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024B1 -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024B1
KR101689024B1 KR1020100019222A KR20100019222A KR101689024B1 KR 101689024 B1 KR101689024 B1 KR 101689024B1 KR 1020100019222 A KR1020100019222 A KR 1020100019222A KR 20100019222 A KR20100019222 A KR 20100019222A KR 101689024 B1 KR101689024 B1 KR 101689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wireless access
location information
sig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330A (ko
Inventor
백진우
변성원
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019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024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수집하며, 그 위치가 알려진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AP); 및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집된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신호의 세기와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 및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위치정보 검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 등을 활용하여 무선 AP 위치 정보의 수집이 용이하고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무선 AP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wireless access point}
본 발명은 Wi-Fi 포지셔닝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ystem)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 위치정보가 획득된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가 위치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의 세기와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 년간, 모바일 장치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보다 진보된 모바일 및 무선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한 서비스 중에서도 최근 들어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이하 LB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아이폰, 구글폰 등이 출시되며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LBS란 이동통신망이나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 등을 통해 얻은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으로, 기지국이나 GPS와 연결되는 칩을 통해 위치 추적 서비스, 공공안전 서비스,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등 위치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일컫는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를 알아내어 이를 활용할 뿐만 아니라 그 위치정보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요구 및 추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부모들은 자식들의 소재를 계속하여 추적하고 싶어하고, 회사 또는 고객은 배송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필요가 있으며, 낯선 곳에서 원하는 식당이나 상점 등의 위치를 알고자 한다.
이와 같은 LBS는 새로운 장치의 능력을 향상시킨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떠오르는 분야이다.
LBS를 통해, 사람, 차량 등의 위치를 파악하고 추적할 수 있음은 물론, 산속이나 사막과 같은 오지에서 위험에 처했을 때 휴대폰의 응급 버튼을 누르면 구조기관에 연결되어 구조를 받을 수 있다.
또한, 특정 장소의 날씨 서비스, 교통량, 지름길 찾기 등의 교통정보 서비스, 주변의 백화점, 의료기관, 극장, 음식점 등을 찾을 수 있는 생활정보 서비스, 아동 위치 알림, 친구 찾기 등이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를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의 서비스가 적용되는 장치는, 공지의 기준점에서 오는 라디오 신호를 이용해서 사용자의 위치를 상기 기준점들과 관련하여 수학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는 수십 개의 궤도 선회 위성을 기준 지점으로서 이용한다.
상기 위성들은 GPS 수신기에 의해 픽업되는 라디오 신호를 방송하고, 상기 수신기는 그 신호가 수신기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다.
수신기는 3개 이상(일반적으로 4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후, 지구상에서의 위치를 삼각측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GPS 위성을 통한 무선 장치의 위치검출은 각각의 무선 장치들이 GPS 장치를 장착하여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위성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지하나 건물 내부 등의 사각지대에서는 무선 장치들의 위치를 추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GPS를 내장하지 않은 모바일 장치들이 이동통신망이나 GPS를 이용하지 않고 Wi-Fi 포지셔닝 시스템(Wi-Fi Positioning System: 이하 WPS)을 통한 무선랜 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상당히 정확하게 찾아내고 있다.
WPS란 Wi-Fi로 들어오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의 정보를 이용해서 위치 값을 얻어내는 서비스이다.
WPS는 크게 무선 AP 정보를 얻어내는 기술, 얻어낸 데이터를 최적화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기술,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필요한 정보를 얻어내는 기술, 얻어낸 무선 AP 정보와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내의 정보를 비교하여 위치를 얻어내는 기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WPS를 통해 위치 값을 얻어내기 위해서는 먼저, 미리 무선 AP에 관한 위치 등의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WPS 기술과 관련하여 무선 AP의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대형 스캐닝 차량(13) 등에 무선랜 안테나와 GPS가 내장된 장치를 장착하고 차를 몰아 길을 돌아다니면서 각 위치에서 신호가 잡히는 무선 AP의 정보를 얻어낸다.
