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920B1 - 확장가능한 빨래건조대 - Google Patents

확장가능한 빨래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920B1
KR101687920B1 KR1020150149432A KR20150149432A KR101687920B1 KR 101687920 B1 KR101687920 B1 KR 101687920B1 KR 1020150149432 A KR1020150149432 A KR 1020150149432A KR 20150149432 A KR20150149432 A KR 20150149432A KR 101687920 B1 KR101687920 B1 KR 101687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hanger
pair
laundry
hanger ro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스원
Priority to KR1020150149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제1 동체, b)복수의 파이프로 구성되며, 한 쌍의 제1 동체 사이에 서로 평행하게 고정되는 제1 빨래걸이봉, c)한 쌍의 제1 동체 각각의 외측에 위치하며, 제1 동체 내에 포개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동체, d)복수의 파이프로 구성되며, 일측은 한 쌍의 제2 동체 각각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제1 빨래걸이봉의 중공부로 인출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와 제3 빨래걸이봉, e)한 쌍의 제1 동체 각각의 하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다리, 및 f)제2와 제3 빨래걸이봉이 각각 제1 빨래걸이봉으로부터 최대로 인출되더라도 제1 빨래걸이봉과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탈락방지방치로 구성되는 빨래건조대를 제공한다. 이때, 제3 빨래걸이봉이 제2 빨래걸이봉의 중공부로 인출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확장가능한 빨래건조대{Extendable clothes horse}
본 발명은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 양측으로 빨래걸이부를 확장할 수 있는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빨래건조대는 빨래걸이부가 상호 적층되도록 접혀있다가 사용시에 축회전하여 펼쳐지게 되어 있거나(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제1149681호), 역시 빨래걸이부가 프레임 내에 상호 적층되어 있다가 사용시에 프레임의 측면을 따라 활주하여 인출되도록 되어 있는 것(예를 들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71008호)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빨래건조대는, 빨래걸이부가 상호 적층되는 구성을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때 접어놓아도 빨래걸이부가 두툼한 부피를 차지하여서 공간효율적이지 못하고 미관상 투박한 느낌을 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빨래건조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접어놓으면 매우 콤팩트하게 되나 사용시에는 빨래걸이부가 양측으로 확장할 수 있어서 다량의 빨래를 널 수 있는 빨래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복수의 빨래건조대를 상,하로 적층할 수 있어서 더욱 많은 빨래를 널 수 있는 빨래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제1 동체, b)복수의 파이프로 구성되며, 한 쌍의 제1 동체 사이에 서로 평행하게 고정되는 제1 빨래걸이봉, c)한 쌍의 제1 동체 각각의 외측에 위치하며, 제1 동체 내에 포개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동체, d)복수의 파이프로 구성되며, 일측은 한 쌍의 제2 동체 각각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제1 빨래걸이봉의 중공부로 인출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와 제3 빨래걸이봉, e)한 쌍의 제1 동체 각각의 하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다리, 및 f)제2와 제3 빨래걸이봉이 각각 제1 빨래걸이봉으로부터 최대로 인출되더라도 제1 빨래걸이봉과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탈락방지방치로 구성되는 빨래건조대를 제공한다. 이때, 제3 빨래걸이봉이 제2 빨래걸이봉의 중공부로 인출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빨래건조대의 사용시에는 제2,제3 빨래걸이봉은 각각 제1 빨래걸이봉으로부터 인출되어 양측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비사용시에는 제1 빨래걸이봉의 중공부로 제2 빨래걸이봉이 삽입되어 위치되고 동시에 제2 빨래걸이봉의 중공부로 제3 빨래걸이봉이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많은 빨래를 널 수 있으며 비사용시에는 제1 빨래걸이봉이 차지하는 부피만을 점유하여 매우 콤팩트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락방지장치가 일측은 제2 또는 제3 빨래걸이봉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제1 동체에 일렬로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된 채로 탈락방지 캡이 부착되는 복수의 와이어로 구성된다. 이때, 구멍은 제1 빨래걸이봉 직하에 위치되는 것이 미관상 보기 좋다. 또한, 탈락방지장치는 제2 및 제3 빨래걸이봉을 인출 시 제1 빨래걸이봉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인출 후에 제2 및 제3 빨래걸이봉이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하는 지지대 역할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다리 각각은 한 쌍의 제1 동체 각각의 2지점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되, 다리 각각의 상기 2지점 사이의 간격은 서로 상이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빨래건조대를 사용하지 않아서 한 쌍의 다리를 접어놓을 때, 한 쌍의 다리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측으로 접혀져서 위치됨으로써 접혀진 빨래건조대가 더욱 콤팩트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제1 동체와 제2 동체 상부에 다른 빨래건조대의 다리가 고정될 수 있는 상부홈이 형성되어서 복수의 빨래건조대를 상,하로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양측으로 확장되지 않은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빨래건조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양측으로 확장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빨래건조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빨래건조대의 일부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동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빨래건조대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빨래건조대(1)는 `한 쌍의 제1 동체(10), 한 쌍의 제2 동체(20), 이들 동체 사이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복수의 빨래걸이봉(30,31,32), 한 쌍의 다리(50,50'), 및 탈락방지장치로 구성된다. 이하에 각 구성부를 설명한다.
