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804B1 -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 - Google Patents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804B1
KR101689804B1 KR1020150102938A KR20150102938A KR101689804B1 KR 101689804 B1 KR101689804 B1 KR 101689804B1 KR 1020150102938 A KR1020150102938 A KR 1020150102938A KR 20150102938 A KR20150102938 A KR 20150102938A KR 101689804 B1 KR101689804 B1 KR 101689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water
cylinder
water supply
extracti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오피
Priority to KR1020150102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the infusion outflow velocity, e.g. for brewing smaller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상부에 급수챔버가 설치되고 내측하부에 복수개의 집수챔버가 병렬로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수납되어 집수챔버와 호스로 연결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집수챔버의 상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추출용 실린더와, 상기 급수챔버에 저장된 물을 각 추출용 실린더에 정량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튜빙펌프와, 상기 튜빙펌프의 회전속도를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추출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더치커피를 더욱더 간편하고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하므로 더치커피의 상업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추출용 실린더에 각각 연결된 튜빙펌프를 이용하여 급수챔버에 저장된 물을 중력이나 수압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고 각 추출용 실린더에 일정한 적하속도로 정량공급할 수 있게 하여 항상 일정한 맛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 대량 생산과정에서 일부 추출용 실린더에서 물막힘 현상이 발생할 경우 문제가 발생한 추출용 실린더에 연결된 튜빙펌프의 전원만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추출용 실린더에 의한 대량 생산을 계속할 수 있게 하여 일부 추출용 실린더의 물막힘 현상으로 인한 생산중단이나 생산지연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하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Apparatus for mass production of Dutch coffee}
본 발명은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상부에 급수챔버가 설치되고 내측하부에 복수개의 집수챔버가 병렬로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수납되어 집수챔버와 호스로 연결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집수챔버의 상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추출용 실린더와, 상기 급수챔버에 저장된 물을 각 추출용 실린더에 정량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튜빙펌프와, 상기 튜빙펌프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추출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더치커피를 더욱더 간편하고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하므로 더치커피의 상업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추출용 실린더에 각각 연결된 튜빙펌프를 이용하여 급수챔버에 저장된 물을 중력이나 수압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고 각 추출용 실린더에 일정한 적하속도로 정량공급할 수 있게 하여 항상 일정한 맛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 대량 생산과정에서 일부 추출용 실린더에서 물막힘 현상이 발생할 경우 문제가 발생한 추출용 실린더에 연결된 튜빙펌프의 전원만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추출용 실린더에 의한 대량 생산을 계속할 수 있게 하여 일부 추출용 실린더의 물막힘 현상으로 인한 생산중단이나 생산지연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하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치커피(Dutch coffee)란 뜨거운 물이 아닌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장시간에 걸쳐 우려낸 커피를 가리키는데, 이러한 더치커피는 70 ~ 80℃ 정도의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짧은 시간에 추출하는 일반적인 드립커피에 비해 카페인의 함량이 적고, 커피 고유의 깊은 맛과 풍미를 느낄 수 있으며, 특히 추출된 커피를 오랫동안 보관해 두고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그 수요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기구는 대부분 냉수 또는 상온의 물이 저장되는 물통이 최상부에 위치하고, 그 하부에 원두 분말이 수용된 추출용기와 추출된 커피원액이 저장되는 저장용기가 차례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기구는 물통에 저장된 물이 중력에 의해 추출용기에 담긴 원두 분말에 떨어지면서 서서히 추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기구는 한 배치(batch)의 커피를 추출하는 데 통상 8 ~ 12시간 정도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대량생산을 통한 상업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더치커피는 일정한 맛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물통에서 떨어지는 물이 항상 일정한 적하속도를 유지해야 하는데,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기구는 물통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수압이 낮아질 경우 물의 적하속도가 점차 느려지면서 물의 공급이 중단될 수도 있으므로 추출과정을 계속 지켜보면서 물통에 저장된 물의 양에 따라 적하속도를 조절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37219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측상부에 급수챔버가 설치되고 내측하부에 복수개의 집수챔버가 병렬로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수납되어 집수챔버와 호스로 연결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집수챔버의 상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추출용 실린더와, 상기 급수챔버에 저장된 물을 각 추출용 실린더에 정량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튜빙펌프와, 상기 튜빙펌프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추출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더치커피를 