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542A - 위치인식용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인식용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542A
KR20130043542A KR1020110135836A KR20110135836A KR20130043542A KR 20130043542 A KR20130043542 A KR 20130043542A KR 1020110135836 A KR1020110135836 A KR 1020110135836A KR 20110135836 A KR20110135836 A KR 20110135836A KR 20130043542 A KR20130043542 A KR 20130043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structure
location
data
database
heterogene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8487B1 (ko
Inventor
지명인
조영수
박상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3004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Abstract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은,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와 상기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를 수집한 지점의 위치 기준점을 함께 포함하는 제1 수집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만을 포함하는 제2 수집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와 상기 위치 기준점을 이용하여 인프라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상기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에 대한 상기 위치 기준점별 라디오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추정된 상기 인프라의 위치 및 상기 라디오맵을 이용하여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및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인식용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METHOD OF GENERATING POSITION DATABASE OF HETEROGENEOUS INFRASTRUCTURE FOR POSITION DETERMINATION}
본 발명은 위치 인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 위치인식을 위해 필요한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보정하고, 갱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인프라를 이용한 위치추정 기술은 인프라 종류 및 서비스 범위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한다.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은 지구 궤도 상의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며, 미국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러시아의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유럽의 Galileo 등이 현재 운용 중이거나 운용 예정이다.
GNSS는 지구 전 지역을 서비스하도록 배치되며, 정밀한 시각정보와 위성궤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출하는 위성부와, 적어도 4개의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수신부, 위성의 상태 및 궤도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지상 제어부로 구성된다.
GNSS는 위성부와 수신부의 직접 가시선(Direct Line Of Sight)이 확보되는 평지나 교외 지역에서는 10m 이내의 높은 위치 정확도(Accuracy)와 가용성(Availability)을 제공하지만, 비 가시선(Non Line Of Sight) 구간인 도심 밀집 지역에서는 다중경로 오차로 인해 위치 오차가 50m에 달하고, 특히 실내 지역에서는 수신신호 감도가 저하되어 위치 결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셀룰러 기반 위치추정 기술은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술이며, 구체적으로 단말에서 수신 가능한 기지국 수에 따라 Cell-ID, E-OTD(Enhanced-Observed Time Difference), AFLT(Advanced-Forward Link Trilateration) 등으로 분류된다. 이 셀룰러 기반 위치추정 기술은 도심 및 교외 대부분의 지역을 서비스 범위로 가지는 이동통신 인프라의 특성상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위치 결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기지국의 배치 밀도에 따라 위치추정 정확도가 달라지고 평균적으로 약 100m ~ 800m의 비교적 낮은 위치 정확도를 가지므로, 수 m 정도의 위치 정확도를 요구하는 실내외 항법 서비스 등에 적용하기 어렵다.
Assisted-GNSS는 사용자 단말에 내장된 GNSS 수신기의 최초 수신신호 감도를 향상시키고 초기위치 결정시간(Time To First Fix)을 단축시키기 위해 위치추정 서버로부터 보조정보를 획득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미약 신호 환경인 도심 밀집지역에서 GNSS를 이용한 빠른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하지만, 실내지역에서는 신호가 매우 미약하여 큰 효과를 얻을 수 없다.
Wi-Fi 기반 위치인식기술은 실내 위치 인식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술로써, Wi-Fi AP의 식별자, 기준위치 등을 포함한 데이터베이스와 단말에서 수신한 Wi-Fi AP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계산한다. Wi-Fi 기반 위치인식기술은 적용 대상과 구축 시스템에 따라 서비스 대상지역의 기준점 별 Wi-Fi AP의 라디오맵(Radiomap)을 구축하여 활용하는 방법과, 단말에서 수신한 Wi-Fi 신호세기를 AP의 위치와 대비하여 가중치로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최근에는 Wi-Fi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 사용 가능한 여러 통신/측위 인프라(infrastructure)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실내위치인식에 사용하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이동성이 없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유더블유비(UWB), 펨토셀(Femto cell) 등과 같은 단거리용 무선통신 인프라나 NFC, 바코드, QR코드와 같은 비접촉식 근접인식용 인프라를 위치인식에 활용하는 것이다.
