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910B1 - 일방향 회전 장치 - Google Patents

일방향 회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910B1
KR101687910B1 KR1020150097172A KR20150097172A KR101687910B1 KR 101687910 B1 KR101687910 B1 KR 101687910B1 KR 1020150097172 A KR1020150097172 A KR 1020150097172A KR 20150097172 A KR20150097172 A KR 20150097172A KR 101687910 B1 KR101687910 B1 KR 101687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gear member
reverse
rotat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곤
Original Assignee
정영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곤 filed Critical 정영곤
Priority to KR1020150097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1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with one or more one-way clutches as an essential fe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방향 뿐만 아니라 역방향으로 회전할 시에도 전기에너지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한 일방향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의 힘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정방향 회전부; 상기 회전축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역방향 회전부; 상기 정방향 회전부 및 상기 역방향 회전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정방향 회전부 및 상기 역방향 회전부의 회전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 회전부; 및 상기 연결 회전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연결 회전부의 회전을 전달받아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기 위한 일방향 회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방향 회전 장치 {One way rotating device}
본 발명은 일방향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방향 뿐만 아니라 역방향으로 회전할 시에도 전기에너지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한 일방향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종 스포츠 및 운동기구를 이용한 실내외 운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헬스 자전거와 같은 운동기구에는 운동속도, 심박수 등을 표시하는 전자장치들이 장착되어 있는데, 현재 석유 자원이 고갈되고 있어 전력을 만드는 발전장치의 가동에 어려움이 예측되고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수력, 화력, 조력, 태양열 및 원자력 등을 이용한 발전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다양한 자원을 이용하는 종래의 발전장치들은 그 설비가 고가이고, 특히 원자력 및 화력 등은 폐기물이 발생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현재 자가 발전이 가능한 발전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88000호(2005.04.28 등록)는 헬스 자전거를 이용한 발전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틀에 지지되는 안장과 핸드 그리고 바퀴, 상기 바퀴를 회전시키는 페달로 이루어진 헬스 자전거의 페달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얻을 수 있는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퀴의 축 일단에 고정되는 마찰바퀴와, 상기 마찰바퀴에 접하여 회전되는 원판과, 크고 작은 기어들이 맞물려 회전수를 증대하는 회전증속부와, 상기 원판과 회전증속부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증대시켜 상기 회전증속부의 각 기어들을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관성발생부와, 상기 회전증속부의 기어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발전기 및 축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5361호(2001.08.24 등록)는 발전기가 구비된 헬스 싸이클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안장과, 손잡이, 상기 안장 및 손잡이를 지탱하는 수단인 다수개의 프레임과 상기 안장의 하부에 구성되는 회동기어와 상기 회동기어를 회전함에 따라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페달로 이루어진 헬스 싸이클에 있어서, 상기 회동기어의 전단측에, 이 회동기어와 체인벨트에 의해 연결된 소형연동기어와, 이 소형연동기어의 회동축에 끼움 구성된 대형연동기어를 갖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대형연동기어 외주연에 연접된 기어를 갖는 소형발전기와, 상기 소형발전기를 지지하는 지지구와,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인 대형연동기어와 소형연동기어 사이에 구성된 막음판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헬스 자전거에 구비된 발전기는, 정방향으로 회전할 시에만 전기에너지가 발생시키고 역방향으로 회전할 시에는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88000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536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방향으로만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정방향 뿐만 아니라 역방향으로 회전할 시에도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일방향 회전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외부의 힘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정방향 회전부; 상기 회전축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역방향 회전부; 상기 정방향 회전부 및 상기 역방향 회전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정방향 회전부 및 상기 역방향 회전부의 회전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 회전부; 및 상기 연결 회전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연결 회전부의 회전을 전달받아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기 위한 일방향 회전부를 포함하는 일방향 회전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방향 