더욱더 간편하고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하므로 더치커피의 상업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추출용 실린더에 각각 연결된 튜빙펌프를 이용하여 급수챔버에 저장된 물을 중력이나 수압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고 각 추출용 실린더에 일정한 적하속도로 정량공급할 수 있게 하여 항상 일정한 맛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 대량 생산과정에서 일부 추출용 실린더에서 물막힘 현상이 발생할 경우 문제가 발생한 추출용 실린더에 연결된 튜빙펌프의 전원만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추출용 실린더에 의한 대량 생산을 계속할 수 있게 하여 일부 추출용 실린더의 물막힘 현상으로 인한 생산중단이나 생산지연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하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후방 상하측에는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가 각각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측에는 복수개의 펌프지지대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상부지지대의 하측에는 복수개의 실린더삽입공이 구비된 실린더지지대가 수평으로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지지대의 하측에 수납설치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복수개의 호스삽입공이 관통형성되며 하부일측에는 배출구가 관통형성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지지대의 상면에 병렬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다수의 실린더결합공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형성되고 하면일측에는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에는 상기 저장탱크의 호스삽입공에 삽입되는 연결호스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집수챔버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지지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면에는 외부급수관과 연결되는 급수구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튜브삽입공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위감지센서가 장착되는 급수챔버와, 상기 프레임의 실린더지지대의 실린더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집수챔버의 실린더결합공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은 개구되고 하면은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개구부에는 중앙에 튜브삽입공이 관통형성된 덮개가 결합되고 하면중앙부에는 상부에 필터가 장착되는 추출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추출공의 외측에는 상기 집수챔버의 실린더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관부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추출용 실린더와, 상기 프레임의 펌프지지대에 설치되는 것으로 튜브의 흡입단부는 상기 급수챔버의 튜브삽입공을 통해 급수챔버의 내부로 삽입되며 튜브의 토출단부는 상기 추출용 실린더의 덮개에 관통형성된 튜브삽입공을 통해 추출용 실린더의 내부로 삽입되는 다수의 튜빙펌프와, 상기 튜빙펌프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튜빙펌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펌프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하부지지대의 상면중앙부에는 하부지지대의 상면중앙부에 배열되는 추출용 실린더의 높이를 하부지지대의 양측에 배열되는 추출용 실린더보다 높이기 위한 보조지지대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에 의하면, 추출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더치커피를 더욱더 간편하고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므로 더치커피의 상업화를 촉진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추출용 실린더에 각각 연결된 튜빙펌프를 이용하여 급수챔버에 저장된 물을 중력이나 수압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고 각 추출용 실린더에 일정한 적하속도로 정량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항상 일정한 맛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에 의하면, 대량 생산과정에서 일부 추출용 실린더에서 물막힘 현상이 발생할 경우 문제가 발생한 추출용 실린더에 연결된 튜빙펌프의 전원만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추출용 실린더에 의한 대량 생산을 계속할 수 있게 되어 일부 추출용 실린더의 물막힘 현상으로 인한 생산중단이나 생산지연을 예방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에 구비된 추출용 실린더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에 구비된 튜빙펌프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2), 저장탱크(7), 복수개의 집수챔버(8), 급수챔버(10), 다수의 추출용 실린더(12), 다수의 튜빙펌프(15), 컨트롤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은 장치의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전후방 상하측에는 상부지지대(3)와 하부지지대(4)가 각각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상부지지대(3)의 상측에는 복수개의 펌프지지대(5)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상부지지대(3)의 하측에는 복수개의 실린더삽입공(6a)이 구비된 실린더지지대(6)가 수평으로 설치된다.
상기 저장탱크(7)는 다수의 추출용 실린더(12)에서 추출된 커피원액이 저장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프레임(2)의 하부지지대(4)의 하측에 수납설치되는데, 상면에는 상기 집수챔버(8)의 유출구(8b)에 결합된 연결호스(9)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호스삽입공(7a)이 관통형성되며, 하부일측에는 배출구(7b)가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7)는 하면의 네 모서리부에 이동용 바퀴(7c)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면 상기 프레임(2)의 하부에 수납되는 저장탱크(7)를 용이하게 인출하거나 수납할 수 있게 되므로 세척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집수챔버(8)는 다수의 추출용 실린더(12)가 장착되는 부분인 동시에 다수의 추출용 실린더(12)에서 추출되는 커피원액을 한 곳으로 모아 이동시키는 부분으로서, 상기 프레임(2)의 하부지지대(4)의 상면에 병렬로 설치되는데, 상면에는 다수의 실린더결합공(8a)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형성되고, 하면일측에는 유출구(8b)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8b)에는 상기 저장탱크(7)의 호스삽입공(7a)에 삽입되는 연결호스(9)가 결합된다.
