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136B1 -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136B1
KR101690136B1 KR1020150071871A KR20150071871A KR101690136B1 KR 101690136 B1 KR101690136 B1 KR 101690136B1 KR 1020150071871 A KR1020150071871 A KR 1020150071871A KR 20150071871 A KR20150071871 A KR 20150071871A KR 101690136 B1 KR101690136 B1 KR 101690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cense plate
lane
information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7162A (ko
Inventor
안순현
Original Assignee
렉스젠(주)
안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스젠(주), 안순현 filed Critical 렉스젠(주)
Priority to KR1020150071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136B1/ko
Publication of KR20160137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3258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6K2209/1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치우침 검출 장치를 이용한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에 있어서, 도로의 카메라에서 획득한 차량 영상으로부터 번호판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번호판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번호판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및 기준 라인에 대응하는 기준 좌표를 기초로 상기 번호판 좌표가 소정 방향으로 이탈한 정도에 대응하는 치우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도로 상에서 카메라의 감시를 의도적으로 회피하는 차량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카메라의 회피 빈도가 잦은 도로 구간을 미리 분석하여 그와 관련된 통계 자료를 구축할 수 있고 구축된 자료를 위법 감시 시스템의 보완 및 설계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detecting biased vehicl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번호판을 이용하여 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의 치우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들을 대상으로 해당 도로에 대한 규정 속도, 신호 위반 등의 교통 법규 위반을 행한 차량을 검지하기 위한 지능형 차량 감시 시스템이 현재 대부분의 도로에서 활발히 운용 중에 있다.
이러한 차량 감시 시스템은 주로 도로 상에 설치된 카메라와 연동하여 차량의 위법 행위를 검출하며,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도로의 상단 부위 등과 같이 차량의 식별이 용이한 곳에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차량의 운전자는 대개 카메라와 근접한 위치에 도래하기 전까지는 카메라의 존재 여부를 인식하지 못한 채 과속 주행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차량 운전자가 내비게이션을 통해 카메라의 위치를 미리 인지하고 카메라의 위치에 도래하기 전까지 의도적으로 과속 주행하는 경우 또한 대다수 존재한다.
여기서 일부 차량 운전자의 경우 과속 주행 중에 카메라가 발견되면 그 즉시 카메라의 단속을 회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로 차선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의도적으로 이탈하거나 갓길로 이동하여 주행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주변 차량과의 접촉 사고 또는 대규모 교통 사고를 유발하는 등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1-0000780호(2011.01.24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번호판을 이용하여 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의 치우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치우침 검출 장치를 이용한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에 있어서, 도로의 카메라에서 획득한 차량 영상으로부터 번호판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번호판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번호판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및 기준 라인에 대응하는 기준 좌표를 기초로 상기 번호판 좌표가 소정 방향으로 이탈한 정도에 대응하는 치우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은, 상기 번호판 영역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치우침 정보, 상기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차량 영상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우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치우침 정보를 상기 차량 영상과 매칭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우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번호판 영역의 폭을 산출하고, 상기 폭을 상기 기준 좌표를 기준으로 나눈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이탈한 정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라인은, 상기 차량 영상에 기 매핑된 차선에 의해 결정되는 임계 차선을 이루는 좌표들 중에서, 상기 번호판 좌표의 y축 좌표에 대응하는 좌표점을 교차하는 수직 라인이며, 상기 임계 차선은, 상기 기 매핑된 차선의 폭 대비 설정 비율의 폭을 가지도록 오프셋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라인은, 상기 차량 영상에서 검출한 차선 라인 또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기준 라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라인은, 상기 차량 영상의 좌측 끝 또는 우측 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은, 상기 차량마다 상기 산출한 차량의 치우침 정보를 기 저장된 복수의 치우침 레벨과 비교한 후 상기 차량마다 상기 차량이 속한 치우침 레벨을 분류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치우침 레벨 중에서 하나를 선택받으면, 상기 선택된 레벨에 대응되는 차량 영상 또는 차량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로의 