즉, 상기의 스캐닝 차량(13)들은 목표 스캔 지역을 통과하는 프로그램 경로를 따라서 최고 품질 데이터를 생성하는 가정 최적의 형태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얻어내는 정보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신호 강도, 노이즈 강도, SSID(Service Set Identifierd), 채널 등 매우 다양하며, 이와 같은 정보는 GPS 가 내장된 장치를 통한 위치 값과 함께 수집되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다.
다시 말하면, 목표 스캔 지역은 전형적으로 반경 24~32km 내의 모든 운전 가능 거리를 포함하는 대도시 지역을 나타낸다.
상기 스캐닝 차량들(13)에는 유효 도달 지역을 횡단하는 동안 무선 AP(11) 신호의 특성 및 위치를 기록하도록 설계된 스캐닝 장치(15)가 설치된다.
스캐닝 장치(15)는, GPS 위성(17)으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해서 매 초마다 스캐닝 차량(13)의 위치를 추적하고, 또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임의의 무선 AP(11)의 존재를 추적하고 그 무선 AP(11) 신호의 라디오 특성을 스캐닝 차량(13)의 GPS 위치와 함께 기록한다.
여기서 수집된 데이터의 품질은 스캐닝 차량에서 사용하는 스캐닝 방법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상기와 같은 스캐닝 차량(13)을 통한 무선 AP(11) 위치정보 수집 방법은 랜덤 드라이빙에 의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보다 작은 도로 및 주변 도로에 비중을 두지 않게 되고 주요 도로에 치우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와 같은 경우, 스캐닝 차량(13)에 의해 전혀 스캔되지 않은 지역은 무선 AP(11) 위치정보의 수집이 어려워 그 지역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무선 AP(11)의 위치정보가 수집되면, 수집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되어 처리된다.
이때 무선 AP(11)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수집하기 위해서 스캐닝 차량(13)은 가능한 한 많은, 다른 각도에서 무선 AP(11)를 관측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스캐닝 차량(13)을 통한 무선 AP(11) 위치정보 수집 방법은 매번 스캐닝 차량(13)을 이동시켜 데이터를 수집해야 하므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실질적으로 획득되는 무선 AP(11)의 위치정보는 스캐닝 차량(13)의 위치정보로서 정확한 무선 AP(11)의 위치정보가 아니며, 보다 정확한 무선 AP(11)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스캐닝 차량(13)이 최대한 무선 AP(11)에 근접해야 하므로 정확성 높은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스캐닝 차량(13)을 이동시켜 무선 AP(11)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수시로 생겨나거나 사라지는 무선 AP(11)에 대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베이스의 정확도 측면에서도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무선 AP 위치 정보의 수집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무선 AP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과 이를 통한 무선 AP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확한 무선 장치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자 무선 장치 각각이 GPS 장치를 구비하는 경우에 GPS 장치의 장착에 따른 그 비용적인 측면과 위성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사각지대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 등을 활용하여 무선 AP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무선 AP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기존의 스캐닝 차량을 통한 무선 AP의 위치정보가 실질적으로는 스캐닝 차량의 위치정보로서 무선 AP의 위치정보에 대한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그리고, 무선 AP는 수시로 생겨나거나 사라질 수 있으므로 수집된 무선 AP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무선 AP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정확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수집하며, 그 위치가 알려진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AP); 및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집된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신호의 세기와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 및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위치정보 검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이다.
