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084B1 - 양자점 시트 - Google Patents

양자점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084B1
KR101689084B1 KR1020150103687A KR20150103687A KR101689084B1 KR 101689084 B1 KR101689084 B1 KR 101689084B1 KR 1020150103687 A KR1020150103687 A KR 1020150103687A KR 20150103687 A KR20150103687 A KR 20150103687A KR 101689084 B1 KR101689084 B1 KR 101689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quantum dot
conversion layer
light scattering
scatter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나래
Original Assignee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3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1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e.g. binder
    • H01L33/502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1LED

Abstract

본 발명은 광변환층에 포함된 광산란제의 크기를 조절한 양자점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시트는, 광변환층을 포함하는 양자점 시트로서, 상기 광변환층은 양자점들 및 광산란제들을 포함하고, 상기 광변환층의 두께는 상기 광산란제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양자점 시트에 따르면, 광변환층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광산란제를 포함하여 양자점 시트를 형성함으로써, 광변환층의 일정한 두께를 확보하고, 광변환층에 포함된 양자점의 응집 현상을 개선하며, 양자점 시트를 통해 출사되는 광의 색재현성 및 휘도를 향상시켜 우수한 품질의 광을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자점 시트 {QUANTUM DOT SHEET}
본 발명은 양자점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변환층에 포함된 광산란제의 크기를 조절한 양자점 시트에 관한 것이다.
양자점 (Quantum Dot ; QD) 은 나노크기의 반도체입자이다. 양자점은 여기원 (excitation source) 으로부터 빛을 흡수하여 에너지 여기 상태에 이르면, 에너지 밴드 갭 (band gap) 에 해당하는 빛에너지를 방출한다.
양자점은 광화학 반응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안정한 입자이며, 일반 형광체에 비해 100~1000배 정도 흡광력이 뛰어나다. 또한 양자점은 양자점의 에너지 밴드 갭을 조절하여 방출되는 빛의 파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양자점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내 형광체로 사용하면, 고휘도와 우수한 색채 재현성을 갖는 양자점 액정 디스플레이 (Quantum Dot-Liquid Crystal Display ; QD-LCD) 가 생산될 수 있다.
양자점 액정 디스플레이 (QD-LCD) 에서 양자점과 발광다이오드 칩을 조합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양자점을 수지에 분산시켜 제조한 시트 (이하, 양자점 시트) 를 도광판 위에 배치하는 온-서피스 (on-surface) 방식이 주로 활용된다. 이러한 양자점 시트로는 나노시스사의 QDEF™ (quantum dot enhanced film) 가 상용화 되어 있으며, 한국 특허등록 제 0982992 호 등에 양자점 파장변환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양자점 시트는 기존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두께나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양자점 시트는 베젤의 두께를 얇게 제조해야 하는 소형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종래의 양자점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양자점 시트 (10) 는, 광변환층 (1) 과, 이 광변환층 (1) 을 감싸는 배리어 필름 (barrier film, 2) 을 포함한다. 광변환층 (1) 에는 다수 개의 양자점 (3) 및 광산란제 (4) 가 고분자 수지 (5) 내에 분산되어 있다.
발광다이오드 (20) 에서 방출된 광은 도광판 (30) 을 통과하여 도광판 (30) 의 상측에 위치한 양자점 시트 (10) 에 입사된다. 입사된 광은 광변환층 (1) 에 포함된 양자점 (3) 을 통과하면서 파장이 변하고, 광변환층 (1) 을 통하여 방출되는 광은 광산란제 (4) 에 의해 산란된다.