카메라에서 획득한 차량 영상으로부터 번호판 영역을 검출하는 번호판 검출부와, 상기 번호판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번호판 좌표를 검출하는 좌표 검출부, 및 기준 라인에 대응하는 기준 좌표를 기초로 상기 번호판 좌표가 소정 방향으로 이탈한 정도에 대응하는 치우침 정보를 제공하는 치우침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차량 치우침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도로 상에서 카메라의 감시를 의도적으로 회피하는 차량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카메라의 회피 빈도가 잦은 도로 구간을 미리 분석하여 그와 관련된 통계 자료를 구축할 수 있고 구축된 자료를 위법 감시 시스템의 보완 및 설계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치우침 검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 영상에 기준 라인이 설정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장치를 이용한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번호판 영역이 기준 라인을 이탈하지 않은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번호판 영역이 기준 라인을 이탈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차량의 번호판 영역의 좌표를 기준 라인의 좌표와 비교하여 차량의 치우침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도로 상에서 카메라의 감시를 의도적으로 회피하여 주행하는 차량을 검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카메라를 회피하여 통행한 차량의 우선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각 카메라 구간에서 발생한 회피 빈도와 이력에 따른 통계치를 이용하여 감시 시스템을 보완 및 수정하는데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치우침 검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치우침 검출 장치(100)는 번호판 검출부(110), 좌표 검출부(120), 기준 설정부(130), 치우침 정보 제공부(140), 번호 인식부(150), 분석부(160), 검색부(170), 카메라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번호판 검출부(110)는 도로의 카메라(10)에서 획득한 차량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검출한다. 여기서 카메라(10)란 도로에 설치된 단속 카메라 또는 방범 카메라일 수 있고, 차량 치우침 검출을 위해 별도로 설치된 카메라에 해당될 수 있다.
번호판 영역은 차량 영상 내에서 엣지 검출 등에 의해 얻어진 차량 번호판의 외곽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번호판의 크기는 차량마다 동일한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영상으로부터 검출한 번호판 영역을 이용하여 차량의 차선 이탈 여부와 그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좌표 검출부(120)는 차량 영상 내에서 번호판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번호판 좌표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좌표 검출부(120)는 번호판 영역을 구성하는 각 모서리 지점에 대한 x축 좌표 값을 차량 영상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x축 좌표 값은 영상에서의 픽셀 좌표에 해당될 수 있다.
기준 설정부(130)는 차량 영상에 적용되는 기준 라인을 설정한다. 이러한 기준 라인은 차량 영상에서 검출한 차선 라인으로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준 라인의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선택받을 수도 있다. 이외에도, 기준 라인은 차량 영상의 좌측 끝 또는 우측 끝에 대응하는 라인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준 라인은 차량의 차선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지표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번호판 영역의 모서리 지점의 좌표가 기준 라인을 이탈한 경우 차량이 차선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한다.
치우침 정보 제공부(140)는 기준 라인에 대응하는 기준 좌표를 기초로 번호판 좌표가 소정 방향으로 이탈한 정도에 대응하는 치우침 정보를 제공한다.
만일, 검출한 모서리 지점의 x축 좌표가 기준 라인에 대응하는 기준 x축 좌표에 대하여 양 또는 음의 x축 방향으로 이탈하여 위치한 경우, 이탈한 정도에 대응하는 차량의 치우침 정보를 산출하여 제공한다. 번호판 영역의 외곽 좌표가 기준 라인의 경계를 많이 벗어날수록 이탈 정도가 크고 차량의 치우침이 많이 발생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치우침 정보 제공부(140)는 치우침 정보를 산출하여 차량 영상과 매칭하여 저장한 다음, 저장한 차량 영상 및 치우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치우침 정보 제공부(140)는 치우침 정보,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차량 영상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번호는 번호 인식부(150)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나타낸다. 번호 인식부(150)는 차량의 번호판 영역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한다. 번호판 영역 내에서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것은 기 공지된 영상 인식 알고리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분석부(160)는 각각의 차량마다 산출한 치우침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을 치우침 정도에 따라 여러 레벨로 분류하고 그와 관련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검색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여러 레벨 중 하나를 선택 받으면 그에 대응하는 레벨에 속하는 차량 영상 또는 차량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번호판 영역이 기준 라인을 벗어난 정도를 복수의 레벨로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레벨에 속하는 차량들에 대한 검색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초기에 차량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통하여 상시적으로 차량 영상을 획득하거나 차량이 검지될 때에만 차량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이 검지될 때에만 차량 영상을 획득하는 후자의 경우 별도의 차량 검지 센서를 필요로 하며, 카메라 제어부(180)는 감지 데이터에 기반하여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한다.