상기 급수챔버(10)는 다수의 추출용 실린더(12)로 공급되는 물이 임시로 저장되는 부분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의 상부지지대(3)의 상면에 설치되는데, 전면에는 외부급수관과 연결되는 급수구(10a)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튜브삽입공(10b)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위감지센서(11)가 장착된다.
상기 급수챔버(10)에 장착되는 수위감지센서(11)로는 종래의 가습기나 수족관 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플로트식 수위감지센서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공지의 플로트식 수위감지센서는 수면높이의 변동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는 플로트에 의해 자기장의 변화가 발생하여 접점이 연결되거나 끊어지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급수챔버(10)의 내부수위가 상부 수위보다 높아지면 OFF상태가 되어 급수가 중단되고, 하부 수위보다 낮아지면 ON상태가 되어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다수의 추출용 실린더(12)는 커피원액을 추출하기 위한 원두분말(30)이 충전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프레임(2)의 실린더지지대(6)의 실린더삽입공(6a)에 삽입되도록 집수챔버(8)의 실린더결합공(8a)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상기 추출용 실린더(12)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면은 개구되고 하면은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개구부에는 중앙에 튜브삽입공(13a)이 관통형성된 덮개(13)가 결합되고, 하면중앙부에는 상부에 필터(14)가 장착되는 추출공(12a)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추출공(12a)의 외측에는 상기 집수챔버(8)의 실린더결합공(8a)에 삽입되는 결합관부(12b)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필터(14)는 추출용 실린더(12)의 내부에 충전된 원두분말(30)이 추출공(12a)을 통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추출용 실린더(12)는 추출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튜빙펌프(15)는 상기 급수챔버(10)에 저장된 물을 각 추출용 실린더(12)에 일정한 적하속도로 정량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2)의 펌프지지대(5)에 설치된다.
튜빙펌프(Tubing Pump)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에 의해 로터(17)가 회전하면서 로터(17)의 양단부에 장착된 롤러(18a)(18b)가 탄성을 갖는 튜브(16)를 압착함으로써 튜브 내부의 액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의료기기, 시험기기, 제조기기, 프린터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튜빙펌프(15)에 구비된 튜브(16)의 흡입단부(16a)는 상기 급수챔버(10)의 튜브삽입공(10b)을 통해 급수챔버(10)의 내부로 삽입되며, 튜브(16)의 토출단부(16b)는 상기 추출용 실린더(12)의 덮개(13)에 관통형성된 튜브삽입공(13a)을 통해 추출용 실린더(12)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컨트롤러(20)는 원두의 종류, 보관상태 및 추출조건 등에 따라 각 추출용 실린더(12)로 공급되는 물의 적하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튜빙펌프(15)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튜빙펌프(15)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각 추출용 실린더(12)로 공급되는 물의 적하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는 상기 튜빙펌프(15)로 공급되는 전원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펌프스위치(19a)가 구비된 스위치패널(19)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튜빙펌프(15)로 공급되는 전원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펌프스위치(19a)가 구비된 스위치패널(19)을 설치하게 되면, 다수의 튜빙펌프(15)를 동시에 구동시키기 위한 고전압 스위치 회로를 구성할 필요없이 각각의 튜빙펌프(15)를 구동시킬 정도의 저전압 회로만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되므로 전기적인 구성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대량 생산과정에서 일부 추출용 실린더(12)에서 물막힘 현상이 발생할 경우 튜빙펌프(15) 전체의 전원을 차단하여 생산을 중단시키지 않고 문제가 발생한 추출용 실린더(12)에 연결된 튜빙펌프(15)에 공급되는 전원만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추출용 실린더(12)에 의한 대량 생산을 계속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일부 추출용 실린더(12)의 물막힘 현상으로 인한 생산중단이나 생산지연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에 구비된 하부지지대(4)의 상면중앙부에 보조지지대(4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량 생산을 위해 다수의 추출용 실린더(12)를 프레임(2)의 내부에 집약적으로 설치할 경우, 하부지지대(4)의 상면중앙부에 배열되는 추출용 실린더(12)는 하부지지대(4)의 양측에 배열되는 추출용 실린더(12)에 가려져 추출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관찰할 수 없게 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2)에 구비된 하부지지대(4)의 상면중앙부에 보조지지대(4a)를 설치하게 되면, 하부지지대(4)의 상면중앙부에 배열되는 추출용 실린더(12)의 높이를 하부지지대(4)의 양측에 배열되는 추출용 실린더(12)보다 높일 수 있게 되므로, 하부지지대(4)의 상면중앙부에 배열되는 추출용 실린더(12)의 추출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하부지지대(4)의 상면중앙부에 배열되는 추출용 실린더(12)에 물막힘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의 사용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를 이용하여 더치커피를 대량 생산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원두분말이 충전된 다수의 추출용 실린더(12)를 프레임(2)의 하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집수챔버(8)의 실린더결합공(8a)에 수직으로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복수개의 집수챔버(8)의 실린더결합공(8a)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추출용 실린더(12)의 상부는 프레임(2)의 실린더지지대(6)의 실린더삽입공(6a)에 삽입된다.