여기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에 포함된 정보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는 복수개 존재하며,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복수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각각으로부터의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MAC 주소를 수집하고, 각각의 MAC 주소에 해당 신호의 세기를 대응시켜 상기 위치정보 검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은, 상기 위치정보 검출서버로부터 산출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정보 검출서버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산출된 위치정보 및 MAC 주소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을 저장할 수도 있는데, 상기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ID, MAC 주소, 산출된 위치정보인 좌표, 지리적으로 사용되는 주소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는 기 설치되어 있거나 새로 설치되는 와이브로 기지국, 2G 기지국 또는 3G 기지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에 있어서, 그 위치가 알려진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AP)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를 전송받아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수집하여 위치정보 검출서버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 검출서버가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세기,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 및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정보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정보 수집 단계는,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가 복수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복수개의 신호로부터의 각각의 신호의 세기 및 MAC 주소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신호의 세기를 각각의 신호에 포함된 MAC 주소에 대응시켜 상기 복수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기초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기초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검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 정보 산출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 검출서버가 복수개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집된 기초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검출서버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받은 기초정보에서 특정 MAC 주소에 대응되는 신호의 세기를 추출하고, 상기 신호의 세기 및 상기 복수개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근거로 상기 특정 MAC 주소에 해당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위치를 상기 MAC 주소에 해당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로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 정보 산출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 검출 서버가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집된 기초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검출서버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받은 기초정보에서 특정 MAC 주소에 대응되는 신호의 세기를 추출하고, 상기 특정 MAC 주소에 대한 기초정보가 하나 또는 둘인 경우, 상기 기초정보를 전송한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로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정보 검출서버에 의해 산출된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 검출서버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산출된 위치정보 및 MAC 주소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 검출 방법에 따르면, 무선 AP 위치 정보의 수집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무선 AP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과 이를 통한 무선 AP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GPS 장치를 장착하지 않고 정확한 무선 AP의 측위가 가능하여 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위성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사각지대에 위치한 무선 AP의 위치의 측정도 가능하다.
특히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 등을 활용하여 무선 AP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무선 AP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서 기존의 스캐닝 차량을 통한 무선 AP를 측위하는 시스템 및 방법과 대비하여, 본 발명은 스캐닝 차량의 위치가 아닌 실질적인 무선 AP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어 정확도가 높으며, 차량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주요 좁은 도로 또는 도로로부터 멀리 떨어진 주변 지역에 존재하는 무선 AP에 대하여도 그 위치정보 수집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시로 생겨나는 무선 AP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어 정확한 무선 AP의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WPS 기술과 관련하여 무선 AP의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들을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의 실시예를 적용한 흐름도를 나타내며,
도 7은 도 6에 언급된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에 대한 예시 테이블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범위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은, 개략적으로 측위 대상인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 및 위치정보 검출 서버(150)로 구성이 되며, 필요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는 그 위치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측위 대상으로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복수개(110a, 110b, 110c,...)가 존재하고 있지만 시스템의 구성 환경에 따라 그 위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하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될 수도 있다.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의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수집하는데, 여기서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는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서 그 위치에 대한 정보가 이미 획득되어 있거나 설치시 또는 필요시에 그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가 복수개(130a, 130b, 130c,...)가 존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이하에서 살펴보겠지만 시스템의 동작 환경에 따라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가 하나 또는 두 개만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보다 정확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위치를 산출하고자 복수개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a, 130b, 130c) 각각은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가 일정치 이상인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에 대한 정보만을 수집할 수도 있는데, 도 2에서 영역 A, B 및 C는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a, 130b, 130c) 각각이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위치정보 산출을 관리하는 영역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기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새로이 설치되는 와이브로 기지국, 2G 기지국 또는 3G 기지국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위치정보 검출서버(150)는,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수집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의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 등의 기초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기초정보에 포함된 신호의 세기와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 및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10)의 위치에 근거하여 측위 대상인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위치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에 포함된 정보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MAC(Media Access Control)주소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의 제1 실시예로서, 위치정보 검출서버(150)는, 복수개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a, 130b, 130c)로부터 각각 