종래의 양자점 시트 (10) 에 포함된 양자점 (3) 과 광산란제 (4) 는 각각 수 나노미터와 수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한 입자이다. 종래의 양자점 시트 (10) 는 양자점 (3) 이 고분자 수지 (5) 내부에 잘 분산되지 않는다는 한계점과 양자점 (3) 과 광산란제 (4) 가 서로 응집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양자점 시트 (10) 를 통과하는 광의 발광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 특허등록 제 0982992 호 (발명의 명칭 : 양자점 파장변환시트, 및 양자점 파장변환시트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산란제의 크기를 광변환층의 두께만큼 형성하여 양자점을 분산시켜, 양자점의 응집 현상이 개선된 양자점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광산란제를 통해 광변환층의 두께를 확보함으로써, 더 향상된 색재현성 및 휘도를 구현할 수 있는 양자점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시트는, 광변환층을 포함하는 양자점 시트이다. 상기 광변환층은 양자점들 및 광산란제들을 포함하고, 상기 광산란제들의 크기는 균일하며, 상기 광변환층의 두께는 상기 광산란제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제는 구 형태이고, 상기 광산란제의 크기는 직경을 의미하고, 상기 직경이 50μm 내지 150μm 범위에 속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제의 크기는 상기 광산란제를 내부에 모두 포함하도록 설정된 최소 크기의 구의 직경을 의미하고, 상기 직경이 50μm 내지 150μm 범위에 속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양자점 시트는 상부 배리어층 및 하부 배리어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자점 시트에 따르면, 광변환층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광산란제를 포함하여 양자점 시트를 형성함으로써, 광변환층의 일정한 두께를 확보하고, 광변환층에 포함된 양자점의 응집 현상을 개선하며, 양자점 시트를 통해 출사되는 광의 색재현성 및 휘도를 향상시켜 우수한 품질의 광을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양자점 시트 및 이를 포함한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시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광변환층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광변환층에서 출사되는 광을 표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시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시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광변환층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나타낸 도 2의 양자점 시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광변환층에서 출사되는 광을 표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시트 (100) 는 한 쌍의 배리어층 (110) 및 광변환층 (120) 을 포함한다.
양자점 시트 (100) 는 상부 배리어층 (110a), 광변환층 (120) 및 하부 배리어층 (110b) 이 압착되어 합지된 필름 형상의 구조를 가진다. 상부 배리어층 (110a) 은 광변환층 (120) 의 상면에 밀착되고, 하부 배리어층 (110b) 은 광변환층 (120) 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다.
배리어층 (110) 은 광을 투과시키면서,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 또는 화학적인 충격으로부터 광변환층 (120) 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배리어층 (110) 은 광의 투과를 위하여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리어층 (110) 은 충격 흡수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광변환층 (120) 에 포함된 양자점 (121) 은 산소, 수분 등과 접촉하게 되면 손상되므로, 배리어층 (110) 은 낮은 산소 투과도 및 투습성을 가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리어층 (110) 은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Polystyrene ; PS), 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 PVC), 아크릴 수지 (Acrylic Resin), 실리콘 수지 (Silicone Resin)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중 2종 이상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그 밖에도 배리어층 (110) 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광변환층 (120) 은 양자점 (121), 광산란제 (122) 및 고분자 수지 (123) 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광변환층 (120) 은 다수 개의 양자점 (121) 들 및 다수 개의 광산란제 (122) 들이 고분자 수지 (123) 내에 분산되어서 형성된다.
광변환층 (120) 은 다수 개의 양자점 (121) 들을 포함한다. 광변환층 (120) 으로 입사되는 광은 이러한 양자점 (121) 들을 통과하면서 그 파장이 변화된다. 구체적으로, 양자점 (121) 은 광변환층 (120) 으로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여 에너지 여기상태가 된 후, 여기상태의 양자점 (121) 은 에너지 갭만큼의 빛에너지를 방출한다. 이로써 광변환층 (120) 으로 입사되는 광은 양자점 (121) 을 통과하며 파장이 변화된다.
광변환층 (120) 은 광변환층 (120) 에 포함되는 양자점 (121) 의 구성을 조절함으로써 입사되는 광을 목적하는 파장의 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광변환층 (120) 으로 입사되는 광이 약 430㎚ 내지 약 470㎚ 사이의 파장대를 가지는 청색광이라면, 광변환층 (120) 은 청색광을 흡수하여 약 520㎚ 내지 약 560㎚ 사이의 파장대를 가지는 녹색광을 방출하는 양자점 (121) (이하, 녹색 양자점, 121G) 을 포함하여, 녹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광변환층 (120) 은 청색광을 흡수하여 약 630㎚ 내지 약 660㎚ 사이의 파장대를 가지는 적색광을 방출하는 양자점 (121) (이하, 적색 양자점, 121R) 을 포함하여, 적색광을 방출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도 3과 같이, 광변환층 (120) 으로 입사되는 광이 청색광 (B) 일 때, 광변환층 (120) 에서 출사되는 광을 백색광 (W) 으로 구현하고자 한다면, 광변환층 (120) 은 녹색 양자점 (121G) 및 적색 양자점 (121R) 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포함할 수도 있다.