회전부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시에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기 위한 정방향 회전베어링부재; 및 상기 정방향 회전베어링부재와 결합 형성되어 상기 정방향 회전베어링부재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정방향 회전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방향 회전베어링부재는, 상기 회전축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시에 상기 정방향 회전기어부재를 공회전으로 정방향 회전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역방향 회전부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시에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기 위한 역방향 회전베어링부재; 및 상기 역방향 회전베어링부재와 결합 형성되어 상기 역방향 회전베어링부재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역방향 회전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역방향 회전베어링부재는, 상기 회전축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시에 상기 역방향 회전기어부재를 공회전으로 역방향 회전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회전부는, 상기 정방향 회전기어부재에 맞물려서 역방향 회전하기 위한 제1 연결기어부재; 상기 제1 연결기어부재 및 상기 역방향 회전기어부재에 맞물려서 정방향 회전하기 위한 제2 연결기어부재; 및 상기 제1 연결기어부재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일방향 회전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기어부재의 역방향 회전에 따라 역방향 회전하여 상기 일방향 회전부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켜 주기 위한 제3 연결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연결기어부재는, 상기 정방향 회전기어부재의 정방향 회전 시에, 역방향 회전하여 상기 제2 연결기어부재를 정방향 회전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제3 연결기어부재를 역방향 회전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연결기어부재는, 상기 역방향 회전기어부재의 역방향 회전 시에, 상기 제2 연결기어부재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역방향 회전하여 상기 정방향 회전기어부재를 정방향 회전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제3 연결기어부재를 역방향 회전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일방향 회전부는, 상기 제3 연결기어부재에 맞물려서 정방향으로만 회전하기 위한 제1 일방향기어부재; 상기 제1 일방향기어부재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제1 일방향기어부재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정방향으로만 회전하기 위한 제2 일방향기어부재; 상기 제2 일방향기어부재의 외측에 취합 형성되어 상기 제2 일방향기어부재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정방향 회전하는 일방향 회전부재; 및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의 회전을 지지해주는 일방향 회전베어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방향 회전베어링부재, 상기 역방향 회전베어링부재, 상기 일방향 회전베어링부재는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일방향 베어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페달을 구동할 시에 일방향으로만 회전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상관없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방향 회전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정방향 회전부와 연결 회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역방향 회전부와 연결 회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연결 회전부와 일방향 회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방향 회전 장치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방향 회전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방향 회전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방향 회전 장치(10)는, 정방향 회전부(100), 역방향 회전부(200), 연결 회전부(300), 일방향 회전부(400)를 포함한다.
정방향 회전부(100)는, 외부의 힘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A)에 연결 형성되며, 회전축(A)의 회전에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역방향 회전부(200)는, 회전축(A)에 연결 형성되며, 회전축(A)의 회전에 따라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연결 회전부(300)는, 정방향 회전부(100) 및 역방향 회전부(200)에 연결 형성되며, 정방향 회전부(100) 및 역방향 회전부(200)의 회전을 일방향 회전부(400)로 전달한다.
일방향 회전부(400)는, 연결 회전부(300)에 연결 형성되며, 연결 회전부(300)의 회전을 전달받아 일방향으로만 회전한다.
일방향 회전부(400)는, 연결 회전부(300)의 회전을 전달받아 정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일방향 회전 장치(10)는, 하나의 회전축(A)에 연결 형성되는데 이때 순서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A) 상에 정방향 회전부(100)가 형성되고, 역방향 회전부(200)가 정방향 회전부(100)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고, 일방향 회전부(300)가 역방향 회전부(200)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는 순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역방향 회전부(200), 정방향 회전부(100), 일방향 회전부(300)의 순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방향 회전부(300), 역방향 회전부(200), 정방향 회전부(200)의 순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일방향 회전 장치(10)는, 사용자가 페달을 구동시켜 회전축(A)이 회전할 시에 회전축(A)의 회전방향에 상관없이 일방향 회전부(40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축(A)의 정방향 뿐만 아니라 역방향 회전 시에도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정방향 회전부와 연결 회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방향 회전부(100)는 정방향 회전베어링부재(110), 정방향 회전기어부재(120)를 포함하며, 연결 회전부(300)는 제1 연결기어부재(310)를 포함한다.