카메라 제어부(180)는 도로에 설치된 차량 검지 센서(ex, 루프 센서, 레이저, 영상 검지 센서)로부터 차량이 검지되면, 관리 중인 복수의 카메라 중 차량 검지 센서와 매핑된 해당 카메라를 이용하여, 검지된 차량에 대응하는 차량 영상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차량 검지 센서와 매핑된 해당 카메라의 영상 중 센싱된 시간을 기준으로 특정 시간 범위 내의 영상을 차량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의 치우침 판단의 기준이 되는 기준 라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 영상에 기준 라인이 설정된 예시도이다. 도 2의 경우 기준 라인(L)이 차량 영상 내에서 수직선으로 설정된 것으로서 차량 영상에서 기준 라인에 대응하는 위치를 화면 터치, 마우스 선택, 좌표값 선택 등의 입력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번호판 영역을 구성하는 네 모서리 지점 중에서 임의 모서리 지점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으면 그에 대응하는 기준 라인을 차량 영상 내의 차선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설정하여 화면 상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네 모서리 지점의 좌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라인을 차선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선택 없이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기준 라인의 설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준 라인은 차량 영상에 기 매핑된 차선에 의해 결정되는 임계 차선(L)을 이루는 좌표들 중에서, 번호판 좌표(x,y)의 y축 좌표에 대응하는 좌표점 부분을 수직으로 교차하는 라인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번호판 좌표가 번호판 영역의 임의 모서리 지점 좌표인 경우, 기준 라인은 임계 차선(L)을 구성하고 있는 좌표들 중에서, 임의 모서리 지점(x1,y1)의 y축 좌표(y1)와 대응하는 좌표점(P) 상에 위치하는 수직선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차선은 차량 영상에 기 매핑된 실제 차선의 폭과 대비하여 설정 비율(ex, 50%)의 폭을 가지도록 차선의 내측으로 오프셋(offset)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정상 영역(B)은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지 않고 정상 주행할 때 차량의 번호판 영역(A)이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정상 영역(B)은 차량 영상 내의 차선의 폭에 대해 설정 비율(ex, 50%)을 적용한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알려진 차선의 폭이 3.6m라 가정하면 정상 영역(B)은 그 절반에 해당하는 1.8m 폭에 대응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임계 차선(C)은 이러한 정상 영역(B)의 경계에 대응하는 라인을 의미한다. 도 2의 영상에서 차선이 두 개 이므로 임계 차선 또한 좌우로 두 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전에 도로의 촬상 영상으로부터 차선 부위를 미리 획득하여, 차선 부위를 차량 영상 내에 매핑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임계 차선은 차량 영상에 기 매핑된 차선의 폭(ex, 3.6m)과 대비하여 설정 비율(ex, 50%)의 폭(ex, 1.8m)을 가지도록 차선의 내측으로 오프셋되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도 2에서 기준 라인(L)은 차량 영상 내에서 차선으로부터 오프셋된 임계 차선(C)을 이루는 좌표들 중에서 번호판 영역의 임의 모서리 지점(x1,y1)의 y축 좌표(y1)에 대응하는 좌표점(P) 부위를 교차하도록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만일, 기준 라인(L)의 x축 좌표(x0)로부터 번호판의 모서리 지점의 x축 좌표(x1)가 음의 x축 방향으로 이탈한 경우라면, 차량은 차선으로부터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일, 도 2와 달리 번호판 영역의 좌측의 두 모서리 지점 중 상측 모서리 지점(x2,y2)이 선택될 경우에는 임계 차선(C)을 형성하는 좌표들 중에서 상측 모서리 지점의 y축 좌표(y2)에 대응하는 좌표점 상에 수직으로 기준 라인이 설정될 것이다. 이 경우 설정된 기준 라인의 x축 좌표(x0')는 도 2의 경우보다 우측에 존재하게 될 것이고(x0'>x0), 기준 라인과 비교되는 x축 좌표는 x2가 될 것이다. 참고로 도 2에서 번호판 영역은 원근감이 표현이 생략된 것이므로 실질적으로 x1<x2, y1<y2가 될 것이다.