플라스틱 사출품으로 만들어지는 한 쌍의 제1 동체(10)는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1 동체의 내측(상호 마주보는 측)에는 중공형 돌기 형태의 제1 통공부(11)가 제1 동체의 장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그 직하부에는 제1 동체의 판상부를 관통하는 통공 형태의 제2 통공부(13)가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 통공부(11)의 개수는 6개이고 제2 통공부(13)의 개수는 4개이다. 제1 동체의 외측에는 후술될 제2 동체(20)가 수용되는 외측 중공부(18)가 형성된다. 제1 동체의 상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상부홈(17,17')이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원호부(19)가 형성된다. 상부홈(17) 간의 간격은 후술하는 다리(50')의 폭(L')에 상응하고 상부홈(17') 간의 간격은 다리(50)의 폭(L)에 상응한다. 한편, 제1 동체의 하측에는 후술될 다리(50,50')가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다리부착부(15)가 형성된다. 다리부착부(15)는,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될 축회전 부재(55)의 제1 단부(56)가 삽입되어 축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구조이다.제1 동체(10)의 하부에는 각각 2개의 다리부착부(15)가 위치되되, 각 제1 동체(10)의 2개의 다리 부착부(15) 사이의 간격이 다르다. 이는 각 다리(50,50')의 폭(L,L')을 다르게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1을 참조하면, 좌측 제1 동체(10)의 다리 부착부(15) 사이의 간격이 우측 제1 동체(10)의 다리 부착부(15) 사이의 간격보다 작으며, 따라서 다리(50)의 폭(L)이 다리(50')의 폭(L') 보다 작다.
각각 제1 동체(10)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동체(20) 역시 플라스틱 사출품이며, 제1 동체의 외측 중공부(18) 내에 중첩되어 포개지도록 제1 동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2 동체의 내측(상호 마주보는 측)에는 중공형 돌기 형태의 제1 맹공부(21)와 역시 중공형 돌기 형태의 제2 맹공부(23)가 형성된다. 제1 맹공부(21)와 제2 맹공부(23)는 각각 제1 동체의 제1 통공부(11) 와 제2 통공부(13)에 상응하는 위치와 개수를 갖는다. 제2 동체의 상부에는 제1 동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홈(17,17')과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상부홈(27,27')이 형성된다.
복수의 빨래걸이봉(30,32,34), 즉 제1 빨래걸이봉(30), 제2 빨래걸이봉(32) 및 제3 빨래걸이봉(34)은 각각 금속재(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강재)로된 원형의 중공형 파이프 형태를 갖되, 제2 빨래걸이봉(32)은 제1 빨래걸이봉(30)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구경을 가지며 제3 빨래걸이봉(34)은 제2 빨래걸이봉(32)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다.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각 빨래걸이봉(30,32,34)의 파이프 두께는 0.3mm이며, 제1 빨리걸이봉(30)의 내경은 12mm, 제2 빨래걸이봉(32)의 외경은 11mm, 제3 빨래걸이봉(34)의 외경은 8mm이다. 또한,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빨래걸이봉(30)의 길이는 60cm이고 제2 및 3 빨래걸이봉(32,34)의 길이는 50cm이다. 이때,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제2 빨래걸이봉(32)의 일측단부(제1 빨래걸이봉으로 삽입되는 단부)는 직선형 커팅하고 제 2 빨래걸이봉 내로 삽입되는 방향의 제3 빨래걸이봉 단부는 단부를 부드럽게 만곡시키는 R형 커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다리(50,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지지부(52,52')를 갖도록 강재 파이프를 절곡하여 형성된다. 각각의 다리(50,50')는, L자형 부재로서 제1 동체의 다리 부착부(15)로 삽입되어 축회전하는 제1 단부(56)와 중공형 파이프 형태의 제2 단부(58)로 구성되는 엘보 형태의 축회전 부재(55)를 이용하여, 한 쌍의 제1 동체(10)의 각 다리 부착부(15)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축회전 부재(55)의 제1 단부(56)가 제1 동체의 다리 부착부(15,15')로 삽입되어서 축회전 부재(56)가 제1 동체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고정되면, 다리(50,50')의 각 단부를 축회전 부재(55)의 제2 단부(58)의 중공부로 삽입함으로써 다리(50,50')가 제1 동체에 축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좌측 제1 동체(10)의 다리 부착부(15) 사이의 간격이 우측 제1 동체(10)의 다리 부착부(15) 사이의 간격보다 작기 때문에 다리(50)의 폭(L)이 다리(50')의 폭(L')보다 작다.