정방향 회전베어링부재(110)는, 회전축(A)에 연결 형성되며, 회전축(A)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시에 정방향 회전기어부재(12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정방향 회전베어링부재(110)는, 회전축(A)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시에 정방향 회전기어부재(120)를 공회전으로 정방향 회전시켜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방향 회전베어링부재(110)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시에 공회전으로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일방향 베어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정방향 회전기어부재(120)는, 정방향 회전베어링부재(110)와 결합 형성되며, 정방향 회전베어링부재(110)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연결기어부재(310)는, 정방향 회전기어부재(120)에 맞물려서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역방향 회전부와 연결 회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역방향 회전부(200)는 역방향 회전베어링부재(210), 역방향 회전기어부재(220)를 포함하며, 연결 회전부(300)는 제2 연결기어부재(320)를 포함한다.
역방향 회전베어링부재(210)는, 회전축(A)에 연결 형성되며, 회전축(A)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시에 역방향 회전기어부재(22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준다.
일 실시 예에서, 역방향 회전베어링부재(210)는, 회전축(A)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시에 역방향 회전기어부재(220)를 공회전으로 역방향 회전시켜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역방향 회전베어링부재(210)는, 정방향으로 회전할 시에 공회전으로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일방향 베어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역방향 회전기어부재(220)는, 역방향 회전베어링부재(210)와 결합 형성되며, 역방향 회전베어링부재(210)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연결기어부재(320)는, 제1 연결기어부재(310) 및 역방향 회전기어부재(220)에 맞물려서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연결기어부재(320)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역방향 회전기어부재(220)와 맞물려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제1 연결기어부재(3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정방향 회전기어부재(1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기어부재(310)는,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정방향 회전기어부재(120)와 맞물려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제2 연결기어부재(32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역방향 회전기어부재(2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연결 회전부와 일방향 회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 회전부(300)는 제3 연결기어부재(330)를 포함하며, 일방향 회전부(400)는 제1 일방향기어부재(410), 제2 일방향기어부재(420), 일방향 회전부재(430), 일방향 회전베어링부재(440, 450)를 포함한다.
제3 연결기어부재(330)는, 제1 연결기어부재(3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일방향 회전부(400)(제1 일방향기어부재(410))에 연결 형성되어, 제1 연결기어부재(310)의 역방향 회전에 따라 역방향 회전하여 일방향 회전부(400)(제1 일방향기어부재(410))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켜준다.
즉, 정방향 회전기어부재(1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시에, 제1 연결기어부재(3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연결기어부재(32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줌과 동시에 제3 연결기어부재(33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것이다.
역방향 회전기어부재(2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시에는, 제2 연결기어부재(320)가 정방향 회전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정방향 회전기어부재(12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줌과 동시에 제3 연결기어부재(33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준다.
제1 일방향기어부재(410)는, 제3 연결기어부재(330)에 맞물려서 정방향으로만 회전한다.
제2 일방향기어부재(420)는, 제1 일방향기어부재(410)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며, 제1 일방향기어부재(410)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정방향으로만 회전한다.