이러한 도 2는 양 차선 중에서 좌측 차선으로의 차량의 치우침을 판단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나, 우측 차선으로의 차량 치우침 판단의 경우 또한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차량이 좌측 차선으로 치우친 경우, 번호판 영역을 구성하는 모서리 지점 중에서, 좌측 모서리 지점의 x축 좌표(x1)를 그것의 기준 x축 좌표(x0)와 비교하여 차량의 치우침을 판단하고, 반대로 우측 차선으로 치우친 경우, 우측 모서리 지점의 x축 좌표를 기준 x축 좌표와 비교하여 차량 치우침을 판단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좌측 차선으로의 차량 치우침 판단은 좌측 임계 차선을 기준으로 번호판 영역의 좌측 모서리 지점이 음의 방향으로 이탈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면 되고, 우측 차선으로의 차량 치우침 판단은 우측 임계 차선을 기준으로 번호판 영역의 우측 모서리 지점이 양의 방향으로 이탈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면 된다.
이상과 같은 기준 라인(L)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임의 지점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임의 지점이 선택되면 그에 대응하는 좌표점(P) 부분에 자동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여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장치를 이용한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 치우침 검출 장치(100)는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10)로부터 차량 영상을 획득한다(S310). 이러한 S310 단계는 도로에 설치된 일반적인 단속 카메라 또는 방법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차량 영상을 활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S310 단계는 도로에 설치된 차량 검지 센서로부터 차량이 검지되면 그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카메라를 통하여 얻은 촬상 영상을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영상이 획득되면, 번호판 검출부(110)는 차량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검출한다(S320). 차량 영상으로부터 번호판 부위의 영역을 검출하는 기술은 기 공지된 객체 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좌표 검출부(120)는 번호판 영역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지점에 대한 x축 좌표를 검출한다(S330). 여기서, 차량 번호판 영역을 구성하는 모든 모서리 지점의 x축 좌표를 검출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좌측과 우측의 모서리 지점 중에서 어느 한측 지점의 x축 좌표만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이후, 기준 설정부(130)는 차량 영상에 적용되는 기준 라인의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다(S340). 차량 영상 내의 기준 라인(L)에 대한 개념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 여기서 기준 라인을 선택받는 과정은 S320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차량 영상에서 기준 라인이 자동으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치우침 정보 제공부(140)는 검출한 x축 좌표가 기준 라인에 대응하는 기준 x축 좌표에 대하여 기 설정된 양 또는 음의 x축 방향으로 이탈하여 위치한 경우, 이탈한 정도에 대응하는 차량의 치우침 정보를 제공한다(S350).
만일, 차량이 양 차선 중 어느 한 차선 부위를 이탈하여 주행하는 경우, 영상 내에서 차량의 번호판 영역(A) 또한 차량이 이탈한 방향 쪽으로 치우쳐 위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차량이 양 차선 중 왼쪽 차선으로 치우쳐 주행 중이라면, 차량 영상 내에서는 번호판 영역(A)의 네 모서리 지점 중 왼쪽에 위치한 모서리 지점의 x축 좌표가 기준 x축 좌표(x0)를 기준으로 음의 x축 방향으로 이탈하게 된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번호판 영역이 기준 라인을 이탈하지 않은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는 앞서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번호판 영역이 기준 라인을 이탈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모두 번호판 영역(A)이 기준 라인(L)을 이탈한 경우이며, 이탈한 정도(x0과 x1의 차이)는 도 6이 도 5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도시된 것 이외에도 번호판 영역(A)이 모두 차선 밖으로 벗어나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설명의 편의상 번호판 영역(A)이 좌측 방향으로 벗어난 경우만을 예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주행 중인 차량이 카메라를 회피할 때에는 주로 주행 방향에 대해 우측으로 회피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촬상 화면 기준으로 보면 도 5와 같이 차량이 좌측 방향으로 이탈한 것으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카메라를 회피할 목적으로 차량이 도로 좌측으로 회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는 방향은 반드시 우측 또는 좌측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S350 단계는 차량 영상에서 검출한 차량의 번호판 영역(A)의 모서리 지점이 기준 라인을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차량이 차선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S350 단계는 번호판 영역(A)의 폭을 산출한 다음, 산출한 폭을 기준 좌표를 기준으로 나눈 비율을 이용하여 이탈한 정도를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번호판 영역(A)의 폭 길이를 기준으로, 검출한 모서리 지점의 x축 좌표가 기준 x축 좌표를 이탈한 길이(|x0-x1|)의 비에 대응하는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를 예시로 하여 차량의 치우침 정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번호판 영역(A)의 폭 길이는 M으로 가정하면, 도 5의 경우 차량의 치우침 정보는 |x0-x1|/M에 대응하는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물론 S350 단계에서 산출되는 차량의 치우침 정보는 치우친 정도가 클수록 더욱 큰 값을 가지는데, 도 6이 도 5의 경우보다 더욱 큰 값을 가지게 된다.