본 발명에 따른 탈락방지장치는,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강재 와이어(40)와 이들 와이어의 일측 단부로 삽입되는 캡(42)으로 구성되며, 제2와 제3 빨래걸이봉이 각각 제1 빨래걸이봉으로부터 인출되더라도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부의 결합을 설명한다.
제1 빨래걸이봉(30)은 각 단부가 제1 동체(10)의 제1 통공부(11)의 중공부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시,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중공부는 중공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약간 테이퍼지게 형성되어서 강재의 제1 빨래걸이봉(30)이 플라스틱 사출품인 제1 동체(10)의 제1 통공부(11)로 강제 삽입되면, 제1 빨래걸이봉(30)은 제1 동체(10)의 제1 통공부(11)에 단단하게 고정된다(이하에 이러한 고정을 '강제 고정'이라 함). 제2 및 3 빨래걸이봉(32,34)은 그 일측이 제2 동체(20)의 제1 맹공부(21)에 강제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제1 동체(10)의 제1 통공부(11)를 통해 제1 빨래걸이봉(30) 내로 삽입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2 빨래걸이봉(32)이 도 2에서 볼 때 좌측에 위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탈락방지장치로 사용되는 와이어(40)는 일측이 제2 동체(20)의 제2 맹공부(23)에 강제고정되며 다른 일측은 제1 동체(10)의 제2 통공부(13)를 관통한 후 이 통공부(13)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캡(42)이 부착된다. 와이어(40)에 대한 캡(42)의 부착은 나사식 고정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강제고정이 사용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캡(42)은 역시 플라스틱 사출로 제조된다. 이렇게 하여 제2와 제3 빨래걸이봉이 각각 제1 빨래걸이봉으로부터 인출되더라도 분리되지 않는다. 물론 이를 위해 와이어(40)의 길이는 제2,3 빨래걸이봉의 길이보다 짧아야 하며,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와이어의 길이는 45cm이다. 탈락방지를 위해서는 와이어의 개수는 제2 빨래걸이봉과 제3 빨래걸이봉 방향(즉 도 2에서 보면 제1 동체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각각 1개씩이면 충분하나,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와이어(40)의 개수는 좌,우 방향으로 2개씩이다. 와이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탈락방지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도 1의 상태로부터 제2 빨래걸이봉과 제3 빨래걸이봉을 인출하여 도 2의 상태로 펼쳐놓을 때 제2 빨래걸이봉과 제3 빨래걸이봉이 아래로 쳐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도 한다. 따라서, 와이어의 개수는 적어도 2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축회전 부재(55)의 제1 단부(56)는 제1 동체의 다리 부착부(15)로 삽입되어 제1 동체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고정되고 다리(50,50')의 각 단부가 축회전 부재(55)의 제2 단부(58)의 중공부로 삽입됨으로써 다리(50,50')가 제1 동체(10)에 축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빨래건조대(1)의 사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빨래건조대(1)를 사용하려면, 다리(50,50')를 축회전하여 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래건조대(1)를 세워 놓은 상태에서 제1 빨래걸이봉(30)에 빨래를 널어 놓는다. 더욱 많은 빨래를 널고 싶으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또는 제3 빨래걸이봉(32,34)를 인출하여 사용하면 된다. 제2, 제3 빨래걸이봉의 인출을 위해 제1 동체(10)의 외측 중공부(18)에 위치된 제2 동체(20)를 잡아당길 때, 제1 동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원호부(19) 외측으로 노출된 제2 동체(20)를 파지하고 잡아당기므로 매우 편리하다. 비사용시에는 전술한 바의 역순으로 하면 빨래건조대(1)를 접을 수 있으며, 접혀진 상태에서 제1 빨래걸이봉 내로 제2 빨래걸이봉이 삽입되고, 다시 제2 빨래걸이봉 내로 제3 빨래걸이봉이 삽입된다. 이때, 제2 빨래걸이봉(32)의 제1 빨래걸이봉으로 삽입되는 단부는 직선형 커팅되어 있으나, 제 2 빨래걸이봉 내로 삽입되는 방향의 제3 빨래걸이봉 단부는 R형 커팅되어 있으므로, 제3 빨래걸이봉은 제2 빨래걸이봉 내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다리(50,50')를 접을 때, 다리(50)의 폭(L)이 다리(50')의 폭(L')보다 작기 때문에 다리(50)는 다리(50')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최종적으로 접혀진 빨래걸이(1)는 매우 콤팩트하게 된다.