미국등록특허 제7433694호에는 수집위치의 위경도 좌표와 해당 좌표에서 수집된 Wi-Fi AP 정보의 맵핑을 통해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위경도 좌표를 중심으로 실외에서 자동차를 통해 신호를 수집하는 기술이어서 실내측위에 적용하는 경우 정확도에 한계가 있고, 다양한 이종 인프라들을 고려하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실내 측위에 적합한 이종 인프라들의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새로운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집된 각종 인프라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내 또는 실외 위치인식에 활용 가능한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보정하고, 갱신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 기준점과 함께 수신되는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와, 위치 기준점 없이 수신되는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종 인프라가 설치된 위치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라디오맵(radiomap)을 생성하고, 생성된 이후 추가적으로 수신되는 인프라 데이터를 활용하여 위치 데이터베이스 또는 라디오맵을 보정하고 갱신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은,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와 상기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를 수집한 지점의 위치 기준점을 함께 포함하는 제1 수집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만을 포함하는 제2 수집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와 상기 위치 기준점을 이용하여 인프라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상기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에 대한 상기 위치 기준점별 라디오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추정된 상기 인프라의 위치 및 상기 라디오맵을 이용하여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및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은 추가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제1 수집 데이터 및 상기 제2 수집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를 보정하되, 상기 제1 수집 데이터를 이용한 보정 프로세스와 상기 제2 수집 데이터를 이용한 보정 프로세스가 상이할 수 있다.
이 때,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은 추가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제1 수집 데이터 및 상기 제2 수집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되, 상기 제1 수집 데이터를 이용한 갱신 프로세스와 상기 제2 수집 데이터를 이용한 갱신 프로세스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 인식용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보정,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집 위치 기준점 정보와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가 수신될 때, 위치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보정 또는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집 위치 기준점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도 패턴 분석을 통해 기존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보정하고, 갱신하여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데이터베이스 관리 기법을 개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보정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갱신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데이터베이스 관리 기법을 개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 설치된 통신 인프라를 수집하고, 이를 위치 데이터베이스 자동생성/보정/갱신 모듈(150)에서 처리하여 위치 데이터베이스(160)를 생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데이터베이스 관리 기법은 수집 당시의 위치 기준점과 함께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를 수집하는 인프라 자동수집 장치(110) 및 위치 기준점 없이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만을 수집하는 일반 사용자 단말(120)에 의하여 제1 수집 데이터(130) 및 제2 수집 데이터(140)를 수집하여, 위치 데이터베이스 자동생성/보정/갱신 모듈(150)로 전달한다.
이 때, 위치 기준점은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 수집 당시의 위치 기준점을 나타내며, 실내 및 실외에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기준점은 실내 상대위치, 상점 등의 POI(Point Of Interest) 정보 등일 수 있다.
위치 데이터베이스 자동생성/보정/갱신 모듈(150)은 인프라 타입 분석, 인프라 위치이동 감지, 전파모델 분석, 인프라 신규추가 감지, 라디오맵(radiomap) 구축, 기존인프라 삭제 감지, 인프라 위치추정 및 위치 데이터베이스 보정/갱신 등의 작업을 수행하여 위치 데이터베이스(160)를 생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은 위치 기준점 정보 및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를 수신한다(S210).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S210)는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와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를 수신한 지점의 위치 기준점을 함께 포함하는 제1 수집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만을 포함하는 제2 수집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의 두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기반 서비스가 필요한 지역에서 기 설치된 통신/측위 인프라를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경우에,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은 먼저 인프라 자동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인프라 자동수집 장치는 서비스 지역을 순회하면서 수집시점의 위치 기준점과 이에 해당하는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제1 수집 데이터)를 위치 데이터베이스 자동생성/보정/갱신 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위치 기준점은 위경도 절대좌표에 실내 상대좌표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고, 전 세계적으로 고유한 좌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내 상대좌표를 고려한 위치 기준점을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실내 측위에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가능하다.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는 수집장치에서 Wi-Fi를 비롯한 각종 통신/측위 인프라를 스캔하여 얻은 결과로써, 각 인프라 별 고유 ID와 SSID, 신호세기 등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고유 ID는 맥 주소(MAC address) 및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일 수 있고, 신호세기는 RSSI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은 특정 인프라 별로 인프라 수집데이터를 분류한다(S220). 즉, 단계(S220)는 다양한 종류의 인프라에 대한 수집데이터들을 인프라 별로 분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은 인프라별로 수집데이터가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단계(S230)의 판단 결과, 수집데이터가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은 충분한 데이터가 수집될 때까지 대기한다(S240).
