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248B1 - 전원 소모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소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248B1
KR101689248B1 KR1020150120638A KR20150120638A KR101689248B1 KR 101689248 B1 KR101689248 B1 KR 101689248B1 KR 1020150120638 A KR1020150120638 A KR 1020150120638A KR 20150120638 A KR20150120638 A KR 20150120638A KR 101689248 B1 KR101689248 B1 KR 101689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unit
space
power
intermedi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우
이상훈
황태경
문귀원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20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34Power consum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3Testing, monitoring, correcting or calibrating of receiver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소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다수개의 기능부 중 특정 기능부에 문제가 발생되었을 경우, 해당 기능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그 전원을 대신 인가받아 소모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기능부에 문제가 발생되었더라도 나머지 기능부의 동작에는 영향이 없도록 하는 전원 소모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원 소모 장치{Device for the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전원 소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다수개의 기능부 중 특정 기능부에 문제가 발생되었을 경우, 해당 기능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그 전원을 대신 인가받아 소모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기능부에 문제가 발생되었더라도 나머지 기능부의 동작에는 영향이 없도록 하는 전원 소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구 개발을 통해 개발된 전자기기나 장비를 완제품으로서 시장에 내놓기 이전에 수차례 설계 검증과 기능 성능 등에 대한 시험 평가를 진행하여 동작 재현성을 검증한다.
이러한 대부분의 기기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파트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시험 평가 시 각 전자파트 별로 동작 검증을 수행한다.
그 중에서 우주발사체를 통해 목적한 궤도로 발사되는 인공위성은 발사 시 발생하는 극심한 동적, 구조적 환경 하에서도 성능의 저하나 기능적 이상이 없이 정상적으로 임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이와 같은 환경 하에서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상에서 미리 동적, 구조적 환경을 모사하여 시험을 수행하고 전장품 구조체 등에 대한 검증이 매우 정확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져야만 한다.
구체적으로, 인공위성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전자파트들에 전원을 입력하여 각 전자파트 별로 기능시험을 하게 되는데, 이때 특정 전자파트에 문제가 발생하면 나머지 전자파트의 기능시험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더 이상 검증을 수행할 수 없다.
즉, 각 전자파트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데, 특정 전자파트에서 문제가 발생되면 저항이 큰 폭으로 변화됨에 따라 해당 전자파트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 레벨이 심하게 변동되며, 이에 따라 나머지 전자파트로 인가되는 전원에도 변동이 발생된다.
비록 사소한 변동이라고 할지라도 특히 인공위성의 기능시험에 있어서 이는 환경 변화 시 민감하게 작용하여 추후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문제가 발생한 전자파트가 정상 동작하도록 할 때까지 다른 전자파트들의 검증은 중단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 1332060호 ("인공위성 진동 시험용 위치 조절 장치", 등록일 : 2013.11.1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위성을 구성하는 기능부들의 기능 시험 중 특정 기능부의 동작에 문제가 발생되었을 경우, 나머지 기능부의 동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당 기능부로 공급되던 전원을 대신 소모하는 전원 소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다수개의 기능부 중 이상이 발생된 특정 기능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대신 소모하기 위한 전원 소모 장치에 있어서, 열전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베이스 부재(100);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 장착되고, 단수 또는 복수개의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는 단위 그룹을 복수 개 포함한 구성을 가지며, 공급된 전원을 소모시키는 저항부(200);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100) 및 상기 저항부(200)를 향해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부(300); 및 상기 이상이 발생된 특정 기능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특정 기능부 대신 상기 저항부(20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되, 상기 저항부(200)의 각 단위 그룹별로 전원 인가 여부를 제어하여 상기 저항부(200)가 상기 특정 기능부에 부합되는 저항값을 가지도록 해 주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부(300)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일면에 구비되며, 내부에 일정 부피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베이스 부재(100) 측은 개방되는 공간부(320); 및 상기 공간부(320)의 일정 영역에 관통 형성되며,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간부(320)로 송풍하는 송풍기(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공간부(320) 내로 송풍되는 외기가 상기 베이스 부재(100) 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100) 및 상기 저항부(200)를 냉각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소모 장치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와 상기 공간부(320) 사이에는 일정 높이로 이격 틈(G)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320) 내의 외기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일면을 따라 상기 이격 틈(G)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원 소모 장치는 상기 공간부(320) 내부에 상기 베이스 부재(10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며, 다수개의 홀이 관통 형성되는 중간판(321);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310)로부터 상기 공간부(320)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중간판(321)의 홀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100) 측으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판(321)은 2개 이상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100) 측에 인접한 중간판(321) 일수록 형성된 홀의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또, 상기 홀은 상기 중간판(321)의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마지막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100)는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이며, 외면에 아노다이징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원 소모 장치는 다수개의 기능부로 이루어지는 전자기기나 장비에 있어서 특정 기능부에 문제가 발생되었을 경우 문제가 발생한 기능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대신 인가받아 소모하도록 고안된 장치로, 특정 기능부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기능부의 동작 시험에는 영향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원 소모 장치는 전원을 인가받아 소모하는 저항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해 송풍기와 더불어 공간부를 구비함으로써, 송풍기에서 저항부로 송풍되는 공기가 주변부로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저항부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간부 내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중간판을 더 구비함으로써 저항부가 배치된 베이스 부재 측으로의 공기 유동 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중간판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보다 공기의 유속이 빨라져 베이스 부재 및 저항부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소모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소모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중간판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항부를 도시한 개략도.