광변환층 (120) 으로 입사되는 청색광 (B) 의 일부가 녹색 양자점 (121G) 에 의해 녹색광 (G) 으로 변환되고, 청색광 (B) 의 또 다른 일부가 적색 양자점 (121R) 에 의해 적색광 (R) 으로 변환된다. 녹색광 (G) 과 적색광 (R) 은 변환되지 않고 광변환층 (120) 을 통과하는 청색광 (B) 과 혼합됨으로써, 광변환층 (120) 에서 출사되는 광이 백색광 (W) 이 될 수 있다.
그 밖에도, 광변환층 (120) 으로 입사되는 광이 약 100㎚ 내지 약 400㎚ 사이의 파장대를 가지는 자외선이라면, 광변환층 (120) 은 자외선을 흡수하여 청색광, 녹색광 또는 적색광으로 변환하는 임의의 양자점 (121) 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광변환층 (120) 은 상술한 양자점 이외에도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양자점들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편의상 광의 색상을 청색, 녹색, 적색이라 표현하였지만, 이는 상술한 파장 범위에 포함되는 광을 표현하는 예시적인 표현에 불과하고, 기타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하여도 무방하다.
양자점 (121) 은 II-VI족, III-V족, IV-VI족, IV족 반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 일 수 있다. 양자점 (121) 은 코어 (core) / 쉘 (shell) 구조 또는 얼로이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 밖에도 당업자에게 공지의 구조를 가진 임의의 양자점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양자점 (121) 이 후술할 고분자 수지 (123)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기 위해서, 양자점 (121) 은 표면에 적절한 리간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적절한 리간드들로서는 미국 특허출원 제11/034,216호 및 미국 특허출원 제10/656,910호에 개시된 바를 포함하여, 당업자에 공지된 임의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양자점 (121) 은 광변환층 (120) 내에 고분자 수지 (123) 의 중량 3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자점 (121) 이 3중량%보다 많이 포함된 경우에는 양자점 (121) 이 방출한 광을 근접한 다른 양자점 (121) 이 재흡수하는 자기 소멸 현상 (self quenching) 이 발생하여, 오히려 발광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광변환층 (120) 은 표면이 소정의 굴곡을 갖도록 형성된 입자인, 다수 개의 광산란제 (122) 들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광산란제 (122) 는 그 표면에서 광변환층 (120) 으로 입사되는 광을 굴절 또는 반사시킴으로써, 광변환층 (120) 으로 입사되는 광을 다양한 방향으로 산란시키는 역할을 한다.
광산란제 (122) 는 금속 산화물 입자, 에어 버블, 유리 비드 또는 중합체 비드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이들이 혼합된 혼합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금속 산화물은 TiO2, SiO2, Al2O3 또는 ZnO 등 일 수 있다. 또한, 광산란제 (122) 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polymethyl methacrylate ; PMMA)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 PC) 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그 밖에도, 광산란제 (122) 는 상술한 물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로 형성된 광산란제 (122) 는 후술할 고분자 수지 (123) 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산란제 (122) 와 고분자 수지 (123) 의 굴절률의 비는 약 0.3 내지 1.5 범위 내 일 수 있다. 이러한 굴절률의 차이에 의해서 광산란제 (122) 는 광변환층 (120) 에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화시키고,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하나의 광변환층 (120) 에 포함되는 광산란제 (122) 들은 모두 균일한 크기를 가지며, 이 광산란제 (122) 의 크기는 예를 들어 약 50μm 내지 150μm 일 수 있다. 참고적으로, 이러한 크기를 가지는 광산란제 (122) 는 약 1nm 내지 10nm 범위의 수나노미터 크기인 양자점 (121) 에 비하여 약 10만배 정도 큰 입자이다.
일반적으로 공지의 광산란제는 수 μm의 크기를 가지지만,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산란제 (122) 는 그것보다 큰 크기를 가지도록 의도적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광산란제 (122) 의 제조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면 된다.