수집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의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 등의 기초정보를 전송받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의 신호에 포함된 MAC 주소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측위 대상인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a)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기초로 복수개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a, 130b, 130c)로부터 전송된 기초정보에서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a)에 대한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만을 선별하고, 이들 선별된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와 복수개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a, 130b, 130c)의 알려진 위치정보를 통하여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a)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a)의 위치는, 그 위치가 알려진 복수개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a, 130b, 130c)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삼각측량 등의 방법으로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의 제2 실시예로서, 측위 대상인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c)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는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의 수가 하나(130c)(도 4(a)) 또는 두 개(130b, 130c)(도 4(b))만 존재하는 경우나 또는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로 전송되는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b, 110c)의 신호가 미약한 경우 등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그에 따라 선택된 특정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c)의 위치를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110b, 110c)로 추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경우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하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검출 시스템은 위치정보 검출서버(150)로부터 산출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치정보 검출서버(15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산출된 위치정보(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좌표, 주소 등), MAC 주소, 기타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ID 등) 등을 포함하는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170)는 위치정보 검출서버(150)가 생성한 상기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에 관한 예시 테이블은 도 7에 도시되는데, 도 7을 참조하면, 각 무선 AP의 ID에 대하여 MAC 주소, 좌표(east longitude, north latitude), 주소(adress), 레퍼런스 AP ID(reference APID)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레퍼런스 AP ID는 대해서는 이하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의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은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의 예시에 불과하고 다양한 정보들을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에 포함시켜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시로 생성되거나 소멸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보다 정확한 위치정보를 위하여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에 대한 수집된 정보를 위치정보 검출서버(150)로 전송하고 위치정보 검출서버(150)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을 갱신시키고 이를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은 간단한 시스템의 구성으로 무선 AP의 위치 정보를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데, 특히 GPS 장치를 장착하지 않고도 정확도가 높은 무선 AP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 등을 활용하여 무선 AP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무선 AP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방법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앞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요소 및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은 개략적으로 위치정보 수집 단계(S100) 및 위치정보 산출 단계(S200)를 거치며, 필요에 따라 위치정보 가공 및 저장 단계(S300)를 더 수행하게 된다.
우선 위치정보 수집 단계(S100)는,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가 측위 대상인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S110)하게 된다. 여기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MAC 주소 등 다양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신호로부터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MAC 주소 등의 정보를 수집(S130)한다.
다음으로,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는 수집된 신호의 세기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정보를 위치정보 검출 서버(150)로 전송(S150)한다.
이와 같은 위치정보 수집 단계(S100)의 과정을 거쳐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신호의 세기 및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위치정보 검출 서버(15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위치정보 산출 단계(S200)에서는 측위 대상인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데 이를 이하에서 살펴보면, 우선 위치정보 수집 단계(S100)를 거쳐 수집된 신호의 세기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에 대한 정보를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로부터 위치정보 검출 서버(150)가 수신(S210)한다.
위치정보 검출 서버(150)는 상기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와 이미 알려지거나 필요에 따라 획득된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의 위치를 근거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위치를 산출(S230)하게 된다.
그리고 위치정보 검출 서버(150)는 상기 산출된 위치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위치정보로 추정(S250)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나아가서 위치정보 가공 및 저장 단계(S300)는 필요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위치정보 검출 서버(150)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170)에 바로 저장(S310)하거나 또는 사용의 편리성을 위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의 위치에 각종 정보를 대응시키는 가공과정을 거쳐 이를 데이터 베이스(170)에 저장할 수도 있다.
그럼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의 실시예를 적용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복수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a, 110b, 110c,...) 및 복수개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a, 130b, 130c,...)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방법을 자세히 살펴본다.
위치정보 수집 단계(S100)에서, 복수개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a, 130b, 130c,...) 각각은 복수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a, 110b, 110c,...)로부터의 신호를 수신(S111)하게 된다. 여기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a, 130b, 130c,...)는 측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가 일정치 이상인 신호만을 수신하는 관리영역(도 2에서 A, B, C)이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10a, 110b, 110c,...)는 수신된 복수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a, 110b, 110c,...)의 신호에 대하여 각각의 신호의 세기를 검출(S131)하고 상기 검출된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 등의 기초정보를 수집(S133)한다.
여기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복수개 존재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고자 각각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는, 각각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에 포함된 MAC 주소를 추출하고 상기 MAC 주소에 해당 신호의 세기를 대응시켜 각각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기초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때 수집된 기초정보에는 해당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MAC 주소, 신호의 세기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는 이와 같이 수집된 기초정보를 위치정보 검출 서버로 전송(S151)한다.