단계(S240)의 판단 결과, 수집 데이터가 충분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은 다수의 위치기준점과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인프라의 위치를 추정한다(S250).
위치 데이터베이스 자동생성 모듈에서는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인프라에 대해 다수의 위치 기준점과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인프라의 위치를 추정해낸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은 일정 기준값 이상의 신호에 대해 위치 기준점별로 라디오맵(radiomap)을 생성한다(S260).
일정 기준값 이상의 신호들은 위치 기준점 별로 라디오맵을 생성하여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를 만든다.
인프라 위치를 추정한 위치 데이터베이스와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를 따로 생성하는 큰 이유는 활용방법이나 적용대상에 따라 적응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은 추정한 인프라의 위치 및 생성된 라디오맵을 이용하여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및 핑거프린트(fingerprint)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S270).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위치 데이터베이스 또는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된 지역에서 인프라 자동수집 장치로 수집한 데이터를 재수신한 경우나, 일반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의 정밀도 향상을 위해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보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보정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보정 방법은 위치 기준점 정보 및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를 수신한다(S310).
이 때, 단계(S310)는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와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를 수신한 지점의 위치 기준점을 함께 포함하는 제1 수집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만을 포함하는 제2 수집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의 두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보정 방법은 수신된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가 상응하는 위치 기준점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단계(S3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보정 프로세스는 상이하게 수행된다.
즉, 단계(S320)의 판단 결과, 위치 기준점이 있는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이면 이전 수집데이터와 합산하여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보정하고(S330), 일정 이상의 신호에 대해 이전 수집데이터와 합산하여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를 보정한다(S340).
즉, 인프라 자동수집 장치와 같이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 이외에 위치 기준점이 같이 수집된 경우에는 이전 수집지점의 수집 데이터와 합산하여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보정할 수 있다. 즉, 이전에 수집한 데이터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위치가 이동한 인프라를 감지할 수 있고, 이를 보정하여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S320)의 판단 결과, 위치 기준점이 있는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가 아니면 패턴분석을 통해 이동이 예상되는 인프라 위치를 재계산하거나 관리자에게 통보한다(S350).
일반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위치 기준점 없이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만 존재할 수 있다. 이는 일반 사용자 단말은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데이터 수집목적이 아닌, 위치추정 자체의 목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기 때문이다. 위치 기준점이 없다 하더라도, 이전 수집 데이터와의 신호세기 패턴을 분석해서 패턴의 차이가 큰 인프라는 이동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재계산하여 보정하거나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데이터 재수집을 유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보정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에 이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보정 방법의 결과물은 보정된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및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가 된다.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위치 데이터베이스 또는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된 지역에서 인프라 자동수집 장치로 수집한 데이터를 재수신한 경우나 일반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중, 인프라가 새로 추가되거나 삭제된 경우에 이를 반영하여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갱신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갱신 방법은 위치 기준점 정보 및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를 수신한다(S410).
이 때, 단계(S410)는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와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를 수신한 지점의 위치 기준점을 함께 포함하는 제1 수집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만을 포함하는 제2 수집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의 두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갱신 방법은 수신된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가 상응하는 위치 기준점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단계(S4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갱신 프로세스는 상이하게 수행된다.
즉, 단계(S420)의 판단 결과, 위치 기준점이 있는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이면 이전 수집데이터와 합산하여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S430), 일정 이상의 신호에 대해 이전 수집데이터와 합산하여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S440).
즉, 인프라 자동수집 장치와 같이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 이외에 위치 기준점이 같이 수집된 경우에는 보정 방법과 마찬가지로 이전 수집데이터와 합산하여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즉, 이전 수집데이터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추가되거나 삭제된 인프라를 감지하는 경우 이를 반영하여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단계(S420)의 판단 결과, 위치 기준점이 있는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가 아니면 패턴분석을 통해 추가 또는 삭제된 인프라 위치를 재계산하거나 관리자에게 통보한다(S450).