본 발명은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다수개의 기능부 중 이상 동작을 하는 특정 기능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대신 소모하기 위한 전원 소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기능부로 이루어지는 전자기기나 장비(특히, 인공위성)는 전체적인 동작 시험을 수행하기 이전에 각 기능부 별로 기능 시험을 먼저 수행한다. 이때,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각 기능부에 전원이 인가되는데, 만약 특정 기능부에 이상이 발생한다면 이상이 발생한 기능부는 저항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만약 저항이 커지면 해당 기능부에 인가되는 전압이 커지게 되어 과열이 발생될 위험이 있으며, 이로 인해 나머지 기능부의 기능 시험도 중단해야 한다.
또한, 각 기능부들은 하나의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있는 상태이므로 특정 기능부에 이상이 발생하여 저항값이 달라지면 나머지 기능부로 인가되는 전원도 달라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다른 기능부의 동작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해당 기능부로의 전원을 차단해버리면, 나머지 기능부로 인가되는 전압 레벨이 달라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문제가 발생한 기능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대신 그 전원을 인가받아 소모함으로써, 특정 기능부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기능부의 동작 시험은 영향이 없도록 하는 전원 소모 장치를 고안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원 소모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소모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소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소모 장치는 크게 베이스 부재(100), 저항부(200), 송풍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 부재(100)는 열전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소정 넓이의 판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항부(200)는 베이스 부재(100)에 장착되며 문제가 발생한 특정 기능부로 전원을 인가하던 전원부(미도시)로부터 대신 전원을 공급받아 소모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전원부란 각 기능부마다 구비되는 것으로, 하나의 전원 공급원(미도시)과 각 기능부 사이의 접점을 뜻한다. 이때, 도시된 것처럼 저항부(200)는 베이스 부재(100)의 하측면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외에도 상측면 또는 양면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원부로부터 저항부(200)로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저항부(200)에는 열이 발생되기 때문에, 저항부(200)의 열이 확산될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100)와 바닥면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받침부(1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110)는 베이스 부재(100)의 네 모서리를 지지하는 형태로 구비되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00)는 열전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저항부(200)의 열을 흡수하여 방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일 수 있으며, 알루미늄 재질인 경우 외면에 아노다이징 코팅층을 더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아노다이징 코팅층이 형성되면 열 흡수율이 더욱 증대되어 저항부(200)의 발열에 매우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소모 장치는 저항부(200) 방열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부(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송풍부(300)는 베이스 부재(100)의 일면에 배치되며, 베이스 부재(100) 및 저항부(200)를 향해 외기를 송풍하는 역할을 한다.
송풍부(300)는 베이스 부재(100)의 일면에 구비되며 내부에 일정 부피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되 베이스 부재(100) 측은 개방되는 공간부(320), 및 공간부(320)의 일정 영역에 관통 형성되며 외기를 흡입하여 공간부(320)로 송풍하는 송풍기(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간부(320) 내로 송풍되는 외기가 베이스 부재(100) 측으로 유동하여 베이스 부재(100) 및 저항부(200)를 냉각시키도록 할 수 있다.