이후, 치우침 정보 제공부(140)는 산출된 치우침 정보를 차량 영상과 매칭하여 저장하고, 저장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60). 물론 이때, 차량의 번호판 영역(A)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차량 영상에서 얻어진 차량의 치우침 정보는 차량이 치우친 정도에 따라 여러 개의 레벨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치우침 레벨에 따른 데이터 분류 및 검색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우선, 분석부(170)는 각각의 차량마다 산출한 차량의 치우침 정보를 기 저장된 복수의 치우침 레벨과 비교한 다음, 각각의 차량마다 차량이 속한 치우침 레벨을 분류한다. 예를 들어 치우침 레벨은 치우침이 작은 순으로 제1 내지 제n 개의 복수의 레벨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검색부(180)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치우침 레벨 중에서 하나를 선택받으면, 선택된 레벨에 대응되는 차량 영상 또는 차량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제1 레벨의 검색을 요청받으면, 검색부(180)는 제1 레벨에 속하는 차량 영상 자체 또는 차량 영상에서 인식한 차량 번호나 차종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분석부(170)는 복수의 치우침 레벨별로 각 레벨에 속한 차량의 대수에 대한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카메라의 구간에서, 카메라를 의도적으로 회피한 차량들을 대상으로 치우침 레벨들을 산출한 다음, 각 레벨 별로 차량의 대수를 누적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카메라 구간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발생하는 레벨을 판단할 수 있고 이로부터 현재의 카메라 구간에 대한 사고 위험 지수 등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각각의 카메라 구간 별로 수행하면, 복수의 카메라 구간 중에서 카메라 회피 빈도가 높은 구간을 통계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도로 상에서 카메라의 감시를 의도적으로 회피하는 차량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카메라의 회피 빈도가 잦은 도로 구간을 미리 분석하여 그와 관련된 통계 자료를 구축할 수 있고 구축된 자료를 위법 감시 시스템의 보완 및 설계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차량 치우침 검출 장치 110: 번호판 검출부
120: 좌표 검출부 130: 기준 설정부
140: 치우침 정보 제공부 150: 번호 인식부
160: 분석부 170: 검색부
180: 카메라 제어부

Claims (16)

  1. 차량 치우침 검출 장치를 이용한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에 있어서,
    도로의 카메라에서 획득한 차량 영상으로부터 번호판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번호판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번호판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및
    기준 라인에 대응하는 기준 좌표를 기초로 상기 번호판 좌표가 소정 방향으로 이탈한 정도에 대응하는 치우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라인은,
    상기 차량 영상에 기 매핑된 차선에 의해 결정되는 임계 차선을 이루는 좌표들 중에서, 상기 번호판 좌표의 y축 좌표에 대응하는 좌표점을 교차하는 수직 라인인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번호판 영역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치우침 정보, 상기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차량 영상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우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치우침 정보를 상기 차량 영상과 매칭하여 제공하는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우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번호판 영역의 폭을 산출하고, 상기 폭을 상기 기준 좌표를 기준으로 나눈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이탈한 정도를 계산하는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계 차선은,
    상기 기 매핑된 차선의 폭 대비 설정 비율의 폭을 가지도록 오프셋되어 형성된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마다 산출한 차량의 치우침 정보를 기 저장된 복수의 치우침 레벨과 비교한 후 상기 차량마다 상기 차량이 속한 치우침 레벨을 분류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치우침 레벨 중에서 하나를 선택받으면, 상기 선택된 레벨에 대응되는 차량 영상 또는 차량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9. 도로의 카메라에서 획득한 차량 영상으로부터 번호판 영역을 검출하는 번호판 검출부;
    상기 번호판 영역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번호판 좌표를 검출하는 좌표 검출부; 및
    기준 라인에 대응하는 기준 좌표를 기초로 상기 번호판 좌표가 소정 방향으로 이탈한 정도에 대응하는 치우침 정보를 제공하는 치우침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라인은,
    상기 차량 영상에 기 매핑된 차선에 의해 결정되는 임계 차선을 이루는 좌표들 중에서, 상기 번호판 좌표의 y축 좌표에 대응하는 좌표점을 교차하는 수직 라인인 차량 치우침 검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번호판 영역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번호 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치우침 정보 제공부는,
    상기 치우침 정보, 상기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차량 영상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차량 치우침 검출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치우침 정보 제공부는,
    상기 치우침 정보를 상기 차량 영상과 매칭하여 제공하는 차량 치우침 검출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치우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번호판 영역의 폭을 산출하고, 상기 폭을 상기 기준 좌표를 기준으로 나눈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이탈한 정도를 계산하는 차량 치우침 검출 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임계 차선은,
    상기 기 매핑된 차선의 폭 대비 설정 비율의 폭을 가지도록 오프셋되어 형성된 차량 치우침 검출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량마다 산출한 차량의 치우침 정보를 기 저장된 복수의 치우침 레벨과 비교한 후 상기 차량마다 상기 차량이 속한 치우침 레벨을 분류하는 분석부; 및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치우침 레벨 중에서 하나를 선택받으면, 상기 선택된 레벨에 대응되는 차량 영상 또는 차량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검색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치우침 검출 장치.
