 하우징을 온수세정기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종래와 같이 급수라인을 온수세정기의 후방에서 설치하는데 따른 작업의 불편함과 작업성 불량을 방지하고, 조작부 하우징의 회전으로부터 사용자가 온수세정기 및 변기에 대한 청소시 공간확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조작부 하우징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조작부 하우징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조작부 하우징을 본체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조작부 하우징을 본체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조작부 하우징을 저면에서 바라본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본체와 조작부 하우징을 나란하게 배열시킨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본체로부터 조작부 하우징을 회전시켜 수직하게 세운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7에 대한 측면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조작부 하우징을 본체와 수평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작부 하우징과 접속연결부 및 회전지지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9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조작부 하우징을 본체로부터 수직되게 회전시킨 상태에서 조작부 하우징과 접속연결부 및 회전지지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1에 대한 단면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세정기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용자의 용변 후에 노즐을 통해 항문 및/또는 국부에 세정수를 분사하기 위한 세정장치들이 마련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조작부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의 하면에는 상기 본체(100)의 방향으로 개구된 급수라인 인입부(10)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급수연결부(101)를 노출시키되, 노출된 상기 급수연결부(20)에는 상기 급수라인 인입부(10)에 인입되어 수용되는 급수공급라인(L1)을 연결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은 상부케이스(210)와 하부케이스(220)로 분할 구성되는데, 상기 상부케이스(210)는 내부공간(A1)을 가지면서 외부 상면에 상기 본체(100)에 마련되는 세정장치들을 온/오프 동작시키기 위한 복수의 기능버튼(211)들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케이스(220)는 상기 상부케이스(210)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상기 내부공간(A1)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A1)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급수라인 인입부(10)는 상기 하부케이스(220)에서 상기 상부케이스(210)의 내부공간(A1) 방향으로 돌출되는 반원형의 하우징(1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은 본체(100)에 접속연결부(3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에는 다단의 제 1 걸림부(21)가 마련되는 안착부(20)를 형성된다.
상기 접속연결부(30)는 상기 본체(100)에 결합 고정되는 제 1 결합부(31)와, 상기 안착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다단의 상기 제 1 걸림부(21)와 교차되어 서로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다단의 제 2 걸림부(32b)가 형성된 제 2 결합부(32)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 2 결합부(32)에 마련되는 다단의 제 2 걸림부(32b)는 상기 안착부(20)에 마련되는 다단의 제 1 걸림부(21)와 서로 교차되면서 면과 면이 접촉하는 것으로,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은 상기 제 2 결합부(32)를 축으로 하여 일정각도로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제 2 결합부(32)의 외주면은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에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 2 결합부(32)의 회전을 지지하게 되는 반원형의 회전지지부(40)에 의해 덮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지지부(40)는 체결볼트(미도시)를 통해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결합부(32)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32a)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회전지지부(40)에는 상기 가이드돌기(32a)가 안착되는 제 1,2 위치고정홀(41)(42), 그리고 상기 제 1,2 위치고정홀(41)(42)의 사이에 형성되면서 조작부 하우징(200)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돌기(32a)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홀(43)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상기 제 1 위치고정홀(41)과 상기 회전가이드홀(43)의 제 1 경계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32a)가 제 1 위치고정홀(41)에 안착시 외력이 없을 때 걸림작용하여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의 수평위치를 고정시키게 되는 제 1 스톱퍼(44)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위치고정홀(42)과 회전가이드홀(43)의 제 2 경계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32a)가 제 2 위치고정홀(42)에 안착시 외력이 없을 때 걸림작용하여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의 수직위치를 고정시키게 되는 제 2 스톱퍼(45)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스톱퍼(44)와 제 2 스톱퍼(45)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구조물인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32a)가 상기 제 1 위치고정홀(41)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조작부 하우징(200)을 회전시키지 않을 때, 상기 가이드돌기(32a)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구조물인 상기 제 1 스톱퍼(44)에 의해 회전가이드홀(43)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은 상기 본체(100)와 나란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32a)가 상기 제 2 위치고정홀(42)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조작부 하우징(200)을 회전시키지 않을 때, 상기 가이드돌기(32a)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구조물인 상기 제 2 스톱퍼(45)에 의해 회전가이드홀(43)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은 상기 본체(100)과 직교되는 수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지지부(40)에 형성되는 제 1,2 위치고정홀(41)(42)과 상기 회전가이드홀(43)의 전체 길이에 