이후 위치정보 검출 서버(150)가 위치 정보 산출 단계(S200)를 수행하는데, 위치정보 검출 서버(150)가 복수개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기초정보를 수신(S211)한다.
그리고 위치정보 검출 서버(150)는 수신된 복수개의 기초정보에서 측위 대상인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기초정보만을 선별(S213)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기초정보에는 각각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MAC 주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기초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기초정보만 선별되면 선별된 기초정보들로부터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산출 가능 여부를 판단(S215)하게 된다.
가령 삼각측량 기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가 3개가 필요하게 되며, 이는 3개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한 경우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면, 3개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a, 130b, 130c)가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a)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집된 기초정보를 위치정보 검출 서버(150)로 전송하고, 위치정보 검출 서버(150)는 3개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로(130a, 130b, 130c)부터 전송된 기초정보에 포함된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a)의 신호의 세기와 3개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의 알려진 위치를 근거로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a)의 위치를 정확하게 산출(S231)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산출된 위치는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a)의 위치정보로 추정(S233)되게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위치를 산출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복수개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와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의 세기를 통해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가 하나이거나 둘인 경우와 같이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산출하기 어려운 경우에, 본 발명에서는 선택된 특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로 추정하는데, 상기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해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본다.
도 4 의 (a)와 같이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c)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헤더 액세스 포인트가 하나(130c)만 존재하는 경우나 또는 어느 하나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c)에 수신되는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c)의 신호의 세기는 강하지만 나머지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에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는 현격하게 약한 경우(신호의 세기가 일정치 이하인 경우)에 삼각측량법 등의 일반적인 산출방식으로는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c)의 정확한 위치를 산출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은 경우에 본 발명에서는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c)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대한 기초정보를 수집한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c)(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c)로부터의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한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c))를 선택(S235)하고 선택된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c)의 위치를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c)의 위치정보로 추정(S237)하게 된다.
또한 도 4의 (b)와 같이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b)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헤더 액세스 포인트가 둘(130b, 130c)만 존재하는 경우에도 삼각측량법 등의 일반적인 산출방식으로는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b)의 정확한 위치를 산출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은 경우에 본 발명에서는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b)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대한 기초정보를 수집한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b, 130c)를 선별한다.
그리고 이중 신호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더 강한 기초정보를 수집한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c)를 선택(S235)하고 선택된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c)의 위치를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b)의 위치정보로 추정(S237)하게 된다. 여기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의 정확도를 보다 높이기 위하여 상기 두 개의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b, 130c)가 수집한 기초정보의 신호의 세기 정도에 비례하여 상기 두 개의 헤더 액세스 포인트(130b, 130c) 사이에서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110b)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위치를 특정 액세스 포인트(130b)의 위치정보로 추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산출 단계(S200)가 완료되면, 필요에 따라 위치정보 가공 및 저장 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및 다양한 정보를 위치정보 매핑 테이블로 생성(S311)하고 이를 데이터 베이스(170)에 저장(S313)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에 관한 예시 테이블은 도 7에 도시되는데, 도 7을 참조하면, 각 무선 AP의 ID에 대하여 MAC 주소, 좌표(east longitude, north latitude), 주소(adress), 레퍼런스 AP ID(reference APID)가 표시되어 있다.
이때, 레퍼런스 AP ID는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가 하나이거나 둘인 경우와 같이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삼각측량법으로 산출하기 어려운 경우에, 선택된 특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특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로 추정하는데, 이때 선택 또는 참조된 특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의 AP ID를 의미한다.
도 7의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은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의 예시에 불과하고 다양한 정보들을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에 포함시켜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할 수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수시로 생성되고 소멸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행되어 데이터 베이스(170)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은, 기존의 스캐닝 차량을 통한 무선 AP를 측위하는 방법과 대비하여, 스캐닝 차량의 위치가 아닌 실질적인 무선 AP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어 정확도가 높으며, 차량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주요 좁은 도로 또는 도로로부터 멀리 떨어진 주변 지역에 존재하는 무선 AP에 대하여도 그 위치정보 수집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
나아가서 GPS 장치를 통한 무선 AP의 측위 방법과 대비하여 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위성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사각지대에 위치한 무선 AP의 위치의 측정도 가능하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수시로 생겨나는 무선 AP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어 정확한 무선 AP의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110a, 110b, 110c): 무선 액세스 포인트,
130(130a, 130b, 130c): 헤더 액세스 포인트,
150: 위치정보 검출 서버 170: 데이터 베이스.