일방향 회전부재(430)는, 제2 일방향기어부재(420)의 외측에 취합 형성되며, 제2 일방향기어부재(420)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일방향 회전베어링부재(440, 450)는, 일방향 회전부재(43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일방향 회전부재(430)의 회전을 지지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하나의 일방향 회전베어링부재(440)는, 제1 연결기어부재(410)와 결합 형성되어 일방향 회전부재(430)의 회전을 지지하며, 다른 하나의 일방향 회전베어링부재(450)는, 제2 연결기어부재(420)와 결합 형성되어 역방향 회전기어부재(430)의 회전을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일방향 회전베어링부재(440, 450)는,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일방향 베어링으로 형성되지만,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양방향 베어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일방향 회전 장치(10)는, 회전축(A)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시 정방향 회전기어부재(120)가 1바퀴 돌 때, 제2 일방향기어부재(420)는 8바퀴를 돌 수 있으며, 회전축(A)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시 역방향 회전기어부재(220)가 1바퀴 돌 때, 제2 일방향기어부재(420)는 6.7바퀴 돌 수 있다. 즉, 회전축(A)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1:8의 비율로 발전하며, 회전축(A)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1:6.7의 비율로 발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방향 회전 장치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방향 회전 장치(10)는, 케이스(500a, 500b, 500c)의 내부에 장착되는데, 각 케이스(500a, 500b, 500c)에는 회전축(A)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1 관통홀(510a, 510b, 510c)이 형성되며, 연결 회전부(300)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제2 관통홀(520a, 520b, 520c)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A)이 제1 관통홀(510a, 510b, 510c)에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고, 연결 회전부(300)가 제2 관통홀(520a, 520b, 520c)에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 회전축
10 : 일방향 회전 장치
100 : 정방향 회전부
110 : 정방향 회전베어링부재
120 : 정방향 회전기어부재
200 : 역방향 회전부
210 : 역방향 회전베어링부재
220 : 역방향 회전기어부재
300 : 연결 회전부
310 : 제1 연결기어부재
320 : 제2 연결기어부재
330 : 제3 연결기어부재
400 : 일방향 회전부
410 : 제1 일방향기어부재
420 : 제2 일방향기어부재
430 : 일방향 회전부재
440, 450 : 일방향 회전베어링부재
500a, 500b, 500c : 케이스
510a, 510b, 510c : 제1 관통홀
520a, 520b, 520c : 제2 관통홀

Claims (10)

  1. 외부의 힘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정방향 회전부;
    상기 회전축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역방향 회전부;
    상기 정방향 회전부 및 상기 역방향 회전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정방향 회전부 및 상기 역방향 회전부의 회전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 회전부; 및
    상기 연결 회전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연결 회전부의 회전을 전달받아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기 위한 일방향 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방향 회전부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시에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기 위한 정방향 회전베어링부재; 및 상기 정방향 회전베어링부재와 결합 형성되어 상기 정방향 회전베어링부재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정방향 회전기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역방향 회전부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시에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기 위한 역방향 회전베어링부재; 및 상기 역방향 회전베어링부재와 결합 형성되어 상기 역방향 회전베어링부재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역방향 회전기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회전부는, 상기 정방향 회전기어부재에 맞물려서 역방향 회전하기 위한 제1 연결기어부재; 상기 제1 연결기어부재 및 상기 역방향 회전기어부재에 맞물려서 정방향 회전하기 위한 제2 연결기어부재; 및 상기 제1 연결기어부재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일방향 회전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기어부재의 역방향 회전에 따라 역방향 회전하여 상기 일방향 회전부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켜 주기 위한 제3 연결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회전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향 회전베어링부재는,
    상기 회전축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시에 상기 정방향 회전기어부재를 공회전으로 정방향 회전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회전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회전베어링부재는,
    상기 회전축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시에 상기 역방향 회전기어부재를 공회전으로 역방향 회전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회전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기어부재는,
    상기 정방향 회전기어부재의 정방향 회전 시에, 역방향 회전하여 상기 제2 연결기어부재를 정방향 회전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제3 연결기어부재를 역방향 회전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회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기어부재는,
    상기 역방향 회전기어부재의 역방향 회전 시에, 상기 제2 연결기어부재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역방향 회전하여 상기 정방향 회전기어부재를 정방향 회전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제3 연결기어부재를 역방향 회전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회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회전부는,
    상기 제3 연결기어부재에 맞물려서 정방향으로만 회전하기 위한 제1 일방향기어부재;
    상기 제1 일방향기어부재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제1 일방향기어부재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정방향으로만 회전하기 위한 제2 일방향기어부재;
    상기 제2 일방향기어부재의 외측에 취합 형성되어 상기 제2 일방향기어부재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정방향 회전하는 일방향 회전부재; 및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일방향 회전부재의 회전을 지지해주는 일방향 회전베어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회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향 회전베어링부재, 상기 역방향 회전베어링부재, 상기 일방향 회전베어링부재는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일방향 베어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회전 장치.