따른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의 회전각도는 본체(100)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0°∼100°의 범위내이며, 상기 가이드돌기(32a)가 제 2 위치고정홀(42)에 위치될 때 본체(100)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은 최대 회전각도인 100°의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세정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우선 온수세정기 본체(100)의 일측면으로 급수연결부(101)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에 접속연결부(30)를 이용하여 조작부 하우징(200)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의 하부면에는 급수라인 수용부(10)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급수라인 수용부(10)에 급수공급라인(L1)을 위치시킨 후, 상기 급수공급라인(L1)을 상기 급수연결부(101)에 연결하면, 상기 급수공급라인(L1)을 통해 온수세정기의 본체(100)로 급수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온수세정기의 본체(100)에 조작부 하우징(200)을 결합시키기 이전에,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급수연결부(101)에 급수공급라인(L1)을 연결시킨 후,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으로 접속연결부(30)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때,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의 하부면에 마련되는 급수라인 수용부(10)에 상기 급수공급라인(L1)이 수용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급수라인 수용부(10)는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이 상기 접속연결부(30)를 축으로 하여 일정각도로 회전하더라도 그 회전을 방해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온수세정기의 본체(100)에 마련되는 급수연결부(101)에 급수공급라인(L1)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는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100)의 일측면에 접속연결부(3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작부 하우징(200)이 상기 본체(100)와 나란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이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을 상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측으로 결합되는 상기 접속연결부(30)의 제 2 결합부(32)에서 외주면에 돌출되는 가이드돌기(32a)는 최초 동작위치로서 회전지지부(40)의 제 1 위치고정홀(41)에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 1 스톱퍼(44)를 통과하여 일정길이를 가지는 회전가이드홀(43)을 따라 이동한 후,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 2 스톱퍼(45)를 통과하면서 회전지지부(40)의 제 2 위치고정홀(42)에 안착된다.
이때, 이용자가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에 대한 외력을 중지시키게 되면, 상기 가이드돌기(32a)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구조물인 상기 제 2 스톱퍼(45)에 의해 회전가이드홀(43)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에따라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은 본체(100)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100°의 회전각도로 회전되어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는 것이다.
반면, 본체(100)의 일측면에 접속연결부(3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작부 하우징(200)이 상기와 같이 본체(100)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이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을 하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측으로 결합되는 상기 접속연결부(30)의 제 2 결합부(32)에서 외주면에 돌출되는 가이드돌기(32a)는 회전지지부(40)의 제 2 위치고정홀(42)에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 2 스톱퍼(45)를 통과하여 일정길이를 가지는 회전가이드홀(43)을 따라 이동한 후,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 1 스톱퍼(44)를 통과하면서 회전지지부(40)의 제 1 위치고정홀(41)에 안착된다.
이때, 이용자가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에 대한 외력을 중지시키게 되면, 상기 가이드돌기(32a)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구조물인 상기 제 1 스톱퍼(44)에 의해 회전가이드홀(43)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에따라 상기 조작부 하우징(200)은 본체(100)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100°에서 0°의 회전각도로 리턴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100)와 나란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 하우징(200)은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본체(100)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는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수평 및 수직상태는 회전지지부(40)에 마련되는 제 1,2 위치고정홀(41)(42), 그리고 상기 제 1 위치고정홀(41)과 상기 회전가이드홀(43)의 제 1 경계부에 형성되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구조물인 제 1 스톱퍼(44)와, 상기 제 2 위치고정홀(42)과 회전가이드홀(43)의 제 2 경계부에 형성되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구조물인 제 2 스톱퍼(45)의 걸림작용으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온수세정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급수라인 수용부 11; 하우징
20; 안착부 21; 제 1 걸림부
30; 접속연결부 31; 제 1 결합부
32; 제 2 결합부 32a; 가이드돌기
32b; 제 2 걸림부 40; 회전지지부
41; 제 1 위치고정홀 42; 제 2 위치고정홀
43; 회전가이드홀 44; 제 1 스톱퍼
45; 제 2 스톱퍼 100; 본체
101; 급수연결부 200; 조작부 하우징
210; 상부케이스 211; 기능버튼
220; 하부케이스 A1; 내부공간
L1; 급수공급라인

Claims (11)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안착부를 형성한 조작부 하우징을 설치하고, 상기 조작부 하우징의 하면에는 상기 본체의 방향으로 개구된 급수라인 인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급수연결부를 노출시키되, 노출된 상기 급수연결부에는 상기 급수라인 인입부에 인입되어 수용되는 급수공급라인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본체와 상기 조작부 하우징은 상기 본체에 결합 고정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조작부 하우징의 안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제 2 결합부가 포함되는 접속연결부로 연결 구성하되,