Claims (15)

  1. 삭제
  2.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수집하며, 그 위치가 알려진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AP); 및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집된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신호의 세기와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 및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위치정보 검출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산출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각각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한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에 포함된 정보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는 복수개 존재하며,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복수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각각으로부터의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MAC 주소를 수집하고, 각각의 MAC 주소에 해당 신호의 세기를 대응시켜 상기 위치정보 검출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검출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검출서버로부터 산출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검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검출서버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산출된 위치정보 및MAC 주소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8. 삭제
  9.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에 있어서,
    그 위치가 알려진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AP)를 복수개로 구성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를 전송 받아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수집하여 위치정보 검출서버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 검출서버는 상기 각각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세기,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정보 및 상기 각각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정보 산출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 검출서버는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산출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각각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한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로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에 포함된 정보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수집 단계는,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가 복수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복수개의 신호로부터의 각각의 신호의 세기 및 MAC 주소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신호의 세기를 각각의 신호에 포함된 MAC 주소에 대응시켜 상기 복수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기초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기초정보를 상기 위치정보 검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산출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 검출서버가 복수개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집된 기초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검출서버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 받은 기초정보에서 특정 MAC 주소에 대응되는 신호의 세기를 추출하고, 상기 신호의 세기 및 상기 복수개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근거로 상기 특정 MAC 주소에 해당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위치를 상기 MAC 주소에 해당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로 추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산출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 검출 서버가 상기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집된 기초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검출서버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 받은 기초정보에서 특정 MAC 주소에 대응되는 신호의 세기를 추출하고, 상기 특정 MAC 주소에 대한 기초정보가 하나 또는 둘인 경우, 상기 기초정보를 전송한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고정 헤더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로 추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검출서버에 의해 산출된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검출서버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산출된 위치정보 및 MAC 주소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위치정보 매핑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


KR1020100019222A 2010-03-04 2010-03-04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 KR101689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222A KR101689024B1 (ko) 2010-03-04 2010-03-04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222A KR101689024B1 (ko) 2010-03-04 2010-03-04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330A KR20110100330A (ko) 2011-09-14
KR101689024B1 true KR101689024B1 (ko) 2017-01-02

Family

ID=4495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222A KR101689024B1 (ko) 2010-03-04 2010-03-04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0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452B1 (ko) 2015-02-06 2016-06-0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과 액세스 포인트간 데이터 전송률 조정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396A (ja) 2007-10-02 2009-04-23 Ricoh Co Ltd 地理的コードを使用する方法、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プロバイダの地理的コードを加える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を登録する方法及び位置検出可能な装置の位置を判定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42310A1 (en) * 2007-03-27 2008-10-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ocation of access point
KR100939354B1 (ko) * 2007-11-28 2010-0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0932271B1 (ko) * 2007-12-07 2009-12-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내 무선 측위를 위한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 자동 생성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396A (ja) 2007-10-02 2009-04-23 Ricoh Co Ltd 地理的コードを使用する方法、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プロバイダの地理的コードを加える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を登録する方法及び位置検出可能な装置の位置を判定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330A (ko)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8295B2 (en) Techniques for computing location of a mobile device using calculated locations of Wi-Fi access points from a reference database
JP5450689B2 (ja) 測位システムにおける連続データ最適化
CN102428384A (zh) 由wi-fi信号定位的方法
KR101689024B1 (ko)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 검출 방법
AU2011201767B2 (en) A method of locating a user-device having a Wi-Fi radio
AU2011232813B2 (en) Location beacon database and server, method of building location beacon database, and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same
KR20130043542A (ko) 위치인식용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HANADA et al. Study of Low-Power Indoor/Outdoor Seamless Positio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