이어서, 상기 복수개의 집수챔버(8)에 수직으로 결합된 다수의 추출용 실린더(12)에는 프레임(2)의 펌프지지대(5)에 설치된 다수의 튜빙펌프(15)를 각각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각각의 튜빙펌프(15)에 구비된 튜브(16)의 흡입단부(16a)는 상기 급수챔버(10)의 튜브삽입공(10b)을 통해 급수챔버(10)의 내부로 삽입되고, 튜브(16)의 토출단부(16b)는 각 추출용 실린더(12)의 덮개(13)에 관통형성된 튜브삽입공(13a)을 통해 추출용 실린더(12)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어서, 상기 튜빙펌프(15)에 전원을 공급하여 다수의 튜빙펌프(15)를 구동시키게 되면 급수챔버(10)에 저장된 물이 각 추출용 실린더(12)에 일정한 적하속도로 정량공급되기 시작하는데, 이때 원두의 종류, 보관상태 및 추출조건 등에 따라 컨트롤러(20)를 이용하여 튜빙펌프(15)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각 추출용 실린더(12)로 공급되는 물의 적하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튜빙펌프(15)에 의해 추출용 실린더(12)에 물이 정량공급되면서 각 추출용 실린더(12)의 내부에 충전된 원두분말(30)이 충분히 젖게 되면, 각 추출용 실린더(12)의 추출공(12a)을 통해 커피원액이 추출되기 시작하는데, 이렇게 계속 추출되는 커피원액은 집수챔버(8)의 내부에 잠시 고였다가 집수챔버(8)의 유출구(8b)에 연결되는 연결호스(9)를 통해 저장탱크(7)의 내부에 저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1)에 의하면, 추출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더치커피를 더욱더 간편하고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므로 더치커피의 상업화를 촉진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추출용 실린더(12)에 각각 연결된 튜빙펌프(15)를 이용하여 급수챔버(10)에 저장된 물을 중력이나 수압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고 각 추출용 실린더(12)에 일정한 적하속도로 정량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항상 일정한 맛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1)에 의하면, 대량 생산과정에서 일부 추출용 실린더(12)에서 물막힘 현상이 발생할 경우 문제가 발생한 추출용 실린더(12)에 연결된 튜빙펌프(15)의 전원만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추출용 실린더(12)에 의한 대량 생산을 계속할 수 있게 되어 일부 추출용 실린더(12)의 물막힘 현상으로 인한 생산중단이나 생산지연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 :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 2 : 프레임
3 : 상부지지대 4 : 하부지지대
4a : 보조지지대 5 : 펌프지지대
6 : 실린더지지대 6a : 실린더삽입공
7 : 저장탱크 7a : 호스삽입공
7b : 배출구 7c : 이동용 바퀴
8 : 집수챔버 8a : 실린더결합공
8b : 유출구 9 : 연결호스
10 : 급수챔버 10a : 급수구
10b : 튜브삽입공 11 : 수위감지센서
12 : 추출용 실린더 12a : 추출공
12b : 결합관부 13 : 덮개
13a : 튜브삽입공 14 : 필터
15 : 튜빙펌프 16 : 튜브
16a : 흡입단부 16b : 토출단부
17 : 로터 18a, 18b : 롤러
19 : 스위치패널 19a : 펌프스위치
20 : 컨트롤러

Claims (3)

  1. 전후방 상하측에는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가 각각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측에는 복수개의 펌프지지대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상부지지대의 하측에는 복수개의 실린더삽입공이 구비된 실린더지지대가 수평으로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지지대의 하측에 수납설치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복수개의 호스삽입공이 관통형성되며 하부일측에는 배출구가 관통형성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지지대의 상면에 병렬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다수의 실린더결합공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형성되고 하면일측에는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에는 상기 저장탱크의 호스삽입공에 삽입되는 연결호스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집수챔버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지지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면에는 외부급수관과 연결되는 급수구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튜브삽입공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위감지센서가 장착되는 급수챔버와,
    상기 프레임의 실린더지지대의 실린더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집수챔버의 실린더결합공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은 개구되고 하면은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개구부에는 중앙에 튜브삽입공이 관통형성된 덮개가 결합되고 하면중앙부에는 상부에 필터가 장착되는 추출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추출공의 외측에는 상기 집수챔버의 실린더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관부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추출용 실린더와,