    상기 제 2 결합부의 외주면은 상기 조작부 하우징에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 2 결합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반원형의 회전지지부에 의해 덮혀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2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회전지지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착되는 제 1,2 위치고정홀과, 상기 제 1,2 위치고정홀의 사이에 형성되면서 상기 조작부 하우징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돌기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되는 회전가이드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위치고정홀과 상기 회전가이드홀의 제 1 경계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제 1 위치고정홀에 안착시 외력이 없을 때 걸림작용하여 상기 조작부 하우징의 수평위치를 고정시키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구조물인 제 1 스톱퍼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위치고정홀과 회전가이드홀의 제 2 경계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제 2 위치고정홀에 안착시 외력이 없을 때 걸림작용하여 상기 조작부 하우징의 수직위치를 고정시키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구조물인 제 2 스톱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하우징은,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외부 상면에 복수의 기능버튼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에 상기 내부공간의 방향으로 돌출이 이루어지는 상기 급수라인 수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라인 수용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는 반원형의 하우징으로부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다단의 제 1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결합부에는 다단의 상기 제 1 걸림부와 교차되어 서로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다단의 제 2 걸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에 형성되는 제 1,2 위치고정홀과 상기 회전가이드홀의 전체 길이에 따른 상기 조작부 하우징의 회전각도는 본체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0°∼100°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
  11. 삭제
KR1020140083296A 2014-07-03 2014-07-03 온수세정기 KR101642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96A KR101642873B1 (ko) 2014-07-03 2014-07-03 온수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96A KR101642873B1 (ko) 2014-07-03 2014-07-03 온수세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201A KR20160005201A (ko) 2016-01-14
KR101642873B1 true KR101642873B1 (ko) 2016-07-27

Family

ID=55172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296A KR101642873B1 (ko) 2014-07-03 2014-07-03 온수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511A (ko)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조작부 방수 구조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856B1 (ko) * 2021-11-26 2023-11-02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비데의 비접촉 조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0967A (ja) * 2004-03-11 2005-10-20 Sanyo Electric Co Ltd 衛生洗浄便座
KR200427886Y1 (ko) 2006-07-04 2006-10-02 (주)유진엠플러스 비데 조절장치
KR101281593B1 (ko) * 2011-12-12 2013-07-03 정휘동 과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축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7681A (ko) * 2007-12-03 2009-06-0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메모리 기능을 구비하는 좌변기용 변좌 및 그 메모리 기능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0967A (ja) * 2004-03-11 2005-10-20 Sanyo Electric Co Ltd 衛生洗浄便座
KR200427886Y1 (ko) 2006-07-04 2006-10-02 (주)유진엠플러스 비데 조절장치
KR101281593B1 (ko) * 2011-12-12 2013-07-03 정휘동 과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축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511A (ko)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조작부 방수 구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201A (ko)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2927B2 (en) Nozzle assembly for dishwashe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CN103820967B (zh) 一种洗衣机
US9427132B2 (en) Spray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KR101642873B1 (ko) 온수세정기
US20170296029A9 (en) Dishwasher comprising a sealing apparatus
CN103068293A (zh) 桌面洗碗机
US11464390B2 (en) Fan-shaped spray detergent nozzle
KR101563305B1 (ko) 회전형 조작부 하우징을 가지는 온수세정기
US8950691B2 (en) Foam generating apparatus
JP2016176235A (ja) 便器装置
KR101402653B1 (ko) 건축물의 욕실 욕조에 내장되는 바닥 세척시설
US20160215893A1 (en) Water diverter assembly for a dishwashing appliance
KR20160062332A (ko) 건조 장치용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 및 비데
CN107854091A (zh) 水槽洗碗机
KR102426305B1 (ko) 비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102294658B1 (ko) 건조 장치용 마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 및 비데
JP2018184068A (ja) 洗車機
JP2017115481A (ja) 手洗い吐水管の接続構造
CN110811469B (zh) 用于洗碗机的喷臂组件和洗碗机
CN110840354B (zh) 用于洗碗机的喷臂组件和洗碗机
US20220333365A1 (en) Sanitary washing device
KR101134710B1 (ko) 샤워헤드 이동장치
JP6831060B2 (ja) 便器装置
KR0140062Y1 (ko) 식기세척기의 분사장치 구조
JP3699015B2 (ja) シャワーホースの収納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