광산란제 (122) 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전체적으로 구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 제조 시에는 구의 형태를 벗어난 타원의 형태, 일그러진 형태 또는 이외의 의도치 않은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광산란제 (122) 가 구인 것을 예시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다.
여기서, 광산란제 (122) 의 크기는 광산란제 (122) 가 구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는 그 직경을 의미한다. 또한, 광산란제 (122) 가 구가 아닌 임의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는 광산란제 (122) 를 내부에 모두 포함하도록 설정된 최소 크기의 구의 직경을 그 광산란제 (122) 의 크기라고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임의의 형태의 광산란제 (122) 의 크기를 정하는 방법은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광산란제 (122) 의 크기를 균일하게 제조하고자 의도하더라도, 제조된 각 광산란제 (122) 의 크기가 완전히 동일할 수는 없으므로, 아래에서 기술되는 광산란제 (122) 의 크기는 예를 들어 광산란제 (122) 들의 크기의 평균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광산란제 (122) 의 크기를 균일하게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조 시 정확한 조건에 의해 광산란제 (122) 를 제조하는 것, 제조된 광산란제 (122) 를 체에 의해 걸러냄으로써 일정 범위 내의 크기를 가진 광산란제 (122) 를 빼내는 것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공지의 다른 방법에 의하더라도 무방하다.
도 2 를 참조하면, 광변환층 (120) 의 두께는 광산란제 (122) 의 크기 (S1) 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라는 것은 광산란제 (122) 의 크기 (S1) 가 광변환층 (120) 의 두께 (H) 와 대응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대응된다'는 것은 그 길이가 정확히 일치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에 그치지 아니하고, 제조 상 여러 가지 이유의 불가피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광산란제 (122) 의 크기 (S1) 가 광변환층 (120) 의 두께 (H) 와 대응된다는 것은, 광산란제 (122) 의 크기 (S1) 와 광변환층 (120) 의 두께 (H) 의 비가 0.8 내지 1.2 사이인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1.1 사이인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95 내지 1.05 사이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과 같은 기존의 양자점 시트 (10) 의 제조 시, 양자점 시트 (10) 를 고압으로 압착하는 과정이 수반되는데, 이 과정 도중에 양자점 (3) 또는 광산란제 (4) 간의 응집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 크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의 양자점 시트 (100) 에서는 광산란제 (122) 가 양자점 (121) 에 비해 대단히 크게 형성되고, 광변환층 (120) 의 두께가 광산란제 (122) 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양자점 (121) 또는 광산란제 (122) 간의 뭉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양자점 (121) 들이 광변환층 (120) 내에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도 2 와 같이, 광산란제 (122) 는 균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도 1과 같은 양자점 시트 (10) 의 제조에 있어서는 광산란제 (4) 의 두께 방향의 균일도 및 면 방향의 균일도를 모두 고려해야 하나, 본 실시예의 양자점 시트 (100) 의 제조에 있어서는 광산란제 (122) 의 면 방향의 균일도만 고려하면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광산란제 (122) 들의 균일도를 높이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광산란제 (122) 의 균일도가 높아지면, 양자점 (121) 들의 균일도도 높아지며, 양자점 (121) 들 간의 응집 현상을 방지하기가 더욱 용이해진다.
한편, 광산란제 (122) 의 균일한 배치는 광변환층 (120) 의 제조 시 혼합의 시간을 충분히 가지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광산란제 (122) 는 입사광 중 광변환층 (120) 의 수직 상부로 직접 전달되는 광량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고, 광변환층 (120) 의 측부로 전달되는 광량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킨다. 즉, 광산란제 (122) 는 광변환층 (120) 내에서 광이 다양한 방향으로 퍼지도록 하여 입사광과 양자점 (121) 이 만나는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자점 시트 (100) 를 사용하면 종래의 양자점 시트 (10) 를 사용할 때보다 더욱 향상된 광변환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광변환층 (120) 의 수직 상부에 위치한 일부 양자점 (121) 에만 주로 입사광이 도달하여 이 일부 양자점 (121) 의 수명이 불균일하게 단축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함으로써, 본 발명의 양자점 시트 (100) 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품질은 종래의 양자점 시트 (10) 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품질보다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광산란제 (122) 가 1중량%보다 적게 포함된 경우에는 광의 산란 효과가 미미하고, 광산란제 (122) 가 15중량%보다 많이 포함된 경우에는 광의 산란 효과는 매우 크나 광의 산란과 반사에 의한 광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에, 광산란제 (122) 는 광변환층 (120) 내에 고분자 수지 (123) 의 중량 대비 1중량% 내지 15중량% 정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광변환층 (120) 은 고분자 수지 (123) 를 포함한다. 고분자 수지 (123) 는 다수 개의 양자점 (121) 들 및 광산란제 (122) 들을 고르게 분산시켜 고정하는 매트리스의 역할을 한다.