KR1020150097172A 2015-07-08 2015-07-08 일방향 회전 장치 KR101687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172A KR101687910B1 (ko) 2015-07-08 2015-07-08 일방향 회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172A KR101687910B1 (ko) 2015-07-08 2015-07-08 일방향 회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7910B1 true KR101687910B1 (ko) 2016-12-20

Family

ID=5773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172A KR101687910B1 (ko) 2015-07-08 2015-07-08 일방향 회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9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8127A1 (en) * 2019-03-25 2020-10-01 Transcend Energy Ev, Llc Energy conversion devices and related systems
US11967884B2 (en) 2021-06-08 2024-04-23 Gig Energy LLC Energy conversion device,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8002A (ja) * 1994-01-10 1995-08-01 Secoh Giken Inc 変速装置
KR200245361Y1 (ko) 2001-05-09 2001-10-15 최만일 발전기가 구비된 헬스 싸이클
JP2003063476A (ja) * 2001-08-14 2003-03-05 Meridian Reports Kk 自転車の前進駆動装置
KR100488000B1 (ko) 2002-02-08 2005-05-11 김광식 헬스 자전거를 이용한 발전장치
KR20060034331A (ko) * 2004-10-18 2006-04-24 백운 일방향동력전달장치
KR20140131015A (ko) * 2013-05-03 2014-11-12 김종근 일방향 동력전달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8002A (ja) * 1994-01-10 1995-08-01 Secoh Giken Inc 変速装置
KR200245361Y1 (ko) 2001-05-09 2001-10-15 최만일 발전기가 구비된 헬스 싸이클
JP2003063476A (ja) * 2001-08-14 2003-03-05 Meridian Reports Kk 自転車の前進駆動装置
KR100488000B1 (ko) 2002-02-08 2005-05-11 김광식 헬스 자전거를 이용한 발전장치
KR20060034331A (ko) * 2004-10-18 2006-04-24 백운 일방향동력전달장치
KR20140131015A (ko) * 2013-05-03 2014-11-12 김종근 일방향 동력전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8127A1 (en) * 2019-03-25 2020-10-01 Transcend Energy Ev, Llc Energy conversion devices and related systems
CN113661647A (zh) * 2019-03-25 2021-11-16 吉格能源有限责任公司 能量转换装置和相关系统
US11967884B2 (en) 2021-06-08 2024-04-23 Gig Energy LLC Energy conversion device,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00223A1 (en) Systems for reciprocal motion in wave turbines
CA2946998C (en) Self-power generating apparatus
KR101687910B1 (ko) 일방향 회전 장치
EP2947758A2 (en) Magnetic levitation power device
CN202301779U (zh) 正反转单向输出装置
KR100839485B1 (ko) 다수 로터블레이드가 장착된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TW202014600A (zh) 動能擷取機構
CN107882698A (zh) 汽车惯性能回收装置
KR101700520B1 (ko) 일방향 회전 장치가 장착된 발전기
CN106499568B (zh) 横向转动式波浪发电设备
CN104533738B (zh) 一种天平式动力转换发电装置
JP6174007B2 (ja) 流体発電装置
CN205745170U (zh) 重力传动装置
TWM580127U (zh) 具備搖擺旋轉殼體的單向動力轉換裝置
US20150252790A1 (en) Fluid power generating apparatus
CN207282436U (zh) 一种超声电机驱动的智能断路器
KR101964664B1 (ko) 자가 발전장치
CN206181120U (zh) 一种可辅助智能手机散热的装置
WO2018176587A1 (zh) 一种具备摇摆旋转壳体的单向动力转换装置及实现单向动力转换装置单向转换的方法
JP2015007399A (ja) 自然エネルギー利用型の発電装置
TWM481546U (zh) 循環發電裝置
CN216873152U (zh) 双面发电动力系统单驱双向装置
CN210986011U (zh) 太阳能光伏支架驱动装置
KR101690982B1 (ko) 파력 발전장치
CN217824491U (zh) 一种便于固定健身器材电机壳体的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