송풍기(310)는 전기를 인가받아 동작하는 모터(미도시)와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팬(미도시)으로 구성되어, 외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통상의 송풍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면상에서 송풍기(310)는 공간부(320)의 측면에 고정되었으나, 공간부(32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공간부(320)는 베이스 부재(100) 측만 개방되는 상자 형태로 형성되어 송풍기(310)로부터 공간부(32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 저항부(200)가 배치된 베이스 부재(100) 측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만약, 공간부(320) 없이 송풍기(310)만 구비하여 공기가 베이스 부재(100)를 향해 송풍된다면 베이스 부재(100)의 주변부로의 손실이 발생된다. 따라서, 공간부(320)를 통해 주변부로의 손실 없이 베이스 부재(100) 측으로의 송풍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간부(320)는 투명 재질의 아크릴 등으로 쉽게 제작 가능하며, 공간부(320)의 수평방향 단면적은 베이스 부재(100)에 배치된 저항부(200)의 넓이보다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소모 장치에는 베이스 부재(100)와 공간부(320) 사이에 일정 높이로 이격 틈(G)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송풍기(310)를 통해 공간부(320) 내로 공급되는 외기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 부재(100)를 냉각시킨 후 베이스 부재(100)의 일면을 따라 이격 틈(G)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이격 틈(G)의 높이가 높지 않아야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높이가 너무 낮은 경우 공간부(320) 내에 가열된 공기가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적절한 높이로 형성해야 한다. 아울러, 이격 틈(G)의 높이는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야만 베이스 부재(100)를 냉각시킨 후 가열된 공기가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소모 장치는 중간판(321)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판(321)은 공간부(32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베이스 부재(10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소정 두께의 판재로, 다수개의 홀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중간판(321)은 공간부(320)의 송풍기(310)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의 위치보다 하측에 위치해야 한다. 이는 송풍기(310)로부터 공간부(320)로 유입된 외기가 중간판(321)의 홀을 통과하여 베이스 부재(100) 측으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중간판(321)을 더 구비함으로써 베이스 부재(100) 측으로의 공기 유동 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중간판(321)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보다 공기의 유속이 빨라져 베이스 부재(100) 및 저항부(200)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중간판(321)은 2개 이상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상의 중간판(321)은 제 1중간판(321a) 및 제 2중간판(321b) 2개로 구성되었으나, 저항부(200)의 발열량이나 베이스 부재(100)의 넓이, 송풍부(300)의 송풍량 등을 고려하여 3개 이상이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된 것처럼 제 1중간판(321a) 및 제 2중간판(321b)이 평행하게 배치되며, 베이스 부재(100) 측에 인접한 중간판(321) 일수록 형성된 홀의 직경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중간판(321a)에 형성된 제 1홀(321a')보다 제 2중간판(321b)에 형성된 제 2홀(321b')의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공간부(320)로 유입된 외기는 제 1홀(321a')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유동하고, 제 1홀(321a')보다 직경이 작은 제 2홀(321b')을 통과해 더욱 빠른 유속으로 베이스 부재(100) 측으로 방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점차 홀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공기의 유동 분포를 더욱 균일하게 함은 물론 냉각 효율도 높아진다.
참고로, 제 1중간판(321a)에 형성된 제 1홀(321a')의 총 넓이보다 제 2중간판(321b)에 형성된 제 2홀(321b')의 총 넓이가 작아야만 제 1중간판(321a) 및 제 2 중간판을 통과함에 따라 더욱 강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됨은 당연하다.
이때, 도시된 것처럼, 이격 틈(G)을 형성하기 위해 제 2중간판(321b)의 네 모서리 부분에 받침부(322)를 구비하였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공간부(320)와 베이스 부재(100) 사이에 이격 틈(G)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중간판(321b)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것처럼, 제 2중간판(321b)에 형성되는 홀(321b')이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조밀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저항부(200)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면 가장자리에 비해 중앙측으로 열 쏠림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부재(100)의 중앙부측으로 갈수록 송풍량이 더욱 증대되도록 홀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항부(200)의 개략도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수 또는 복수개의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는 단위 그룹(210 ~ 240)이 복수개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발열 분포를 고르게 하도록 각 저항들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상에는 4개의 저항을 하나의 단위 그룹으로 하여 4개의 단위 그룹(210 ~ 240)이 배치되도록 도시하였으나, 각 저항의 저항값을 고려하여 저항의 개수는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이때, 각 단위 그룹(210 ~ 240)은 베이스 부재(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된 커넥터(410)로 연결되며, 커넥터를 통해 제어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소모 장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이상이 발생한 특정 기능부로 전원을 공급하던 전원부와 연결되어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저항부(200)로 인가하되, 각 단위 그룹(210 ~ 240) 별로 전원 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문제가 발생한 기능부의 저항값에 부합되도록 단위 그룹(210 ~ 240) 중 일부 또는 전체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어느 하나의 기능부에 이상이 발생되더라도 해당 기능부로 인가되어 소모되던 전원을 대신 소모하는 전원 소모 장치를 통해 나머지 기능부의 기능 시험을 진행함에 있어서 전혀 영향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베이스 부재
110 : 베이스 부재 받침부
200 : 저항부
210 ~ 240 : 단위 그룹
300 : 송풍부
310 : 송풍기
320 : 공간부
321 : 중간판
321a : 제 1중간판
321a' : 제 1홀
321b : 제 2중간판
321b' : 제 2홀
322 : 공간부 받침부
400 : 제어부
410 : 커넥터

Claims (8)

  1.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다수개의 기능부 중 이상이 발생된 특정 기능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대신 소모하기 위한 전원 소모 장치에 있어서,
    열전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베이스 부재(100);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 장착되고, 단수 또는 복수개의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는 단위 그룹을 복수 개 포함한 구성을 가지며, 공급된 전원을 소모시키는 저항부(200);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100) 및 상기 저항부(200)를 향해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부(300); 및
    상기 이상이 발생된 특정 기능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특정 기능부 대신 상기 저항부(20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되, 상기 저항부(200)의 각 단위 그룹별로 전원 인가 여부를 제어하여 상기 저항부(200)가 상기 특정 기능부에 부합되는 저항값을 가지도록 해 주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원 소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300)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일면에 구비되며, 내부에 일정 부피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베이스 부재(100) 측은 개방되는 공간부(320); 및
    상기 공간부(320)의 일정 영역에 관통 형성되며,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간부(320)로 송풍하는 송풍기(3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공간부(320) 내로 송풍되는 외기가 상기 베이스 부재(100) 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100) 및 상기 저항부(200)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소모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100)와 상기 공간부(320) 사이에는 일정 높이로 이격 틈(G)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320) 내의 외기는 상기 베이스 부재(100)의 일면을 따라 상기 이격 틈(G)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소모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320) 내부에 상기 베이스 부재(10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며, 다수개의 홀이 관통 형성되는 중간판(321);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310)로부터 상기 공간부(320)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중간판(321)의 홀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100) 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소모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321)은,
    2개 이상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100) 측에 인접한 중간판(321) 일수록 형성된 홀의 직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소모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중간판(321)의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조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소모 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100)는,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 재질의 판재이며, 외면에 아노다이징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소모 장치.