일반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위치 기준점 없이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만 존재할 수 있다. 이는 일반 사용자 단말은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데이터 수집목적이 아닌, 위치추정 자체의 목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기 때문이다. 보정 방법과 마찬가지로, 위치 기준점이 없다 하더라도 이전 수집 데이터와의 신호세기 패턴을 분석해서 추가되거나 삭제된 인프라를 감지하는 경우 과거 수집데이터에 반영하여 재계산(새 인프라 발견시) 및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인프라 정보 삭제(인프라 삭제 발견시)하거나,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데이터 재수집을 유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갱신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이나 도 3에 도시된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보정에 이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갱신 방법의 결과물은 갱신된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및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가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S210: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 수신 단계
S220: 인프라 수집데이터 분류 단계
S230: 수집 데이터 충분 여부 판단 단계
S240: 데이터 수집 대기 단계
S250: 인프라 위치 추정 단계
S260: 라디오맵 생성 단계
S270: 데이터베이스 생성 단계

Claims (1)

  1.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와 상기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를 수집한 지점의 위치 기준점을 함께 포함하는 제1 수집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만을 포함하는 제2 수집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와 상기 위치 기준점을 이용하여 인프라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상기 이종 인프라 수집데이터에 대한 상기 위치 기준점별 라디오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추정된 상기 인프라의 위치 및 상기 라디오맵을 이용하여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및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KR1020110135836A 2011-10-20 2011-12-15 위치인식용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KR101878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582 2011-10-20
KR20110107582 2011-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542A true KR20130043542A (ko) 2013-04-30
KR101878487B1 KR101878487B1 (ko) 2018-07-16

Family

ID=4844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836A KR101878487B1 (ko) 2011-10-20 2011-12-15 위치인식용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4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0456A (ko) * 2013-11-26 2015-06-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파지문지도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70078120A (ko) * 2015-12-29 2017-07-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Rf 핑거프린트 기반의 위치 등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5355A (ko) * 2008-10-23 2010-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측위를 위한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및 장치
KR20110011546A (ko) * 2009-07-27 2011-0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프라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 측위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26229A (ko) * 2009-09-07 2011-03-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핑거 프린트 방식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271B1 (ko) * 2007-12-07 2009-12-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내 무선 측위를 위한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 자동 생성방법
KR20100076340A (ko) * 2008-12-26 2010-07-06 주식회사 나인티시스템 실내위치인식시스템과 gps위치데이터를 이용한 실내외 겸용 위치인식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7073B1 (ko) * 2009-09-17 2013-04-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그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5355A (ko) * 2008-10-23 2010-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측위를 위한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및 장치
KR20110011546A (ko) * 2009-07-27 2011-0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프라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 측위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26229A (ko) * 2009-09-07 2011-03-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핑거 프린트 방식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실내외 연속측위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2권 제3호(pp. 20-28), 2007년 6월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0456A (ko) * 2013-11-26 2015-06-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파지문지도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70078120A (ko) * 2015-12-29 2017-07-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Rf 핑거프린트 기반의 위치 등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487B1 (ko) 201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3585B2 (en) Sensor-assisted location-aware mobile device
EP2270535B1 (en) Indoor/outdoor decision apparatus and indoor/outdoor decision method
US95492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location of base station
US7663540B2 (en) Server device, mobile terminal and positioning mode selecting method
EP3227707B1 (en) Supporting positioning quality assurance
US8478280B1 (en) Minimum coverage area of wireless base station determination
KR101352006B1 (ko) 인프라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 측위 방법 및 그 시스템
US83788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quality and integrity of location database elements
US9686766B2 (en) Location positioning using M2M ecosystem
KR100984688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을 통한 소형 기지국의 위치 설정 장치 및 방법
US20120150434A1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service and mobile terminal
JP2007518979A (ja) Tdoa/gps混成ワイヤレス位置検出システム
US201101999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wireless access point using single device based power measurements
US86348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mobile device based on a plurality of location samples
KR101749098B1 (ko) 기지국 위치추정 시스템 및 이의 기지국 위치추정 방법
US11226391B2 (en) Floor levels of a venue
KR102153932B1 (ko) 측위 인프라 데이터베이스 자동 갱신 장치 및 방법
KR101791259B1 (ko) 계층형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US9838837B2 (en) Power-efficient location estimation
US10547964B2 (en)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ing accuracy of a position determination
KR101878487B1 (ko) 위치인식용 이종 인프라 위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KR20120064151A (ko) 실내외 연속 측위를 통한 단말의 위치 표시 방법
US202303197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location
KR20120030670A (ko) 방위각 추정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20020868A (ko) 주유소 검색 방법 및 장치, 그를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