고분자 수지 (123) 는 광을 투과하는 투명한 고분자이면 비제한적으로 가능하다. 예를 들어,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PM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VAc), 폴리카보네이트 (PC), 폴리비닐클로라이드 (PVC)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혹은 그 혼합물일 수 있다. 그 밖에도, 고분자 수지 (123) 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고분자 수지 (123) 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양자점 시트
110 … 배리어층
120 … 광변환층
121 … 양자점
(121G … 녹색 양자점, 121R … 적색 양자점)
122 … 광산란제
123 … 고분자 수지

Claims (4)

  1. 광변환층을 포함하는 양자점 시트에 있어서,
    상기 광변환층은 양자점들 및 광산란제들을 포함하고,
    상기 광산란제들의 크기는 균일하며,
    상기 광변환층의 두께는 상기 광산란제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광산란제의 크기는 상기 광산란제를 내부에 모두 포함하도록 설정된 최소 크기의 구의 직경을 의미하고,
    상기 직경이 50μm 내지 150μm 범위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제는 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시트.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점 시트는 상부 배리어층 및 하부 배리어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점 시트.
KR1020150103687A 2015-07-22 2015-07-22 양자점 시트 KR101689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687A KR101689084B1 (ko) 2015-07-22 2015-07-22 양자점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687A KR101689084B1 (ko) 2015-07-22 2015-07-22 양자점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084B1 true KR101689084B1 (ko) 2016-12-23

Family

ID=5773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687A KR101689084B1 (ko) 2015-07-22 2015-07-22 양자점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0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992B1 (ko) 2008-09-08 2010-09-17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양자점 파장변환시트, 및 양자점 파장변환시트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KR20120131071A (ko) * 2011-05-24 2012-12-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13544018A (ja) * 2010-11-10 2013-12-09 ナノシス・インク. 量子ドットフィルム、照明装置、および照明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992B1 (ko) 2008-09-08 2010-09-17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양자점 파장변환시트, 및 양자점 파장변환시트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JP2013544018A (ja) * 2010-11-10 2013-12-09 ナノシス・インク. 量子ドットフィルム、照明装置、および照明方法
KR20120131071A (ko) * 2011-05-24 2012-12-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6373B2 (en) Light emitting diode (LED) devices
KR101604339B1 (ko) 광 변환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장치
TWI803389B (zh) 發光裝置及液晶顯示器
TWI497167B (zh) 直下式背光模組及其光源擴散結構
JP7046935B2 (ja) 表示装置用の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1775260B1 (ko) 색도 좌표와 색 영역 조절이 가능한 형광 필름
CN103852817B (zh) 一种应用于背光模组的量子点膜
KR101613959B1 (ko)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88273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TW201213980A (en) Quantum dot based lighting
KR20120021731A (ko) 양자점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JP2019503558A (ja) 表示装置用の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6786508B2 (ja) 表示装置における白色点の均一性
KR20120107794A (ko) 광 변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70044790A (ko) 백라이트 유닛
WO2019041787A1 (zh) 液晶显示装置
JP2024037888A (ja) 表示装置
CN109709769A (zh) 一种光刻胶,含有其的像素化光致发光彩膜及其用途
KR20160064537A (ko) 양자점 필름과 그 제조 방법
CN109031754A (zh) 量子点结构、偏光片及液晶显示装置
KR101689084B1 (ko) 양자점 시트
CN106707614A (zh)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JP4785363B2 (ja) 蛍光体粒子、蛍光体粒子分散体ならびにこれらを含む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2030839B1 (ko) 백라이트 유닛용 양자점 일체형 확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CN108089369A (zh) 量子点薄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