    상기 프레임의 펌프지지대에 설치되는 것으로, 튜브의 흡입단부는 상기 급수챔버의 튜브삽입공을 통해 급수챔버의 내부로 삽입되며 튜브의 토출단부는 상기 추출용 실린더의 덮개에 관통형성된 튜브삽입공을 통해 추출용 실린더의 내부로 삽입되는 다수의 튜빙펌프와,
    상기 튜빙펌프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빙펌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펌프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하부지지대의 상면중앙부에는 하부지지대의 상면중앙부에 배열되는 추출용 실린더의 높이를 하부지지대의 양측에 배열되는 추출용 실린더보다 높이기 위한 보조지지대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
KR1020150102938A 2015-07-21 2015-07-21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 KR101689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938A KR101689804B1 (ko) 2015-07-21 2015-07-21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938A KR101689804B1 (ko) 2015-07-21 2015-07-21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804B1 true KR101689804B1 (ko) 2017-01-09

Family

ID=5781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938A KR101689804B1 (ko) 2015-07-21 2015-07-21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8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5486A (en) * 2018-07-12 2020-01-15 Douwe Egberts Bv Drip filter head and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535B1 (ko) * 2012-05-17 2013-01-23 손연옥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KR101372199B1 (ko) 2013-07-04 2014-03-07 정윤진 더치커피 드립 장치
KR101496270B1 (ko) * 2013-10-24 2015-02-26 강민환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대량직수장치
KR20150086608A (ko) * 2014-01-20 2015-07-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판매기 타입의 더치커피머신 및 그 운용방법
KR20150109706A (ko) * 2014-03-20 2015-10-02 정병원 더치커피 대량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535B1 (ko) * 2012-05-17 2013-01-23 손연옥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KR101372199B1 (ko) 2013-07-04 2014-03-07 정윤진 더치커피 드립 장치
KR101496270B1 (ko) * 2013-10-24 2015-02-26 강민환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대량직수장치
KR20150086608A (ko) * 2014-01-20 2015-07-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판매기 타입의 더치커피머신 및 그 운용방법
KR20150109706A (ko) * 2014-03-20 2015-10-02 정병원 더치커피 대량 제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5486A (en) * 2018-07-12 2020-01-15 Douwe Egberts Bv Drip filter head and method
GB2575486B (en) * 2018-07-12 2023-02-01 Douwe Egberts Bv Drip filter head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535B1 (ko)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KR101418505B1 (ko) 원두커피 자동판매기
KR101711850B1 (ko) 대용량 더치 커피 추출장치
CA2292813A1 (en) Tea brewing apparatus
KR101496932B1 (ko) 더치커피 제조기구
KR101696190B1 (ko) 압력조절방식을 이용한 고속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689804B1 (ko) 더치커피 대량 생산장치
CN202751213U (zh) 多功能全自动茶饮机
CN105686948A (zh) 一种旋转式喷涂糖体装置
KR101569824B1 (ko) 커피 추출장치
CN207546345U (zh) 一种用于食用菌种植的拌料设备
CN105939574A (zh) 在印刷电路板的湿式蚀刻工序中用于清除基板上的水池的吸入辊装置
KR101512564B1 (ko) 더치 커피 추출장치
CN216191716U (zh) 循环灭菌利用润化水的润药装置
KR20130031635A (ko) 기화식 가습기
KR101910318B1 (ko) 더치커피 제조장치
CN211130675U (zh) 扰动冲泡式全自动现磨萃茶机
KR101562179B1 (ko) 대용량 더치커피 추출 냉장살균 시스템
KR101866092B1 (ko) 커피 저온추출 방법
CN211253812U (zh) 一种储罐自动放料装置
KR101825620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제조방법
CN214676462U (zh) 一种智能化种子引发装置
CN205363500U (zh) 一种药品抛光机
CN112568852B (zh) 消毒水量控制装置以及奶瓶清洗消毒机
CN215189174U (zh) 一种茶水提取罐防起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