한편, 제1 동체의 상부에는 각각 그 사이의 간격이 다리의 폭(L,L')에 상응하는 간격을 갖는 상부홈(17,1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래건조대(1)의 상부에 다른 빨래건조대(1)를 중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좁은 공간에서 많은 빨래를 널어 놓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후술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제1 동체,
    복수의 파이프로 구성되며, 한 쌍의 제1 동체 사이에 서로 평행하게 고정되는 제1 빨래걸이봉,
    한 쌍의 제1 동체 각각의 외측에 위치하며, 제1 동체 내에 포개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동체,
    복수의 파이프로 구성되며, 일측은 한 쌍의 제2 동체 각각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제1 빨래걸이봉의 중공부로 인출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와 제3 빨래걸이봉,
    한 쌍의 제1 동체 각각의 하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다리, 및
    제2와 제3 빨래걸이봉이 각각 제1 빨래걸이봉으로부터 최대로 인출되더라도 제1 빨래걸이봉과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탈락방지장치로 구성되되,
    제3 빨래걸이봉이 제2 빨래걸이봉의 중공부로 인출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탈락방지장치가 일측은 제2 또는 제3 빨래걸이봉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제1 동체에 일렬로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된 채로 탈락방지 캡이 부착되는 복수의 와이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가능한 빨래건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다리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제1 동체 각각의 2지점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되, 다리 각각의 상기 2지점 사이의 간격이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가능한 빨래건조대.
  3.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동체와 제2 동체 상부에 다른 빨래건조대의 다리가 고정될 수 있는 상부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가능한 빨래건조대.
  4. 삭제
KR1020150149432A 2015-10-27 2015-10-27 확장가능한 빨래건조대 KR101687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432A KR101687920B1 (ko) 2015-10-27 2015-10-27 확장가능한 빨래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432A KR101687920B1 (ko) 2015-10-27 2015-10-27 확장가능한 빨래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7920B1 true KR101687920B1 (ko) 2016-12-20

Family

ID=5773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432A KR101687920B1 (ko) 2015-10-27 2015-10-27 확장가능한 빨래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9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354A (ko) 2019-05-30 2020-12-09 (주) 서현피엠에스 건조대 건조량 증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985Y1 (ko) * 2002-02-01 2002-04-20 이재남 빨래건조대의 보조걸이봉 인출장치
KR200347478Y1 (ko) * 2004-01-14 2004-04-13 김근식 빨래 건조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985Y1 (ko) * 2002-02-01 2002-04-20 이재남 빨래건조대의 보조걸이봉 인출장치
KR200347478Y1 (ko) * 2004-01-14 2004-04-13 김근식 빨래 건조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354A (ko) 2019-05-30 2020-12-09 (주) 서현피엠에스 건조대 건조량 증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4900B2 (en) Retractable multi-tiered lingerie hanger
KR101687920B1 (ko) 확장가능한 빨래건조대
US20170356123A1 (en) Sock hanger
JP6905485B2 (ja) 自立式物干し具
KR200463590Y1 (ko) 옷걸이
EP3476993A1 (en) Clotheshorse with rods attached to both ends with opening for the insertion and the support of the laundry to be dried
EP1881102B1 (de) Wäschetrocknungsgestell
KR100922189B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낚시대
JP6578550B1 (ja) ハンガー
KR101746206B1 (ko) 빨래건조대
KR0119661Y1 (ko) 세탁물 건조대의 결합장치
HUE027871T2 (en) Retractable clothes rack
JP2006280872A (ja) 物干し具
JP3003080U (ja) 物干竿
CN112041499A (zh) 晾衣绳和晾衣架
CN216688743U (zh) 带衣架的多功能晾杆及晾衣机
JP2009254717A (ja) 可変ピッチハンガー
JP3100495U (ja) バスタオル用ハンガ−
US3732987A (en) Support for clothes and the like
WO2020211955A1 (en) Clotheshorse with rods attached to both ends with opening for the insertion and the support of the laundry to be dried
KR200421454Y1 (ko) 양말 빨래걸이
KR101449313B1 (ko) 일인가구용 건조기능을 가진 옷 보관 장치
KR101659668B1 (ko) 다용도 서랍장
CN204146805U (zh) 一种宽度可调的防滑衣架
JPH014413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