KR1020150071871A 2015-05-22 2015-05-22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KR101690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871A KR101690136B1 (ko) 2015-05-22 2015-05-22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871A KR101690136B1 (ko) 2015-05-22 2015-05-22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162A KR20160137162A (ko) 2016-11-30
KR101690136B1 true KR101690136B1 (ko) 2016-12-28

Family

ID=5770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871A KR101690136B1 (ko) 2015-05-22 2015-05-22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1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2427A (zh) * 2017-10-30 2018-05-11 深圳市赛亿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套牌车辆的识别方法及系统
CN108417046A (zh) * 2018-04-28 2018-08-17 上海与德科技有限公司 驾驶行为监控方法、交通监管方法、装置、终端及介质
CN110459064B (zh) * 2019-09-19 2021-02-09 上海眼控科技股份有限公司 车辆违法行为检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981B1 (ko) * 2011-12-14 2012-06-08 주식회사 디아이랩 영상감시 서비스 방법
KR101322162B1 (ko) * 2013-07-09 2013-10-28 한국비전기술(주) 차량 검지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검지방법
KR101517181B1 (ko) * 2014-02-28 2015-05-04 주식회사 코아로직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981B1 (ko) * 2011-12-14 2012-06-08 주식회사 디아이랩 영상감시 서비스 방법
KR101322162B1 (ko) * 2013-07-09 2013-10-28 한국비전기술(주) 차량 검지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검지방법
KR101517181B1 (ko) * 2014-02-28 2015-05-04 주식회사 코아로직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162A (ko)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1676B2 (en) Lane detection device, lane departure determination device, lane detection method and lane departure determination method
EP3576008B1 (en) Image based lane marking classification
US2015024877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Lane
JP6717240B2 (ja) 物標検出装置
WO2014181386A1 (ja) 車両判別装置
US20170024621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gathering and verifying information
JP5894201B2 (ja) 境界線認識装置
JP3818641B2 (ja) 車両用走路判定装置および車両制御装置
JP6911312B2 (ja) 物体識別装置
JP6331811B2 (ja) 信号機検出装置及び信号機検出方法
JP2011053809A (ja) 車両用白線認識装置
JP6456682B2 (ja) 走行区画線認識装置
KR101969842B1 (ko) 딥 러닝을 기반으로 도로노면 위험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0136B1 (ko) 차량 치우침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JP5931662B2 (ja) 道路状況監視装置、及び道路状況監視方法
JP2015064752A (ja) 車両監視装置、および車両監視方法
US2010024134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traffic line
KR101828271B1 (ko) 교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5997962B2 (ja) 車載レーンマーカ認識装置
JP2010146470A (ja) 走行レーン検出装置および走行レーン検出プログラム
JP201026243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自車の走行車線の判定方法および判定プログラム
KR101973695B1 (ko) 영상 및 레이저를 이용한 융합형 차량검지 시스템
US10300913B2 (en) Vehicle identification device and vehicle identification method
JP2006146956A (ja) 車両用走路判定装置
JP6608664B2 (ja) 自車位置認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