KR1020150120638A 2015-08-27 2015-08-27 전원 소모 장치 KR101689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638A KR101689248B1 (ko) 2015-08-27 2015-08-27 전원 소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638A KR101689248B1 (ko) 2015-08-27 2015-08-27 전원 소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248B1 true KR101689248B1 (ko) 2016-12-23

Family

ID=5773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638A KR101689248B1 (ko) 2015-08-27 2015-08-27 전원 소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2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882A (ko) * 2004-12-10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도에 따른 과전류 제어가 가능한 전원공급 시스템 및 그과전류 제어방법
KR20090054122A (ko) * 2007-11-26 2009-05-2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용 배터리 보호장치
KR20090113699A (ko) * 2008-04-28 2009-11-02 주식회사 에이엠오 건조 히터, 이를 이용한 세탁물 건조용 히팅 유니트, 건조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30075050A (ko) * 2011-12-27 2013-07-0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 위성체의 밸브 제어가 가능한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위성체의 밸브 제어 방법
KR101332060B1 (ko) 2012-07-25 2013-11-2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 진동 시험용 위치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882A (ko) * 2004-12-10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도에 따른 과전류 제어가 가능한 전원공급 시스템 및 그과전류 제어방법
KR20090054122A (ko) * 2007-11-26 2009-05-2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용 배터리 보호장치
KR20090113699A (ko) * 2008-04-28 2009-11-02 주식회사 에이엠오 건조 히터, 이를 이용한 세탁물 건조용 히팅 유니트, 건조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30075050A (ko) * 2011-12-27 2013-07-0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 위성체의 밸브 제어가 가능한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위성체의 밸브 제어 방법
KR101332060B1 (ko) 2012-07-25 2013-11-2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 진동 시험용 위치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66249B (zh) 底座、具有中板设计的装置及用于冷却该装置的方法
CN103561555B (zh) 机柜结构及其集装箱数据中心
US201202688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electrical components of a computer
CN103069293B (zh) 电池检查装置
US20110228476A1 (en) Memory Cooling Fan Tray
JP6653309B2 (ja) 電池監視装置
KR20060037600A (ko)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용 냉각장치
US20130216874A1 (en) Battery unit
US20140138068A1 (en) Cooling System
KR101689248B1 (ko) 전원 소모 장치
US20130155614A1 (en) Cooling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CN105917750B (zh) 用于重定向经过电子组装件的气流的系统和方法
WO2016067351A1 (ja) ストレージ装置の冷却方法
Chowdhury et al. Optimal design and modeling of server cabinets with in-row coolers and air conditioning units in a modular data center
JP6771436B2 (ja) 支持装置
US2016018341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oling equipment provided with electronic boards, using at least one distinct fluid-cooled cooling board
CN206583590U (zh) 一种综合实验箱
JP2010107311A (ja) テストチャンバおよび半導体デバイステストシステムのソケットボード循環構造
US11271259B2 (en) Airflow management for battery module cooling
CN103777719A (zh) 电路板模块及电子装置
JP2023509683A (ja) 流量の均一な分配が可能な冷却部を含む電池充放電システム
CN108633215B (zh) 测试针床的散热系统
CN220554193U (zh) 一种单轴气浮台半物理仿真系统的pcu电源盒
KR102073659B1 (ko) 포터블 검사 장치
CN102024560B (zh) 用于电解电容散热的电容盒以及使用该电容盒的散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